아마주어무선의 운용
@ff
목차
1. 전파법 9
제 1 장 총 칙 11
제 2 장 무선국의 허가 17
제 3 장 무선설비 26
제 4 장 무선종사자 32
제 5 장 운용 37
제 6 장 검사 40
제 7 장 감독 43
제 8 장 보칙 45
제 9 장 벌칙 49
2. 통신보안 53
3. 아마추어무선기기 취급방법 87
제 1 장 전자이론 89
제 2 장 반도체 102
제 3 장 증폭 111
제 4 장 발진 116
제 5 장 변조 120.
제 6 장 검파 130
제 7 장 송신기 133
제 8 장 전자파장해 및 대책 144
제 9장 무선수신기 152
제 10장 전자파장해 및 대책 156
제 11장 신기술 통신 160
제 12장 전자측정 170
제 13장 전파전파와 공중선 174
제 14장 기기 조작 방법 199
4. 부록 241
부록 1 (계량단위 정의표) 243
부록 2 (Q부호) 247
부록 3 (모오스부호) 248
부록 4 (영문통화표) 249
부록 5 (아마추어무선기사 자격고시에서 개국까지) 250
부록 6 (KARL BAND PLAN) 252
부록 7 (한국잔마추어무선연맹 발행 AWARD소개) 256
부록 8 (OMR 카드 기재요령) 257
부록 9 (각종허가신고서 서식) 258
@ff
1. 전파법
@p11
제 1장 총칙
1. 목 적(전파법 제1조)
이 법은 전파의 효율적인 이용 및 관리에 관한 사항을 정하여, 전파이용 및 전파에 관한 기술의 개발을 촉진함으로서, 전파의 진흥을 도모하고, 공공복리의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정의(전파법 제2조)
가. 이 법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1) 전파: 인공적인 유도없이 공간에 퍼져 나가는 전자파로서 국제전기통신연합이 정한 범위내의 주파수를 가진 것을 말한다.
2) 무전전신: 전파를 이용하여 부호를 보내거나 받는 통신방식
3) 무선전화: 전파를 이용하여 음성 기타 음향을 보내거나받는 통신방식
4) 무선설비: 무선전신 무선전화 기타 전파를 보내거나 받기 위한 전기적 시설
5) 무선국: 무선설비와 무선설비를 조작하는 자의 총체 다만방송 청취를 위하여 수신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포함하지 아니한다.
6) 무선종사자 무선설비를 조작하거나 그 설비의 공사를 하는 자로서 자격검정에 합격하여 등록한 자.
7) 시설자: 정보통신부장관으로부터 무선국의 허가를 받은 자
8) 전자파장해: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기기로부터 그 전자파가 방사(전자파 에너지 가 공간으로 퍼지는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또는 전도(전자파에너지가 전원선을 통하여 흐르는 것을 말한다.)되어 다른 기기의 성능에 장해를 주는 것을 말한다.
@p12
^14,126^. 정의-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시행령 제2조)
1) 무 선 통 신:전파를 이용하여 모든 종류의 기호, 신호, 문언, 영상, 또는 음향 등의 정보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것.
2) 표준방송: 526.5kHz내지 1,606.5kHz의 주파수의 전파를 이용하여 음성 기타 음향을 보내는 방송을 말한다.
3) 수신설비: 수신장치와 수신공중선계로 구성하는 전파를 받는 설비
4) 송신설비: 송신장치와 송신 공중선 계로 구성하는 전과를 보내는 설비
5)송 신 장 치:무전통신의 송신을 위한 고주파에너지를 발생하는 장치와 이에 부가하는 장치
6) 송신공중선계: 송신장치 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에너지를 공간에 복사하는 설비
7) 공중선전력: 첨두전력(PX), 평균전력(PY), 반송파전력(PZ) 규격전력(PR)을 말한다.(아마추어국)
8)공중선 이득: 주어진 공중선의 입력부에 긍급되는 전력에 대한 주어진 방향의 동일한 거리에서 동일한 전계 또는 전력 자속 밀도를 발생하기 위하여 무손실 기준 공중선의 입력부에 필요로 하는 통상 데시벨로 나타내는 전력의 비
9) 중파대: 285KHZ-526.5KHZ, 중단파대: 1.606.KHZ - 4,000KHZ, 단파대: 4,000KHZ - 27,500KHZ의 주파수대를 말한다.
10) 혼신: 다른 무선국의 정상업무의 운행을 방해하는 전파의 발사, 복사 또는 유도를 말한다.
@p13
15) 할당주파수: 무선국에 할당된 주파수대의 중앙주파수를 말한다.
16) 지정주파수: 주파수대의 중앙주파수가 할당주파수와 일치하고 그 주파수대 폭이 점유주파무대 폭의 허용치와 주파수의 허용편차의 절대치의 2배와의 합계와 같은 주파수대를 말한다.
^24,126^. 업무의 분류(시행령 제 3조)
1)아마추어 업무. 금전상의 이익을 위하지 아니하고 개인적인 무선기술의 흥미에 의하여 행하는 자기 훈련 통신과 기술적 연구의 업무
2)방송업무:공중이 직접 수신하도록 할 목적으로 송신하는 무선통신업무
3)비상통신업무: 지진, 태풍. 홍수, 해일, 설해, 화재, 기타 비상사태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 인명구조, 재해구호, 교통 통신의 확보 또는 질서유지를 위하여 행하는 무선통신업무
라. 무선국의 분류 (시행령 제4조)
1) 실험국. 과학 또는 기술의 발달을 위한 실험을 하기위한 것으로서 실용에 공하지 아니하는 무선국
2) 아마추어국: 아마추어업무 또는 위성아마추어 업무 무선국
3) 기지국: 육상 이동국과의 통신을 하기 위하여 육상에 개설하고 이동하지 아니하는 무선국
@p14
^15,126^. 주파수의 표시 (시행령6조)
전파의 주파수대열은 그 주파수의 범위에 따라 다음 표와 같이 9주파수대로 구분한다.
주파수대의 주파수 범위 주파수대 번호 주파수대 약칭 파장에 따른 구분
3kHz를 초과 30kHz 이하 4 VLF 밀리아미터파
30kHz를 초과 300kHz 이하 5 LF 킬로미터파
300kHz를 초과 3,000kHz 이하 6 MF 헥터미터파
3MHz를 초과 30MHz 이하 7 HF 데카미터파
30MHz를 초과 300MHz 이하 8 VHF 미터파
300MHz를 초과 3,000MHz 이하 9 UHF 데시미터파
3GHz를 초과 30GHz 이하 10 SHF 센치미터파
30GHz를 초과 300GHz 이하 11 EHF 밀리미터파
300GHz를 초과 3,000GHz 이하 또는 3THz 이하 12 -- 데시밀리미터파
*VLF: Very Low Frequency, LF: Low, MF: Medium, HF: High, VHF: Very, UHF: Ultra, SHF: Super, EHF: Extremely High Frequency
* kHz라 함은 킬로(10의 3승)HZ, MHz 메가(10의 6승)Hz, GHz 기가(10의 9승)Hz, THz 테라(10의 12승)Hz를 말한다.
바. 공공업무를 행하는 무선국 (시행령 8조)
인명 및 재산의 보호, 치안의 유지, 기상의 통보 기타 공공업무를 행하는 무선국은 당해 공공기관의 소관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개설하는 것으로서 타인에게 그 무선설비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어야 한다.
3. 전파에 관한 조약 (전파법 제3조)
전파에 관하여 국제조약에 따라 규정 이 있는 때에는 이 법의 규정 에 불구하고 그 규정 에 의한다.
@p15
가. 국제전기통신연합(ITU)
ITU의 상설기관의 소재지는 제네바이다. 우리나라가 가입한 것은 1952.1.31 가입서가 ITU사무총국에 기탁됨으로써 연합의 회원국이 되었다.
1) ITU의 조직
사무총국(ITU의 서무담당기관)
국제주파수등록위원회(IFRB)
국제전파(또는 무선통신)자문위원회(CCIR)
전파관리위원회(위원 9명)
세계전파 주관청회의(WRC)
전파규칙(B7.R)
2) ITU의 용어
ITU의 용어는 아랍어, 중국어, 영어, 불어, 러시아어 및 스페인어로하며, 해석상의 분쟁이 있을 때에는 프랑스어의 원본에 의한다.
^14,126^. 국제아마추어무선연합(IARU)
세계각국 아마추어 무선단체의 국제기 관이며,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KARL)은 1961. 12월에 가입하였다. (공식용어는 영어)
본 단체의 설립 목적은
젊은이들을 위 한 스스로의 기술훈련수단이 되도록 한다
무선통신분야에서 과학적, 기술적 연구를 증진시킨다.
자연재해시의 구호 통신수단으로 발전시킨다.
* 전 세계를 3개 지역(Region)으로 구분
I 지역: 유럽, 아프리카
II 지역: 북미, 남미
III 지역: 아세아, 오세아니아
@p16
^24,126^.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KARL)
사단법인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은 정당한 아마추어 무선통신과 실험활동을 지도 . 장려하고, 무선통신분야의 기술향상과 이의 보급 및 사회봉사활동을 목적으로 하여 창설된 단체로서, 세계각국의 아마추어무선연맹과 긴밀한 유대를 가지고 회원의 상호 교류 및 친목을 도모하고 있다.
라. 호출부호(CALL SIGN)
1) 아마추어 무선국의 호출부호는 일반적으로 두자의 영문자(1문자와 1숫자 또는 1숫자와 1문자)와 1에서 7까지의 1자리 숫자, 그리고 1자, 2자 또는 3자의 영문자로 구성된다.
2) 대한민국에 배정된 국가지정 전치부호(Prefix)는 다음의 10개이다. HL, DS, DT, 6K, 6L, 6M, 6N, D7, D8, D9
@ff
@p17
2장 무선국의 허가
1. 무선국의 개설 (전파법 제4조)
가. 무선국의 개설기준
1) 무선국을 개설하고자 하는 자는 대통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정보통신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다만
* 발사하는 전파가 미약한 무선국
* 수신전용의 무선국
* 정보통신부장관이 정하는 일정한 조건하에서 개인의 일상생활에 자유로이 이용하기 위한 무선국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무선국은 정보통신부장관에게 신고하여 야 한다.
2) 다음의 경우에는 정보통신부 장관의 허가를 받은 것으로 본다.
* 전기통신 역무를 제공받기 위한 무선국
* 외국에서 개설된 무선국으로서 당해 무선설비를 휴대하고 입국한 때
^14,126^. 기타의 무선국 (시행령 제17조)
1) 시설자가 아닌 타인에게 그 무선설비를 제공하는 것이 아닐 것
2) 무선국의 개설목적과 통신사항이 공공복리를 해하지 아니할 것
@p18
다. 신고하고 개설할 수 있는 무선국 (시행령 제56조)
1) 선박 또는 항공기에 설치되는 항행 안전용 수신전용 무선기기
2) 우주무선통신 업무 또는 전파천문업무를 행하는 수신전용 무선설비
3) 형식검정에 합격하거나 형식등록을 한 무선기기로서 응도, 전파형식, 주파수 등을 정하여 고시한 특정 출력용 무전기기를 사용하는 무선국중 이동해 식별장치
라. 허가 , 신고없이 개설할 수 있는 무선국 (시행령 제56조의 2)
1) 코드없는 전화기
2) 생활무선국용 무선기기 (형식등록을 한 무선기기를 사용하는 무전국으로서 정보통신부 장관이 정한 주파수를 지정 받아 일상생활에 사용하기 위하여 개설하는 무선국용 무선기기)
3) 수신전용의 무선기기
2. 결격사유 (전파법 제5조)
#1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무선국의 개설을 허용하지 아니 한다.
1) 대한민국의 국적을 가지지 아니한 자
외국정부 또는 그 대표자
외국의 법 인 또는 단체
2) 이 법에 규정한 죄를 범하여
* 금고이상의형을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날로부터 2 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3) 형법중
* 내란의 죄
* 외환의 죄
* 군형법중 이적의 죄 및 국가보안법 위반의 죄를 범하며 선고를 받은자
#2 전항 제 #1의 1)의 규정은 다음의 각호의 경우에는 이를 걸 응하지 아니 한다.
@p19
1) 실험국
2) 선박안전법 규정에 의한 선박의 무선국
3) 국내항공에 전용하는 항공기의 무선국
4) 다음 각목의 1에 해당하는 무선국으로서 대한민국의 정부 대표자 또는 국민에게 자국안에서 무선국의 개설을 허용하는 국가의 정부, 대표자 또는 국민에게 그 국가가 허용하는 무선국과 동일한 종류의 무선국
가) 대한민국안에서 당해 국가의 외교 및 영사업무를 행하는 대사관등의 공관에서 특정지점간의 통신을 위하여 공관안에 개설하는 무선국
나) 아마추어국 (개인적인 무선기술의 흥미에 의하여 자기 훈련과 기술연구에 전용하는 무선국을 말한다.)
5) 국내에서 열리는 국제적 또는 국가적 인 행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그 기간중 정보통신부장관이 허용하는 무선국
6) 아마추어국으로서 다음에 해당하는 자가 개설하는 무선국
가) 대한민국의 아마추어 무선기사 자격을 취득한 자
나) 대한민국에 체류하는 기간중에 무선국을 운용하고자 하는 자
(자국에서 아마추어 무선기사 자격을 취득한 자에 한한다)로서 장관이 지정하는 단체의 추천을 받은자
3. 허가의 신청과 심사 (전파법 제6조)
#1 신청서를 접수한 때에는 다음 각호에 의하여 허가의 적부를 심사하여야 한다.
1) 공사설계가 기술기준에 적합할 것
2) 주파수의 할당이 가능할 것
3) 당해 업무를 유지 할 만한 재정적 기초가 있을 것
4) 대통령령이 정하는 무선국개설기준에 합치 할 것
@p20
아마추어국 개설 기준 (시행령 제 15조)
#1 아마추어국은 다음 각호의 조건을 구비하여야 한다.
1. 신청인은 다음 각목의 1에 해당하는 자일 것.
가. 아마추어국의 무선설비를 조작할 수 있는 무선종사자의 자격이 있는 자
^14,126^. 아마추어업무의 건전한 보급발달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하는 사단법인으로서 다음 요건을 구비한 자.
1)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아니할 것
2) 아마추어업무에 흥미를 가지고 무선종사자의 자격이 있는 자로 구성될 것.
^24,126^. 당해 아마추어 국을 조작할 수 있는 무선종사자의 자격을 가진자가 3인 이상인 단체
2. 무선설비의 공중 선전력은 500와트 이하이며, 이동하는 아마추어국의 경우 50와트 이하의 것일 것.
3. 시설자 아닌 타인에게 그 무선설비를 제공하는 것이 아닐 것.
4. 실험의 목적과 내용이 법령에 위반되지 아니하고 공공복리를 해하지 아니 할 것.
#2 중계용 아마추어국은 제B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다음 각호의 조건을 구비하여야 한다.
1. 신청인이 제1항 제1호 나목에 해당하는 자이거나 아마추어국 간의 중계를 위하여 아마추어용 위성을 설치한 자 일것.
2. 시설의 유지 관리에 적합한 대책을 갖출 것.
@p21
4. 무선국의 허가 등 (전파법 제7조)
규정에 의하여 심사한 결과 그 신청이 부합된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그 무선국을 허가하고 신청인에게 무선국의 준공기한 기타 사항이 기재된 허가증을 교부한다.
5. 허가증의 기재사항 (시행령 제39조)
무선국의 허가증에 기재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허가장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기재한다.
1) 허가년월 일 및 허가번호
2) 시설자의 성명 또는 명칭
3) 무선국의 종별 및 명칭
4) 무선국의 목적
5) 통신의 상대방 및 통신사항
6) 무선설비의 설치장소 또는 상치장소
7) 허가의 유효기간
8) 호출부호 또는 호출명칭
9) 전파의 형식 및 폭과 주파수
10) 공중선전력
11) 공중선의 형 식 및 구성
12)운용허용시간
13)무선종사자의 자격 및 정원
14)무선국의 준공기한
15) 시험전파의 발사기간 및 내용 (시험전파의 발사를 신청한 경우에 한한다.)
@p22
6. 준공검사 (전파법 제9조)
#1 무선국의 허가를 받은 자는 무선설비가 준공된 경우 그 무선설비와 무선종사자의 자격 및 정원에 대하여 검사를 받아야 한다.
#2 준공기한의 연기신청이 있는 경우 1회에 한하여 그 기한을 연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연장기간은 1 년을 초과할 수 없다.
#3 기술기준에 적합하고, 무선종사자의 자격 및 정원이 배치기준에 적합한 때에는 지체 없이 준공 검사필증을 교부하여야 한다.
7. 무선국의 운용 (전파법 제10조)
(준공검사의 생략) (시행령 제32조)
#1 무선국은 준공검사를 받은 후 이를 운용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의 각호의 1에 해당하는 무선국의 경 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어선에 설치하는 무선국, 소규모의 무선국 및 아마추어국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무선국 (법 제29조의 2의 규정에 의한 형식검정에 합격하거나 형식등록을 한 무선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한한다.)
2) 재허가를 받은 무선국
3) 무선설비의 설치공사가 불필요하거나 간단한 무선국
#3 무선국은 허가증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안에서 운용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 하다.
1) 조난통신(전박 또는 항공기 가 중대하고 급박한 위기에 처한 경우에 조난신호를 먼저 보내고 행하는 무선통신)
2) 긴급통신(선박 또는 항공기 가 중대하고 급박한 위험에 처할 우려 가 있는 경우 긴박한 사태가 발생한 경우에 긴급신호를 먼저 보내고 행하는 무선통신)
3) 안전통신(선박 또는 항공기의 항행에 대한 중대한 위험을 예방하기 위하여 안전신호를 먼저 보내고 행하는 무선통신)
4) 비상통신(지진, 태풍, 홍수, 해 일, 설해, 화재 기타 비상사태가 발생하거나 또는 발생 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 유선통신을 이 용할 수 없거나, 이를 이용하기 곤란할 때, 인명의 구조, 재해의 구호, 교통통신의 확보 또는 질서 유지를 위하여 행하는 무선통신)
@p23
8. 허가의 유효기간 (전파법 제 12조)
#1 허가의 유효기간은5 년을 경과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며, 그 기간이 경과한 때에는 재허가를 할 수 있다.
#2 의무 선박국 및 의무 항공기국은 1 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무기한으로 한다.
#3 허가의 유효기간은 준공검사필증을 교부한 날로부터 기산한다.
가. 허가의 유효기관 (시행령 제57조)
1) 실험국 및 실용화 시험국: 1 년
2) 육상이 동국 간이무선국 , 아마추어국: 5년
3) 제1 호 및 제2 호외의 무선국: 3년
9. 재허가의 신청 (시행령 제33조)
재허가를 받고자 하는 자는 재허가 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가. 신청기간
재허가의 신청은 허가유효기간 만료전 2월이상 4월이내의 기간에 하여야 한다. 다만 허가유효기 간이 1년인 무선국에 대하여는 그 유효기간 만료전 2월까지 신청하여야 한다.
^14,126^. 심사와 허가 (시행령 제35조)
1) 재허가신청을 심사한 결과 그 신청이 적합하다고 인정한 때에는 다음 사항을 지정하여 재허가를 허가한다
가) 전파의 형식 및 폭과 주파수
나) 호출부호 또는 호출명 칭
다) 운용허용 시간
라) 무선종사자의 자격 및 정원
마) 공중선 전력
@p24
10. 변경 허가 (전파법 제16조)
무선국의 허가를 받은 자가 허가받은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때에는 정 보통신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다만, 경미한 사항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변경허가의 대상이 아닌 사항 (시행령 제58조)
1) 수신설비의 대치, 변경 및 예비기기의 증설과 철거
2) 송신설비중 다음에 게기한 것의 대치 또는 변경
가) 동등이상의 성능을 가진 전원 설비
나) 동등한 성능을 가진 공중선의 급전선과 진공관 기타 부분품
다) 발진방식, 변조방식, 채배방식, 공중선전력 또는 공증선의 형식과 특성 에 변경을 주지 아니하는 것
3) 아마추어국의 무선설비의 변경으로 다음에 계기하는 것 정통부고시 1998-08 (98.9.14)
가) 송신장치의 철거
나) 공중선전력 l0W이하의 송신장치의 대치, 변평, 증설
다) 공중선전력 10W를 넘는 송신장치의 변경중 다음 사항인 것 (동일한 주파수에서의 변경으로 전파 형식과 종중선전력에 변경을 주지 아니하는 것에 한함)
(1) 발진방식 및 주파수와 제 배 방법
(2) 변조 방식 (전건조작 방식을 포함함)
라)공중선의 대치, 변경, 증설 또는 철거
@p25
11. 변경검사 (전파법 제17조)
변경허가를 받은 시설자는 정보통신부장관의 검사를 받고 변경 결과가 허가내용과 합치된다고 인정받은 후가 아니면 무선설비를 운용하지 못한다.
12. 무선국의 폐지와 운용휴지 (전파법 제27조)
#1 시설자가
무선국을 폐지하고자 하는 때
무선국의 운용을 1월 이상 1 년이내 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정보통신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2 시설자가 무선국을 폐지 한 때에는 허 가는 그 효력을 상실한다.
정당한 사유없이 6개월이상 무선국의 운용을 휴지하면 그 허가를 취소할 수 있다.
@ff
@p26
제 3장 무선설비
1. 전파의 질
가. 주파수의 허용편차 (무선설비규칙 제 3조)
송신설비에 사용하는 전파의 주파수 허용편차는 표와 같다.
주파수대 허용편차(백만분율) 비고
1,606.5kHz--4,000kHz 500
4MHz--29.7MHz 500
29.7MHz--100MHz 500
100MHz--470MHz 1000 1W이하의 무선설비
100MHz--470MHz 500 1W이하의 무선설비
470MHz--10.5GHz 500
주파수의 허용편차: 발사에 의하여 점유하는 주파수대의 중앙주파수의 할당주파수에서 허용할 수 있는 최대편차 노는 발사의 특정 주파수의 기준 주파수에서 허용할 수 있는 최대편차를 말하며 백만분율 또는 Hz수로 표시한다. (시행령 제2조 37 호)
^14,126^. 점유주파수대폭의 허용치 (무선설비규칙 제4조)
발사전파에 허용되는 점유주파수대폭의 값은 별표와 같다.
전파형식 점유주파수대폭의 허용치 비고
A1A, A1B 500Hz 100kHz 이상의 전파
R3E, H3E, J3E 3kHz
F3E, G3E 16kHz 146--174MHz, (방송외)
@p27
* 전파형식의 표시 (시행령 제5조)
전파발사는 필요 주파수대폭과 그 등급에 따라 다음과 같이 표시한다.
1. 필요주파수 대폭
3개의 숫자와 1개의 문자로 표시하며 문자는 소수점자리에 두어 필요 주파수대폭 단위를 표시한다.
0.001Hz에서 999Hz 사이의 Hz: H
1,00kHz에서 999kHz 사이의 kHz: K
1.00MHz에서 999MHz 사이의 MHz: M
1,00GHz에서 999GHz 사이의 GHz: G
예) 주파수 대역폭 562Hz를 562H, 750kHz는 7K50으로 표시한다.
2. 등급
발사전파는 기본 특성에 따른 등급과 기호로 표시한다.
1) 기본특성
가) 첫째기호: 주반송파의 변조 형식
A: 양측파대 J: 단측파대의 억압 반송파 F: 주파수 변조 R: 단측파대의 저감 반송파
나) 둘째기호: 주반송파를 변조시키는 신호의 특성
0: 무변조신호 1: 변조용 부 반송파 3: 아날로그 정보를 포함하는 단일 채널
다) 세째기호 송신할 정보형태
A: 전신: 가청수신용 B: 전신: 자동수신용 C: 팩시밀리 E: 전화 F: TV(영상)
^24,126^. 스퓨리어스 발사강도의 허용치 (무선설비규칙 제5조)
* 스퓨리어스발사: 필요 주파수대외에서의 1이상의 주파수의 전파의 발사로서 그 레벨을 정보전송에 영향을 주지 아니하고 저감할 수 있는 것을 말하며, 고조파 발사, 기생발사, 상호변조적 및 주파수변환적을 포함하고 대역외 발사는 포함하지 아니한다.
@p28
기본주파대수: 급전선에 공급되는 주파수마다의 스퓨리어스 발사의 평균전력의 허용치
9kHz-30MHz: 50밀리와트 이하, 기본주파수의 평균전력보다 40dB 낮은 값.
30MHz-235MHz: 25마이크로와트 이하, 기본주파수의 평균 전력보다 40dB 낮은 값. 송신기평균 전력 25W이하
30MHz-235MHz: 1와트이고, 기본주파수의 평균전력보다 600dB 낮은 값 25W 초과
2. 송신설비
가. 공중선전력의 표시 (무선설비규칙 제15조)
다음에게 기한 송신설비의 공중선 전력은 규격전력(PR)으로 표시한다.
아마추어국 및 실험국의 송신설비
^14,126^. 공중선전력의 허용편차 (무선설비규칙 제 16조)
아마추어국의 송신설비의 공전선전력의 허용편차는 상한 20 퍼센트
^24,126^. 변조 (무선설비규칙 제 20조)
송신장치는 음성 기타의 주파수에 의하여 반송파를 변조하는 경우에는 변조파의 첨두치에서 +-100%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유지되는 것이어야 한다.
라. 송신공중선의 조건 (무선설비규칙 제22조)
1) 공중선의 이득과 능률이 가능한 한 클 것
2) 정합이 충분할 것
3) 만족한 지향성을 얻을 수 있을 것
@p29
^15,126^. 지향특성
공중선의 지향특성은 다음에게 기한 사항에 의하여 정한다
1) 주복사 방향과 부복사 방향
2) 수평면의 주복사 각도의 폭
3) 공중선을 설치하는 위치의 근방에 있는 것으로서 전파방향을 교란하는 것
4) 급전선으로부터의 복사
3. 수신설비
가. 수신설비의 조건 (무선설비규칙 제26조)
수신설비 는 가능한 한 다음 각 호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1) 내부잡음이 적을 것
2) 감도가 충분할 것
3) 선택도가 적정할 것
4) 명료도가 충분할 것
^14,126^. 수신 공중선 (무선설비규칙 제27조)
송신 공중선에 관한 규정 은 수신 공중선에 이를 준용한다
4. 안전시설 (전파법 제26조)
무선설비에는 인체에 위해를 주거나 물건에 손상을 주지 아니하도록 시설을 하여야 한다
가. 고압전기에 대한 안전시설 (시행규칙 제24조)
1) 고압전기란 고주파 또는 교류전압 600 볼트 또는 직류전압 750 볼트를 초과하는 전기를 말한다.
2) 송신설비의 각 단위 장치 상호간을 연결하는 전선으로서 고압전기를 통하는 것은 선구가 견고한 절연차폐체 또는 접지된 금속차폐 체내에 수용하여 야 한다.
3) 송신설비의 공중전, 급전선 또는 카운터포이즈로서 고압전기를 통하는 것은 그 높이가 사람이 보행하거나 기거하는 평면으로부터 2.5미터 이상이어야 한다.
@p30
^14,126^. 공중선 등의 보안시설 (시행규칙 제75조)
무선설비의 공중선계에는 피뢰기 또는 접지장치를, 카운터포이즈에는 접지 장치를 각각 장치하여야 한다. 다만, 25,010kHz이상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국의 무선설비와 옥상이
동국, 또는휴대국의 무선설비의 공중선에 대하여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5. 형식검정 또는 형식등록 (전파법 제29조의 2)
#1 무선설비의 기기를 제작 또는 수입하고자 하는 그 기기에 대하여 형식검정을 받거나 형식등록을 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외국에서 제작 또는 수입된 무선설비의 기기로서 형식검정을 받지 아니하거나 형식등록을 하지 아니하기로 국가간 상호 인정된 것
가. 무선설비의 위탁운용 및 공동사용 (전파법 제29조의 6) (시행령 제50조의 3)
#1 무선국의 시설자는 무선설비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타인과 무선설비를 공동으로 사용 또는 타인에게 위탁 운용할 수 있다.
@p31
위탁운용 또는 공동사용 할 수 있는 무선설비
1) 무선국의 공중선주 또는 전원설비
2) 송신설비
3) 시설자가 동일한 무선국의 무선설비
4) 정보통신부 장관이 정하는 아마추어국의 무선설비
5) 기타 공공의 안전을 위한 무선국으로서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고시하는 무선설비
#2 제1 항의 규정에 의한 무선설비를 위탁 운용하거나 공동사용 하는 때에는 다음 각호의 조건에 적합하여야 한다.
1) 전파가 능률적으로 발사될 수 있는 곳에 설치할 것
2) 이미 시설된 무선국 또는 가허가를 받은 무선국의 운용에 지장을 주지 아니할 것
3) 무선설비로부터 발사되는 전파가 인근 주택가의 방송청취등에 전기적 영항을 주지 아니할 것
4) 기하 정좌통신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따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할 것
단 무선설비를 위탁 운용하거나 공동사용 하고자 하는 자는 정보통신부령이 정하는 승인신청서에 합의서 또는 공동사용계약서를 첨부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ff
@p32
제 4 장
무선종사자
1. 무선종사자의 자격 등 (전파법 제30조)
#1 무선종사자가 되고자 하는 자는 기술자격검정에 합격하여야 한다.
#2 자격검정에 합격한 자는 정보통신부장관에게 등폭하여야 한다.
#3 무선국의 무선설비는 무선종사자가 아니면 이를 조작하거나 그 공사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선박 또는 항공기가 항해중이서 무선종사자를 보충할 수 없거나 기타 대통령령이 정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가. 자격종목 및 종사범위 (시행령 제51조)
무선종사자의 자격종목 및 자격종목별 종사범위는 다 표에 의한다
1급 아마추어 무선기사: 아마추어국의 공중선전력 570와트 이 하의 부선설비의 조작
2급 아마추어 무선기사: 아마추어국의 공중선전력 107퇴트 이 하의 무선설비의 조작
3급 아마추어 무선기사(전신급): 아마추어국의 긍중선전력 50와트 이하의 무선설비로서
21MHz이상 또는 BMHB이하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것의 조작
3급 아마추어 무선기사(전화급): 아마추어국의 공중선전력 57와트 이하의 무선설비로서 21MHz이상 또는 8MHz이하의 주파수의 전과를 사용하는 것의 조작 다만, 모오스부호에 의한 통신은 제외한다.
전파통신기사, 전파통신산업기사: 제1급 아마추어 무선기사의 조작범위에 속하는 조작
전파통신기능사: 제2급 아마추어 무선기사의 조작범위에 속하는 조작
특수급무선통신사(항공)(무선전화 갑): 제 3급 아마추어 무선기사(전화급)의 조작범위에 속하는 조작
@p33
3. 자격검정 및 자격증교부
가. 검정과목 (시행규칙 제10조)
아마추어 무선기사의 자격별 검정과목 및 출제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제 1급 아마추어 무선기사
#1 검정과목: 전파법규
출제내용: 전파 관련법규 국제전기통신협약과 그 부속 전파규칙
#2. 검정과목: 통신보안
출제내용: 통신수단 및 통신보안의 대요
보안업무규정 및 동 시행규칙 중 통신보안에 관한 사항
통신보안상의 전파전파의 특성
#3 검정과목: 전파공학
출제내용: 무선설비 및 전파전파에 관한 이론 및 응용의 대요
무선측정기기에 관한 이론
무선측정방법과 무선설비의 보수 및 운용에 관한 초보
#4 검정과목: 영어
출제내용: 초보적인 의사를 표현할 정도의 영어 전반
#5 검정과목: 1분간 영어보통어 50자의 속도에 의한 3분간의 음향 송신 및 수신
2. 제 2급 아마추어 무선기사
#1 검정과목: 전파법규
출제내용: 전파 관계법규
국제전기통신협약과 그 부속 전파규칙의 대요
#2 검정과목: 통신보안
출제내용: 통신수단 및 통신보안의 대요
보안업무 규정및 동 시행규칙 중 통신보안에 관한 사항
#3 검정과목: 전파공학
출제내용: 무선설비 및 전파전파에 관한 이론 및 응용의 초보
무선측정 기기에 관한 이론
무선측정방법과 무선설비의 보수 및 운용에 관한 초보
#4 검정과목: 영어
출제내용: 초보적인 의사를 표현할 정도의 영어 전반
#5 검정과목: 전기통신술
출제내용: 1.1 분간 영문보통어 35자의 속도에 의한 3 분간의 음향의 송신 및 수신
3. 제 3급 아마추어 무선기사(전신급)
#1 검정과목: 전파법규
출제내용: 전파 관계법규
#2 검정과목: 통신보안
출제내용: 제2급 아마추어 무선기사에 준한다.
#3 검정과목: 아마추어 무선기기 취급방법
출제내용: 아마추어 무선기기 취급에 필요한 기초적인 사항
#4 검정과목: 전기통신술
출제내용: 1분간 영문보통어 20자의 속도에 의한 3분간의 송신 및 수신
4. 제3급 아마추어 무선기사(전화급)
#1 검정과목: 전화법규
출제내용: 전파관계법의 대요
#2 검정과목: 통신보안
출제내용: 제2급 아마추어 무선기사에 준한다.
#3 검정과목: 아마추어 무선기기 취급방법
출제내용: 아마추어 무선기기 취급에 필요한 기초적 사항
@p34
^14,126^. 합격기준 (시행규칙 제11조)
자격검정의 합역기준은다음 각호와 같다.
1) 매 과목 100점 만점으로하여 매 과목40점이상, 전과목 평균 60점이상
2) 전기통신술은 당해 급수의 매 종별마다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매종별 40점 이상, 전종별 평균 60점 이상
^24,126^. 자격검정의 방법 (시행규칙 제12조)
1) 검정과목중 전기통신술은 실기 시험으로 하고, 그 외의 과목은 필기시험으로 한다.
2) 전기 통신술의 검정은 필기시험에 합격하지 아니하면 이에 응시 할 수 없다.
@p35
라. 검정과목의 면제 (시행규칙 제12조의 2)
1) 자격검정 에 있어서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다음 회의 자격검정에 한하여 필기시험을 면제한다.
2) 이미 무선종사자의 자격을 취득한 자가 다른 종목의 무선종사자 자격검정을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신청에 의하여 다음 표와 같이 검정과목의 일부를 면제한다.
보유자격 및 업무경력
1. 아마추어머선기사
#1 제2급 아마추어 무선기사로서 자격검정일 현재 3년이상 계속하여 아마추어국을 운용하는 자
응시하는 자격: 제1급아마추어 무선기사
면제 과목: 영어, 전기통신술
#2 제3급 아마추어 무선기사(전신급)로서 자격검정일 현재 2년이상 계속하여 아마추어 무선국을 운용하는 자
응시자격: 제2급 아마추어 무선기사
면제과목: 전기통신술
#3 제3급 아마추어 무선기사(전화급)
응시하는 자격: 제3급 아마추어 무선기사(전신급)
면제과목: 아마추어 무선기기 취급방법 통신보안 전파법규
2. 무선설비기사: 무선설비기사 무선설비 산업기사 무선설비 산업기능사 전파전자기사 전파전자 산업기사 전파전자 기능사
#1 응시하는 자격: 1급 및 제2급 아마추어 무선기사
면제과목: 전파공학
#2 응시하는 자격: 제3급 아마추어 무선기사(전신, 전화급)
면제과목: 아마추어 무선기기 취급방법
@p36
^15,126^. 부정행위자에 대한 제재 (시행규칙 제15조)
1) 자격검정에 대하여 부정행위가 있는 때에는 당해 행위자에 대하여 그 검정을 정지하며, 합격을 무효로 한다.
2) 제 1 항의 규정 에 해당한 자에 대하여 는 정보통신부 장관은 6월이상 2 년내의 기간을 정하여 자격검정을 받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바. 자격증신청 (시행규칙 제17조)
자격검정에 합격한 자가 무선종사자 자격등록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신청서에 다음 각호의 서류를 첨부하여 관리사업단에 제출하여야 한다.
가) 사진1매
나) 외국인 등록증 (외국인에 한한다.)
사. 자격증의 재교부 (시행규칙 제19조)
1) 자격증을 훼손 또는 분실하여 그 재교부를 받고자 할 때에는 다음 각호의 서류를 첨부하여 한국무선국관리사업단에 제출하여야 한다.
가) 자격증(분실한 경우를 제외한다)
나) 사진 1 매
2) 자격증을 훼손 또는 분실한자는 지체없이 그 재교부를 받아야 한다
@ff
@p37
제 5장
운 용
1. 통신보안의 준수 (전파법 제42조의 2)
시설자 및 무선통신업무에 종사하는 자와 무선설비를 이용하는 자는 정보통신 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통신보안에 관한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가. 통신보안 교육 (시행규칙 제40조)
전기통신 역무를 제공받기 위하여 개설한 무선국의 시설자 (무선국 개설시 1 회)
무선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자 (5년마다 1회) 통신 보안 교육을 받아야 한다.
2. 실험국 등의 통신 (전파법 제44조)
#1 실험국은 외국의 실험국과 통신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2 실험국과 아마추어 국이 통신을 할 때에는 암어를 사용하여서는 아니된다
#3 아마추어국은 제3자를 위한 통신을 할 수 있다.
#4 제3자라 함은 아마추어 국을 개설한 자를 말한다.
#5 아마추어국은 무선통신에 유무선 접속장치를 접속하여 유무선간의 중계통신을 할 수 있다.
#6 유무선간의 중계통신이 라 함은 규정 에 의 한 아마추어 업무를 행하는 통신을 말한다
@p38
3. 인명 안전통신용 주파수 (시행규칙 제 109조)
조난, 긴급. 안전통신에서 인명 안전통신용 주파수를 지정 보호하는 주파수 500kHz, 209117Hz, 2182kHz, 27.821MHz, 156.8MHz (비상통신용 주파수: 45557Hz)
4. 조난통신(MAYDAY 메데) (전파법 제52조)
#1 해안국과 선박국은 조난통신을 수신한 때에는 다른 모든 무선통신에 우선하여 즉시 응답하고 조난을 당하고 있는 선박 또는 항공기를 구조하기 위하여 가장 편리한 위치에 있는 무선국에 대하여 통보하는 등 구조통신에 관하여 최선의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2 무선국은 조난신호를 수신한 때에는 조난통신을 방해 할 우려가 있는 전파의 발사를 즉시 중지하여야 한다.
5. 긴급통신(PAN PAN)
6. 안전통신(SECURITY)
7. 비상통신 (비상)
8. 아마추어국의 운용
가. 발사의 제한 등 (시행규칙 제193조)
1) 아마추어 국에 있어서는 그 발사의 점유주파수대폭에 포함되어 있는 어떠한 에너지의 발사도 당해국의 동작허용주파수대에서 이탈하여서는 아니 된다.
2) 자국의 발사전파가 다른 무선국의 운용 또는 방송의 수신에 지장을 주거나 지장을 줄 우려가 있을 때에는 즉시 당해 주파수에 의한 전파의 발사를 중지하여 야 한다. 다만, 조난통신 등을 행하는 경 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p39
^14,126^. 금지하는 통보 (시행규칙 제194조)
아마추어국이 송신하는 통보는 타인의 의뢰에 의한 것이어서는 아니된다.
^24,126^. 호출부호의 전송 (시행규칙 제195조)
아마추어국은 그 운용시 자국과 상대국의 호출부호를 정화히 전송하여야 한다.
라, 무선설비의 조작 (시행규칙 제 196조)
아마추어국의 무선설비의 조작을 행하는 자는 시설자(단체국의 경우 그 구성원)외의 자이어서는 아니된다.
^15,126^. 준용규정 (시행규칙 제 197조)
아마추어국의 운용에 관하여 는 이 절에 규정 한 것 이외 에 이 장 제4절의 규정을 준용한다.
@ff
@p40
6장
검사
1. 조사 및 조치
#1 규정을 위반한자가 있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관계 공무원으로 하여금 이를 조사 또는 시험하게 할 수 있다.
#2 조사한 결과 위반사실이 확인된 때에는 그 시설자, 소유자, 제작자 또는 이를 판매, 진열, 보관 또는 운송하는 자에게 이의 시정, 철거, 파기, 수거, 사용중지 또는 생산중지 등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다.
2. 정기검사 (전파법 제61조)
5 년의 범위내에서 무선국별로 정하는 기간마다 정기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가. 정기검사의 유효기간 (시행규칙 35조의 4)
1) 유효기간
1 년: 의무 선박국, 의무항공기국, 실험국, 실용화, 시험국
2 년: 40톤 미만인 어선의 의무선박국, 초경량 비행장치의 항공기국
3 년: 기타의 무선국
5 년: 휴대기지국, 간이무선국, 항공국, 아마추어국 등
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간: 어선의 선박국(50와트 이하), 간이 무선국
2)정기검사의 유효기간은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날 부터 기산한다.
가) 최초로 정기검사를 받는 무선국: 준공검사 필증을 교부받은 날
(아마추어국은 무선국의 허가를 받은 날)
나) 최초의 정기검사 이후의 정기검사를 받는 무선국: 종전의 정기검사 유효기간의 만료일 다음날
@p41
^14,126^. 정기검사의 시기 방법 등 (시행규칙 제35조의 5)
1) 정기검사의 시기는 다음 각호의 구분에 의하며, 이시기에 정기검사에 합격한 경우에는 정기검사 유효기간의 만료일에 정기검사를 받은 것으로 본다.
가) 1년 기간의 무선국: 정기검사 유효기간의 만료일 전후 1월 이내
나) 2년 3년 기간의 무선국: 정기검사 유효기간의 만료일 전후 3월 이 내
다) 5년 및 기타 기간의 무선국: 정기검사 유효기간의 만료일 전후 6월 이내
2) 정기검사는 다음 각호의 검사를 한다.
가) 성능검사 공중선 전력, 주파수, 스퓨리어스 발사강도, 변조도 및 인접채널 누설전력을 측정하는 검사
나) 대조검사: 시설자, 부선설비 및 무선종사자의 배치 여부를 대조, 확인하는 검사
3) 정기검사를 행하는 기관의 장은 정기검사 대상 무선국의 시설자에게 정기검사일 및 정기검사 수수료 등에 관한 사항을 정기검사일 1월전 까지 통보하여야 한다.
3. 임시검사 (전파법 제62조)
무선국이 있는 선박 또는 항공기가 외국에 출항하고자 하는 때 기타 입법의 시행을 보장하기 위하여 특히 필요가 있는 때에는
무선설비의 기술기준 및
무선종사자의 자격과 정원
기타 필요한 사항을 검사 할 수 있다.
@p42
4. 증표의 제시 (전파법 제63조)
이 장의 규정에 의하여 조사 또는 검사를 하는 공무원은 그 권한을 표시하는 증표를 시설자 기타 관계인 에게 제시하여야 한다
* 참고
시간표시
KST (Korea Standard Tim): 한국표준시
GMT (Greenwich Mean Time): 국제표준시
UTC (Universak Time cordinated): 협정세계시
@ff
@p43
제 7장
감 독
1. 전파감시 (전파법 제63조의 2)
* 전파의 효율적인 이용을 촉진하고
* 혼신의 신속한 제거등
* 전파질서의 유지를 위하여 전파감시업무를 행한다.
2. 주파수등의 변경과 손실보상 (전파법64조)
#1 전파에 관한 법령이 개정되거나 공익상 필요가 있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무선국의 주파수 또는 공중 선전력의 지정을 변경할 수 있다.
#2 이로서 발생한 손실은 당해 시설자에게 보상하여야 한다. 다만 전파에 관한 조악의 개정 또는 시설자의 요청에 의하여 변경할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무선국의 허가취소 등 (전파법 제67조)
#1 시설자가 법 제5조의 규정 에 의한 결격사유에 해당하게 된 때에는 그 무선국 개설허가는 그 효력을 상실한다.
#2 시설자가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때에는6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무선국의 운용정지, 무선국의 운용허용시간과 주파수 또는 공중선전력의 제한을 명할 수 있다.
1) 상속이나 합병 분할에 의하여 시설자의 지위를 승계한자가 지체 없이 신고를 하지 아니 한 때
2) 정기검사 또는 임시검사를 거부하거나 방해한 때
3) 기타 이법 또는 이법에 의한 명령이나 처분에 위반한 때
@p44
#3 다음각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무선국의 허가를 취소하거나 설비의 변경 운용의 제한 또는 정지를 명할 수 있다.
1) 비상사태가 발생한 때
2) 혼신방지상 필요한 때
#4 시설자가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허가를 취소할 수 있다.
1) 금고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날로부터 2 년을 경과하지 아니한다.
2) 준공기한이 경과한 후 30일이 경과할 때까지 준공을 하지 아니한 때
3) 준공검사를 받지 아니하고 무선국을 운용한 때
4) 부정한 방법으로 무선국의 허가 또는 변경허가를 받은 때
5) 정당한 사유 없이 계속하여 6월이상 무선국의 운용을 휴지한 때
6) 전파사용료를 납부하지 아니 한 때
7) 기타 이 법 또는 이 법에 의 한 명령이나 처분에 위반한 때
4. 무선종사자의 기술자격의 취소 등 (전파법 제69조)
무선종사자가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경 우에는 기술자격을 취소하거나 6월이상 2 년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업무종사의 정지를 명할수 있다.
1) 이 법 또는 이 법에 의한 명령이나 처분에 위반한때
2) 사위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무선종사자의 자격을 취득한 때
5. 시정지시 (시행규칙 제199조)
위반행위가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에 기인하지 아니한 것으로 시정이 가능한 경미한 위반행위인 경우에는 무선국의 시설자 또는 무선종사자에 대하여 시정지시 또는 경고를 할 수 있다.
@ff
@p45
8장
보 칙
1. 고주파 이용설비(전파법 제72조)
전선로에 10kHz이상의 전류를 통하는 전신 전화 기타 통신설비를 하고자 하는 자는 허가를 얻어야 한다.
2. 전파사용료 (전파법 제74조의 5)
#1 무선국의 시설자에 대하여 당해 무선국에서 사용하는 전파에 대한 사용료를 부과, 징수할 수 있다.
다만, 제1 호 및 제2 호에 해당하는 무선국에는 이를 면제하고, 제3 호에 해당하는 무선국은 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면제 할 수 있다.
1)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개설하는 무선국
2) 방송을 목적으로 하는 무선국중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아니하는 무선국과 방송광고물의 수탁수수료를 납부하는 무선국
3)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아니하는 무선국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무선국
#2 전파사용료는 전파관리 에 필요한 경비의 충당과 전파진흥을 위하여 사용한다
가. 전파사용료 감면 (시행령 제119조의 10)
비상국, 실험국 아마추어국의 시설자에 대하여는 전파사용료를 면제한다.
3. 수수료의 징수 (전파법 제75조)
#1 다음에 해당하는 자는 수수료를 납부하여야 한다
1) 허가, 재허가의 신청 을 하는 자
2) 검사를 받는 자
3) 형식검정 또는 형식등록, 전자파 적합 등록을 신청하는 자
4) 무선종사자의 자격검정을 신청하는 자
5) 허가증의 재교부를 신청하는 자
#2 수수료는 공공복리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이를 감면할 수 있다.
@p46
가. 무선국의 허가신청 수수료 (시행규칙 제201조)
무선국의 허가^5,23^변경허가, 재허가 또는 지정변경을 신청하는 자는 다음의 수수료를 납부하여야 한다.
^14,126^. 무선국의 검사 수수료 (시행규칙 제202조)
1) 무선국의 준공검사, 변경검사, 정기검사 및 임시 검사를 받는 자는 다음표의 수수료를 납부하여야 한다.
2) 정기검사와 변경검사를 병행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정기검사 수수료를 적용한다.
무선국의 종별: 실험국과 아마추어국
50W 미만: 준공검사수수료 10,000 변경검사 수수료 9,000 정기검사 수수료 9,000 임시검사 수수료 9,000
50W 이상 500 W 미만: 준공검사 수수료 17,000 변경검사 수수료 12,000 정기검사 수수료 12,000 임시검사 수수료 12,000
500W 이상: 준공검사 수수료 30,000 변경검사 수수료 19,000 정기검사 수수료 19,000 임시검사 수수료 19,000
@p47
^24,126^. 기술자격검정 등의 수수료 (시행규칙 제205조)
무선종사자의 자격검정에 응시하고자 하거나 자격증을 교부(재교부를 포함한다) 받고자 하는 자는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산업기사 자격시험의 응시수수료 또는 기술자격증 교부신청수수료 상당액을 납부하여야 한다.
라. 허가증 재교부 신청 수수료 (시행규칙 제206조)
허가증의 재교부를 신청하는 자는 수수료 300윈 납부하여야 한다.
4, 권한의 위임^5,23^위탁 (전파법 제75조의 4)
#1 이법에 의한 정보통신부장관의 권한은 그 일부를 소관기관의 장에게 위임할 수 있다.
#2 업무의 일부를 사업단, 협회, 또는 전기통신사업법의 규정에 의한 기간 통신사업자에게 위탁할 수 있다.
가. 권한의 위임^5,23^위탁 (시행령 제120조)
1) 다음 각호의 권한을 전파연구소장에게 위임한다.
가) 형식검정에 관한 사항
나) 전자파 적합 등록에 관한 사항
2) 체신청장에게 위임하는 사항
가) 무선국(간이무선국 제외)의 개설허가 (연구소를 갖춘 방송국의 개설허가 제외), 변경허가, 재허가, 허가취소, 개설폐지 및 운용휴지의 신고의 수리와 그 운용감독에 관한 사항
나) 무선국의 검사에 관한 사항
@p48
3) 한국무선국 관리 사업단에 위탁하는 사항
가) 무선종사자의 자격검정 시험의 실시
나) 무선 종사자에 필요한 교육
다)정보통신부장관이 정하는 무선국의 검사
라) 무선종사자 기술자격 등록의 수리
마) 무선종사자의 자격등록 접수에 관한 사항
@ff
@p49
제 9장
벌칙
1. 벌칙 (법 제76조)
#1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자는 1 년 이상의 유기 징역에 처한다.
1) 무선통신업무에 종사하는 자로서 조난통신, 긴급통신 또는 안전통신을 지체 없이 발신하지 아니한 자
2) 조난통신의 취급을 하지 아니하거나 지연시킨 자
3) 조난통신의 취급을 방해한 자
#2 1 항 2 호 및 3 호의 미수범은 이를 처벌한다.
2. 벌칙 (법 제77조)
#1 대한민국헌법 또는 정부를 폭력으로 파괴할 것을 주장하는 통신을 발한 자는 3년 이상의 유기징역 또는 금고에 처한다.
#2 제1 항의 미수범은 처벌한다.
#3 제1 항의 죄를 범할 목적으로 예비 또는 음모한 자는2년 이상의 유기징역 또는 금고에 처한다.
3. 벌칙 (법 제78조)
#1 전기통신업무, 방송업무, 치안유지^5,23^기상업무, 전기공급 또는 철도, 선박, 항공기의 운행업무에 공하는 무선국의 무선설비를 파괴하거나 무선설비의 기능에 장해를 주어 무선통신을 방해 한 자는
10 년 이하의 징 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 제1 항 이외의 무선설비에 대하여 전항의 규정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자에 대하여는 5 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의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벌칙 (법 제79조)
#1 자기 또는 타인의 이익을 위하거나 타인에게 손해를 가할 목적으로 허위의 통신을 발한 자는 3 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 선박조난 또는 항공기조난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조난통신을 발한 자는 5 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3 무선통신업무에 종사하는 자가 제1 항의 행위를 한때에는 5 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고, 제2 항의 행위를 한 때에는 1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한다.
5. 벌칙 (법 제80조)
무선설비 또는 전신, 전차 기타 통신설비 에 의하여 음란한 통신을 발한 자는 2 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 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6. 벌칙 (법 제82조)
3 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1) 허가없이 무선국을 개설하거나 무선국을 운용하는 자
2) 허가없이 고주파이용설비를 하거나 운용한 자
@p51
7. 벌칙 (법 제83조)
1 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 만원 이하의 벌금
1) 형식검정에 합격하지 아니하거나 형식등록을 하지 아니한 기기 또는 제27조의 5의 규정에 의한 전자파 적합 등록을 하지 아니한 기기를 판매하거나 판매를 목적으로 제작, 진열, 보관 또는 운송한 자
2) 규정에 의 한 조사시험 및 검사를 거부하거나 방해한 자
3) 규정에 의하여 조사한 결과위반사실이 인정되어 필요한 조치에 대한 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때
4) 전파의 운용이 정지 된 무선국 또는 고주파 이용설비를 운용
8. 과태료 (법 제84조)
300 만원 이하의 과태료
1) 제17조(변경검사)의 규정에 위반하여 무선설비를 운용한 자
2) 제10조(목적의 사용의 금지)의 규정에 위반하여 무선국을 운용한 때
9. 과태료 (법 제85조)
200 만원 이하의 과태료
1) 제30조(무선설비는 무선종사자가 아니면 이를 조작하거나 그 공사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의 규정에 위반하여 무선설비를 조작 또는 공사한 자
2) 조난통신 등에 관한 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한 자
3) 업무의 종사를 정지(법 제67조)당한 후 무선설비의 조작 또는 공사를 한자
@p52
10. 과태료 (법 제86조)
100 만원 이하의 과태료
1) 미약한 전파의 발사, 허가승계의 규정에 위반하여 신고를 하지 아니한 자
11. 과태료의 부과^5,23^징수 (전파법 86조의 2)
과태료 처분에 불복이 있는 자는 그 처분의 고지를 받은 날부터 30일이내에 이의를 제기 할 수 있다.
12. 양벌규정 (법 제87조)
법인의 대표자, 법인 또는 개인의 대리인, 사용인 기타의 종업원이 그 법인 또는 개인의 업무에 관하여 다음의 경우(법제82조 및 법제53조)에는 행위자를 처벌하는 외에 그 법인 또는 개인에 대하여도 벌금형을 과한다.
1) 허가 없이 무선국을 개설하거나 운용한자
2) 형식 검정 등에 합격하진 아니한 기기를 판매하거나 판매를 작, 진열, 보관 또는 운송한자
3) 규정에 의한 조사 및 검사를 거부하거나 방해한 자
4) 운용이 정지된 무선국을 운용한 자
@ff
@p53
2. 통신보안
@p55
통신보안
1. 통신보안의 개요
가. 통신보안의 정의
통신보안이라 함은 전기통신 수단에 의하여 발신되는 국가기밀 또는 산업정보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적성국 또는 불순분자나 비인가 자에게 누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정보의 획득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취하여 지는 각종 수단과 방법을 말한다.
^14,126^. 통신보안의 목적
1) 통신이용자의 보안의식 고취와 통신보안의 생활화로 비밀누설 가능성의 사전 제거
2) 정보의 누설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취약한 통신망이용을 가능한 한 제한
3) 정보의 내용을 알아서는 안 될 사람이 입수하였다 하더라도 정보분석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도록 은폐시켜 분석지연으로 입수한 정보의 가치성을 상실하게 한다.
^24,126^. 통신보안의 필요성
정보전달수단으로 각광 받고있는 무선통신은 산업고도 성장과 전세계 교류확대에 따라 그 이용도가 날로 증가추세에 있으나 북한을 비롯한 각 국은 통신정보의 수집활동을 위한 도청능력을 강화하고 있어 이에 대처하기 위한 통신 보안대책이 필요하며 통신보안의 필요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p56
1) 각 분야의 활동상황이 전기통신을 이용하여 전달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전기통신은 풍부한 정보의 원천이 된다.
2) 전기통신기술의 고도화 및 신속성 또는 간편성을 위주로 무선통신을 이용하고 있어 통신이용자의 보안의식 결여 등에서 정보의 내용이 누설 될 우려가 다분이 있다.
3) 선진 각국에서 위성 또는 고도화된 정보수집활동을 날로 강화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4) 다른 정보수집방법에 비하여 비밀탐지가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므로 무선통신에서 정보의 최대획득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라. 통신보안의 책임
1) 제1차적 책임
통신보안의 1차적 책임은 통신이용자이며 그 다음으로는 통신문 기안자와 비밀분류 및 통신 통제권자이다.
통신을 이용하기 전에 앞서 통신문을 기한한파와 분류한자는 보안사고의 여부를 사전 충분한 검토와 통제를 하여야 하며 또한 이용자도 보안성 유무를 사전 검토하여 송신하여야 한다.
2) 제2차적 책임
통신보안의 2차적 책임은 지휘자 책임으로 해당 지휘책임자는 송신을 위한 자료작성에서부터 송신에 관여하고 있는 모든 인원은 그 송신문에 대하여 통신보안을 유지할 책임이 있다.
@p57
2. 통신정보의 정의
정보를 탐지하거나 획득하려는 수단으로 적국 또는 제3국은 상대적인 시설을 갖추어 놓고 도청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정보를 말한다.
가. 통신회로에 의한 도청수단
유선통신의 경우 그 선로자체에 도청장치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하여 통신내용을 수집하는 경우와 무선통신에서는 전달매체가 전파이기 때문에 그 전파가 미치는 범위 어느 곳에서든지 같은 방식의 수신기설치로 가장 안전하게 통신회로에 개입하여 통신내용 수집할 수 있다.
1) 통신내용의 분석
한 통의 통신내용에서 중요정보를 입수하는 경우도 있으나 하등의 가치가 없는 통신문이라도 하나 하나의 통신문을 종합 분석하면 필요한 정보자료가 될 수 있다.
2) 교신분석
교신분석의 목적은 통신망의 구성현황을 파악함으로써 그 기관의 규모 및 운용체제를 알 수 있으며 교신일시, 발신인, 일일 통신량 등의 분석으로 그 기관의 행동동태를 추정할 수 있으며 또한 통신제원(호출부호, 주파수, 교신시간)을 분석하여 탐지활동을 원만히 지원하기 위하여 정보활동 전개시 우선 교신분석업무를 다루고 있다.
3) 암호분석
통신내용을 은익하기 위하여 암호로 타전한 암호전문을 도처 입수해 그 내용을 암호표 없이 추리, 분석, 해독하여 비밀내용을 알아내는 것을 말한다.
4) 방향탐지
어떤 통신소의 송신전파의 전파경로를 측정하여 그 통신소의 위치를 탐지하거나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동경로를 탐지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아마추어무선국을 운용중이 거나 수신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불법무선국의 전파를 감지하였을 때는 즉시 (중앙전파관리소)에 신고하는 자세가 필요하며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 및 산하지부에서도 ARDF에 관련된 행사를 매년 시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국제대회에 많은 회원들이 참가하고 있다.
@p58
5) 기만통신
같은 통신소로 가장하여 상대를 오인시켜 중요내용 또는 비밀을 발설하게 해서 내용을 탐지하거나 허위정보를 제공하여 업무수행에 혼란을 야기 시키는 것을 말한다. 기만통신을 할 시에는 목표로 하는 통신망의 통신특성, 통신사의 습성, 통신제원, 송신출력 등을 정확히 수집하여 개입하므로 이에 대한 효과는 매우 크게 작용할 수 있다.
6) 방해통신
어떤 통신망회로의 통신을 교란 방해함으로써 약화 또는 두절되게 하거나 통신질서를 마비시켜 통신소통을 불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강력한 혼신 및 잡음 등의 전파를 발사하는 행위를 말한다.
^14,126^. 통신소 침투에 의한 자료수집수단
목표로 하는 통신소에 직접사람을 침투시켜 각종 자료를 관찰, 복사 또는 촬영하여 통신정보수집활동을 한 층 유리하게 도울 수 있는 행위를 말한다.
1) 비밀보안자료의 엄수
비밀을 탐지하려고 하는 통신망에서 사용하는 보안자재(암호, 암어, 약호자재)와 기타 통신운용에 필요한 통신계원, 통신망 구성현황 등의 해독 및 통신망 도청행위를 유리하게 하기 위한 비밀보안 자료의 입수를 말한다.
@p59
2) 비밀보안자료의 파손
탐지하고자 하는 통신소에서 사용하는 보안자재를 손상 또는 파손시킴으로서 통신운용을 혼란하게 하거나 통신능력을 약화시키는 한편 비밀보안 자재의 파손 등으로 별도의 보안대책을 강구할 수 없어 평문으로 불가피하게 소통케 함으로써 도청행위를 용이하게 하고 도청내용을 분석하는데 유리하게 하는 것이다.
3. 통신수단 및 통신방식 별 취약성
가. 전령통신
사람 또는 훈련된 동물로 하여금 전달할 통신정보자료를 직접 휴대하게 하여 전달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 방법으로는 도보전령, 차량전령, 항공전령 등으로 구분하고 다른 통신수단 방법에 비해 보안도가 가장 높다고 인정되므로 중요내용이나 비밀내용의 전달은 주로 이 통신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취약점
#1 정보를 탐지하려는 사람으로부터 피습을 당할 우려가 있다
#2 통신의 신속성이 결여된다.
#3 계절 또는 기후의 영향을 받는다.
#4 때와 장소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5 비경제성이다.
^14,126^. 우편통신
체신관서의 일반우편 운송수단을 이용한 전달방식으로서 일반우편과 등기우편으로 구분되고 국가공신력에 의하여 취급되므로 보안도가 높다고 인정되고 있으며 특히 등기우편은 수취인의 확인조치가 가능하므로 보통우편보다 보안 도가 월등하다.
취약성
#1 정보를 탐지하려는 자의 피습을 당할 우려가 있다.
#2 신속성 이 결여된다.
#3 배달자의 확인이 곤란하다.
#4 보통우편인 경우 분실에 대한 책임보장이 없다.
#5 수취인에 대한 정확한 전달이 곤란하다.
@p60
^24,126^. 시호통신
상호 약정된 부호와 신호로 의사를 소통하는 방식으로 가까운 거리에서는 쉽게 이용되나 기상의 조건, 시력의 한계성 그리고 적에게 누설 또는 역이용 당 할 우려가 많고 안전성여부를 판단하기 곤란하며 봉화, 전등, 수기, 포탄 및 신호탄 등의 통신수단이 있다.
취약점
#1 기상조건의 영향으로 시계의 제한을 받는다.
#2 제3자의 방해를 당할 우려다 있다.
#3 원거리 통신이 불가능하다
#4 시계내에서는 누구든지 신호를 탐지할 수 있다.
#5 신호누설에 의한 기만 및 역이용 당할 우려가 있다.
라. 음향통신
사람의 청각을 이용하여 상호 약정된 부호나 신호로 의사를 소통하는 통신수단을 말하며 매개체로는 호각, 북, 피리, 나팔, 경종, 사이렌, 육성 및 총기 등이 이용되고 있다.
취약성
#1 기상의 영향으로 청각의 제한을 받는다.
#2 제2자의 방해를 당할 우려가 있다.
#3 원거리 통신이 불가능하다(음향이 미치는 범위 내에 국한)
#4 음향이 미치는 범위 내에서는 누구든지 신호를 탐지할 수 있다.
#5 신호누설에 의한 기만 및 역이용을 당할 우려가 있다
@p61
^15,126^. 전기통신
제반통신수단 가운데 간편하고 정확하게 원거리까지 의사전달이 가능하므로 가장이용 빈도가 많은 반면 어느 통신수단보다 보안성이 가장 낮은 통신수단으로 그 구성회로에 따라 유선과 무선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유선전화의 취약성
#1 실선에 수화기를 접속하면 손쉽게 통화내용이 도청가능 하다.
#2 실선에 의한 통화이므로 보안의식 없이 중요내용을 통화한다
#3 무선중계회선방식인 경우 통화내용의 도청이 용이하다.
#4즉흥적인 문답식 통화이므로 보안자재의 사용을 기피하게 된다.
(2) 무선전화
#1 동일한 수신장치의 도청이 가능하다.
#2 유선전화와 같이 보안의식 없이 중요내용을 평문으로 통화한다.
#3 사용주파수대와 출력에 따라 원거리까지 전파된다
#4 도청시 통화자에게 도청사실을 인지 당할 염려가 없다.
#5 사용자가 무선에 의한 회선망과 연결하여 운용하고 있음을 알지 못한다.
(3) 팩시밀리 (FAX: 모사전송)
전기적인 수단에 의하여 그림, 사진, 서식 등의 정지영상을 송수신하는 방식으로 유선과 무선으로 구분되고 같은 형식의 수신장치만 있으면 제3자의 수신이 용이하므로 보안상의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
#1신속성, 간편성, 편리성으로 이용자들이 선호하고 있음
#2 운용통제기능의 미비로 인해 통신보안의 저해요인이 증대된다
#3 수신자의 미확인 상태에서 전송하므로 오착이 발생된다.
#4 보안통제의 소홀로 중요내용을 평문으로 소통함으로써 발생한다.
@p62
(4) 텔렉스(Telex)
타자기와 같은 모양의 건반을 타자하면 문자, 숫자, 기호 등의 내용이 부호전류로 바뀌어 수신측의 장치를 동작시켜 직접 또는 문자로 수신하는 방식으로 유선과 무선방식이 있으나 속도가 빨라 많은 양의 통신내용을 소통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안전한 통신방식 이 아니다.
취약성
#1 통신망의 구성상 중간선로의 단자 등에서 도청이 가능하다.
#2 통신위성 등의 이용으로 국제통신 시에 도청이 용이하다.
#3 사용범위가 방대하고 유 , 무선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비밀사항을 평문으로 소통함으로써 발생한다.
바. 데이터 통신(정보통신)
주전산기와 원격지의 단말기 또는 기타 정보기 사이에 통신회선을 통해 정보를 송^5,23^수신하는 방식으로 위성데이터 방송통신, 팩시밀리방송, 긴급 경보방송 등 광역화된 온라인 전산시스템에 의한 데이터 통신수단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취약성
#1 전산요원의 보안의식 부족으로 평문통신의 발생이 빈발하게 된다.
#2 통신선로 또는 중간단자 등에서의 도청이 가능
#3 입출력 자료의 보안관리 부실로 국가기밀사항 등을 일반문서와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다.
#4 암호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대한 노력이 부족할 수 있게 된다.
#5 일시에 대량 전송이 가능하므로 풍부한 정보제공의 원천이 된다.
@p63
4, 전기통신의 취약성 및 보안대책
가. 일반적인 대책
#1 유선선로의 지하매설
#2 불요불급한 통화의 억제
#3 최소한의 출력사용으로 불필요한 전파의 방지
#4 보안장비 (비화기) 및 보안자재의 철저한 활용
#5 이용자에 대한 지속적인 보안교육 실시
#6 통신내용에 대한 사전 보안성 검토
#7 통신보안책 임자의 지정 관리
#8 통신소의 보호구역 설정과 외부인의 출입통제
#9 이용자의 최소한 제한
^14,126^. 전기통신방식 별 보안대책
일반적인 보안대책 외에 전기통신방식별로 다음과 같은 보안대책을 수립 시행하여야 한다.
1. 전신
주요내용의 100% 암호화
불요불급한 통신의 제한
2. 인쇄전신
1) 인쇄전신
보안장비의 설치 및 이의 철저한 활용
비밀내용의 암호화 및 암어화
2) 텔렉스
국가기간의 외교통신망 적극 활용
보안대책(암어, 약호 등의사용)이 없는 기간에 대한 비밀내용의 소통금지
보안장비의 설치
3. 팩시밀리
보안장비의 설치
비밀내용의 암호화
4. 전화
1) 유선전화
가공가설선로는 지하에 매설
주기적인 선로 순찰
주요내용의 암어화 또는 보안장비의 사용
2) 무선전화(무전기사용)
최소한의 출력사용과 전파차단대책 강구로 원거리 전파요인의 배제
암어의 사용 및 보안장비의 설치
3) 이동무선전화(카폰, 휴대폰)
불요불급한 통화의 억제
간단한 업무연락용으로만 사용
이용자의 지속적인 보안교육
국가기관 및 산하단체 정부타자기관 등은 보안자제 제작사용
카폰 및 휴대전화의 운용자는 전파를 이용하는 통신자임을 사전에 알리고 보안에 관련된 내용의 통화시는 이외제지
5. 데이터통신 위성통신
데이터 통신에 대한 보안장비의 설치
암화화로된 프로그램의 주기적인 변경과 운용철저
유선구간에만 데이터 처리장치의 설치
국제전신, 전화용에 대한 통제의 철저 (통신내용의 사전 보안성 검토)
외교통신망의 이용 의무화
@p64
^24,126^. 통신수단별 보안도의 순위
통신수단을 일반적으로 크게 분류하면 다섯가지로 분류하고 있으며 그 보안도의 순위는 다음과 같다.
#1 전령통신(인편인 경우에 한함)
#2 우편통신
#3 시호통신
#4 음향통신
#5 전기통신
@p65
라. 통신방식별 보안도의 순위
통신방식별 보안도의 순위는 다음과 같으며 그 가운데 인가된 유선통신이란 (구성된 회로를 보안적인 견지에서 검토하여 회선상의 도청우려가 없다고 인정한 회로)를 말한다
#1 전령통신(인편인 경우에 한함)
#2 등기 우편
#3 인가된 유선통신
#4 일반 보통우편
#5 일반 유선통신
#6 시호통신
#7 음향통신
#8 무선중계유선방송
#9 무선통신
5. 통신의 삼대요소와 비밀누설의 주요요인
가. 통신의 삼대요소
통신운용상의 삼대요소인 신속, 정확, 안전의 상호균형을 유지하도록 전개하여야 하며 대별하면 다음과 같다.
1) 신속
통신내용을 목적지까지 전달하여 그 내용을 필요로 하는 자로부터 판단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가능한 한 단축시키는 것으로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취급전문내용의 비밀이나 중요내용의 유 , 무를 사전 검토하여 불필요한 조치를 하지 않는 방법
#2 흔히 사용하는 술어는 약어를 재정하여 사용하는 방법
#3 비밀이나 중요내용일지라도 긴박성과 영향력을 분석 판단하여 평문으로 취급하는 방법
#4 시간을 소요하지 않는 자동보안장치를 사용하는 방법
@p66
2) 정확
통신내용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상대방을 명확히 확인하여 그 내용을 신속하게 전달시키는 것으로 취급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대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확인부호를 사용하는 방법
#2 전신에서는 모르스부호를 사용하는 방법
#3 상대방의 수신증(QSL)을 받는 방법
#4 통신속도를 상대방 능력에 맞도록 조절하는 방법
3) 안전
제3자의 도청에 대비하여 중요 통신내용을 취급하는 경우 취해지는 모든 보안대책으로써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1 통신내용에 암호를 사용하는 방법
#2 중요내용에 암어나 약호를 사용하는 방법
#3 자동보안장치를 사용하는 방법
#4 통신제원을 불규칙하게 변경하여 사용하는 방법
#5 목적지까지만 통달이 가능한 통신방식 사용
6. 비밀누설의 주요요인
#1 취약성이 있는 통신망 이용
#2 비밀내용을 평문으로 송신
#3 과도한 통신의 소통
#4 보고체제의 다원화
@p67
7. 통신보안의 수단과 방법
가. 자재보안
비 인가 자로부터 절취, 열람, 탐지 등 사진촬영과 다른 방법에 의한 누설로부터 보안자재(암호, 암어, 약호 등) 와 비밀통신장비 및 이와 관련된 시설의 보호방책을 말하며 그 수단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절취, 탐지, 촬영, 관찰 및 복사의 방지
#1 통신소 출입문에 보호구역 설치
#2 허술한 출입문에 보호구역 설치
#3 통신소 내부 투시 방지
#4 중요성에 따라 경비원배치
2) 쳔용자재의 정확한 취급과 관리유지
#1 보유 보안자료의 수시 현황 파악
#2 관리기록부 비치 및 수시 현황 파악
#3 자재의 일일 및 월간점검 실시
#4 교육계획수립 및 실시
#5 취급자를 최소한의 제한
#6 암호자재는 취급인가를 받아 취급
3) 견고한 보안자재 보관용기의 비치
#1 보안용기의 자물쇠는 3단계 이상의 번호식으로 사용
#2 휴대하기 불편하도록 중량이 있는 용기를 사용
#3 자물쇠의 번호를 수시 변경
4) 무용자재의 완전파기
#1 상급기 관에 반납
#2 파기시는 흔적이 남지 않도록 완전파기
#3 파기기구를 비치 (비상시 파기용)
#4 긴급파기순서는 과거용, 미래용, 현재용 순서
5) 자재 운반시의 안전한 보호관리
#1 가능한 인편으로 송달
#2 개봉할 수 없도록 이중포장
#3 수송 중 안전보호가 어려운 때는 경찰 기관에 보호의뢰
@p68
^14,126^. 송신보안
적의도청, 교신분석 및 기만통신 등으로부터 송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규정된 모든 방책을 말하며 송신보안은 지휘 책임이다.
7) 도청에 대한 방어
#1 비밀이나 중요통신내용은 암호, 암어 또는 약호화 한다
#2 통신운용 절차 및 규정엄수
#3 불필요한 전파발사 억제
#4 필요한 경우 도청에 대비 무선침묵 유지
#5 통신제원의 수시 변경
#6 통신사의 괴벽노출 방지
#7 필요시에는 보안장치 설치
2) 방향탐지에 대한 방어
#1 불필요한 통신 또는 전파발사 억제
#2 동일위치에서 계속적인 전파발사 억제
#3 통신제원의 수시 변경
#4 과도한 송신출력 제 한
#5 무선침묵 유지
3) 교신분석에 대한 방어
#1 통신제원 및 통신운용 관계 사항 은폐
#2 통신소의 고유명칭 및 발^5,23^수신인 은폐
#3 변경하고자 하는 주파수 및 변경시기의 은폐
#4 통신시간 및 통신량의 조절통제
#5 평문송신 금지
#6 통신절차 및 규율엄수
@p69
4) 방해통신에 대한 방어
#1 통신기기의 세밀한 조정
#2 예비 주파수로 전환
#3 통신제원의 보안유지
#4고출력으로 전파를 발사
#5 전파감시 기관에 신고
5) 기만통신에 대한 방어
통신망운용 및 이용상의 취약성이 노출된데서 발생하게되는데 적은 우리의 통신방식, 교신절차 및 통신사의 특성, 괴벽, 습관 등을 정확히 입수하며 우리의 통신망으로 교묘하게 가장 개입함으로써 이를 구별하기란 극히 어렵다. 이러한 적의 허위통신이나 기만통신을 방어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1 상호 약정된 확인법 사용
처음통신을 시작할 때
상대통신소가 의심스러울 때
주파수를 변경했을 때
#2 평문사용의 엄금
#3 예비용 주파수로 전환
#4 의심되는 전파에 대한 방향탐지 활동
#5 상대통신의 특성을 세밀히 파악 관찰
^24,126^. 암호보안
통신수단에 의하여 전달되는 비밀내용을 은닉할 목적으로 문자나 숫자 등에 암호기술상의 처리를 가하여 그 내용을 체계적으로 변경시켜 놓은 것으로 암호 조직을 적 또는 비인가자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말한다.
1) 암호보안의 보호대책
#1 사용법의 준수
#2 암호와 평문의 이중송신 금지
#3 암호에 평문의 혼합사용 금지
#4 암호문에 대한 질의 응답은 암호로서 이행
@p70
라. 암호, 암어, 약호의 정의
통신수단에 의하여 전달되는 비밀내용을 은익할 목적으로 문자나 숫자 등에 암호기술상의 처리를 가하여 그 내용을 체계적으로 변경시켜 놓은 것으로 암호조직을 적 또는 비인가 자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을 말한다.
#1 암호: 적 또는 제3자가 알지 못하도록 은익하기 위해 평문의 문자나 숫자 등에 암호기술상의 처리를 가함으로써 통신내용을 체계적으로 변경시키는 방식으로 통신내용을 은폐하는 방법 중 가장 고도화 된 통신보안방법이며 당사자간의 약속으로 그들에게만 통할 수 있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으며 주로 유, 무선통신방식으로 전문을 소통할 때 사용된다.
#2 암어: 통신내용의 전체 또는 비밀에 속하는 부분을 평문의 단어나 구절 또는 숫자를 다른 어구 또는 숫자, 문자 등으로 변경시키는 각종방식으로 암호와의 구별은 암호기술상의 처리를 가하지 않으며 암호에 비하여 조립해독이 신속하고 주로 유^5,23^무선전화방식으로 통신을 소통할 때 사용된다.
#3 약호: 긴 문장이나 단어 및 어구를 전혀 뜻이 다른 간략한 문자나 숫자 등으로 대치하여 교신상호간에 신속히 식별하도록 하고 또 중요내용을 은익할 수 있는 방식으로 신속과 보안을 동시에 이를 수 있다. 암어와의 구별은 비밀이 아닌 내용으로서 제3자가 통신내용을 취득할 경우 해가 미치거나 국가안보에 영향을 미치는 내용을 은익하는데 사용하며 유^5,23^무선전신전화에 공용할 수 있고 비밀취급인가여부에 관계없이 통신이용
자가 사용할 수 있다.
#4 약어: 통신내용의 긴 문장이나 단어 및 어구 중에서 중요한 문자만을 발췌해서 간략하게 한 방식
@p71
8. 통신시설의 보호
보호는 통신시설에 따라 제한지역, 제한구역, 통제구역으로 구분하며 이 시설을 보호하는데는 비 인가자의 출입제한 그리고 급지수단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특히, 제한구역과 통제구역설정에 있어서도 최소한의 범위로 제한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보호구역의 구분)
가. 제한지역
비밀 또는 재산의 보호 및 통신시설을 보호하기 위하여 울타리 또는 경비원에 의하여 일반인의 감시가 요구되는 지역
^14,126^. 제한구역
비밀 또는 주요통신시설에 대한 출입시 비 인가자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출입에 안내가 요구되는 구역
^24,126^. 통제구역
비 인가자의 출입이 금지되는 지역으로 장비 및 통신시설의 보호를 요하는 통신보안상 극히 중요한 구역
@p72
9. 보안자재의 제작 및 관리
가. 암호자재의 제작, 공급 및 반납
#1 암호자재는 국가안전기획부장이 제작하여 필요한 기관에 공급한다. 다만 국가안전기획부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한 때는 암호자재의 사용기관으로 하여금 국가안전기획부장이 인가하는 암호체계의 범위 안에서 암호자재를 제작하게 할 수 있다.
#2 사용기간이 만료된 암호자재는 지체 없이 그 제작기관의 장에게 반납하여야 한다.
^14,126^. 암어자재의 제작 및 배부
#1 각 기관에서 공동으로 사용할 암어자재는 국가안전기획부장이 제작 배부한다.
#2 각 기관의 자체용 암어자재는 국가안전기회부장의 인가를 받아 기관의 장이 제작 배부한다.
#3 암어자재는 III급 비밀로 분류하여야 한다.
^24,126^. 약호자재의 제작 및 승인
#1 국가 주요망, 국가기간통신망 등 시설자가 무선통신망에서 사용할 통신보 안용 약호자재를 제작하고자 할 때는 약호자재 사용승인 신청서, 인감등록서 및 약호자재(안)을 첨부하며 중앙전파관리소장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2 약호자재는 대외비로 분류하며 자재의 표지 및 내용문의 상단중앙에는 (대외비)표시를 하여야 한다.
#3 자재의 표면에는 제작기관명 대신에 중앙전파관기소장이 지정한 제작기관번호와 등록번호(사본번호) 및 경고문 등을 표시하여야 한다.
#4 약호는 숫자, 문자, 기호 등 뜻이 전혀 다른 글자로 구성하여야 한다.
#5 퍼스널컴퓨터 (PC)를 이용하여 디스켓약호자재 (자동변환 프로그램)를 제작 사용할 때의 승인절차 및 관리는 위의 규정에 의한다.
@p73
라. 암호, 암어, 약호자재의 취급
#1 암호자재 취급요원은 II급비밀 이상의 취급인가를 득하고 암호자재 취급인가를 득 한자라야 한다.
#2 암어자재 취급요원은 III급비밀 이상의 취급인가를 득한자이면 취급할 수 있다. 약호자재는 (대외비)로 분류되며 비 인가자라도 업무상 필요한때 는 취급할 수 있다.
#3 암호 및 암어자재의 운용은 국가안전기획부장의 승인을 득한 후 사용하여야 하며 약호에 대해서는 정보통신부 중앙전파관리소장의 통제를 받아야 한다.
^15,126^. 암어(약호)자재의 사용과 관리
1) 다음사항에 따라 암어(약호)자재를 사용해야 한다. 다만 인가된 암호기 또는 비화기를 설치한 때에는 승인된 범위내에서 평문으로 수발할 수 있다.
#1 III급비밀을 유^5,23^무선으로 발신할 경우에는 암어자재 사용
#2 대외비를 유^5,23^무선으로 발신할 경우에는 약호자재 사용
#3 비밀로 분류되지 아니한 내용이라도 국가안전보장, 공안의 유지 및 경제안정 등 국가이익을 해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내용은 암어 또는 약호자재를 사용한다.
2) II급이상의 비밀을 유^5,23^무선으로 발신할 경우에는 암어(약호)화 하여서는 아니되며 반드시 암호화하여야 한다. 다만 국가비상훈련(정부연습)을 할 때에는 II급 비밀을 암어화하여 발신할 수 있다.
3) 통신문을 암어 (약호)화 할 때에는 평문과 혼합화하여 사용할 수 없으며 같은 내용의 전문을 암어문과 평문으로 이중 송신하거나 평문으로 문의할 수 없다.
@p74
4) 암어 (약호)문에 대한 회신문은 암어 (약호)화하여 발신한다.
5) 암어 (약호)문의 작성은 2개종류의 암어 (약호)자재를 혼합 사용할 수 없다.
6) 암호문을 해독하여 평문으로 작성한 때에는 평문통신문 여백에 자재 사용 근거 (암어자재의 명칭 등)를 기입 날인한 후 암어문은 파기하여야 한다.
7) 암어문을 작성 또는 해독하기 위하여 사용한 작업지 등은 보안담당 또는 좌안책임자 입회 하에 소각하여야 한다.
8) 현재용 및 미래용 자재는 교육목적 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
9) 암호 및 암어자재는 어떠한 경우를 막론하고 복제 또는 복사하지 못한다.
10) 비밀의 파기는 소각용해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원형을 완전히 소멸시켜야 한다.
바. 비밀의 수발
비밀의 수발은 다음의 절차에 의한다. 다만, I급비밀 또는 암호자재는 #1 및 #2의 규정에 의해서만 수발할 수 있다.
#1 암호화하여 전신으로 수발
#2 취급자의 직접 또는 접촉에 의하여 수발
#3 각급기관의 문서수발계통에 의하여 수발한다
#4 등기우편에 의하여 수발한다
사. 비밀의 보관용기
#1 비밀의 보관용기 외부에는 비밀의 보관을 알리거나 나타내는 어떠한 표시도 하여서는 아니 된다.
#2 보관용기의 자물쇠 종류 및 사용방법을 보관책임자 이외의 인원이 알지 못하도록 특별한 통제를 실시하여야 하며 타인이 알았을 때는 즉시 이를 변경하여야 한다.
@p75
아. 보안자재의 사고처리 및 긴급파기
1) 자재사고처리
자재제작기관의 장은 자재가 오인소각, 분실 또는 누설 되였다고 인정한 때에는 즉시 배부 기관에 자재사용 중지지시 및 미래용으로 대체 사용토록 긴급조치하고 가장 신속한 방법으로 중앙전파관리소장에게 통보한 후 다음 사항을 서면으로 통보하여야 한다.
#1 사고일시 및 장소
#2 자재명칭, 수량 및 등록번호
#3 사고경위
#4 사고자 및 관계자의 인척사항
#5 사고내용에 관한 기관장의 확인서
#6 자재사고에 관한 처리결과
#7 자재 증명서
^46,126^. 자재의 긴급파기
자재관리자 또는 전송업무 담당자는 긴급사태 발생으로 자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다고 인정할 때는 이를 파기할 수 있다.
#1 과거용부터 파기하고 상황이 더욱 악화되었을 때는 미래용을 파기
#2 현재용 자재를 계속 보유할 수 없다고 인정될 때에는 배부처가 많은 것부터 차례로 파기
#3 자재를 긴급파기 하였을 때는 그 사항을 신속히 제작기관의 장을 거처 중앙전파관리소장에게 통보하고 산하 기관에도 그 사실을 통보하여야 한다.
@p76
10. 전파통신의 전파통신
전파통신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전파를 주파수대별로 구분하면 장파(LF), 중파(MF), 단파(HF), 초단파(VHF), 극초단파(UHF)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은 전파의 전달특성상, 통신방식 특성에 따라 운용상의 장단점이 있으므로 통신보안상의 문제점도 함께 수반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가. 장파
낮은 주파수로 지표 파에 의하여 전달되므로 주야, 계절의 변화가 없으므로 원거리 통신에 적합하며 주간보다 야간에 원거리 통신이 가능하며 여름 보다 겨울에 강한 신호가 입감된다.
^14,126^. 중파
이 파장대의 전파도 주로 지표파에 의하여 전파되며 댈지의 감쇄영향이 장파보다 심하며 야간에는 전리층에서 반사되므로 주간보다 먼 거리까지 도달되며 여름보다 겨울에 전파상태가 양호하다.
^24,126^. 단파
단파는 적은 전력으로도 원거리 통신이 가능하므로 가장 안전하게 도청할 수 있으며 주간에는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고 겨울과 야간에는 낮은 주파수를 사용한다.
라. 초단파
주로 직접파 이용으로 가시 거리 내를 전파하며 사용 주파수가 높을수록 굴절하지 않으므로 E층이나 F층을 통과해 버려 지구로 되돌아오지 않는 전파로 음성으로 통화할 수 있는 무선전화방식에 널리 이용되고 있어 보안상의 취약성이 많은 전파이다.
@p77
^15,126^. 극초단파 이상의 전파
가장 높은 주파수대를 사용하는 통신용전파로서 이 주파수대를 사용하는 업무는 고정업무 이동업무 마이크로웨이브, 위성통신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상기주파수대중 통신보안도가 가장 높은 주파수대라고 볼 수 있으나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전파통신은
주파수대와는 관계없이 어느 지역을 제한하지 않고 어느 장소에서든지 도청이 가능하다는 점을 재삼 인식하고 통신운용에 임해야 할 것이다.
11. 통신보안의 준수 및 보안교육
가. 통신보안의 준수
시설자 및 무선통신에 종사하는 자와 무선설비를 이용하는 자는 정보통신부령에 정 하는바에 의하여 통신보안에 관한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법 제42조의 2)
^14,126^. 통신보안 준수사항
전파법의 규정에 의하여 준수하여야 할 통신보안에 관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시행규칙 제39조의 2의 #1 항, 고시1999-32호)
#1 자체 통신보안업무계획의 수립 및 이행
#2 무선국 허가사항
#3 통신보안시설에 대한 보안대책 수립
#4 통신망운용에 대한 자체 보안대책 강구
#5 발신전문의 사전 보안성 검토
#6 통신보안 위규발생 예방대책 강구
#7 통신보안 관계규정의 숙지 및 이행
#8 이용자에 대한 자체통신보안교육계획수립 및 실시
#9 비밀(대외비 포함)내용의 통신 시 보안자재 사용
#10 필요 이상의 무선통신 사용 억제
#11 비인가 보안자재의 사용금지
#12 보호구역의 출입통제 철저
@p78
^24,126^. 통신보안 위규사항
시설자 및 무선통신에 종사하는 자와 무선설비 이용자는 통신을 행할 때에 다음과 같은 통신보안 위규사항이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하고 위규사항이 발생되었다고 인정된 때에는 즉시 필요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1. 통신보안 위규사항(발췌)
1) 불온통신
북한통신소와의 교신
국내 침투 간첩과의 교신
적성국 통신소와의 교신
미 수교 공산국가 무선국과의 교신(다만, 아마추어국 및 정보통신부장관의 승인을 받은 무선국 제외)
기타 반국가적인 누설
2) 군사, 경찰기밀의 누설
전략 및 작전 계획
작전 진행사항
특수 경비 강화사항
작전, 병력(군, 경, 예비군)동언계획 및 집행
군, 경, 함선, 항공기 현황 및 활동계획과 집행
군편제, 임무 기타 부대현황
병력(군, 경, 예비군)
군사장비(군수품 등) 현황과 집행
경찰 및 특수시관의 장비(작전, 정보, 수사용) 현황과 집행
군사장비(군수품 등) 생산, 전급사항
@p79
3) 군사, 경찰기밀의 누설
군사시설의 설비, 성능에 관한 사항
군, 경 및 특수목적용함선, 항공기의 위치 쪼는 배치
대공 및 특수경비 소 위치 또는 배치
작전지역 위치 (작전 훈련지역 포함)
특수기관 및 국가중요 보안목표 시설(I, II, III급)의 위치 및 이동
군 전술교리 및 연구사항
군사장비의 구성, 성능 및 발명개량 연구사항
특수장비(작전, 정보, 보안, 수사용)의 구성, 성능 및 발명, 개량 연구사항
기타 국가방위에 영향을 초래하는 사항
4) 국가외교 비밀의 누설
재외 공관에 발하는 훈령
공개할 수 없는 외교 조약
특수임무를 주재하는 외국 주재원의 활동(계획, 지시, 보고)│
및 인적사항
외교에 관한 방침, 계획 및 그 집행
기타 국가외교에 영향을 초래하는 사항
5) 국가행정 비밀의 누설
대공관계 특별 호구조사
대 공관계자 신원조사
대공관계 교육 및 회합
조직, 단체에 대한 동향 내사
대공관계 신고 및 보고제도(비밀로 분류된 사항)
대공 및 중요사건과 관련된 검문, 검색계획 및 집행
기타 국가시책에 영향을 초래하는 사항
6) 정보^5,23^첩보의 누설
첩보수집 활동
방첩에 관한 중요 시책
비 공개된 간첩 및 공비의 체포 사살 사항
간첩 및 용의자 수사활동
사상 불온자 수사활동
정보 및 특수 수사기관의 기구, 임무, 능력현황
국가원수 및 기타요인의 비공개 행차계획 및 진행사항
@p80
7) 정보, 첩보의 누설
군고급 지휘관 및 특수기관 지휘관의 인사에 관한 사항
(비공개 사항)
적성물(불온삐라 및 간행물 포함) 습득처리
불명선박의 발견 및 처리
간첩 (공비포함) 및 용의자(괴한포함) 출현 및 기타
아국에서 보유하고 있는 적의 비밀 정보
중요물자 수송선박의 학동
밀수정보 및 수사활동
적에 유리한 국가 산업 활동
공개할 수 없는 사진은 전송
기타 국가 안정보장 및 공안유지에 영향을 초래하는 정보, 첩보
8) 보안자재 및 비밀통신 재원의 누설
암호, 음어, 약호의 누설
암호, 음어, 약호의 누설
암호와 평문의 혼합사촐 및 암호문의 평문 이중송신
암호전문에 대한 평문문, 답
비인가 된 암호 및 음어, 약호의 사용
군 및 중요통신소의 통신운용 및 통신제윈
기타 통신자재 보안 및 통신운영에 유해로운 사항
라. 통신보안교육
무선국의 시설자 및 무선통신업무에 종사하는 자는 5 년에 1 회 통신 보안교육을 받아야한다. 다만, 국가 또는 지방 자치단체가 개설한 무선국에 종사하는 자와 신고하고 개설할 수 있는 무선국 및 허가, 신고 없이 개설할 수 있는 무선국을 운용하는 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또한 통신보안교육을 이수한 자는 교육이수에 관한 확인을 받아야 한다.
@p81
12. 통신보안의 생활화
가. 무선국 운용시 유의사항
#1 통화하고자 하는 내용은 반드시 필요한 사항만을 간명하게 하며 아마추어국 또는 실험 국에서는 암어의 사용이 금지되고 있으므로 보안을 요구하는 사항은 교신하지 않도록 한다.
#2 잡담이나 무의식중에 기밀이 누설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3 우리들이 교신하는 통화내용은 언제나 적 또는 타인이 도청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통신보안에 대한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 통신보안 위규사례
사례1
대통령 행차계획 누설(국제전화)
일시 및 장소: 80 년 5월 사우디
내용: 80 년 5월 국내 대통령께서 사우디 방문 당시 선발대로 출발한 행사요원들이 대통령 일행의 투숙예정인 현지 호텔명칭 객실번호와 수행원들이 사용할 차량번호, 행열 순번까지 국제전화를 이용 평문으로 통화
문제점: 대통령의 신변보호를 위한 경호, 경비계획을 변경하는 등 경호업무에 막대한 지장 초래
유의사항: 국제전화는 통신위성으로 중계되고 거이 모든 통신의 북한 등 제3국에서 도청하고 있으므로 국제통신망 이용시 비밀내용의 통화 엄금
@p82
사례 2
요인행차 및 비공개행사 계획 누설(차량전화)
일시 및 장소: 85 년 5월
내용: 85 년 5월 --경찰서 --은 파키스탄 대통령이 힐튼호텔로 가기 때문에 오늘 20시에 있으며, 그 분이 지금에서 행사를 하고 있는 중임을 차량전화를 이용, 평문으로 통화
문제점: 외국국빈의 경호, 경비계획을 변경하는 등 경호업무에 막대한 지장 초래
유의사항: 이동무선전화(휴대폰 포함)는 주요 직위자 등의 사용으로 북한 등 제 3국의 도청 대상의 표적이 되므로 불요불급 통화는 금하며 긴급 연락통신으로만 사용
사례 3
군^5,23^경 작전상황 누설(무선통신망)
일시 및 장소: 85 년 8월
내용: 85 년 8월 군^5,23^경 작전훈련 사항인 북괴의 2개소대 병력이 공해 상에서 어선으로 위장하여 군산, 흑산도, 목포해 안으로 침투한다는 첩보를 전부대에 평문으로 행사 경계강화 및 항만 검문검색을 강화토록 지시
문제점: 작전상황을 평문으로 소통하므로 적에게 도청되어 아군의 작전지역은 물론 막대한 병력만 소모시킨 결과를 초래
유의사항: 통신보안이 가장 취약한 무선통신망을 사용할 때는 불요불급한 사항은 억제하고 중요내용은 암호화하며 평문은 일체 사용하지 말아야 함
@p83
사례 4
군수품 운송사항 누설 (무선통신망)
일시 및 장소: 91 년 4월
내용: 91. 4. 3 군수품을 운송중인 --의 운전기사가 군수품 내용과 진행방향 및 현재위치를 평문으로 통신누설 하였음.
문제점: 군수품의 내용물 및 운송 관련한 내용을 누설함으써 국가 보안상 중대한 이적행위를 범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됨
유의사항: 무선통신망을 사용할 때는 통신보안이 가장 취약함을 인식하고 불요불급한 사항은 억제하고 중요내용은 보안자재를 사용
13. 현대 정보전(Information Warfare)의 이해
현대는 세계 각국의 자국 이익증진을 위한 산업정보전이 더욱 가속화되어, 우리의 국내 산업분야의 핵심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주력하는 제3의 세력이 있을 뿐 더러, 국내적으로는 국제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기술개발의 활성화로 국내 산업재산권의 등록이 115 만건에 이르고 있으며, 상대적으로는 산업계의 구조조정 및 규제완화로 인하여 보안관리 능력이 저하되고 핵심기술이나 인력유출 등의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우리의 세계화 및 개방화 정책추진으로 국내 산업경제 정책 또는 기술면에 접근이 용이한 상주 외국인(상주 외국인: 29 만명, 외국인 투자: 6,267건) 또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보니, 국가 생존차원에서의 산업기밀의 보호 및 현재 진행되고 있는 현대 정보전에 관하여 기술한다.
@p84
가. 정보전의 개념
정보전이란 해커, 범죄^5,23^테러조직, 또는 적국의 물리적^5,23^논리적 공격으로부터 자국의 정보통신망을 보호하고 필요시 적대세력의 정보 통신망을 공격하여 공격대상의 전투력에 손상을 입힐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전쟁을 의미한다.
^14,126^. 정보전의 특징
1) 재래전과 달리 인명살상 없이도 전쟁을 치를 수 있다.
2) 공격대상이 사람이나 건물이 아닌 통신망 및 컴퓨터와 전산망이다.
3) 소수의 인원과 적은 예산을 사용한 공격으로 엄청난 공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4) 소규모 정보전은 세계 각지에서 매일같이 발생하고 있다.
5) 정보전 공격의 효력은 즉시 성이 있다.
6) 세계 어느 곳에서, 어디든지 공격이 가능하다.
7) 공격자는 증거를 남기지 않으며 공격자 추적이 힘들다
8) 국가안보를 위협할 수 있는 피해와 혼란이 초래될 주 있다.
9) 모든 전쟁에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
^24,126^. 정보전의 유형
1) 정보전의 공격
해킹이나 전자적 공격, 바이러스, 백도어 등 정보전 공격무기를 이용하여 공격대상 컴퓨터의 기능을 마비시키거나 해당 컴퓨터내의 자료를 입수, 변경, 파괴하여 공격대상 정보통신기반을 무력화시키는 행위
2) 정보전의 방어
해킹이나 전자적 공격 등 정보전 공격에 대하여 방어대책을 수립하고 방어 기술을 개발하여 국가 정보통신기반을 보호하는 행위
3) 정보전의 모의실험
정보전 공격에 대비한 방어태세를 점검하기 위한 가상적인 공격으로서 특정기관이나 군등 정보전 공격취약 대상에 실험을 실시하며 아울러 정보전 공격도구의 성능 및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 할 수도 있다.
@p85
4) 정보전의 주요기술 현황
#1 정보전의 공격기술
해킹: 불법적으로 공격 대상 시스템에 침투하여 자료를 입수하거나 변조, 삭제하는 행위
서비스거부공격: 상대방 공격 대상 시스템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는 공격
바이러스: 변형된 동작을 유발하는 특수 기능의 프로그램을 유포하여 다수의 시스템에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하고 프로그램 스스로 복제하여 다른 시스템에 자동 설치되도록 하는 기술
백도어: 공격대상 호스트에 임의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공격자가 원하는 동작을 하게 하는 공격기술
위성공격기술: 불법적으로 공격대상 위성에 접속하여 위성을 조작함으로써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하거나 레이저를 이용하여 위성의 기능을 마비시키는 기술
Chipping: 컴퓨터 등 정보시스템 내부 칩에 공격자가 원하는 기능을 포함시켜 공격자가 원하는 기능을 사용자의 인지 없이 수행하게 하는 공격기술
Nano Machine: 컴퓨터 내부에 침투하여 전자회로기판(PCB)을 작동 불능케하는 초미세형 로봇을 이용한 공격
Electro Microbes: 컴퓨터 집적회로를 파괴하는 전자적 미생물을 이용한 공격
High Enertgy Radio Frequency GUN:고출력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정보시스템의 기능을 마비시키는 고에너지 전자총을 이용한 공격
Electro-Magnetic Pulse: 넓은 면적의 정보시스템들과 정보통신망을 파괴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공격
Electronic Jamming: 전파방해를 이용하여 대상 시스템 및 통신망에 대한 서비스 방해 공격
@p86
#2 정 보전의 방어 기 술
침입탐지기술: 공격자의 공격행위를 실시간 탐지하여 침입을 저지하고 경보를 발생시키는 기술
접근제어기술: 원천적으로 공격자의 불법적인 접근을 막기 위한 기술
원격지 보안점검기술: 각종 가상 공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원격지 시스템의 보호상태를 점검하는 기술
가상 공격 시험기술: 가상 공격환경을 구출하여 정보전 공격에 대한 모의실험을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여 실제환경에 적용, 정보전 대응환경을 보완하는 일련의 기술
피해 복구기술: 공격자의 공격을 받아 손상을 입거나 파괴된 자원을 복구하는 기술
전자파공격 방지기술: 전자적 공격에 대한 방지기술
위험분석기술: 공격대상에 대하여 각종 보안관련 가중치를 두어 평가, 해당 시스템의 보안정도를 판단하는 기술
위성공격방지기술: 각종 위성공격에 대한 방어기술
@ff
@p87
3. 아마추어무선기기 취급방법
@p89
제 1장 전자이론
(참고) 무선 공학 관련 용어
전압: 기호 E(e: 교류) 단위 V(볼트)
전류: 기호 I(i: 교류) 단위 A(암페어)
전력: 기호 P(power) 단위 W(와트)
저항: 기호 R(resister) 단위 (옴)
콘덕턴스: 기호 G 단위(모)
콘덴서: 기호 C(condenser) 단위: F(패럿)
코일: 기호 L(coil) 단위: H(헨리)
주파수: 기호 F(frequency) 단위 Hz(헤르츠)
파장: 기호 (람다) 단위 m(미터)
열량: 기호 H 단위 J(줄), Cal(칼로리)
전하: 기호 Q 단위: C(쿨롬)
(참고) 보조단위
P(피코): 10의 minus 12승
n(나노): 10의 minus 9승
(마이크로): 10의 minus 6승
m(밀리): 10의 -3승
기본단위
k(킬로): 10의 3승
M(메가): 10의 6승
G(기가): 10의 9승
T(테라): 10의 12승
@p90
전기통론
1. 전류
직류(DC): 극성, 전류, 전압의 크기와 방향이 항상 일정한 전기를 직류라고 한다.
교류(AC): 전압, 전류의 방향과 크기가 시간에 따라서 변하는 전기를 교류라고 한다.
가. 단위
단위는 암페어 (Ampere(A)) 를 사용한다. 크기는 1[sec] 동안에 얼마만큼의 전기량이 이동했는가로 정하며 기호로 I라 하며, 어떤 도체에 t[sec] 동안에 Q(C)의 전기량이 이동했을 때 전류 I(A)는 로 표시한다.
그러므로, I = Q[c]/t[sec]
즉, 1[sec] 동안에 1[C]의 전기량이 이동했을 때 1[A]의 전류가 된다.
1(A) = 1000(mA)
1(mA) = 100-3(A) = 1/1000(A)
1(micronA) = 10-6(A)
^14,126^. 전류는 직류, 교류, 맥류로 나누어진다
1) 직류(DIRECT CURRENT)DC
직류를 DC라 하며 전류의 방향과 흐르는 양이 일정 하다 (사용 예: 건전지, 연축전지 등)
2) 교류(ALTERNATING CURRENT) AC(가정용 전원)
교류를AC라하며 plus 와 minus가 주기적으로 바뀌므로 전류의 방향이 수시로 변동(사용 예: 가정 용 전기 등)
3) 맥류(PULSATING CURRENT)
맥류라는 것은 직류와교류의 합성이다(사용 예: 전화의 음성 세력 등)
@91
2. 전압(VOITAGE)
전압은 높은 곳에서 낮은 쪽으로 흐르는데 이 때의 차를 전위차 또는 전압이라고 하고 ; 기호로 E라 하며 단위는 V(VOLATAGE)라 한다.
가. 전압의 단위
1) 볼트: (V): 기준단위
2) 밀리볼트(mV): 1/1000(V) = 1(mV)
3) 마이크로볼트(uV): 1/1,000,000(V) = 1(micronV)
4) 킬로볼트(kV): 1,000(V)=1(kV)
1(V)란: 1쿨롬의 전기량이 이동할 때 1(J)의 일을 하는 두 점간의 전위차를 말한다.
3. 저항(RESISTANCE)
저항이란 전기의 이동을 방해하는 작용을 말하며 저항의 기호는 R 또는 r로 나타낸다. 처 항의 단위는 --로 표시하면 오옴(Ohm)이 라고 읽는다.
@p92
도선의 도체저항이 크면 전류는 적게 흐르고 도선의 저항이 적을수록 전류는 많이 흐르게 된다. 저항은 도체의 길이가 길수록 저항이 많고 또 단면적 이끌수록 저항이 적어진다.
가. 단위: 1(microohm) = 1000(kiloohm) M = mega[메가]
1[kiloohm] =1000[ohm] = 10의 3승[ohm] k = kilo[킬로]
^14,126^. 1[ohm] 이란 1(V)의 전위차에 대하여 1(A)의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저항의 값
^24,126^. 저항의 반대되는 콘덕턴스(Conductance)는 전류가 얼마나 잘 통과하느냐 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기호는 --로 나타내며 단위는 --로 표시하고 모오(mho)라고 읽는다.
라. 도체의 저항이란 길이에 비례하고 단면적에 반비례한다.
4. 모음의 벌칙(Ohm's Law)
전류(I)는 전압(V)에 비례하고 저항(R)에 반비례한다.
가. 직렬접속
여러개의 저항을 직렬로 연결하면 합성저 항은 각각의 저 항을 합한 것과 같으며 합성저 항 R은 증가한다.
@p93
^14,126^. 병렬접속
여러 개의 저항을 병렬로 접속하면 합성저항은 감소한다.
^24,126^. 직렬병렬접속
5. 주물의 법칙(Joule's Law)
저항체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발생하는 열량을 표시한 것을 말한다.
6. 전력
전기가 흘러서 하는 일
기호: P 단위: 와트(W:Watt)
1(W)는 전류에 의해 1초 동안에 1주울의 일을 소비할 경우의 전력 즉 저항 R에 E(V)의 전압을 가하여 1(A)의 전류가 흘렀다면 전력 P는
전력량: 전력 P(W)에 의하여 t(초) 동안에 소비되는 전기에너지 (기호: 와트, 초(W, S))
@p94
7. 전지
가 건전지 (1차전지): 건전지의 기전력은 1.5(V)
^14,126^. 축전지 (2차전지): 방전 후에도 충전하여 몇 번이고 다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단자전압은 약 2(V)
8. 전류에 의한 자계
가. 암페어의 법칙
(하나의 오른나사에 나사가 돌아가는 방향으로 전류를 흘리: 초나사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자력선이 생긴다.) 이것을 암페어의 법칙 또는 오른나사의 법칙이라고 한다.
(그림1-1 암페어의 법칙)
^14,126^. 원형전류에 의한 자계
도선을 용수철 모양으로 감은 것을 코일이라고 한다. 그림 1-2와 같이 도선을 원형으로 하여 전류를 흘리면 오른나사의 법칙에 의해 자력선의 방향이 들어가는 쪽과 나가는 쪽이 생긴다. 도선을 여러회 같은 방향으로 붙여서 감으면 자력선이 같은 방향으로 더해져 자속 밀도가 커진다. 이 때 자력선이 들어가는 쪽이 5극, 나오는 쪽이 N극이 되어 하나의 자석으로 된다.
코일이 자석을 만들고자 하는 힘을 기자력 이라고 하며, 이것은 코일의 회수 N과 코일에 흐르는 전류 I(A)와의 곱에 비례하므로 기자력 의 크기를 나타낼 때 단위에는 회수와 전류의 곱인 (AT) (Ampere Turn, 암페어 턴)을 사용한다.
@p95
9. 플레밍의 왼손법칙
자장속에 놓인 도선에 전류를 흘릴 때 도선이 받는 힘의 방향은 왼손의 세 손가락을 서로 직각으로 펼치고 검지를 자력선의 방향, 장지를 전류방향으로 하면 엄지손가락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원리이용: 전동기(모타), 가동코일형 스피커
10.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
도선이 자력선을 끊고 지나갈 때 전자유도작용에 의하여 코일에 유기전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유도기전력의 방향은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에 의해 결정되며 오른손의 세 손가락을 서로 직각으로 펴서 검지손가락 방향을 자력선의 방항, 엄지를 도선의 운동 방향으로 하면 장지는 유도전류의 방향이 된다
원리이용: 발전기, 가동코일형 마이크로폰
@p96
11. 렌쯔의 법칙(Lent's law)
자석의 자계가 코일에 영 향을 주어 전류가 유발되는 현상을 전자 유도현상이라하며 이때 코일 속에 자석을 이동시키면 기전력이 발생되는데 자속을 멀리 하면 자속이 줄어들게 된다. 즉 운동에 의해 자속의 변화를 도선에 가하면 그 운동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유도 전류를 발생한다. 이것을 렌쯔의 법칙이라 한다.
원리이용: 자전거 Lamp
12. 자기유도작용(Self induction)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변화시키면 코일내에서 자속이 증감하므로 코일에 기전력이 유도되며 이 현상을 자기유도라고 하고 이때의 기전력은 전류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발생한다.
13. 상호유도작용(Mutual induction)
코일의 권수가Nl, N2인 2개의 코일을 가까이 두고 한쪽의 코일에 전류를 흘리면 이 전류에 의한 자속이 다른 한쪽의 코일에 유도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
@p97
단, Z1: 코일의 1차측 임피던스
단, Z2: 코일의 2차측 임피던스
14. 주기 주파수, 파장의 정의
(1) 주기
교류에 있어서 한번의 변화에 필요한시간
기호: T 단위: 초(sec)
T = 1/f (초)
이때, 주기 T(Sec)와 주파수 f(Hz)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f = 1/T [Hz]
@p98
(2) 주파수: 1초 동안에 한주기(cycle)가 반복되는 횟수: f(Hz)
(3) 각속도: 단위시간동안의 각의 변화율
(4) 파장: 전파가 공간을 1초 동안에 3 x 10의 8승(m)의 속도로 진행하나 이때 1번 진동하여 진행한 거리
15. 교류회로
가. 저항회로: 전압(e)과 전류(i)는 동위상
^14,126^. 코일만의 회로: 전류(i)는 전압(e)보다 90 도 늦다.
^24,126^. 콘덴서만의 회로 ; 전류(i)는 전압(e)보다 90 도 앞선다
@p99
16. 공진회로
(1) 직렬공진 회로
가, 합성임피던스
XL = Xc이면 합성 임피던스 최소, 전류는 최대가 되며 어떠한 상태를 공진 또는 동조되었다고 한다.
^14,126^. 공진주파수: 공진을 하기 위한 조건
^24,126^. 공진회로의 Q(선택도):
(2) 병렬공진 회로
가. 공진조건 ;
XL = XC 이면 합성임피던스가 최대, 전류는 최소가 되며 이러한 상태를
병렬공진 또는 반공진 이라고 한다.
^14,126^. 공진시의 임피던스: Z = L/CR
17. 교류전력
가. 순시 전력P(W) P = E^16^1
^14,126^. 유효전력(평균전력): P=E^16^Icos (W)
^24,126^. 무효전력 P = Elsin (Var)
라. 피상전력: P = E^16^I(VA)
^15,126^. 소비전력: P = 피상전력 X 역률
@p100
18. 콘덴서와 정전용량
정전용량이란 도체가 전기량을 저장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 기호는 C로 나타내고 단위는 (F)로 표시하며 패러드(Farad)라고 읽는다.
가. 보조단위: 1[microF] = 10의 6승/1[F] = 10의 minus 6 [F]
^14,126^. 도체의 정전용량 C는 C= V/Q[F] 전하
^24,126^. 평행판의 두 도체를 놓았을 때 면적을 A(m2)라 하고, 두 도체간의 거리를 d(m), 유전체의 유전율(F/m)라 하면, 정전용량 C는 d/A[F]
1) 콘덴서의 연결
가) 직렬접속: 여러개의 콘덴서를 직렬로 연결하면 합성 정전용량 C는 감소하게 된다. 이 때의 합성 정전용량 C는
C = (c1/1 + c2/1)/1[F]
나) 병렬접속: 정전용량, Cl, C2, C3의 콘덴서를 병렬로 연결하면 합성전용량 C는 증가하게 된다. 이때의 합성정전용량 C는 C= C1 + C2 + C3 = 10 + 20 = 20(micronF)
콘덴서는 저항의 반대식으로 계산하면 쉽다.
2) 콘덴서에 저장하는 에너지
정전도체에 전하를 주려면 에너지가 필요하게 된다. 정전용량 C(F)에 전압(V)을 가하여 Q(C)의 전하가 축적되었다고 하면 이 정전용량에 저장되는 에너지 W는
W = 2/1Q^16^V = 2/1 CV의 2승[Q = C^16^V]
@p101
19. 표피작용(Skin effect)
한 도선에 전류를 흐르게 했을 때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도체의 중앙부분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고 도체표면에만 전류가 흐르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20. 인덕턴스(INDUCTANCE)
전자유도에 의하여 전압이 유도되어지는 세기를 말하며 인덕턴스의 기호는 L로 나타내고 단위로는 (H)로 표시하며 헨리 [Henry)라고 읽는다
가. 단위 1(H) = 1000(mH)
^14,126^. 인덕턴스의 연결
그림과 같이 2개의 코일을 직렬로 접속하고 그 사이의 상호 인덕턴스를 M(H)라고 하면 합성 인덕턴스 L은 L = Ll + L2+ 2M(H) 2코일의 방향이 반대일 때에는 L = L1 + L2 - 2M(H) 다 상호 인덕턴스 M은 M=k L1L2 이다. k: 결합계수
@P102
^24,126^. 도체와 절연체
도체(conductor) -전류를 잘 흐르게 하는 물질
예) 금, 은, 동, 철, 주석, 알미늄 등.
부도체(non-condutor) 또는 절연체(insulator) - 전류를 잘 흐르지 못하게 하는 물질.
예)공기, 유리, 비닐, 고무, 운모, 증류수 등
22. 시정수(Time constant)
과도전압, 과도전류가 최종치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뜻하며 전자회로의 설계에 사용되고 초(sec)를 단위로 한다
가. R-C회로
@p103
제2장
반도체
1. 반도체의 개요
그림 2-1(a)와 같이 게르마늄(또는 실리콘) 원자는 4개의 가전자가 있으며, 이 가전자는 서로 공유결합해서 안정한 상태로 되어 있지만, 맨 바깥쪽에 공유하고 있는 가전자는 원자핵과의 결합이 그다지 강하지 못해서 어느 정도 이상의 열, 빛 또는 전계 등의 에너지를 가하면 가전자는 결합에서 벗어나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게 되는데 이것을 자유전자라고 한다. 이 때 전자가 튀어나가면 전자의 공백이 생겨 근처에 있는 전자가 이 공백을 메꿔 주려고 이동한다. 이 공백을 정공(Hole)이라고 부르며, 정공이 움직인다는 것은 전자가 움직이는 것과 마찬가지로 전류가 흐른다는 뜻이 된다.
가. N 형 반도체
4개의 가전자를 가진 게르마늄(Ge)에 5개의 가전자를 가진 안티몬(Sb)을 소량 혼합하면 이 때 그림(b)와 같이 1개의 가전자가 남으므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과잉전자가 존재한다. 이와 같이 과잉전자가 생기는 것을 N형 반도체라고 한다. 또 안티몬(Sh)과 같은 불순물을 도너(doner)라고 하며, 5가의 불순물을 가진 원소에는 인(P), 비소(As), 안티몬(Sb)등이 사용된다.
@p104
^14,126^. P 형 반도체
4개의 가전자를 가진 게르마늄(Ge)에 3개의 가전자를 가진 인듐(In)을 소량 혼합하면 그림(c)와 같이 이 때 1개의 가전자가 부족하게 되므로 전자가 빈 곳 즉 정공이 생긴다.
이와 같이 정공이 생기는 것을P형 반도체라고 한다. 또 인둠(In)과 같은 불순물을 액셉터(Accepter)라고 하며, 3개의 불순물을 가진 원소에는 알루미늄(Al), 인듐(In), 바륨(Ba)등이 사용된다.
^24,126^. PN 접합 다이오드
P 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그림2-2(a)와 같이 접합한 것을 PN접 합 다이오드라고 하며, P 형과 N 형의 양단자간에 전압이 걸려 있지 않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P형 부분에는 캐리어로서 정공이, N 형 부분에는 캐리어로서 전자가 존재하고 있다.
1)순방향 전압
그림 (b)와 같이 P 형 쪽에 (plus), N 형 쪽에 (minus)의 전압을 가하면, 접합면의 전위장벽이 없어져 과잉전자는P 형 전극쪽으로, 정공은 N형 전극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전지의 양전극으로부터 는 차례로 정 공과 전자가 공급되어 전류는 계속해서 흐르게 되므로 순방향이 되며 이 전압을 순방향 전압(순방향 바이어스)이라고 한다.
@p105
2) 역방향 전압
그림(c)와 같이 P형 쪽에 (minus), N형 쪽에 (plus)의 전압을 가했을 경우 P 형속의 정공은(minus)전압이 있는 방향 쪽으로,N형 속의 과잉전자는 (plus) 전압이 있는 방향 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접합면에는 장벽층이 생겨 전류는 거의 흐르지 못하는 상태 인 역 방향으로 되며 이 전압을 역 방향 전압(역 방향 바이어스)이라고 한다
그림 2-3과 같이 PN접합 다이오드는 한쪽 방향으로만 전류를 흘리는 정류작용이 있다. 그리고 역 방향 전압을 높여 가면 어떤 점에서 갑자기 많은 전류가 흘러 다이오드를 파괴하게 되는데 이 전압을 제너전압이라하며, 이 현상을 제너 현상이라고 한다.
라. 다이오드의 종류
1) 정전압 다이오드(제너다이오드)
접합다이오드의 역방향 전압을 점차 증가해 가면 그림 2-4와 같이 어떤 점에서 역방향 전류가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을 일으키는데 이러한 제너현상 또는 항복전압의 성질을 이용한 것이 정전압 다이오드로서 정전압을 얻는 장치에 이용되고 있는 다이오드이다. 보통실리콘의 접합형을 사용한다.
2) 가변용량 다이오드
PN접합다이오드에 역방향전압을 가하면 전자나정공이 없는 영역이 생겨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이 부분은 장벽층과 같이 되어 하나의 유전체 작용을 하기 때문에 PN 전극간은 일종의 콘덴서와 같이 된다. 역방향 전압의 크기를 변화시키면 유전체 층의 두께가 변화하여 콘덴서로서의 용량이 변화한다 즉 역 방향 전압을 높이 면 유전체 층의 두께가 크게 되어 정전용량은 감소한다. 이러한 동작을 시키기 위하여 만든다. 이 오드가 바랙터 다이오드(가변용량 다이오드 또는 바리 갭)이다. 바랙터 다이오드는 텔레비전 수신기 나 FM 수신기 의 자동주파수제 어(AFC)회로 또는 FM 송신기의 변조회로 등에 사용된다.
@p106
3) 터널 다이오드
어떤 범위의 전압에서 순방향 전압을 증가하면 오히려 전류가 감소하는 부성저항 특성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특성을 이용해서 마이크로파의 발진기 나 전자계산기 의 고속 스위칭 소자 등에 사용된다 터널 다이오드는 고주파 특성 이 좋고, 저 잡음이며, 동작시 간이 극히 빠르다.
4) 발광 다이오드
갈륨 반도체로 만들어진 PN접합 다이오드에 순방향 전류를 흐르게 해서 전류를 빛으로 바꾸어 발광하는 다이 모드를 발광 다이오드(LED)라고 한다.
2. 트랜지스터의 개요
가. 트랜지스터의 구조와 기호
그림 2-6(a)와 같이 매우 얇은 N 형 방도체의 양측에 P형 반도체를 접합시킨 것을 NPN 형 트랜지스터라고 한다. 이러 한 접합형 트랜지스터 기호 중에서 화살표가 붙은 전극이 에미터이고, 이 화살표는 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내며, 화살표가 안쪽으로 향하고 있는 것이 PNP 형, 바깥쪽을 향하고 있는 것이 NPN 형이다
@p107
^14,126^. TR과 진공관의 비교
^24,126^. 특징
1) 소형이며 가볍고 기계적인 충격에 강하다
2) 히터 전원이 불필요하며 소비전력이 매우 적다.
3) 낮은 전압으로 동작하며 고온에 견디지 못한다.
4) 수명 이 반영구적이며 역내전압이 낮다.
5) 사용시 극성을 틀리지 않도록 하여 야 한다.
@p108
3. 트랜지스터의 전류 증폭율
1) 베이스 접지의 경우(alpha)
2) 에미터 접지의 경우(beta)
4. 트랜지스터의 기본회로
가. 베이스 접지 회로
입력 임피던스가 낮고출력 임피던스가높으며, 입력과 출력의 위상은 동위상, VHF대 이상의 고주파 증폭에 많이 사용된다. (진공관 회로의 그리드접지 방식과 같다)
^14,126^. 에미터 접지 회로
출력전압의 위상은 역 위상이며, 출력 임피던스가 중간정도이고 고주파 특성은 베이스 접지때 보다 나쁘다 (진공관회로의 케소드 전지방식과 같다)
^24,126^. 콜렉터 접지 회로
입력 임피던스가 높고출력 임퍼던스는 낮으며, 입력전류와 위상은 역위상, 100^356,1234^의 부궤환이 걸리므로 안정하고 찌그러짐이 적고, 고입력 임피던스와 저출력 임피던스를 정합하는데 사용된다. (진공관회로의 케소드^5,23^폴로위 방식과 같다)
@p109
5. 안정도
안정률이 클수록 불안정하다는 것을 뜻하며 적을수록 좋으나 그만큼 손실이 많아진다.
6.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FET)
보통의 트랜지스터에서는 전극을 에미터, 베이스, 컬랙터라고 부르는데, 이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 Field Effect TriHsistor)는 소스(S), 게이트(G), 드레인 (D)이라고 부른다.
보통의 트랜지스터에서는 베이스 전류를 변화시키면 컬렉터 전류가 변화하지만, FET에서는 게이트 전압을 변화시킴으로써 소스에서 드레인으로 향하는 전자총로(채널 )를 흐르는 전류를 변화시켜 드레인 전류를 제어하는 트랜지스터이다. FET는 보통의 트랜지스터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1 게이트-소스간의 입력 임피던스가 높고, 수이다.
#2 내부에서 발생하는 잡음이 적다.
#3 고주파에 대한 특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고주파 증폭, 발진, 저주파 증폭기의 초단회로 등에 사용되고 있다
@p110
가. 접합형 FET
그림 2-7(a)는 접합형 FET의 원리적인 구조를 나타낸 것이며, 채널로는 N 형 반도체를 사용한 예이다. 접합형 FET에는 채널로 N 형 반도체를 사용한 N채널과 채널로 P 형 반도체(게이트는 N 형)를 사용한 P채널이 라고 하는 것이 있다.
* 특성
고입력 임피던스를 갖도록 만들어지고 잡음이 적으며 전압증폭소자를 이용한 것으로 5극관과 비슷한 특징을 갖는 것
1) MOS 형과 접합형이 있다.
2) 전압제어 소자로 동작
3) 입력임피던스는 수 10 Microohm 으로 높다.
4)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쉽다
^14,126^. MOS 형 FET
MOS형 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ET)는 게이트와 채널이 PN 접합하지 않고 산화막을 입힌 채널에 게이트를 붙힌 형식으로서 서로간에 절연되어 있으므로 입력 임피던스는 접합형 FET보다 높고, 수십~수백 정도로 높은 것이 특징이다.
7. 집적회로(IC)
전지 등에서 에너지를 받아 동작하는 증폭기와 같은 것의 능동요소나, 저항이나 콘데서를 조합시킨 회로의 수동요소를 1개의 기 판 위 또는 반도체 중에 형성해서 만든 회로를 집적회로(IC, Integrated Circuit)라고 한다. IC를 사용하면 송신기나 수신기 등을 초소형으로 제작할 때 조립배선이 간단하고 손쉽기 때문에 값이 싸고 신뢰도가 높은 기기를 만들 수가 있다. IC에는 실리콘 등의 반도체 기판위에 트랜지스터^5,23^다이오드^5,23^저항^5,23^콘덴서와 같은 회로소자를 형성하여 전자회로를 만든 반도체 IC와 유리 또는 자기 등의 기판위에 저항이나 콘덴서 등의 전자부품을 형성하여 이것에 다이오드나 트랜지스터를 붙여 전자회로를 만든 혼성 IC가 있다. 또한 기능면에서 분류하면 전자회로의 동작에 의해 다음의 2가지로 분류된다.
@p111
가. 리니어 IC
아날로그 IC라고도 부르며, 음성신호에 의한 아날로그 신호의 회로에 사용하는 IC이다 따라서 리니어 IC는 전화송신기나 수신기, 저주파 증폭기, 녹음기 등에 사용되고 있다.
^14,126^. 디지털 IC
전자계산기나 자동판매기 등과 같은 기계가 입력되는 전류, 전압의 유무를 판단하여 그 목적 에 따라 동작하는 전자회로 (논리회로)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IC는 음성 등을 증폭하는 전자회로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p112
제 3장
증폭
1. 증폭회로
미약한 신호의 진폭을 큰신호의 진폭으로 확대하는 회로이며, Transistor와 저항. Coil. Condenser등으로 구성된 것이 Transistor 증폭회로이며 이것을 적당한 직류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킨다
가. 전압 증폭도 및 전류 증폭도
그림과 같이 Emilter 접지 증폭기에서 생각하면 전압증폭도 AV는 Av = eg/eo 이며 전류 증폭도 A1는 AI= ib/ic 이다.
^14,126^. 이득
증폭기에 있어서 전압, 전류 및 전력의 입력대 출력의 비를 상용대수로 표시한 것이 데시벨(dB)로서 즉 이득의 단위로 사용한다.
@p113
2. 동작점에 의한 증폭방식
가. A급 증폭
Eg-Ip 특성 곡선의 거의 직선부 중앙부분에 동작점이 오게 하고 입력신호가 직선부분 안에 들어가게 한다.
특징 1) 찌그러짐이 없다.
2) 효율이 나쁘다(50^356,1234^)
3) 입력신호가 없을 때에도 항상 Ic의 직류전류가 흐른다
4) 저주파 증폭기, 고주파 및 중간주파 증폭기에 사용된다.
^14,126^. B 급 증폭
바이어스 전압이 Cut off점 부근에 있게 한 증폭이다.
특징: 1) 찌그러짐이 많은 증폭이 된다.
2) 효율이 좋다 (78.5% 이하)
3) 입력신호가 없을 때에는 거의 Cllector 전류 Ic는 흐르지 않는다.
4)음성 증폭기로 사용하지 않으나 퓨슈풀 회로로서 대출력의 저주파전력 증폭기 또는 송신기의 변조기로 사용한다.
@p114
^24,126^. C급 증폭
더욱 바이어스 전압을 깊게 가하는 증폭방식이다. 효율은(이론상 100^356,1234^) B급보다 좋으며, 찌그러짐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 주파수 체배기 또는 송신기의 고주파전력 증폭기 등에 사용한다.
3. 증폭회로의 종류 및 특징
가. 에미터 플로워 증폭기 (콜렉터접지 증폭기)
1) 입력임피던스가 높고 출력 임피던스가 낮다.
2) 전압증폭도가 1이하이다(A^35,35^1)
3) 출력과 입력이 동위상이며 전압변화에 대해 안정도가 좋다.
4) 주파수 및 진폭 특성이 좋다.
^14,126^. 저항 용량(R-C)결합 증폭기
1) 넓은 주파수 대역에 걸쳐 주파수 특성이 좋다
2) 부하저항에 의한 전력손실이 크며 효율이 낮다.
3) 구성이 간단하다.
^24,126^. 퓨시풀 증폭기
2개의 Transistor NPN형과 PNP형을대칭으로 접속한 증폭기
1) 우수 (짝수) 고조파가 상쇄되며 찌그러짐이 적다.
2) 리플 험(Ripple Hum)이 출력에 나타나지 않는다.
3) 출력을 크게 낼 수 있다.
4) 직류분에 의한 자기포화를 일으키지 않는다.
5) 효율이 좋다
@p115
라. 스태거 동조 증폭기
1) TV등의 중간 주파 증폭에 사용된다.
2) 조정이 간단하다.
3) 상당히 넓은 주파수대에 걸친 일정한 주파수 특성이 있다.
4. 증폭회로의 특성
가. 증폭의 찌그러짐
1)진폭 찌그러짐(비직선 찌그러짐): 입력신호와 출력파형이 똑같이 나타나지 않는 현상
2) 주파수 찌그러짐: 입력신호의 주파수가 달라지므로 증폭기의 증폭도가 달라지는 현상
3)위상 찌그러짐: 주파수에 따라 입력과 출력간의 위상이 같지 않게 되는 현상
^14,126^. 증폭기 잡음
1) 열 잡음: Transistor내의 전자 또는 정공의 이동 변화가 일정치않을때 생기는 현상
2) Transistor의 불량 또는 접촉이 불량하여 일어나는 현상
^24,126^. 잡음지수
증폭기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를 S/N(dB)라 나타내며 잡음지수 F는
따라서 증폭기 내에서 잡음발생이 없다면 F = 1이고 잡음발생이 많을수록 F의 값은 1보다 크다.
@p116
라. 자기발진
출력측신호의 일부가 입력측으로 정궤환되어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1) Transistor의 전극간 용량(C,B)에 의해: 중화법을 사용하여 방지한다.
2) 배선 및 부품 상호간의 표유결합에 의해: 부품 등을 차폐시키거나 배선과의 배치를 주의하여 방지한다.
^15,126^. 중화회로
Transistor의 Collector와 Base간의 정전 용량 Ccb가작은것이 적당하며 자기 발진이 일어나는 현상을 중화회로를 사용하여 방지한다.
@p117
제 4장
발진
발진기는 진공관이나 트랜지스터 같은 능동소자를 사용하여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가. 발진회로
Transistor의 발진회로에서 각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가 Zl, Z2, 23일때 각각 다음과 같은 관계에 있어야 발진을 한다.
1) Z1이 유도성일때 Z2, Z3는 용량성
2) Z1이 용량성 일 때 Z2, Z3는 유도성
^14,126^. LC발진기
코일 L과 콘덴서 C로 공진회로를 형성한 발진기를 LC발진기라 한다. 발진주파수는 LC회로의 공진주파수에 의하여 결정된다.
1) 하아틀리(Hartley) 발진기
여기서, M은 La와 Lb의 상호인덕턴스이다.
이 회로는 발진이 쉽고 동조콘덴서 C를 변화시킴으로써 비교적 간단하게 발진주파수를 변화시킬 수 있어 라디오 수신기의 국부발진회로등에 널리 사용된다.
2) 콜피츠 발진기
VHF대 이상의 고주파에서 주로 사용하며 TV수상기의 국부발진용으로도 사용된다.
@p118
^24,126^. 수정발진기
수정 발진주파수의 변동원인과 대책
1) 수정 공진자를 항은조에 넣어 일점 온도를 유지시킨다
2)다음 단과의 결합을 되도록 소결합으로 한다.
3) 전원에 자동 전압조정기를 사용한다.
4)수정편이 충격 등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보호용기에 넣어 진동에 유의한다
@p119
라. CR 발진기
발진주파수 f = 루트2pie 6CR/1이며 파형이 깨끗하고 주파수가 안정하여 가청주파발진기로서 사용한다.
^15,126^. 헤테르다인 발진기
비이트 주파수 발진기(BFO)라고도 하며 비이트 주파수의 연속 가변이용이하고 출력 파형은 좋으나 주파수 안정도가 나쁘다.
바. PLL방식의 신세사이저
1) PLL의 기본구성
송신기의 발사전파의 주파수가 여러 주파수인 경우 반송파의 수정발진기 는 개별 주파수에 따른 각각의 수정 발진기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주파수에 따라 수정 발진자(X-tal)를 바꿀 필요가 있어 수정 발진기에서는 수정발진자를 많이 필요로 한다. 그러나 1개의 수정 발진자에 의해 얻어진 주파수를 분주하고, 이 주파수에 의해서 자려발진기 (또는 전압제어 발진기, VCO)의 발진주파수를 제어하여 수 Hz의 간격으로 여러 안정된 발진주파수를 얻는 방법을 PLL(Phase-Locked Loop)방식의 신서사이저(합성) 발진기라고 한다.
2) PLL의 동작원리와 특징
가)자려 발진기(전압계 어 발진기, VCO)의 발진주파수를 가변분주기에 의해 분주하고, 이 것과 수정 발진기의 발진주파수를 분주한 기준주파수를 위상비교기에 가해 이 두 주파수의 위상을 비교한다.
@p120
나) 자려발진기의 발진주파수는 위상비교기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므로 수정 발진기와 거의 같은 안정도를 얻을 수 있다.
다) 가변분주기의 분주비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자려발진기의 출력주파수를 가변할 수가 있다.
@p121
제 5장
변조
송신측에서 반송파(Carrier wave)를 신호파(signal)에 따라 변화시키는 회로로서 음성이나 부호를 먼곳까지 실어보내는 역할을 한다.
1. 변조의 종류
고주파 전류를 음성등의 신호파에 의해 변형하는 것을 변조라고 한다. 즉 신호파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고주파를 반송파, 또 피변조된 고주파를 변조파라고 한다.
현재 아마추어무선에서 사용하는 변조의 종류로는 다음과 같다.
#1 진폭변조(AM)
고주파 전류의 진폭을 신호파에 의해 변형시키는 방식을 진폭변조(AM,Amplitude Modulatin)라고 한다.
#2 주파수변조(FM)
고주파 전류의 주파수를 신호파에 의해 변동시키는 방식을 주파수변조(FM, Frequency Modulation)라고 한다.
#3 위상변조(PM)
고주파 전류의 위상을 신호파에 의해 변동시키는 방식을 위상변조(PM, Phase Modulation)라고 한다.
따라서 햄들은 보통음성에 의한 교신으로 주로 단파대에선 AM(SSB파)을, 초단파대 이상에서는 FM을 사용하고 있다.
@p122
2. 진폭변조
가. DSB파 (= AM파)
우리는 그림 5-1과 같은 진폭변조의 모양을 보통 AM(Amplitude Modulation, 진폭변조) 이라고 부르며, 보다 전문적으로 말하면 DSB(Double sideband, 양측파대)라고 하는 피변조파를 얻는 것이다. 그림과 같은 진폭 변조회로에서 반송파 fc를 신호파 fs에 진폭 변조하면 출력측에는 DSB(AM)파가 얻어진다.
1) 변조파 성분
일반적으로 고주파 전류 i는 다음과 같이 표시한다.
I = Imsin
신호파에 의해 AM은 진폭 Im을 변형 시키며 , F7은 주파수를 변동시키고, PM은 위상를 변동시킨다.
여기서 주파 전류 i를 신호파 전류 is로 변조하면, 변조파 전류 io는 다음과 같이 된다
@p123
2) 점유주파수대폭과 측파대
반송파 fc를 단일주파수 fs의 신호파로 진폭변조한 경우 DSB파의 주파수 분포는 그림 5-2(a)와 같이 하측파(Ic - fs), 반송파 fc, 상측파 (fc + f7)의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의 주파수 대 역 폭(2 fs )을 점유주파수대폭이라고 하며, 반송파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fc - fs )를 하측파, 반송파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fc+fs)를 상측파라고 한다. 이와 같이 반송파를 중심으로 상측파와 하측파의 양측을 전송하는 방법을 양측파대(DSB)방식 이라고 한다.
또 반송파 fc를 최고주파수가 3kHz인 음성신호파로 진폭변조한 때는 그림 (b)와 같이 반송파 주파수를 중심으로 plusmiuns 3kHz의 상측파대와 하측파대의 두 측파대(사이드밴드)가 생긴다.
예를 들면, 반송파 fc를 7MHz(7,000 kHz), 신호파 fc를 300 Hz(0.3kHz)~3 kHz라 할때, 얻어진 진폭변조파(DSB파)는 6997∼7003 kHz사이의 폭인 6 kHz가 점유주파수대폭이며, 변조파의 최저주파수는 6997Hz, 최고주파수는 7003 kHz로 된다.
3) 변조도
변조파는 신호파 진폭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데, 진폭이 작은 신호파로 변조한 경우에는 반송파 진폭의 변화도 작고, 진폭이 큰 신호파인 경우에는 그 진폭의 변화도 커진다. 이 신호파 세력이 반송파에 얼마만큼 영향을 주는가의 정도를 변조도 M이라고 말하며, 변조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변조율이라고 한다.
그림 5-3은 100(^356,1234^) 변조, 50(^356,1234^) 변조한 경우와 과변조된 파형을 나타낸 것으로서, 변조하지 않았을 때의 반송파의 진폭을A, 신호파의 최대진폭을 B라고 하면 변조율은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이때 변조도가1과 같을때인 M = 1이 될 때는100^356,1234^ 변조가된다. 그러나, M^26,26^1이 될 때에는 과변조라고 하며, 수신불능상태 또는 불요전파의 발사가 되어 다른 통신망에 지장을 주게 된다.
@p124
4) 변조파 전력
그림 4-29(a)에서 변조파는 반송파의 In과, 상 , 하측파의 진폭인 각각의 성분으로 되어 있으며, 변조파 전력은 이들의 합으로 된다. 여기서 반송파 전력을 Pc(Wl라고 하면 변조파 전력 PmfW)은 다음과 같다.
또한 변조시의 안테나 전류를 Im, 무변조시의 안테나 전류를 Ic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된다.
@p125
^14,126^. SSB파
DSB방식에서는 신호파를 전송하기 위해서 상^5,23^하 양쪽의 측파대를 사용하고 있지만, 그 어느 한쪽의 측파대를 사용해도 신호파를 전송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전송방법을 SSB(Single sideband, 단측파대)방식이라고 한다. 그림 5-4는 하측파대를 사용하는 SSB파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5-5의 평형변조회로에서 반송파 Ic를 신호파 fs로 진폭 변조하면 반송파가 억압되어지며, 이 출력을 대역필터(BPF, Band-pass filter)에 가하면 상측파대 또는 하측파대 가운데 한쪽의 SSB파만을 얻을 수 있다.
3. 진폭 변조회로
가. 컬렉터 변조회로
발진회로 또는 증폭회로(C급 전력증폭)의 컬렉터 전원전압에 변조신호파를 겹쳐서, 즉 컬렉터에 가하는 전압을 신호파에 비례하여 변동시켜 변조하는 회로를 컬렉터 변조회로라고 한다. 그림 5-6은 컬렉터 변조회로의 한 예이다. 컬렉터 변조회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조정이 비교적 간단하다.
2) 찌그러짐이 적고, 깊은 변조(100^356,1234^ 가까이)를 할 수 있다.
3) 피변조기는 C급 증폭, 변조기는 B급 푸시풀 증폭이므로 종합효율이 좋다.
4) 충분한 전력에 견디며, 특성이 좋은 변조용 트랜스가 필요하지만, 대전력 송신기에서는 이의 제작이 어렵다.
@p126
^14,126^. 베이스 변조회로
그림 5-7은 베이스 변조회로의 한 예이다. 피변조기의 베이스바이어스 전류를 변조신호파에 따라 변동시켜 변조하는 회로를 베이스변조회로라고 한다. 베이스변조회로의 특징은 다음과
1) 변조에 필요한 전력이 적어도 되므로, 소전력의 변조기로 변조를 행할 수 있다.
2) 변조용 트랜스도 소형이므로 특성이 좋은것을 용이하게 만들 수가 있다.
3) 넓은 주파수대역의 변조를 행할수 있다.
4) 컬렉터 변조보다 변조효율은 낮다.
@p127
^24,126^. 평형 변조회로
그림 5-8과 같은 변조회로의 입력측과 출력 측에 적당한 반송파 트랜스를 사용하면 반송파 성분을 억압하여 상측파 및 하측파의 양측파만을 뽑아 낼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반송파만을 제거하는 변조회로를 평형 변조(Balanced modulation)회로라고 하며 , 이와 같은 장치를 평형변조기 (BM, Balanced module치or)라고 한다.
그림에서 반송파입력측에 반송파 fc를 넣으면 신호파 입력측은 병렬로 출력측은 푸시풀 접속으로, 또 신호파 입력측에 신호파 fs를 넣으면, 입, 출력측은 동시에 푸시풀 접속으로 동작되므로 출력측에는 AM의 양측파가 나오는데, 이 신호를 필터를 통해서 fc + fs 또는 fc - fs의 단측파를 뽑아낼 수가 있다 이러한 단측파만을 사용한 통신이 단측파대(SSB)통신이다.
라. 링 변조회로
그럼 5-9는 링 변조 (Ring modulation) 회로이며 , Dl∼D4에는 반도체 다이오드를 사용한다. 그림에서 반송파입력 fc를 신호파입력 fc로 변조하면 출력측에는 반송파 fc는
억압되어 나타나지 않고, 상측파 및 하측파의 주파수 성분인 변조파가 나타난다.
링 덴조회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소형이며, 물리적으로 견고하다.
2) 전원이 불필요하므로 전원전압에 의한 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3) 변조에 필요한 전력이 적어도 된다.
4) 복조기로서도 사용된다.
5) 증폭작용이 없으므로 출력은 적다.
6) 반도체 다이오드가 주위온도의 변화에 따라 그 특성이 변동한다.
@p128
4. 주파수변조와 위상변조
가. 주파수변조
그림 5-17과 같이 반송파를 신호파로 주파수 변조하면 진폭은 변화하지 않고 반송파의 주파수가 신호파에 따라 변동한다. 이와같은 변조방식을 주파수변조(fM, Frequency modulation)라고 한다 따라서 FM의 피변조파 전류i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w = 2pief, f는 반송파주파수이며 p = 2piefs, fs는 신호파의 주파수이다.
1) 최대 주파수편이
신호파 전압이 최대일 때 얼마만큼 피변조 주파수가 중심주파수보다 벗어나는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2) 변조지수
반송파가 신호파에 의해서 얼마만큼 영향을 받는가를 나타내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주파수 변조지수라고 한다.
mf = fs/deltaf
여기서는 deltaf는 최대주파수편이, fs는 신호파의 주파수이다.
@p129
3) 점유주파수대폭
FM파는 AM과 같이 반송주파수를 중심으로 하여 그 상하에 측파가 발생한다. 그러나 AM파와 다른 점 은 일정 한 신호파의 주파수로 변조해도 그 변조주파수의 간격에 따라 무수히 많은 측파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FM파는 측파대의 폭이 AM파에 비해 매우 넓게 취해지므로 초단파대 이상에서 사용한다.
한편, 실제통신에서 필요한 점유주파수대폭(B, Bandwidth)은 다음과 같다.
B = 2(deltaf + fs max)
^14,126^. 위상변조
반송파의 진폭은 일정하게 하고, 위상이 변화하고 있을 때는 주파수의 변화로 되는 변조방식을 위상변조(PM, Phase modulation)라고 한다.
따라서 PM파의 피변조파 전류 i는 다음과 같다.
oi = Imsin(wt + delta^4,1456^ cos pt)
여기서 w나 p는 FM의 경우와 같으며, delta^4,1456^는 신호파 전압이 최대일 때 피변조파의 위상이 벗어남을 나타내고 있다. 또 delta^4,1456^를 최대 위상편이라고하며, 이것을 PM파의 위상변조지수라 하고 mp로 나타낸다.
@p130
5. 주파수 변조회로와 위상 변조회로
가. FM 변조회로(직접주파수 변조방식)
그림 5-12은 일반적인 FM변조를 위한 구성도이다. 보통 LC발진회로나 가변리 액턴스부를 장치하여 음성등의 신호에 따라 그 리액턴스를 변동시킨다. 따라서 발진주파수는 신호파에 따라 변동해 FM파를 얻을 수가 있는데, 이러한 FM변조방식을 직접주파수 변조방식이라 한다.
^14,126^. PM변조회로(간접주파수 변조방식)
그림 7-13(a)는 PM 변조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발진기로서 LC발진회로 또는 수정 발진회로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지만, 보통 발진주파수의 안정도를 좋게 하기 위하여 수정 발진회로가 사용된다. 위상변조회로에는 벡터합성 법, 브리지형회로, 세라소이드법 등이 있다. 그림(b)는 PM변조회로의 음성증폭기에 전치보상기를 붙여 FM파를 얻는 방법의 한 예 이다. 전치 보상기는 입력신호파의 주파수 fs에 반비례하여 출력 신호파를 작게 하기 위한 회로이며, 이와 같이 PM변조회로에서 FM파를 얻는 방법을 간접주파수 변조방식이라 한다.
@p131
제 6장
검파
신호파에 의해 변조된 피변조파에서 원래의 신호파성분(음성이나 부호)을 뽑아내는 회로를 복조회로 또는 검파회로라고 한다.
피변조파에도 AM파, FM파, PM파 등이 있어 각각 다른회로가 사용되어진다
가. 직전검파와 제곱컴파
1) 직선검파
그림 6-1(a)와같이 반도체 다이오드의 출력전류는 입력전압에 비례하는 직선부분의 특성을 이용해서 진폭변조(AM)파를 검파하는 방식을 말한다.
가) 큰 입력전압을 필요로 한다.
나) 찌그러짐이 적고, 큰 검파출력을 얻을 수 있다.
2) 제곱검파
그림 (b)와 같이 반도체 다이오드의 출력 전류는 입력 전압의 제곱에 비례하는 곡선부분의 특성을 이용해서 검파하는 방식을 말한다.
가) 적은 입력 피 변조파의 검파를 하는 경우에는 감도가 좋다.
나) 입력 피변조파의 변조가 깊을 경우, 즉 변조율M이 큰 경우에는 검파출력에 찌그러짐이 많다.
@p132
2. AM검파
1) 2극관(Diode)검파: 2극관의 Eg-Ip특성 곡선의 만곡을 이용.
2) 재생검파: 안정도가 나쁘고 감도 및 선택도가 높다. 음질이 나쁘고, 조정이 불량하면 발진이 일어난다.
3) 초재생검파: 감도가 재생검파보다 좋으며 잡음이 많고 주파수 변별기로도 사용된다.
4) 헤테로다인검파: 전송되어온 SSB의 신호는 반송파가 없으므로 링복조기를 사용하여 검파시 반송파를 가하여 출력측에서 신호파를 뽑아내는 검파기 이다.
3. FM검파
FM에서 원래의 신호를 뽑아내는 회로를 FH검파 또는 주파수 변별회로라 한다.
1) 스로프(slop)검파: 회로가 대단히 간단하나 감도가 나쁘고 찌그러짐이 일어나기 쉬우므로 별로 사용되지 않는다.
2) 포스터실리검파: 진공관2개를 사용한회로로서 출력전압의 차를 취하여 검파하는 방식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식이다.
3) 비(Ratio: 레시오)검파: 진공관 2개를 사용한 회로로서(비대칭)대용량 콘덴서를 넣어 잡음을 억제하고 있어 리미터 작용을 겸하고 포스터 실리 검파와의 검파 감도비는 2:1이다.
4. 부가회로
1) 진폭제 한기-AM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
2) 프리엠파시스회로-FM 송신회로에 사용(고역주파수를 보상)
3) 디엠파시스회로-FM 수신회로에 사용(고역주파수를 억제)
@p133
5. 디엠파시스(Deamphasis)회로
수신회로에 사용하며 송신측에 고역을 보상한 만큼 고음을 억제하여 깨끗이 원음을 재생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회로이다.
@p134
제 7장
전원과 정류
1. 개요
우리들의 가정에서 텔레비젼이나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을 동작시킬때 사용하는 전기는 AC110V 또는 AC 220v의 교류전원을 필요로한다. 대개, 요즘의 무전기는 트랜지스터, FEF등으로 제작되어 있어 이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직류(DC)의 전기를 필요로하게 되는데, 바로 이러한 송신기나 수신기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전원과 전류를 공급하는 장치를 전원이라 한다
2. 정류
교류를 직류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정류기를 사용하나 정류기로서는 금속정류기(다이오드), 2극관 등이 있다
전압변동율
어떠한 전원에 부하를 접속시키면 전원전압이 변화를 나타내는 값이다.
@p135
3. 정류회로
가. 단상 반파정류회로
그림 7-2는 단상 반파정류회로와 그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다이오드 D가
순방향으로 되는 반주기만 동작하여 부하R에 전류 i를흘린다.
1) 최대값에 비해서 전류(전압)의 직류분은 적다.
2) 출력에 포함된 교류분의 주파수(리플주파수)는 전원주파수(60Hz)와 같다.
3) 직류분에 비해서 리플은 많다.
4) 전원변압기의 2차코일을 한쪽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철심이 직류자화에 의해 포화한다.
5) 비교적 적은 전류의 용도에서 사용된다.
^14,126^. 단상 전파정류회로
그림 7-3은 단상 전파정류회로와 그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다이오드 Dl과
D2는 교대로 순 방향으로 되기 때문에 전류 il과 i2가 교대로 부하 R에 흐른다
1) 최대값에 비해서 전류와 전압의 직류분은 반파정류회로보다 크다. (반파의 2배)
2) 출력에 포함된 리플주파수는 전원주파수의 2배(720Hz)이다.
3) 직류분에 비해서 리플은 반과보다 적다.
4) 전원변압기의 직류자화는 없다
5) 비교적 큰전류의 용도에 사용된다
@p136
^24,126^. 단상 브리지 (Bridge)정류회로
그림 7-4는 단상 브리지정류회로이며, 정류파형은 단상전파정류의 동작과 같다. 다이오드를 브리지형으로 접속하여 단상 전파정류를 행하는 방식이다.
1) 1개의 다이오드에 가해지는 전압은 단상 전파정류회로의 반이다.
2) 고전압을 취급할 때 편리하다.
3) 정류파형 및 리플주파수는 단상 전파정류회로와 같지만, 전원변압기에 중간탭이 불필요하므로 전원변압기의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라. 단상 배전압정류회로
승압용의 전원변압기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직류의 고전압을 얻는 회로이다.
그림7-5(a)는 단상반파 배 전압정류회로이며, 그림 (b)는 교류전압의 (plus)(minus)의 각 반주기를 각각 다른 다이오드로 정류하여 생긴 직류전압을 직렬로 합성해서 이용하는 회로로서 단상전파 배전압정류회로라고 한다.
단상 배전압정류회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승압트랜스가 불필요하다.
2) 골은 전압이 얻어진다.
3) 대전류를 흘릴 수 없다.
4) 전파정류형의 리플주파수는 전원주파수의 2배이며, 반파정류형은 같다.
@p137
4. 정전압회로
교류전원을 정류해서 얻은 직류 전원장치는 전압변동률이 비교적 크며, 또 교류전원의 전압변동에 의해서도 직류출력전압이 변동한다. 이러한 영향을 적게 하여 안정한 전원을 만들려면 정전압회로라고 하는 것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전원을 안정화전원 또는 정전압전원이라고 한다.
가. 간단한 정전압회로
그림7-6은 제너 다이오드를 1개 사용한 정전압회로의 한 예 이며, 이와 같은 정전압회로는 필요한 출력 전압과 부하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적당한 제너다이오드를 사용한다.
@p138
5. 인버터와 콘버터
가. 인버터
그림 7-7(a)와 같이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장치를 인버터(Inverter)라고 한다 즉 AC 220(V)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무전기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낮은 직류전압의 6(V), 12(V) 또는 24(V)의 축전지로 트랜지스터를 사용해 60(Hz) 또는 400(Hz)등의 교류를 만들어 이것을 변압기로 승압시켜 교류전압 220(V)로 변화하는 장치를 말한다.
^14,126^. 콘버터
그림 (b)는 DC-DC 콘버터회로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DC-DC 콘버터는 낮은 직류전압의 S(V), 12(V) 또는 24(V)의 축전지로 인버터를 사용해 교류를 만들어 그 교류전압을 변압기로 승압한 후, 정류회로로 정류해서 높은 전압의 직류를 얻는 장치를 콘버터(Converter)라고 한다 야외 등지에서 이동국을 운용할 때 DC-DC콘버터를 써서 높은 직류전원을 얻는데 사용된다.
6. 평활회로
가. 콘덴서 입력형
1) 정류전압의 이용률이 높다.
2) 충격정류 전류가 많이 흐른다.
3) 부하변동에 의한 전압변동이 크다.
4) 정류효율이 나쁘다.
5) 고진공 정류관을 사용해야 한다.
^14,126^. 쵸크(choke)입력형
1) 부하변동에 의한 전압변동이 크다.
2) 정류시 충격정류 전류가 적다.
3) 맥동율이 적다.
4) 대전력 정류회로에 사용
@p139
7. 전지
가. 1차전지: 한번 사용하면 다시 사용할수없는전지(건전지)
^14,126^. 2차전지: 충전과 방전을 되풀이하여 여러번 사용할수있는 전지(축전지)
8. 축전지의 규격(납 축전지)
가. 국부방전전압: #1 규정전압 2V
#2 충전완료시 전압 약 2.2V
#3 방전종지 전압 1.8V 정도
^14,126^. 전해액비중 1.22~1.23
@p140
9. 축전지의 용량이 감퇴하는 이유(납 축전지)
1) 충전의 불충분
2) 전해액의 비중이 부적당하거나 부족할 경우
3) 백색 유산연의 발생
4) 충전전류나 방전전류가 과대
5) 극판의 부식 , 파열
6) 자기방전 및 국부방전
축전지의 전해액이 부족할 때는 증류수로 채운다.
@p141
제8장
송신기
1. 구비조건
#1 필요한 전력을 안정하고 확실하게 발생할 것
#2 송신주파수가 정확하고 안정될 것.
#3 불필요한 전파(스퓨리어스등)를 발사하지 않을 것,
#4 외부의 온도나 습도의 변화에도 안정하게 동작할 것.
#5 송신전파의 점유주파수대역 폭은 필요 최소한일 것.
2. 구성
가. 구성요소
#1 발진부
#2 증폭부
#3 변조부
#4 전원부
3. AM송신기
AM(DSB)송신기는 반송파를 음성 등의 신호파로 진폭 변조한 경우에 반송파를 중심으로 양측에 생긴 측파대를 송신하는 장치이다.
가. 저전력 변조방식과 고전력 변조방식
AM 전화송신기의 고주파부를 어느단에서 변조를 하는가에 따라 저 전력변조방식과 고전력 변조방식의 2가지로 크게 분류할 수가 있다.
@p142
1) 저전력 변조방식
그림 7-1은 저전력 변조방식에 의한 AM전화송신기의 구성의 한 예이며, 송신기의 전력증폭기 전단의 중간증폭기에서 변조를 행하여 여기서 얻어진 피변조파를 전력증폭기에서 직선 증폭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피변조파를 찌그러짐이 없게 증폭하기 위하여 전력증폭기는 B급으로 동작시킨다.
저전력 변조방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가) 전단에서 변조를 행하므로 변조에 필요로 하는 전력(변조기의 저주파출력)이 적어 좋다.
나) 변조기나 변조용 트랜스의 제작이 용이하다.
다) 피변조파를 증폭하는 B급 전력증폭기의 조정이 약간 복잡하게 된다
라) AM파를 증폭하는 B급 전력증폭기의 효율이 낮다. (37^356,1234^ 정도).
마) 전체적으로 효율이 낮으므로 대전력의 AM전화송신기에는 그다지 사용되지 않는다.
^14,126^. 고전력 변조방식
그림 8-2는 고전력 변조방식에 의한 AM전화송신기의 구성의 한 예이며, 종단 전력증폭기에서 변조를 행하며 그 출력을 공중선으로 보내 발사한다. 피변조기로 사용되는 전력증폭기는 효율이 좋은C급으로 동작시킨다. 고전력 변조방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전력증폭기는 C급으로 동작시키므로 효율이 높다. (60^356,1234^ 정도).
2) 변조기도 효율이 높은 B급 푸시풀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3) 전체적으로 효율이 낮으므로 소전력 송신기에서부터 대전력 송신기까지 넓게 사용된다
4) 대전력 송신기에서는 변조에 필요한 전력이 커 변조기가 대형으로 복잡하게 된다.
5) 대전력 송신기에서는 변조용 트랜스가 대형으로 되어 제작이 어렵다.
@p143
^24,126^. DSB(AM)송신기의 구성
그림8-1과 그림8-2는 기본적인 DSB(AM)송신기의 구성의 한 예이며, 그 동작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1) 완충증폭기 (BuffEr amplifier)
완충증폭기는 A급 증폭기이며, 발진기가 전력증폭기 등 부하의 영향을 받아 발진주파수가 변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한다.
2) 주파수체배기
수정진동자로 사용하는 수정편의 두께는 수정편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게 되지만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얇게 되기 때문에 너무 높은 주파수의 수정편을 제작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높은 주파수의 전파를 발사하는 송신기에서는 완충증폭기와 전력증폭기 사이에 주파수체배기라고 하는 것을 사용한다.
주파수체배기는 C급 증폭기이며, 보통 입력주파수의 정수배(2배, 3배등)인 주파수를 출력측에서 뽑아내어 사용한다.
@p144
3) 수정 발진기
발진기의 주파수 안정을 위하여 수정발진기가 사용되고 수정발진기에 사용되는 수정진동자는 10[MHBI정도 이상의 것은 제작이 곤란하므로 그 이상의 주파수로 사용하는 송신기의 수정진동자는 발사 주파수의 2/1, 4/1, 8/1 ...등의 것을 쓰며, 주파수 체배기에 의해서 2배, 4배, 8배... 등의 주파수를 꺼낸다.
4) 전력 증폭부
약한 발진기의 출력을 소정의 공중선 전력까지 증폭하는데는 큰 전력증폭이 필요하며 이에는 중간전력 증폭부와 종단전력 증폭부가 있다
조건: 가) 스퓨리어스 발사가 적을 것
나) 전력 효율이 좋을 것
다) C급으로 동작
라) 스퓨리어스를 없애기 위해 동조회로의 Q를 높일 것
마) 차폐(쉬일드)를 완전히 할것
4. SSB송신기
그림 8-3(a)는 AM전화송신기에서 발사되는 전파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반송파를 중심으로 상하측파대를 가지고 있는 DSB(AM)파를 말한다. 아마추어 무선에서 사용되는 SSB파의 방식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억압반송파 SSB방식(J3E)
그림(b)와 같이 반송파는 될수 있는 한 억압하고 한쪽의 측파대만을 송신하는 방식이다. 보통 SSB파 또는 SSB통신방식이라는 것은 이 방식의 SSB파를 말하는 것이다
2) 전반송파 SSB방식(H3E)
그림(c)와 같이 반송파와 한쪽의 측파대를 동시에 송신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대국에서 SSB수신기가 없는 경우 보통의 AM(DSB)수신기로도 그대로 수신될 수 있는 점이 다르다. 따라서, SSB파를 만들기 위해서는 평형변조기를 사용하여 반송파를 신호파로 변조시킨 경우에 생긴 상하측파대 중에서 필터(filter)에 의해 한쪽의 측파대를 얻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p145
가. SSB통신방식의 특징
SSB통신방식(J3E의 경우)은 보통의 AM 통신방식(DSB통신방식)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1) 장점
가) 한쪽의 측파대만을 이용하므로 점 유주파수대폭이 DSB(AM)의 2/1로 되며 채널이 2배로 증가된다.
나) 반송파가 없기 때문에 송신할때만 전파가 발사되므로 상호 혼신이 경감된다. (비트 방해가 나타나지 않는다.)
다) 한쪽의 측파대만을 이용하므로 송신전력이 절약된다. DSB(AM)방식 보다 SSB방식으로 발사하면 전력비로 4/1, 즉 6(dB) 저하된다. 또한 송신할 때만 전파가 발사되므로 전력이 절약된다.
라) 수신측에서 신호 대 잡음비(SM)가 개선된다
마) 선택성페이딩의 영향이 적다. (대역폭이 2/1이므로)
바) 기타 다중통신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보통의 라디오 방송용 수신기로는 수신되지 않으므로 어느 정도 비화성이 있다.
2) 단점
가) 잡음이 많은 지역에서 수신할 때, DSB방식과 같이 반송파에 의한 잡음
억압효과가 없으므로 음성과 잡음이 번갈아 수신되는 수가 있다.
나) 송수신기가 복잡하게 된다.
다) 송수신기의 조정이 어렵다.
@p146
^14,126^. SSB송신기의 구성
SSB송신기는 반송파를 음성 등의 신호파로 진폭 변조할 때 생긴 상하측파대 중에서 어느 한쪽의 측파대 만을 얻어 송신하는 장치이다.
그림 8-4는 기본적인 SSB송신기의 구성의 한 예이며, 그 동작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1) 마이크로폰(MIC)
마이크로폰으로 들어온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꾸는 것이다.
2) 음성증폭기
마이크로폰의 출력 을 필요한 세기로 증폭한다.
3) SSB변조부
평형변조기(BM)에 신호파와 반송파를 가하면, 그 출력측에는 반송파는 없고 상측대 파와 하측대 파만이 나타난다. 대 역 필터(BPF)로 양측파 대중 한쪽의 측파대만을 얻어 SSB파를 만든다 대역필터는 특성이 좋은 필터가 필요하므로 메커니컬 필터나 수정 필터를 사용하고 있다.
즉 반송파 주파수fc를 음성신호 주파수fs로 진폭 변조하여 대역필터를 통해서 주파수fi의 SSB파를 얻는다.
4) 주파수 변환부
HF대나 VHF대에서 여러 주파수의 SSB파를 발사하려면, 일정 중심주파수를 가진 SSB파를 만들어 이것을 주파수 혼합기에 국부발진기의 출력과 동시에 가하여 희망하는 송신전파의 주파수로 변환시킨다. 즉 주파수fi의 SSB파를 송신전파의 주파수f로 변환시킨다.
5) 여진증폭기
대역필터의 출력측에서 얻어진 SSB파를 여진증폭기로 적당한 레벨까지 증측시켜 전력 증폭기를 여진 시킨다.
6) 전력증폭기
여진증폭기에서 증폭되어진 송신전파의 주파수f를 필요한 전력까지 증폭시켜, 그 출력을 공중선으로 공급한다.
이때 여진증폭기나 전력 증폭기는 SSB파를 찌그러짐이 없게 증폭하기 위하여 C급 증폭은 사용하지 않고, 소전력으로는 A급증폭이나 AB급증폭, 대전력으로는 B급 증폭을 사용한다.
@p147
^24,126^. SSB송신기에 사용되는 부가장치
SSB송신기를 동작시킬 때 사용상의 편리함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부가장치나 회로 등을 장치하는 경우가 많다.
1) 스피치 클리퍼(Speech Clipper)
SSB송신기에서는 평형변조기에 가해지는 신호파(음성입력)에 비례하여 출력이 증가한다. 따라서 신호파의 강한 피크(peak)입력이 있으며, 평형변조기에서 찌그러짐이 생겨 여진증폭기나 전력 증폭기 등의 직선증폭기에서 동작의 직선부분을 넘게되어 찌그러짐이 발생한다. 그렇게 되면 과변조에 의한 변조 찌그러짐이나 발사전파의 점유주파수대폭이 넓어져 다른 통신에 방해를 주거나, TVI, BCI등의 발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이것을 방지하는 장치가 스피치클리퍼 이다.
즉 찌그러짐이 발생할 수 있는 강한 신호파입력의 피크부분을 잘라내서 일정 레벨로 하여 신호파입력을 평형변조기에 가하는 역할을 한다.
보통 음성증폭기와 평형변조기사이에 부가한다.
@p148
2) 톤 발진기(Tone oscillator)
SSB송신기는 마이크로폰에 말을 해서 그 음성입력을 평형변조기에 가하지 않으면 전파는 발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송신기를 조정하거나, 수신측에서 사전에 수신기를 조정할 때 마이크로폰 대신에 1,500(Hz) 정도의 저주파발진기를 사용하여 평형변조기에 일정진폭의 신호파를 가해서 일정 진폭의 전파를 발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저주파발진기를 톤 발진기라고 한다.
3) 반송파 첨가장치
상대국에서 SSB수신기가 없을 때는 송신측에서 충분히 강한 반송파 성분을 첨가하여 전반송파 SSB방식 (H3E)으로 전파를 발사하면 된다. 반송파를 첨가하는 방법은 그림8-5에서 반송파발진기의 출력 일부를 대역 필터의 출력측에 가한다.
4) 자동레벨조정회로(ALC, Automatic Level Control)
전력증폭기의 입력레벨을 검출해서 일정레벨 이상의 입력이 가해질 때에는 전단의 증폭기 이득을 자동적으로 저하시켜서 출력의 파형 찌그러짐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회로이다.
5. FM송신기
FM송신기는 반송파를 음성 등의 신호파로 주파수변조하여 송신하는 장치이다.
@p149
가. FM통신방식의 특징
FM통신방식은 보통의 AM통신방식(DSB통신방식)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과 구성상 다른점이 있다
1)장점
가) 신호파 이외의 잡음이 수신되어도 수신기의 출력에서는 신호 대 잡음비(SM)가 개선되므로 양호한 통신이 가능하다.
나) 수신전파의 진폭이 어느 변화해도 수신기의 출력은 변하지 않는다.
다) 찌그러짐이 적은 변조 및 복조가 가능하여 충실도가 좋다.
라) 같은 주파수의 방해파가 있어도 희망파가 방해파보다 약간 강하면 방해파를 억압시키므로 지장이 없게 통신을 할 수 있다.
마) 변조에 필요한 전력이 AM파(DSB)에 비해 적어 좋다.
2) 단점
가) 점유주파수대폭이 넓다.
나) 장치가 다소 복잡해진다.
다) 신호파의 강도가 어느 수신입력 이하로 되면, 수신기의 출력 신호대 잡음비(S/N)가 급격하게 나빠진다. 따라서 DSB(AM)통신방식 보다도 통화할 수 있는 거리가 짧아진다
3) 구성상 다른 점
가) 변조회로가 다르게 된다.
나) 변조는 발진기 또는 그 다음 단 등 소전력단에서 행한다.
다) 피변조파의 증폭은 진폭이 일정하기 때문에 C급 증폭을 사용할 수 있다.
라) 주로 VHF대 또는 그 이상의 높은 주파수에서 사용한다.
마) 주파수체배기의 단수가 많아진다.
바) IDC회로를 필요로 한다.
@p150
^14,126^. FM송신기의 구성
FM송신기 에 사용하는 발진기, 주파수체배기, 전력 증폭기 등은 AM전화송신기와 기본적으로 같으며, 다른 점은 변조방식이 다르다.
FM파를 얻는 방법으로는 반송파를 발생하는 발진기의 발진주파수를 직접음성의 변화에 따라 변화시키는 직접주파수 변조방식과 발진기 또는 증폭기단에서 반송파의 위상을 음성의 변화에 따라 간접 적으로 반송파의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간접주파수 변조방식(위상변조 또는 등가 FM)이 있다.
1) 직접 주파수 변조방식
가) 가변리 액턴스부에 의해 상당히 큰 주파수편이가 얻어지므로 주파수체배 단수가 적게 된다.
나) 주파수체배 단수가 적어 스퓨리어스 방사가 그만큼 적게된다.
다) LC발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반송주파수(중심주파수)의 안정도가 나쁘다.
라) 안정도를 좋게 하기 위하여 자동주파수제어(AFC)회로를 사용하므로 그만큼 구성이 복잡하게 된다.
마) 이동용 등의 경우는 간접주파수 변조방식이 사용된다.
2) 간접 주파수 변조방식
가) 수정 발진기(또는 PLL)를 사용하므로 반송주파수(중심 주파수)의 안정도가 좋다.
나) 변조회로는 비교적 간단하므로 소형경량으로 만들기 쉽다.
다) 소형경량이므로 이동용의 FM전화송신기에 사용된다.
라) 필요한 주파수편이의 FM파를 얻으려면 발진주파수를 낮게 하여 주파수 체배기를 여러 개하지 않으면 안된다.
마) 체배단수가 많게 되면 스퓨리어스 방사도 많게 되기 쉽다.
@p151
^24,126^. FM전화송신기에 사용되는 회로
1) 자동주파수제어(AFC)회로
직접 주파수 변조방식에 의한 FM전화송신기에서는 주파수 안정도를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그림8-7과 같은 자동주파수제어(AFC, Automatic Frequency Control)회로를 사용한다.
2) 순시주파수편이제어(IDC)회로
마이크로폰에 순간적으로 큰 음성입력이 가해지면 순시 주파수편이량이 과대하게 되어 대역폭이 규정이상으로 넓어져 인접된 주파수에서 통신하는 다른 아마추어 국에 방해를 주게 된다. 따라서 최대주파수편 이를 규정치 이하로 하기 위한 회로를 순시편이제어(IDC, Instantaneous Deviation Control)회로라고 한다.
3) 프리엠파시스(Pre-emphasis)
송신측에서 변조할 때 신호대 잡응비(SH)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신호파의 높은 주파수 성분을 강조하기 위한 회로이며, FM송신기에서 사용하는 회로이다.
제 9장
무선수신기
1. 수신기의 요구조건
수신기 선택시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미약한 신호도 수신할 수 있도록 감도가 좋을 것
#2 선택도가 양호할 것
#3 보내진 신호를 충실히 재현할 수 있는 충실도가 양호할것
#4 잡음이 적을것
#5 안정도가 양호할것
#6 페이딩(Fading)현상에 대한 대책이 있을 것
2. 수신기종류
가. 스트레이트 수신기
1) 스트레이트 수신기 구성도
2) 특성: 회로구성은 간단하나 감도, 안정도, 선택도가 나쁘다.
가) 구조가 간단하다.
나) 내부 잡음이 적고 충실도가 좋다.
다) 수신기에 고주파 증폭부를 부가했을 때의 잇점
감도가 좋아진다.
선택도가 좋아진다.
신호 대 잡음비가 좋아진다.
검파나 조정불량에 의한 발진세력이 안테나를 통해 방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p153
^14,126^. 수우퍼^5,23^헤테로다인 (Super heterodyne) 수신기
안테나로 수신한 전파를 국부발진기에서 발진한 고주파 신호와 혼합하여 두개 고주파의 차인 중간주파수로 만들어 검파하여 수신하는 방식이다.
1) 수우퍼 헤테로다인 수신기 구성도
2) 특징
가) 감도가 좋다.
나) 선택도가 좋다.
다) 영상혼신을 받기 쉽다.
라) 회로가 복잡하고 비트 방해를 받는 경우가 있다.
3) 혼신방해의 종류
가) 인접한 다른 주파수의 혼신방해
나) 영상주파수에 의한 혼신방해
다) 비이트 방해
4) 고주파 증폭부를 부가했을 때의 잇점
가) 감도가 좋아진다.
나) 선택도가 좋아진다.
다) 영상주파수에 의한 혼신이 적어진다.
라) 신호 대 잡음비가 좋아진다.
마) 국부발진기의 세력이 외부로 방사되는 것을 막는다.
@p154
^24,126^. SSB수신기
SSB송신기에서 방사되어 온 전파는 수신안테나를 통해 반송파가 없는 측파대만이 수신되므로 반송파 주파수를 송신측과 똑같이 발진시켜 혼합 진폭변조파와 같은 음성신호를 만들어 검파하는 방식이 수우퍼^5,23^헤테로다인 수신방식이다.
1) SSB수신기 구성도
2)특징
가) 장치가 복잡하다.
나) 잡음이 적다
다) DSB보다 대역폭이 2/1이 된다.
라) 국부발진기의 안정도가 좋아야 한다
마) 스피치클라리파이어 ,자동 주파수제어 (AFC)회로 등이 필요하다.
@p155
라. FM수신기
1) FM수신기 구성도: 생략
2) 특징
가) AGC(자동이득제어) 또는 AVC(자동음량조정 )
회로입력 신호의 변동에 관계없이 출력신호가 일정해지도록 자동으로 증폭도 제어작용을 하며 페이딩(Fading)방지에 사용되는 회로이다.
나) 스켈치(Squelch)회로
FM수신기에서 수신전파가 없을 때 나오는 잡음( "쏴" )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다) 진폭제한기 (Limiter)
2)특징
가) 충실도가 높다.
나) 신호 대 잡음비(SH)가 좋다.
다) 점유주파수 대역폭이 넓다.
라) 리미터(진폭제한기)회로가 있어 잡음이나 페이딩(Fading)에 의한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p156
제 10장
전자파장해 및 대책
1. 스퓨리어스(Spurious) 발사의 원인
송신하고자 하는 주파수의 전파이외의 불필요한 전파의 발사를 스퓨리어스 발사라고 하며, 스퓨리어스 발사에는 고조파(송신주파수의 정수배), 저조파(송신주파수의 정수분의 1)와 이러 한 주파수와 관계없는 기생발사(고, 저조파 이외의 불요전파)가 있다.
스퓨리어스 발사의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증폭기의 비직선 찌그러짐에 의한 고조과의 발생
2) 주파수 체배과정에서 필요한 주파수성분 이외에 억압 불충분으로 생기는 저조파나 고조파의 발생
3) 각 동조회로(각 단간의 결합회로, 컬렉터 동조회로 등)의 조정 불충분으로 생기는 고조파, 저조파의 발생
4) 배선간 용량, 트랜지스터의 전극간 용량 등에 의해서 생기는 기생진동에 의한 불요전파의 발사
5) 수정진동자의 불량 또는 발전기의 조정불량에 의해서 부차적인 발진이 생기는 것에 의한 불요전파의 발사
@p157
2. 송신기의 필터
저역필터(LPF, Low Pass Filter)와 고역필터(HPF. High Pass, Filter)의 특성은 (그림 10-1)과 같다.
가. 저역필터 (LPF)
송신기에서 발생하는 고조파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로서 저역휠터를 사용한다. 저역필터는 차단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를 감쇠시키고, 낮은 주파수를 통과시키는 특성의 필터이다
^14,126^. 고역필터 (HPF)
아마추어 무선의 강력한 전파가 텔레비전에 혼입되어 텔레비전의 전파와 혼변조를 일으켜 TVI가 나타난 경우에는 아마추어 국의 전파(기본파)를 감쇠시키고 텔레비전의 전파만을 통과시키기 위해서 텔레비전의 안테나 단자에 고역필터를 사용한다.
^24,126^. 대역필터 (BPF)
대역필터를 밴드필터(Band Pass Filter)라고도 한다. 대역필터는 특정 대역폭의 주파수만을 통과시키고 전 , 후의 불필요한 주파수는 감쇠시키는 특성의 한 필터이다.
3. TVI, BCI등에 관한 대책
전자기기의 종류가 다양해져 가고 있는 요즈음 전파장해를 일으키는 주요 대상으로
는 라디오나 텔레비전 그밖에 컴퓨터, 오디오 앰프 전자악기 등에 장해를 주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아마추어국의 전파발사를 즉시 중지하고 전파장해의 원인을 살펴서 그 대책을 세워야 한다.
@p158
전파장해의 원인으로는 크게 다음의 4가지로 살펴 볼 수 있겠다.
1) BCI(라디오 청취장해)
AM라디오나 FM라디오에 장해를 주는 것이며, 아마추어 국에서 발사되는 전파가 라디오의 스피커에서 들리게 되거나'라디오의 소리가 끊기게 되는 것이다.
2) TVI(텔레비전 시청장해)
텔레비전의 화면이 일그러지거나 줄무늬가 생기는 경우이며. BCI같이 텔레비전의 음성에 대해서도 같은 현상이 생긴다.
3) 앰프 I (앰프청취장애)
녹음기나 오디오 앰프, 전자악기 등에 장해를 주는 것으로 이것은 전파를 이용하지 않는 전자기기에 대한 장해의 한 예이다.
4) 컴퓨터 I (컴퓨터 운용장해)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컴퓨터의 운용에 장해를 주어 오동작을 일으키게 하는 전파장해의 경우이다
가. 전파장해의 원인
전파장해는 아마추어국의 스퓨리어스 주파수가 텔레비전이나 라디오방송 등의 주파수와 일치하는 경우에 생기는 송신기측의 원인에 의한 것과 아마추어국의 송신전파(기본파)가 텔레비전 등에 혼입되어 생기는 수신기측의 원인에 의한 것이 있다.
따라서 송신기에서 강력한 전파가 텔레비전의 안테나를 통해서 입력되면 TV수상기 내부에서 수신주파수가 변조되어 TVI의 원인이 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을 혼변조라고 부른다. 또한 텔레비전 등의 전자기기가 강한 송신전파 중에 있으면, 수신기 내부의 리드선이나 부가장치간의 리드선 등을 통해 그 전파가 유기되어 생기는 경우에 TVI또는 BCI의 원인이 된다.
이 이외에 라디오의 국부발진기의 고조파와 아마추어국의 기본파가 혼합될 때, 그 주파수가 라디오의 중간주파수에 일치하게 되면 BCI의 원인이 된다.
@p159
^14,126^. 전파장애의 대책
아마추어국에 대한 전파장해의 대책으로는 다음과 같다.
1) 기생진동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2) DSB(A3E) 송신기의 경우에는 과변조가 되지 않도록 한다.
3) 스퓨리어스 발사를 억제시키기 위하여 급전선에 필터나 웨이브 트랩(wave trap)을 사용한다.
4) 전력 증폭부의 동조회로와 공중선 결합회로와의 결합을 멀리 한다.
5) 송신기의 실드를 완전하게 한다.
6) 전신 (Al)송신기의 경우는 키^5,23^클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7) 동축케이블이나 안테나 정합기를 사용한다.
8) 전원을 통해서 전등선으로 고조파가 누설되지 않도록 저역필터(LPF)를 사용한다.
9) 송신안테나를 TV안테나나 전등선으로부터 될 수 있으면 멀리 한다.
10) 가능한 한 지향성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여 TV수상기 등의 방향으로 송신전파가 발사되지 않도록 한다.
11) 공중선 전력은 필요 최소한으로 한다.
@p160
제 11장
신기술통신
1. RTTY와 데이터 통신
RTTY 장치나 컴퓨터를 이용한 데이터통신의 일종인 Packet 장치에서는 부호화된 신호가 얻어진다. 이 신호를 SSB송신기,FM송신기의 마이크 단자 또는 송신기의 RTTY , Packet단자에 가하면 RTTY의 전파나 Packet 통신의 전파를 송신할수가 있다. 즉 컴퓨터의 키보드에 의해 보내고자 하는 문자나 기호를 조작하면, 출력에는 자동적으로 마크 및 스페이스 부호로 구성된 RTTY 신호나 Packet신호가 나오게 되는데 이들 신호를 송신기에 가하면 된다.
이러한 전파를 SSB수신기 또는 FM수신기로 수신하여 그 출력신호를 RTTY장치나 Packet 장치에 가하면 컴퓨터의 모니터에 문자나 기호를 재현할 수가 있으며, 프린터기로 찍어볼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통신에서는 컴퓨터와 무전기(송 , 수신기)사이에 모뎀(TNC, 변, 복조기)을 부가할 필요가 있다.
가. FS 통신방식
FS(주파수편이, Frequency Shift) 통신방식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1) 선택성 페이딩 동기성 페이딩의 영향이 경감된다.
2) 신호 대 잡음비(N/S)가 개선된다.
3) 고속도 통신에 적합하다.
@p161
^14,126^. RTTY(라디오 텔레타이프)의 키임(Keying)방식
대표적인 것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식이 있다.
1) FSK방식
FSK(Frequency Shift Keying, 주파수편이전신) 방식은 반송파 주파수를 마크, 스페이스 신호에 의해 직접편이 시켜 통신하는 방식을 말한다.
아마추어무선에서는 그림 11-1(a)와 같이 주파수편이로서 170(Hz)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보통 마크시에 비해 스페이스시에는 170(Hz) 만큼 낮은 주파수의 전파를 발사시킨다.
2) AFSK방식
AFSK(Audio Frequency Shift Keying. 가청 주파수편이 전신) 방식은 그림(b)와 같이 마이크 입력단자에 가하는 가청 주파수를 마크, 스페이스 신호에 의해 편이 시켜 반송파를 변조하는 방식을 말한다.
아마추어무선에서 화상을 송신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통신을 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텔레비전(TV)과 팩시밀리(FAX)가 있으며, 아마추어무전의 텔레비전 통신은 보통의 TV방송과 같은 방식을 사용한 ATV(아마추어 TV)와 SSTY(슬로스캔 TV)의 2종류로 나눌 수 있다.
@p162
2. ATV(아마추어 텔레비전)
ATV(Amateur Television)는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방송에서 사용되고 있는 TV방송용 표준방식 (NTSC 방식)의 규격과 같은 방식이다.
ATV는 TV카메라출력의 영상신호(최고주파수 4.5MHz로 반송파를 진폭변조 하는 방식의 것과 TV방송용 표준방식(잔류측파대방식)과 같이 영상반송파를 영상신호로 진폭원조한 변조파와 음성반송파를 음성으로 주파수 변조한 변조파와 복합한 방식의 것이 있다. 앞의 방식은 TV전파의 점유주파수 대폭이 약 9MHz이고, 뒤의 방식은 6MHz로 된다
그림 11-2는 방송용 TV전파의 대역폭이며, 표준방식은 다음과 같다
1) 한 화면의 수평 주사선 수: 525선
2) 매초의 화상 수: 30매(매초의 프레임 수)
3) 수평주사주파수 15750(Hz) (525^16^30 이므로)
4) 매초 필드 수: 60매(비월주사 방식)
5) 화면의 세로와 가로비: 3 대 4
6) 영상신호주파수가 4~4.5(MHz)로 되므로 UHF대 이상에서 사용한다. (아마추어 밴드에서는 1.2GHz이상)
이 ATV전파는 그 주파수를 TV방송용 주파수로 변환하여 가정용 텔레비전으로 수신할 수가 있다.
@p163
3. SSTV(저속도주사 텔레비전)
SSTV(Slow Scan Television)는 TV카메라출력의 영상신호를 스캔, 컨버터(,icon converter)로 가청 주파수대역 의 0~3kHz로 변환하여 SSB 또는 FM송신기의 마이크 단자에 가하면 TV전송을 행할 수가 있다. 영상신호의 대역폭은 3kHz로 협대역이므로 HF(단파)대에서 전송할 수 있지만, 1 매의 영상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약 8초를 필요로 하므로 정지 영상밖에 전송할 수가 없다.
또 SSTV는 HF(단파)대에서도 사용되므로 전세계적으로 영상의 송수가 가능하여, 전세계 공통 표준방식을 정하고 있기도 하다.
다음은 주요 규격이다.
1) 한 화면의 수평 주사선 수: 약 120선
2) 한 화면을 송신하는데 필요한 시간 약 1분8초(정지화면 송수) (매초 영 상수는 약 8/1매, 프레임 수)
3)수평주사주파수 약 15(Hz)(약 120×1/8이므로)
4) 주사방식: 순차주사
5) 화면의 세로와 가로비: 1 대 1
6) 영상신호: SCFM(부반송파주파수변조)방식 (백 2300[Hz], 흑:1500[Hz], 동기신호 1200[Hz])
이 SSTV전파는 SSB또는 FM수신기로 수신하여 그 신호를 스캔 변환하여 가정용 텔레비전으로 재현할 수가 있다.
@p164
4. 팩시밀리 (FAX)
팩시밀리는 문자, 도면. 그림 또는 사진 등의 원래 화면을 송신출에서 전기적으로 미소한 점으로 분해하여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이것을 원래의 화면으로 재현하는 방식의 통신설비를 말한다.
기본적인 전송방식으로는 송신측의 FAX장치에서 가청주파의 그림신호로 변환하여, 그 신호를 SSB 또는 FM송신기의 마이크 단자에 가하여 반송파를 진폭 또는 주파수변조해서 송신한다 이렇게 하여 보내진 FAX전파는 SSB 또는 FM수신기로 수신하여 그 신호를 FAX장치에 가하면 송신된 원래의 화면을 재현할 수가 있게 된다
@p165
5. Packet-Radio
디지털 통신에는 패킷(Packet), RTTY, AMTOR, WEATHER FAX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중 가장 빠른 전송속도와 패킷 특유의 자동중계기능 등으로 인해, 디지털 통신하면 보통 패킷통신을 일컫는다.
패킷이란, 전송되는 디지털신호가 연속적이지 않고, 삐릭 삐릭하고 묶음단위로 전송을 하기 때문에 패킷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 패킷통신은, 전화를 사용하는 PC통신과 마찬가지로, 트랜시버(무선기)와 자신의 컴퓨터 사이에 무선전용 모뎀, 즉 TNC(Terminal Node Controller)라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 TNC가 컴퓨터에 나타난 글자를 트랜시버에 보내 디지털 신호를 송출하게 하고, 상대국으로부터 들어온 디지털신호를 컴퓨터로 보내주는 역할을 하게 하는 것이다.
트랜시버는 HAM이 사용하는 HF(단파)용이나, VHF(초단파)용의 트랜시버이면 어느 것이든지 사용가능하며, 컴퓨터 또한 16BIT이상의 것이면, 탁상용이나 노트북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세계적인 추세로 미래의 정보통신에는 단연 디지털통신이 주류를 이루게 될 것이다. 이미 소개도 되고 있지만, 일부 전화기에서도 디지털방식으로 통화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이 아마추어 통신에도 보급이 되면, 미래의 VOICE통신은 트랜시버까지만 사람의 말소리가 전달이 되고, 트랜시버는 그 목소리를 다시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송신이 되고, 상대국에서는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다시 인간의 귀로들을 수 있게끔 아나로그 신호로 바꾸어주는 시대가 곧 도래할 것이다.
이렇듯이, 모든 통신방식에 디지털 통신은 차세대의 필수적인 모드로 쓰여지게 된다. 디지털통신, 특히 패킷통신은 에러가 전혀 없다. 매신호의 끝에 반드시 확인용 신호를 내 보냄으로서, 상대국에 보내어진 패킷신호가 완전하게 도착이 되면, 상대국으로부터 자동으로 확인 검출용 신호를 받게 되는데, 완전하게 상대국에서 받을 때까지 몇 번이고 자동으로 반복해서 송신을 해주기 때문이다.
패킷은 아주 재미있는 통신이다. 전선으로 연결되지 않은 전국 곳곳과, 세계 여러 곳을 연결해서 컴퓨터 화면을 통해 대화를 나누게 되는데, 여유 있는 대화로서 정보와 농담, 특히 가화면 전송 등으로, 가족의 사진, 부선국의 표정까지도 먼 곳에서 사진으로 받아 볼 수 있다.
특히, 패킷에는 자동중계기능이 있어서, 본인의 출력이 작고, 안테나가 이득이 작은 것이라도, 제3자의 시스템을 이용해, 자동 중계로 원하는 곳까지 연결할 수 있는데, 이것을 잘 이용하게 되면, 핸디트랜시버 하나로 전세계 어느 곳이나 연결이 가능한 GATEWAY기능이 될 수 있다.
@p166
국내는, 전국의 대부분을 핸디 하나로 디지피터라고 불리는 중계시스템을 이용해서 연결이 가능하다. 서울에서, 눈으로 둘러싸여 차량의 통행이 전혀 불가능한 강원도 정전을 연결해서, HL HQ(연맹)의 전국 필드 데이 소식을 화면을 통해 알게 되고, 광주의 중계를 통해 제주도의 소식을 읽고...
패킷은, 마치 테렉스로 교신하는 것처럼, 꼭 무선기 앞에 앉아 있지 않아도, 교신이 가능해, 다른 일을 하면서도 패킷통신을 즐길 수 있다.
패킷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맨처음 무선모뎀(TNC)를 구입하고, 설명서에 기재된 데로, 트랜시버의 마이크와 스피커에 연결해 주고, 컴퓨터의 씨리얼 포트에 연결해 주면 된다.
그리고 반드시 적합한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하는데, BAY70H이라는 초소형 TNC만 제외하고는, 패킷전용 프로그램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다. 시중에서 쉽게 구입이 가능한 것은 LAN-LINK, PACOM, YAPP 등이 있는데, 어느 것이나 사용해도 관계없고, 특징상 LAN-LINK는 많은 편리한 기능을 갖고 있고, PACOM은 간단하지만 쉽게 사용 가능한 점 등등, 자신에게 맞는 것을 선택하면 된다. BAYCOM이라는 것을 구입하게 되면, 반드시 지정된 BAYCOM이라는 전용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한다.
사용방법은, 두 가지 모두 비슷한데, 처음에 반드시 자신의 씨리얼포트의 번호를 지정해 주고, 컴퓨터와 TNC간의 통신속도를 똑같이 맞추어, 화면에 "cmd:'가 나오게 셋팅해 주면 된다. (BAY70M사용자의 경우는 화면상단에 ":")이 나온다.
처음 패킷통신에 입문후 교신할 국을 찾게 되는데, 이때 교신상대국이 없어도 걱정할 것 없다, 전국의 대부분 중소도시에는 누군가가 24시간 패킷을 사용할 수 있도록 써비스하는 국이 있다. 이 무선국을 RBBS(무선비비에스)라고 하는데 "C HL2WA"식으로 RBBS국을 불러서 (각 지역별 RBBS국의 CALLSIGN표를 참조바람), 이곳을 연결해 보면 무선 패킷망을 통해 들어온 많은 정보, 소식 등을 볼 수 있다. 처음 연결을 하게 되면, 자신을 등록하라는 메시지를 보게 되는데 이름, 자신이 자주 사용하게 될 RBBS(HOME BBS라고도 함)국 등을 등록하면 된다. 그 외에 자신의 위치를 GRID:PCATOR 방식으로 계산해서 등록하는 것 등이 있는데, 초보자의 경우 잘 모르면, 바로 'ENTER'해서 넘어가도 관계없다. 이렇게 처음 RBBS에 등록하면 바로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보게 된다.
@p168
예, HL1ABL BBS(A, B, C, D, E, F, G, H,1,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 =)이와 같은 메시지는 누구나 RBBS에 연결을 하게 되면 보게 되는데, 이 많은 알파벳 명령중 어느 한 개만을 쳐주게 되면 RBBS는 즉시 응답을 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L"을 쳐주게 되면 LIST를 의미해서, 모든 메일(전자편지)의 목차를 보여주게 된다.
RBBS의 메일을 읽고 쓰고 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다음의 방법을 권장하고 싶다.
먼저 한국의 HL들이 남긴 한글메일만을 보려면 "L ^4^ HLNET"를 치고 ENTER하면 된다. 자세한 방법은 교과 키보드 2번 바로 위에 있는 "^4^"를 붙여쓰고 한칸 뒤에 HLNET하면 된다.
처음부터 목록을 차례로 10개 또는 20개를 보고 싶으면 "LL 10" 또는 "LL 20"하면 된다. 이것은 모두 목록만을 보게 되는 것인데, 이 목록중에서 읽고 싶은 것이 있으면 LIST의 맨앞에 있는 번호를 R 다음에 'R1234"하고 쳐주게 되면, 가문의 내용을 모두 보여주게 된다.
편지를 보내려면, 개인에게는 "SP", 모두에게는 "SB"를 써서 SP HL1AAA ^4^ HLIABL, KOR, AS나 SB ALL ^4^ HLNET해서 개인과 모두에게 편지를 보낼 수 있다. 처음의 콜싸인은 상대수신국 콜싸인이고, 뒤에 것은 그 수신국이 자주 이용하는 RBBS(H0ME BBS)를 써넣어주는 것이다.
이 방법을 이용해서 RBBS국만 원하는 지역의 콜싸인을 바꾸어 주면, 자동으로 원하는 지역의 RBBS로 전자메일이 옮겨가서 읽혀지기를 기다리게 된다.
RBBS의 위치가 본인과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연결이 힘든 경우에는, 중계장치인 디지피터(NET/R07)을 이용해 연결하면 쉽게 연결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서울의 경우 "SEL"을 부르고 나서 연결이 되면 다시 RBBS국을 부르면 된다. 중계국의 콜싸인과 RBB을의 지역별 도표를 참조바란다.
주의할 점은 중계국이나 RBBS와 연결후 끊기를 원할 때는, 반드시 "B"를 쳐서 끊도록 하자.
외국의 많은 국들이 HL국들과의 패킷교신을 원하고 있다. 전자펜팔이라고도 할 수 있는 패킷에 많은 관심을 바란다.
@P170
제12장
전자측정
1. 측정계기의 구비조건
#1 눈금이 균등하거나 대수 눈금일 것
#2 오차가 적고 지시응답도가 좋을 것
#3 절연이 높을 것
#4 확도가 높을 것
#5 기계적으로 견고하고 취급이 용이할것
2. 측정기의 분류
#1 DC전용 ... 가동코일형, 전해용등
#2 AC전용 ... 유도형 진동형 등
#3 AC와DC겸용 ... 전류력계형, 가동철편형, 열전형, 정전형 등
3. 분류기
전류계의 측정범위를 확대하기 위하여 전류계에 병렬로 삽입하는 저항(Rs)을 말한다.
@P171
4. 배율기
전압계의 측정범위를 확대하기 위하여 전압계와 직렬로 삽입하는 저항(Rp)을 말한다.
5. 측정기의 종류
가. 가동코일형 계기
직류전용이며 정류기를 사용하여 교류전압도 측정한다.
1) 영구자석 사이에 가동코일이 있고 예리한 축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상하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감긴 스프링이 있다.
2) 표기호: --
^14,126^. 가동철편형 계기
직류^5,23^교류 겸용이나 주파수의 영향이 커서 동일 눈금적용이 안된다.
1) 고정코일 속에 가동철편을 넣은 것으로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가동철편은 흡인 또는 반발되어서 회전력이 생긴다.
2) 표시기호: --
^24,126^. 정전형 계기
전압계만 있다. 직류 교류에 동작하며 눈금이 균등하다.
1) 2개의 대전된 전극간에 작용하는 정진력을 이용한 일종의 콘덴서이다.
2) 표시기호: --
@p172
라. 전류력계형 계기
직류^5,23^교류 양용이며 동일한 지시를 하는 유일한 계기이다
1) 2개의 고정코일 내부에 원형의 가동코일을 장치하고 스프링으로서 제어를 하며 공기제동을 한다
2) 표시기호: --
^15,126^. 진공관 전압계(VTVM)
1) 입력 임피던스가 높아 피측정회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2) 감도에 예민하다.
3) 주파수의 오차가 매우 적다.
4) 고주파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5) 진공관의 검파작용을 이용한 것이다.
바. 테스터 (Tester)
1) 회로시험기라고도 하며 직류전류, 전압, 교류전압, 저항등 기타를 측정하는데 널리 쓰인다.
2) 소형^5,23^경량이며 취급이 간단하다
3) 외부자계의 영향을 주의할 것
사. SWR METER
STANDING WAVE RATIO METER의 준말로서 공중선과 송신기 사이의 정재파비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계측기로서 진행파와 반사파 및 출력도 측정 할 수 있다.
사용하는 동축 FEEDER에 따라 75/50 오옴으로 절환하여 사용하여야 하며. SWR의 값이 낮을수록 정합이 잘된 상태를 표시한다.
특히, SWH측정은 안테나 가까이에 삽입하여 측정하는 것이 오차가 작다
@p173
아. 회로정수의 측정계기
1) 휘스토운브릿지: 미지 저항 측정에 사용 (중저항: 1 ohm~1Mohm)
2) 켈빈 더블브릿지: 저저항의 정밀측정용에 사용
3) 절연저항계(메거: Mogger): 고저항(절연저항) 측정
^46,126^. 오실로스코우프 (Oscilloscope): 측정하고자 하는 파헝, 전압, 위상, 변조도 등을 화면(브라운관,LCB등)상에 직접 표시하는 측정기로 응용범위가 매우 넓다.
1) 송신기의 변조도측정
@p174
제 13장
전파전파와 공중전
1. 전파의 존재 확인
전파란 공간을 빛의 속도인 매초 3억 미터란 엄청난 속도로 퍼져나가는 전기적인 세력의 전달이며 전파법에서는 3000기 가헤르츠(GHr)이하 주파수의 전자파를 전파라고 절의 하고 있다.
스코틀랜드의 물리학자이며 19세기의 위대한 천재 수학자인 맥스웰(James, Clark Maxwell 1831~1879)에 의해 전파의 존재가 수학적 형태로 입증되고 그가 쓴(전기와 자기)란 제목의 논문이 1864 년 영국학사원의 연구보고서로 발표되었으나, 당시에는 이에 대한 학계의 반응이 몹시 냉담하였다
그후 맥스웰의 이론을 기초로 1887년 독일의 유명한 물리학자 헤르츠(Heinrich Rudolph Hertz 1857~1854)에 의 해 전파의 발생은 물론 여러가지 전파의 성질 즉 반사, 굴절, 간섭 등의 현상이 있음이 실험에 의해 확인되었다.
2. 전파의 발생
전파의 발생과정은 다음과 같다.
가. 두 도체간에 교류 전류를 흘리면 전기력선의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p175
^14,126^. 두 도체를 차츰 벌려 나란히 하면 2도체간에 분포용량이 존재하여 전기력선의 방향이 바뀐다.
^24,126^. 고주파 전원을 가하면 앞서 발생한 전기력선이 소멸되기 전에 새로운 전계가 발생하여 앞서의 전계가 밀려나가 전파로 된다.
라. 전파는 전계와 자계가 수직으로 존재하며 이 전계방향과 자계방항으로 되는 평면에 수직으로 전파가 퍼져 나가게 된다. 따라서 전파를 전자파라고도 한다.
@p176
3. 안테나의 개요
가. 전파의 발생
아마추어 무선국의 안테나에 고주파전류를 흘리면 전파가 발생해 공간으로 퍼져 나가게 된다. 이 전파는 전계와 자계가 수직으로 존재하며, 또 교대로 파동하여 공간을 전파한다. 이러한 전파를 전자파라고도 부르며, 그림 13-1은 전계와 자계의 전자파 모양과 전파의 발생을 나타낸 것이다. 또 전파의 속도늘 1초간에 3^16^108(m/s)이다.
@p177
4. 전리층
가. 전리층의 높이측정
h = C^16^2/delta t
^14,126^. 전리층의 종류
1) D층: 지상 약 70km~90km 에 존재
2) E층: 지상 약 100km 부근에 존재
3) F층: 지상 약 200~400km 높이에 존재
4) 스포라딕 E층 스포라딕 E층은 지상 100km E층 부근에 존재 하나 생성원인이나 구조는 분명하지 않으며 수시로 나타났다 없어졌다 하고 전자밀도가 극히 높다.
@p179
^24,126^. 사용주파수
1) 최고 사용주파수 (MIJF: Maximum Usable Frequency)
단파통신에 있어서 송수신점간의 거리 r이 주어졌을 때 전리층반사를 하여 수신에 이를 수 있는 제일 높은 주파수를 말한다.
2) 최저 사용주파수 (LUF: Lowest Usable Frequency)
단파대에서 주파수가 낮아짐에 따라 제 1종감쇠가 증가한다. 이 때 전파가감쇠를 받지 않고 전파되는 주파수는 한계가 있다. 이것을 최저사용주파수라 한다.
3) 최적 사용주파수 (FOT: Frequency of optimum Trafc)
높은 쪽은 MUF, 낮은쪽은 LUF로 제한되어 MUF근처에서는 관통하는 위험이나 제 2종 감쇠가 커져, 실제로 통신에 쓰이는 주파수는 MUF보다 약간 낮은 주파수와 LUF와의 사이 에 존재하게 된다. 이 통신에 쓰이는 주파수 중에서 MUF 85(^356,1234^)를 최적 사용주파수 FOT라 한다.
5. 전파전파
가. 분류
1) 도약거리(Skip Distance)
단파통신에서 도약거리란 송신지 점으로부터 공간파가 처음 발사되어서 수신되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말하며 이 거리내에서는 지표파도 받지 못하는 불감지대(Dead Zone)가 생긴다.
원거리 통신에 사용되는 단파대에서는 F층에서의 1회의 반사로 3000~4000(km)마다 데지 반사파로 재복사 된 이중 반사파까지도 도약거리로 생각할 수 있으나, 도약거리란 항상 1회 반사된 지점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2) 불감지대 (Dead Zone)
도약거리내의 전계강도는 송신점 근처에서는 지상파(지표파)가 강하다. 그 끝에서 도약거리까지에 전계강도가 매우 약한 범위가 생긴다.
이것을 불감지대라고 한다.
@p180
^14,126^. 여러 현상
1) 페이딩 (fading)
전파의 세기(전계강도)가 몇분의 1초에서 몇분의 주기로 변동하는 현상을 페이딩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페이딩의 주기는 주파수가 높을 수론 짧게 된다.
방지법: 가) 수신기내에 AVC(자동음량조절)회로나 진폭제한기(Limiter)를 사용한다.
나) 중파송신일 때는 페이딩 방지용 공중선을 사용한다.
다) 단파일때에는 공간 또는 주파수 다이버시티법을 사용한다.
2) 델린져 현상 (Dellinger Phenomena)
원거리 단파통신이 몇분~1시간 정도간 수신강도가 급격히 저하하는 (또는 수신불능이 된다)현상이다.
3) 자기람(Magnetic storm)
원거리의 단파통신이 몇시간에서 몇일간 수신강도가 저하되든지 수신불능이 되는 현상이다.
자기람은 태양에서 복사되는 미립자가 대기의 상층에 충돌해서 전리를 일으켜, 그 때문에 이상전류가 흘러 이것에 의해서 생기는 이상자계가 지구자계를 소란시킴으로서 발생한다.
4) 에코우
송신안테나에서 나온 전파가 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통로를 지나 수신안테나에 도달하면, 각 통로의 차에 따른 시간간격을 두고 같은 전파가 도달한다. 이와 같은 때는, 마치 메아리처럼 들리며 이것을 에코우 현상이라 한다.
5) 산란파
산란이란 파장이 물체에 부딪혀 사방으로 흩어지는 것으로 전리층에 불균형이 있는 경우, 대기 중에서 유전율에 불균형이 있는 경우 등에 발생한다.
전리층 산란파는 E층 또는 E층 상부에 존재하는 산란에 의해 발생한다고 생각되 고, 직접 I층 내 에서 산란하는 것을 근거 리 산란이라 하고, 한번 F층에서 반사한 다음 산란운에서 산란하는 것을 원거리 산란이라 한다.
불감지대(도약거리 중의)에서도 단파의 전파가 수신되는 수도 있으나 이것은 전리층에서의 산란파에 의해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p181
^24,126^. 전파잡음(Radio Nois)의 종류
1) 공전
2) 태양잡음
3) 우주잡음
4) 인공잡음
6. 공중선
가. 공중선의 실효고
1) 수직접지 공중선의 경우
he = 2pie/gamma gamma = 4h 그러므로 he = pie/2h
2) 반파장다이폴 공중선의 경우
he = pie/gamma gamma = 2l 그러므로 he = pie/2^16^l
@p182
^14,126^. 공중선의 종류
1) WHIP ANTENNA(쉽 안테나)
접지 ANTENNA는 접지가 필요하다.
접지 방법은
가) 동판, 어스봉 등을 지면에 박아 넣는다
나) 카운터 포이즈(COUNTER POISE)방의
다) 래디알 어스(방사상 접지)등을 사용한다.
그리고 지향성은 무지향성이고 Impedance는 약 50 ohm정도이다.
Loading coil을 사용한 접지 ANTENNA는 실제로 길이로 설치할수 없을 때 사용하며,
@p183
가) Base Loading접지 ANTENNA는 차량 whip ANT등에 사용한다.
나) Top Loading 접지 ANTENNA는 장중파대 고정접지 Antenna로 사용한다.
다) 정관 그리고 중간 Loading coil형도 장중파대 고정접지 Antenna로 사용한다.
2) G.P Antenna(Ground plane Antenna)
그림 13-11 (a), (b)는 Ground plane Counter poise 접지 Antenna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주로 VHF BAND 이상에서 사용된다
그림 13-11 (c), (d)는 래디얼을 알루미늄 또는 동선을 이용한 Counter poise 접지방식으로 주로 VHF BAND대에서 지상 접지가 불가능할 때 많이 사용하는 방식이다.
@p184
그림 13-12는 5파장 2단 GP Antenna로써 파장에 비해 약 6(dB) 이득을 갖는 Antenna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P186
수평 Dipole Antenna는 약2파장 Antenna로 비접지형이다. 8자형 지향성을 갖고 있으며 (그림 13~13 (b))와 같이 동축 Cable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룬(Balun)을 사용하여야 한다. (그림 13~14)와 같이 역 V형 Dipole Antenna로써 급전점간의 각도는 60 도에서 120 도사이에서 impedance를 조정한다.
(그림 13~16)과 같이 급전점에서 전류와 전압의 위상이 90 도가 되기 위해서 7MHz Dipole Antenna에 제3고조파인 21MHz만이 Impedance matching이 됨을 알려 주고 있다.
3) YAGI ANTENNA(일명 BEAM ANTENNA)
야기 Antenna는 일명 Beam Antenna로써 반파장 Dipole Antenna에 반사기 또는 도파기를 첨부한 것으로 (a)와 (b)에서와 같이 2Element 즉 복사기+반사기인 야기 Antenna는 약 6(dB)의 이득 즉 Dipole에 비해서 201og2=20*0.3010=6(dB) 이득이 생긴다.
@p187
@p188
(그림 13-18)에서와 같이 3Element 즉 도파기 + 복사기 + 반사기인 야기 Antenna는 약 9(dB)의 이득이 생긴다. 즉 201og3 = 20^16^0.477 = 9(db)의 이득이 Dipole 비해 우수하다.
한편 반사기는 유도성 Element로 동작하고 복사기는 공진됨으로 지향성으로 동작하며 도파기는 용량성 Element로 동작한다. 지향성은 단일 지향성으로 도파기쪽으로 단일 지향성을 갖는다.
(그림 13~20)은 복사기(라디 에터) Element Impedance를 정합시키는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써 주로 감마 정합을 많이 사용한다.
4) CQ ANTENNA(큐비컬 쿼드 Cubical Quad ANT)
(그림 13~21)과 같이 Cubical Quad Antenna 모양에서 주로 사각형 CQ Antenna가 많이 이용되고, 엘레멘트 길이는 전파장인 m를 사용한다. 지향성은 YAGI Antenna와 같다.
@p189
(표1)은 (그림 13-22)와 같은 큐비컬쿼드안테나 제작시 필요한 데이터이다. 이 CQ Antenna 역시 YAGI Antenna와 같이 반사기 , 복사기 몇개의 도파기를 첨부하면 매우 좋은 지향성을 갖는 Antenna가 될 수 있다.
^24,126^. BALUN TRANS의 권선방법
(그림 13~23)과 같이 평형 Antenna에 동축 Cable과 같은 불평형을 사용하면 TVI또 전화 I같은 것이 발생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평형을 불평형으로 하기 위해서 Balun(Balance to Unbalance의 약자)을 사용한다
(그림 13~23)은 바룬 트랜스의 권선 방법이다.
@p190
(그림13~24(a))와 같이 ZA^46,25,25^ZO인 경우 TX와 ANT의 Impedance가 다른경우 TX와 ANT 사이에 Q matching 즉 matching을 행함으로써 Impedance matching이 행하여진다.
(그림 13~24(b))에서 보자.
ZA = 52ohm ZQ = 75 ohm ZO = ZA/ZQ의 자승 = 108 ohm 즉 108 ohm을 2개 병렬 접속시 54 ohm으로 된다. 즉 TX에 matching시키는 방법이다.
@p191
^15,126^. 공중선 설치하기
#1 공중선은 지상이나 옥상지면으로부터 최소한 10m이상의 높이에 설치하고, 벽면이나 장애물로부터 떨어져 설치하는 것이 좋다.
#2 다이폴 안테나의 애자는 클수록 좋으며, 사기, 프라스틱, 고무 등의 종류가 있다.
#3 다이폴 안테나선은 여러가닥으로 꼬여 있는 황동선이 좋으며, 고무피복이 되어 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해도 무방하다.
#4 다이폴 안테나선을 수평으로 쭉 펼칠 장소가 모자라면, 가운데에 지주 봉을 세워서 V형이나 역V형 꼴로 세워서 사용할 수 있다
#5 다이폴 안테나에는 결합기(COUPLER)대신 바룬(BALUN)을 넣는 것 이 SWR값을 줄일 수 있고 조정을 간단히 할 수 있어 좋다.
#6 145/430/1200MHz의 GP안테는 IBAND를 1주씩 세우는 것이 감도나 성능면에서 바람직 하나, 장소문제 라든지, 여러 BAND를 한꺼번에 COVER하기 위해서는 DUAL혹은 TRIBAND용 안테나로, 이득이 높은 것을 택해서 설치 사용할 수 있다.
@p192
#7 피뢰침은 어떤 안테나보다 상부에 위치해 있어 야 하며, 피뢰침 LINE 및 어스LINE은 굵은 황동선을 쓰는 것이 좋다.
#9 철봉 1기의 길이 는 6m이고, 설치 할 안테나의 종류 및 수량에 따라 철봉 굵기를 정해서, 꼭맞는 베어링을 철탑 제 일 위 에 미 리 박아놓아야 유격 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10 지상에서 안테나를 조립하고,SWR(정재파비)을 대략 맞춘후 올려야 여러번 올렸다 내렸다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11 GP안테나에는 RG8이나 SD2V(50 ohm 용)의 동축케이블을 사용하고 DIPOLE안테나의 임피던스는 75 ohm 이나, 송신기출력 Impedance는 50 ohm임으로 Dipole Ant 역시 50 ohm으로 조정하여 RG-7계통의 동축케이블을 써 주어야 손실을 줄일 수 있고 매칭 시키기가 쉽다.
#12 주위에서, 본인의 안테나가 제일 높이 솟아 있을 경우에는 항공 점멸등을 설치해 놓는 것이 안전에 도움을 준다.
#13 선과 선을 연결하는 곳이나, 콘넥타 접속부에는 부식과 방수를 위하여, 방수 OIL를 도포하고, 빗물이나 습기가 스며들지 못하도록 테 이 프로 단단히 테이핑해 주어야 한다.
#14 철탑의 중앙 잘 보이 는 곳에 "위험 고전압"이란 첫말을 붙여 둔다.
#15 안테나에서 내려온 여러 BAND용 케이블과 무선기기를 연결시키는 데는 COfUAL SWITCH를 써주는 것이 번거로움이나 손실을 막을 수 있다.
#16 안테나는 설치가 까다롭고, 성가신 일이므로 예산을 세워 한꺼번에 설치나 보수를 하는 것이 비용을 줄일 수 있다.
@p193
바. 접지 방법
1) 직접 접지 방법
접지 저항값을 측정하는 전극법으로 대지와 접지판 X사이의 접지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을 표시한 것이다.
2) 접지의 변형(카운터 포이즈 형: COUNTER POISE)
Counterpoise접지 방식은 실질적으로 접지를 행하기가 힘든 암반, 사막지대 또는 Antenna와 대지사이에 거리가 먼 경우 접지 저항 손실이 큰 경우 이 방식이 사용된다.
@p194
7. 급전선
보통 햄들이 사용하는HF대^5,23^VHF대 및 UHF대의 안테나 타워 또는 파이프가 건물의 옥상 등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송^5,23^수신기와 떨어져있다. 그래서 안테나와 송^5,23^수신기와의 사이에 고주파의 에너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선로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전송선로를 급전선(피더)이라고 한다.
가. 진행파와 정재파
1) 진행파
급전선상을 전압파와 전류파가 동위상으로 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파를 진행파라고 한다. 이 경우 급전선상의 전압^5,23^전류의 진폭은 어느 범위의 길이까지는 거의 그 크기가 일정 하다.
2) 정재파
급전선에 가한 전압과 전류의 진행파가운데 일부가 안테나의 급전점에서 반사되어 역방향으로 되돌아가는 반사파가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진행파와 반사파의 간섭에 의해 생긴 합성파가 급전선상을 이동하지 않고 정재하고 있는 파를 정재파라 한다
다시 말해서 급전선의 특성임피던스에 대하여 안테나의 임피던스가 정합(매칭)되지 않으면, 급전선과 안테나의 결합부에서 반사파가 나타나고, 급전선상의 전압과 전류의 크기 가 일정하게 되지 않아 정재파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송신기로부터 보내진 진행 파전력 Pf(W)가 결합부에서 그 일부가 반사되며 반사전력 Pr (W)는 다음과 같이 된다.
P =Pf -Pr [W]
@p195
^14,126^. 급전선의 분류
1) 구조상 분류
급전선을 구조상 분류하면 다음과 같이 되며 , HF대나 V/UHF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평행 2선식 급전선과 동축케이블이다. 단선식 급전선은 특수한 용도에서 사용되고, 도파관은 주로 마이크로파대에서 손실을 적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 평 행2선식 급전선
나) 동축 급전선(동축케이블)
다) 단선식 급전선
라) 도파관
2) 동작상 분류
급전선을 동작상으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가) 동조 급전선
나) 비 동조 급전선
^24,126^. 동조 급전선
정재파가 분포하고 있는 급전선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급전선이 짧은 경우에 사용하고, 긴 경우에는 정재파에 의해 손실이 증가한다. 보통 평행 2선식을 사용한다.
가)급전선상에서는 전압과 전류의 진폭이 같지 않으므로 입력임피던스는 길이에 의해 크게 변화한다.
나) 안테나의 급전점과 급전선과의 결합부에서 정합을 할 필요가 없다.
다) 전송효율은 비동조 급전선보다 나쁘다.
@p196
라. 비동조 급전선
진행파만을 전송하는 급전선을 말하며, 급전선이 긴 경우에 사용한다. 보통 평행2선식 또는 동축식을 사용한다.
1) 입력임피던스는 급전선의 길이에 관계없이 항상 특성임피던스와 같으므로 그 길이는 제한이 없다.
2) 안테나의 급전점 임피던스는 급전선의 특성임피던스와 같게 해야하므로 정합을 할 필요가 있다.
3) 동조 급전선보다 전송효율이 좋다
^15,126^. 정재파비 (SWR)
비동조 급전선도 정합이 잘 되어 있지 않으면 약간의 정재파를 발생한다 이 때 전압의 최대값(또는 전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비를 정재파비(SWR)라고 한다
다시 말해서 그림 13-26과 같이 급전선상의 정재파 최대전압(Emax)과 최소전압(Emin)의 비를 전압 정재파비 (VSWR)라고 하며, 진행 파전력을 Pf, 반사전력을 Pr 이라고 할 경우 SWR은 다음과 같다.
따라서 SWR은 반사파전력이 작을수록 작게 되며, 반사파전력이 영(0)일때에는 1이 된다.
@p197
바. 급전선의 특성임피던스
1) 평행2선식 급전선의 경우
(그림 13~27)과 같이 평행하는 두선이 대지에 대하여 평행하고 두 선이 같은 종류의 선으로 완전히 평행선으로 되어 있는 경우, 선의 직경을 d(cm), 두 선의 간격을 D(cm)라고 하면 그 평행 2선의 특성임피던스 Zo(ohm)는 다음과 같다.
2) 동축케이블의 경우
그림 13-28과 같이 중심도체와 외부도체와는 보통 폴리에틸렌 등에 의해 절연되어 있으며, 중심도체를 외부도체의 중심에 유지하고, 일반적으로 외부도체는 접지해서 사용한다. 불평형 급전선이라 하기도 한다 외부도체의 내경을 Dl[cm], 중심도체의 외경을 D2[cm]라 하면 특성임피던스 Zo[ohm]는 다음과 같다.
@p198
사. 도파관
평행2전식 급전선이나 동축케이블은 전송하는 주파수가 높게 되면 저항손^5,23^유전체손^5,23^방사손 등의 손실이 증가해서 효율 좋게 고주파전류를 전송할 수 없기 때문에, 마이크로파대의 전송로로서 내부가 비어 있는 금속관을 사용한다. 이것을 도파관(wave guide)이라고 하며, 도파관의 단면은 사각형모양과 원형의 것이 있다.
@p199
제 14장
기기조작 방법
단파(HF)대 송수신기
1. 각부의 명칭과 기능
가. 전면부(Front panel)
@p200
#1 POWER(전원) 스위치
전원 스위치입니다
#2 DIM(디머)스위치
디스플레이판넬의 조명을 조절하는 스위치입니다.
#3 VOX/MAN 스위치
VOX로 운용하는 경우(SSB, FM, AM운용시)및 브레이크인 운용을 하는 경우(CW운용시)의 스위치입니다. ON으로 mic 입력 또는 Key를 누르면 송신상태 그렇지 않으면 수신상태로 된다.
#4 FULL/SEMI 스위치
CW모드에서, 송수신의 변환방식을 선택하는 스위치입니다.
#5 AIP스위치
AIP는 Advallced Intercept Point의 약자입니다. 듣기 좋은 상태로 사용하십시요. 이 스위치를 ON하면 인접한 강한 신호에 의한 방해에 효과가 있습니다.
초기설정은 9.5MHz미만이 되면 자동으로 ON으로 됩니다.
주의: ON인 상태에서 약 10dB게인이 내려갑니다.
#6 HIGH BOOST스위치
송신음질의 고역이 강조됩니다. 사용하는 마이크로폰의 특성이나 공중상태에 따라서는 명료도가 향상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7 미터
수신시에는 신호강도(S메터), 송신시는 POWER(파워미터), 및 METER키에 의해 SWR, ALC또는 COMP를 표시합니다. 피크홀드표시로 할 수도 있습니다.
주의: 무신호시에 S미터가 1-2눈금이 점등하는 경우가 있으나 고장은 아닙니다.
@p201
#8 필터표시
선택되어 있는 필터를 표시 합니다.
#9 M.CH(메모리 채널)표시
메모리채널 동작 시에 점등합니다.
PRG(프로그램)표시
구간지정 메모리 채널동작시, 또는 프로그램스캔 동작 시에 점등합니다.
SCAN(스캔)표시
스캔동작시에 점등합니다.
M.LSCR(메모리 스크롤)표시
M.IN키를 눌렀을 때 점등합니다
PITCH(피치 )표시
PITCH기능이 ON일때 점등합니다.
SPLIT(스프리트)표시
스프리트동작시에 점등합니다. 이때 송신주파수와 수신주파수를 별개로 동작시킬 수 있다.
F.LOCK표시
F.LOCK키가 ON일때 점등합니다.
RIT(릿트)표시
RIT스위치가ON일 때 점등합니다. 이때 송신주파수는 변동하지 않고 수신주파수만 약 2.5kHz까지 가변시킬 수 있다.
XIT표시
XIT스위치가ON일 때 점등합니다. 이때 수신주파수는 변동하지 않고 수신주파수만 약 2.5kHz까지 가변시킬 수 있다.
@p202
#10 주파수표시
VFO 또는 메모리 채널의 주파수를 표시합니다.
10MHz의 자리를 지울수가 있습니다
#11 메모리 채널번호
메모리 채널번호를 표시합니다.
#12 표시
메모리 채널 록아우트가 지정되어 있을때에 표시합니다
#13 ON AIR 인디케이터
송신시에 점등합니다.
#14 AT TUN 인디케이터
안테나튜너의 동작을 표시합니다. 안테나튜너가 튜닝 중 또는 프리세트중에 점등합니다.
#15 AIP 인디케이터
AIP 스위치가 ON일 때 점등합니다.
#16 MHz 인디케이터
1MHz키가 ON일 때 점등합니다.
#17 NOTCH 인디케이터
NOTCH 스위치가 ON일때 점등합니다.
#18 LSB표시
LSB모드가 선택되어 있을 때 점등합니다.
USB 표시
USB모드가 선택되어 있을 때 점등합니다.
CW표시
CW모드가 선택되어 있을때 점등합니다.
CW-R 표시
CW(리 버스)모드가 선택되어 있을때 점등합니다.
FSK 표시
FSK모드가 선택되어 있을 때 점등합니다.
FSK-R 표시
FSK(리버스)모드가 선택되어 있을때 점등합니다.
FM 표시
FM모드가 선택되어 있을 때 점등합니다.
FM-N 표시
FM(Narrow)모드가 선택되어 있을 때 점등합니다.
AM 표시
AM모드가 선택되어 있을 때 점등합니다.
TUNE 표시
TUNE모드일 때 점등합니다.
FINE 표시
FINE 기능이 ON일때 점등합니다.
TONE표시
TONE기능이 ON일 때 점등합니다.
@p205
#19 RIT/XIT가변폭표시
송수신주파수의 가변폭을 10Hz자리까지 표시합니다. 마이너스측으로 세트했을 때는 -표시를 합니다.
스캔동작시에는 스캔스피드를 표시합니다.
@p204
#20 NOTCH(노치 필터) 손잡이
수신하고 있는 대역내에, CW같은 단신호의 혼신이 있는 경우, NOTCH스위치를 ON하고 NOTCH손잡이로 비트혼신이 최소가 되도록 조정하여 주십시요.
#21 SQL(스켈치)손잡이
무신호시 잡음을 없애고 싶은 경우, 이 손잡이를 시계방향으로 천천히 돌려서,잡음이 없게 되도록(임계점)세트하십시요. 이와같이 SQL손잡이를 조정하면, 상대국의 신호가 들어올 때만 소리가 들립니다
임계점의 위치는 모드에 따라 다릅니다.
#22 NB LEVEL(노이즈브랭커레벨)손잡이
노이즈브랭커의 동작레벨을 조정하는 손잡이입니다. 노이즈의 상태에 따라 동작레벨을 세트하여 주십시요.
#23 NB2 WIDTH(노이즈브랭커펄스폭조정 )손잡이
NB2동작 시에 브랭킹펄스폭을 가변하는 손잡이 입니다.
주의
가) 딱따구리 노이즈이외에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나) 이 손잡이를 지나치게 돌리면 목적신호가 도중에 끊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최적인 위치에서 사용하여 주십시요
#24 B7IT스위치
RIT동작을 ON/OFF하는 스위치입니다.
#25 XIT스위치
XIT동작을 ON/OFF하는 스위치입니다.
#26 NOTCH(노치필터) 스위치
ON으로 하면 노치필터가 동작합니다.
주의: FM모드에서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27 NBl(노이 즈브랭커 1) 스위치
자동차의 이그니션노이즈와 같은 펄스성 노이즈가 많을 때 ON으로 하여 주십시요.
NB LEVEL손잡이로 동작레벨을 가변할 수 있습니다.
@p205
#28 NB2 (노이즈브랭커 2)스위치
딱따구리(레이더펄스에 의한 노이즈의 통칭)가 있을 때 ON으로 하여 주십시요.
주의
가) 신호의 브랭킹시간이 길게 되기 때문에 브렝킹음이 납니다만 이상은 아닙니다.
나) 딱다구리 노이즈상태에 보다 효과가 적은 경우가 있습니다.
#29 REC/SEND 스위치
REC위치에서 수신상태, SEND위치에서 송신상태로 됩니다.
#30 THRU/AUTO 스위치
AUTO(오토)로 하면 송신시, 안테나튜너사용으로 됩니다
THRU(스루)로 하면 안테나튜너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31 AT TUNE 스위치
THRU/AUTO스위치가AUTO일때 이 스위치를 ON으로 하면 송신상태로 되고, 안테나튜너가 안테나와의 매칭을 자동으로 합니다.
@p206
#32 PHONES 잭
헤드폰용 출력 단자입니다.
#33 MIC(마이크로폰)단자
별매인 마이크로폰을 접속하여 주십시요
#34 AGC스위치
AGC회로의 시정수 변환과, AGC회로를 OH로하는 스위치입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변환하여 사용합니다.
OFF: 극히 약한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 경우 S미터는 흔들리지 않게 됩니다.
FAST: CW 및 데이터통신을 수신하는 경우나 동조손잡이를 빨리 돌려서 선국하는 경우
MID: FAST와 SLOW의 중간의 시정수입니다.
SLOW: SSB모드를 수신하는 경우
주의
FM모드에서는 AGC스위치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35 KEY SPEED손잡이
엘렉트로닉 키어의 스피드를 가변하는 손잡이 입니다. 시계 방향으로 돌릴수록 빨리 됩니다.
#36 CAR손잡이
CW, AM, FSK운용시의 케리어레벨을 조정하는 손잡이 입니다.
#37 6dB ATT(어테뉴에이터)스위치
입력신호를 6dB감쇠시키는 손잡이 입니다.
@p207
#38 12dB AfT(어 테뉴에 이 터 )스위치
입력신호를 12dB감쇠시키는 손잡이입니다
양쪽모두ON으로하면, 입력신호를 18dB감쇠시킬 수가 있습니다.
매우 강력한 신호를 수신하면 찌그러짐이 생기거나, 이러한 전파의 주파수가 근접하여 방해를받는 경우는, 목적신호를 잘 수신할 수 있는 위치로 세트하여 주십시요.
#39 PROC(프로세서)스위치
SSB로 송신시, 이 스위치를 ON으로 하면 스피치 프로세서가 동작합니다.
#40 PROC(프로세서)손잡이
스피치프로세서 회로로의 입력 레벨을 가변하는 손잡이 입니다. 이 손잡이로 콤프레젼레벨을 가변할 수 있습니다. 또, 콤프레션레벨은 10dB이내에서 사용하도록 권해드립니다.
#41 MONI(모니터)손잡이
송신모니터의 음량을 조정하는 손잡이 입니다.
SSB, FSK모드일 때 동작합니다.
#42 MONI 스위치
송신신호를 모니터 할 수가 있습니다.
SSB, FSK모드일 때 동작합니다.
#43 MIC(마이크게인)손잡이
SSB, AM모드의 마이크게인조정에 사용합니다.
SSB에서는 송신시에 ALC메타의 흔들림이 ALC존을 넘어가지 않도록 조정합니다.
#43 PWR(송신출력 )손잡이
모든 모드에서 파워콘트롤을 합니다
시계방향으로 끝까지 돌리면 최대출력으로 됩니다.
@p208
#45 METER(미터)키
송신때의 메타지시를 다음과 같이 변화할 수 있습니다.
SWR: SWR값을 지시합니다.
ALC: ALC동작상태를 지시합니다.
COMP: 스피치 프로세서를 동작시켰을 때, 콤프레션의량을 지시합니다. PROC 스위치가 ON이고, SSB모드일 때 선택 할수 있습니다.
#46 8.83 FILTER(필터)키
8.83MHz의 필터를 선택하는 키입니다.
#47 455FILTER(필터 )키
455kHz의 필터를 선택하는키 입니다.
#48 텐키
ENT키를 눌렀을 때는 텐키로되고, 주파수의 다이렉트인에 사용합니다.
메모리스크를 상태일 때는, 메모리 채널의 선택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PLAY REC키
송신하려는 음성 또는 CW메세지를 녹음, 재생할 수가 있습니다. (음성을 녹음, 재생하려면 디지털레코딩 유니트DRU-2(별매)가 필요합니다)
TUNE키
송신시의 파워를 PWR손잡이의 위치에 관계없이 정격의 약반으로 합니다. S타입에서는 리니어앰프의 조정에 사용합니다. 수신시는 W의 제로비트에 맞추면 상대의 주파수에 제로인 할 수 있습니다
FINE키
동조손잡이의 1회전을 1kHz(1Hz스텝)으로 하여 동조하기 쉽게 합니다.
다시 한번 누르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갑니다
REV키
CW 모드시의 BFO는 초기상태 에서 USB측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키를 ON하면 LSB측의 BFO로 수신할 수 있습니다 FSK모드시의 BFO는 초기 상태에서 LSB측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키를 ON으로 하면 USB측의 BFO로 수신 할 수가 있습니다.
ON일 때는 송신 때도 역쉬프트로 됩니다
PITH키
PITH기능을 ON/OFF하는 키입니다.
@p209
#49 CLR(크리어)키
메모리입력을 다시하기
텐키에 의한 주파수입력을 다시하기,
메모리채널의 소거,
건너뛰고 싶은 채널의 지정,
전원투입시의 기능설정의 해제,
음성녹음의 소거,
CW메세지 메모리의 종료,
재생의 취소,
기능의 해제, 등을 할 때에 누릅니다.
#50 ENT(엔터)키
이 키를 누르면, 텐키를 사용하여 주파수를 다이렉트인 할 수 있습니다.
#51 M. IN키
메모리하거나, 메모리채널을 스크롤(메모리 내용을 체크)할 때에 누릅니다.
누를 때마다 자동으로 1채널씩 메모리채널을 업(UP)할 수도 있습니다
#52 M -> VF0키
메모리채널의 주파수를 VFO로 쉬프트(전송)할 때에 누릅니다.
@p210
#53 SCAN키
스캔을 개시시키는 키입니다.
#54 MODE(모드)키
모드를 선택하는 키입니다. MODE키를 누르면 그 모드의 처음 1문자를 모르스부호로 스피커에서 출력됩니다.
LSB/USB키
한번 누를 때마다 LSB - USB로 변합니다.
CW/FSK키
한번 누를 때마다 CW(R) - FSK(R)로 변합니다.
FM/AM키
한번 누를 때마다 FM(N) - AM으로 변합니다.
#55 동조손잡이
수신주파수를 선택하는 손잡이 입니다
회전토오크의 조정
동조손잡이의 밑에 있는 링을 한손으로 고정하고 다른 한손으로 동조손잡이를 돌려 주십시요. 우(시계방향)로 돌리면 회전토오크가 커집니다.
@p211
#56 Function(기능)키
TS-SET키
SPLIT(^16^자교차) 동작시에 있는 링을 한손으로 고정하고 다른 한손으로 동조손잡이를 돌려주십시요. 우(시계방향)로 돌리면 회전토오크가 커집니다.
A-B키
VFOA와 VFOB의 주파수, 모드 및 필터를 일치시키는 키입니다.
A(VFOA)키
RX: VFO A로 송수신 할 때 누릅니다.
TX: VFO A로 송신할 때 누릅니다.
B(VFOB)키
RX: VFO B로 송수신 할 때 누릅니다.
TX: VFO B로 송신할 때 누릅니다.
A. CH(메모리채널)키
RX: 메모리채널로 송수신할 때 누릅니다.
TX: 메모리 채널로 송신할 때 누릅니다
@p212
주의: RX키를 누르면 TX도 같은 VFO 또는 M.CH로 됩니다. SPLIT에 의한 교신을 하고 싶을 때는 다시 RX와 다른 VFO또는 M. CH의 TX키를 눌러 주십시요.
1MHz키
UP/D0WN스위치를 아마추어밴드의 업다운에서 1MHz스텝의 업다운으로 변환하는 입니다.
F.LOCK키
표시 주파수 및 모드 등을 잠그는 키입니다. 록시에도 TF-SET, FILTER, METER, VOICE키, AIP, RIT, XIT 스위치 및 RIT/XIT 손잡이는 동작합니다.
#57 QUICK MEMO M.IN키
퀵메모리용의 메모리를 입력하는 키입니다
#58 QUICK MEMO MR키
퀵메모리용의 메모리를 호출하는 키입니다.
#59 VOICE(보이스)키
음성합성유니트 VS-2(별매)를 부착하고, 이 키를 누르면, 수신주파수(TF-SET동작시는 송신주파수)를 음성으로 알려줍니다 또, 전원투입시의 기능설정상태인 때는 메뉴번호와 그 내용도 음성으로 알려줍니다.
#60 UP/D0WN스위치
아마추어밴드를 변환하는 스위치입니다.
UP 스위치를 누르면 높은 주파수로, DOWN스위치를 누르면 낮은 주파수로 변환됩니다. 1MHz키가 ON일 때는 아마추어번드와 관계없이 1MHz스텝으로 변환합니다. 주파수스탭은 IMHr외에 500kHz, IkHz로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전원투입시의 기능설정이 ON일 때는
설정내용을 변경하는 스위치로 됩니다.
@p213
#61 RIT/XIT손잡이
RIT스위치가 ON일 때 송신주파수를 바꾸지 않고 수신주파수를 바꿀수 있습니다. XIT스위치가 ON일 때 수신주파수를 바꾸지 않고 송신 주파수를 바꿀 수 있습니다.
스캔 중에는 스캔스피드를 바꾸는 손잡이로 됩니다.
#62 TONE 손잡이
음질을 가변하는 손잡이입니다. 시계방향으로 끝까지 돌린 것이 표준상태입니다. 반시계 방향으로 돌릴수록 고역이 커트 됩니다.
#63 M.CH/VFO CH 손잡이
메모리채널 동작시는 메모리 채널의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VFO 동작시는 주파수표시에 표시되어 있는 주파수를 바꿀 수 있습니다.
VFO동작시의 스탭주파수를 변경 할 수 있습니다. 전원투입시의 기능설정이 ON일 때는 메뉴번호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64 AF(오우디오게인)손잡이
음량을 조정하는 손잡이 입니다. 적당한 음량으로 사용하여 주십시요.
주의: 비프음 및 사이드톤의 음량은 AF손잡이의 위치에 관계없습니다.
@p214
#65 RF(17F게 인)손잡이
시계방향으로 끝까지 돌리면, 수신이득은 최대가 됩니다.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수신이득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 사용짐작으로 S미터의 흔들림과 같던가, 조금 작도록 조정하면, CW신호등에서 부호간의 노이즈가 적게됩니다. 이 경우에도,S미터의 지시는 바른 값을 나타냅니다.
통상 이 손잡이는 시계방향으로 끝까지 돌린 상태로 사용합니다.
주의: FH모드시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66 SLOPE TUNE HIGH손잡이
SSB, CW, FSK, AM 수신일 때 혼신을 제거하는 손잡이입니다.
#67 SLOPETUNE LOW 손잡이
SSB, CW, FSK, AM 수신일 때 혼신을 제거하는 손잡이입니다
@p215
^14,126^. 후면부(Rear panel)
#1 GND(그라운드)단자
샤시를 접지하는 단자입니다. 어스봉, 동판등을 땅속에 묻고, 굵은 선으로 가능한한 짧게 접속하여 주십시요.
#2 ANT(안테나)코넥터
M 형 코넥터를 사용하여 50 ohm인 안테나를 접속합니다
#3 휴즈
ACC 3코넥터용의 전원휴즈입니다.
#4 DC 단자
DC전원 입력 단자입니다
#5 ACC 4 코넥터
오토메틱 안테나튜너 AT-300(별매)를 접속하는 단자입니다.
#6 ACC 1 코넥터
디지털시그날프로세서 DSP-100(별매), 또는 퍼스컴 인터페이스 RS-232C(별매)를 접속하는 단자입니다.
#7 RTTY단자
FSK용키 단자입니다. 공장출하시는 쇼트핀이 붙어 있습니다
#8 DSP 1단자
디지털시그날프로세서 DSP-100(별매)을 접속하는 단자입니다
#9 DSP 2단자
디지털시그날프로세서 DSP-100(별매)을 접속하는 단자입니다.
#10 DSP 3 코넥터
디지털시그날프로세서 DSP-107(별매)을 접속하는 단자입니다.
#11 ACC 3단자
리모콘접속용 단자입니다
#12 SW 1 변환스위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가 붙어 있습니다. 오토메틱 안테나튜너 AT-307(별매)을 접속했을 때는 커버를 벗겨서 EXT로 변환하여 주십시요. 이때 내장된 안테나튜너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p216
#13 LINEAR AMP변환스위치
리니어앰프콘트롤용 릴레이를 동작시키는 스위치입니다.
#14 REMOTE(리모트)코넥터
리니어앰프 또는 외부기기등을 동작시키는 외부콘트를 단자입니다. 이 코넥터는 아래와 같이 내부에 접속되어 있습니다
#15 IF OUT 1 단자
스테이션모니터의 밴드스코프용 출력단자입니다. 이 단자는 IF필터전에서의 출력입니다.(8.83MHz)
#16 EXT SP(외부스피커)단자
외부스피커의 접속용 단자입니다.
#17 ANTI손잡이
VOX 동작중에 스피커에서 나는 음으로 VOX 회로가 동작하지 않도록 조정합니다. (또, 헤드폰 접속시는 ANTI VOX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p217
#18 GAIN손잡이
VOX 앰프의 이득을 조정하는 손잡이입니다
#19 DELAY손잡이
VOX, 세미브레이크인 동작시, 지연시간을 조정하는 손잡이 입니다.
#20 ELECTRONIC KEY 변환스위치
엑렉트로닉 키회로를 ON/OFF하는 스위치입니다. 전건(키)및 외부엘렉트로닉키로 CW운용을 하는 경우는 OFF로 하여 주십시요.
#21 Linear전환 스위치
증폭기 동작시 사용하는 스위치
#22 전건, 메뉴퓨레이터(키)를 접속하는 단자입니다. 직경 6.0mm인 프러그를 사용하여 주십시요
@p218
초단파(VHF) 대 휴대용 송수신기
1. 각부의 명칭 및 기능
가. 외형도
@p219
^14,126^. 각부의 기능
#1 안테나 연결단자
#2 외부 전원 연결잭: 어댑터의 잭을 연결합니다.
#3 외부 마이크 연결잭: 외부 마이크 연결단자를 연결합니다
#4 외부 스피커 연결잭: 외부스피커 연결단자를 연결합니다.
#5 출력선택버튼: 눌러져 있을 때에는 저출력, 평소에는 고출력으로 송신합니다.
#6 스켈치 조절장치: 내부 잡음의 상태를 조절합니다.
#7 음량 조절장치: 전원을 개폐하고 통화음량의 크기를 조절합니다.
#8 주파수 조절장치: 송수신 주파수, 톤 주파수 등 각종 주파수와 옵션기능들의 조정에 사용됩니다.
#9 손잡이끈 연결고리: 손잡이끈을 장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10 LCD 디스플레이: MHR-201의 각종 동작상태가 표시됩니다.
#11 벨트클립 장착부(뒤): 벨트클립을 장착하여 허리띠 등에 차고 다니며 사용할 수 있습니다.
#12 키버튼
#13 스피커/마이크
#14 충전잭(충전밧데리): 어댑터를 연결하여 밧테리를 충전할 수 있습니다
@p220
#15 충전등(충전밧테리): 충전시 점등됩니다.
#16 다기능 키버튼: 각종 기능 키들을 작동시킵니다.
#17 모니터 버튼: 송수신 톤주파수를 확인합니다.
#18 송신버튼: 누르고 있는 동안 송신할 수 있습니다
#19 조명버튼: 디스플레이에 조명을 비춰줍니다.
#20 밧테리 잠금장치: 밧테리팩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켜 줍니다.
다. 키버튼기능 설명
1. T-SQL: 톤주파수의 메모리/사용
2. DTMF: 터치톤의 메모리/사용
3. +/-: 복신주파수 분리 간격 조정
4. D-SQL: DTMF 호출의 메모리/사용
5. BEEP: 신호음제거기능 작동/해제
6. REV: 송수신 주파수 교환
7. SAVE: 전원절약기능 작동/해제
8. M-SET: CONFIGURATION MENU 호출
9. M-CLR: 메모리채널 제거
0. V-SC: 빈주파수 탐색
A. LOCK CA: 키버튼 잠금기능, 작동/해제, 호출 주파수 메모리, 입력/사용
B. P-SC PR: 우선 주파수 메모리 탐색, 우선 주파수 메모리, 입력/사용
C. M-WR MR: 각종 주파수 메모리 입력, 상용 주파수 메모리 사용
D. MVFO CLR VF: 메모리채널의 수동모드로의 전환, 기본 세팅의 재조작, 각종기능 프로그램
SC: 주파수/메모리 채널탐색 CONFIGURATION MENU 모드 변환
SC: 주파수/메모리채널탐색 CONFICURATION MENU 호출
@p221
라. 디스플레이 설명
1. 다기능버튼 작동표시
2. 방전표시
3. 주파수 사용중 표시
4. 송신표시
5. 복신주파수 분리간격 표시
6. 호출표시
7. 메모리채널표시
8. 메모리채널 번호 및 CONFIGURATION MENU상태표시
9. 수신신호의 강도표시
10. TONE주파수 사용표시
11. 빈채널 탐색표시
12. 전원절약기능 작동표시
13. 송신금지표시
14. 키버튼 잠금기능 작동표시
15. 터치톤 메모리 및 사용표시
16. 주파수 및 각종 옵션기능 상태표시
@p222
2. 전원 연결
상황에 따라 아래와 같이 3가지의 전원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 충전밧테리
충전 밧테리를 사용할 경우 충분히 충전시켰다가 자유롭게 휴대하고 다니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출력 상태에서 2.5W로 송신합니다. 처음 사용할 때에는 10시간 이상 충전한 후 사용하십시오.
^14,126^. 일반건전지
하부 밧테리팩에 1.5V 건전지를 넣고 장착하여 사용한다.
다. 외부전원
외부전원 연결잭에 어댑터나 자동차용 전원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p223
3. 조작(Operation)
가. 기본세팅의 재조작
MHR-201을 처음 사용할 때, MHR-201의 출고시 조정되어 있는 옵션들을 재조정할 때, 또는 메모리되어 있는 모든내용들을 지우고자 할 때 아래와 같이 조작하십시오.
1) 전원을 끈다.
2) F와 CLR버튼을 누른 채 전원을 켠다
주) 메모리된 모든 내용이 지워지므로 주의하십시오.
^14,126^. 스켈치와 음량조절
1) 음량조절장치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적당히 조절한다
2) 스켈치조절장치는 전원을 켠 상태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완전히 돌렸다가 시계방향으로 잡음이 없어지는 지점까지 돌린다. (과도하게 돌리면 약한 신호는 수신하지 못하므로 잡음이 없어지는 지점까지만 돌린다.)
3) 사용중 통화음량이 작아질 경우 스켈치 조절장치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려준다. 이때 통화음량은 커지지만 잡음이 생긴다.
@p224
다. 주파수 조절
아래의 3가지 방법으로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 역 은 144.000-146.000입니다.
키버튼 조작
주파수 조절장치 조작
주파수 탐색
1) 키버튼 조작
#1 전원을 켠다.
#2 VF버튼을 누른다.
#3 입력하고자 하는 주파수의 마지막 4자리수를 누른다.
(예)144.940-4940
참고) 입력도중 실수했을 때에는 CLR 버튼을 누르고 주파수 번호를 다시 누르십시오.
마지막 자리는 0과 5만 사용되는데 미리 조정된 주파수 편차에 따라 가까운 숫자로 조절됩니다.
2) 주파수 조절장치 조작
현재 주파수에 가까운 주파수로 조절할 때 편리합니다
#1 전원을 켠다.
#2 VF 버튼을 누른다.
#3 주파수 조절장치를 돌려 조절한다.
참고)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숫자가 올라가고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내려갑니다.
한번 "틱"거릴 때마다 한단계씩 변화되는데 단계의 폭과바꾸는 방법에 대해서는 "주파수편차의 조정"난을 참조하십시오.
@p225
3) 사용 가능한 주파수의 탐색
#1 SC나 SC를 1초 이상 눌러주면 사용 가능한 주파수를 찾을 수있다.
#2 송수신기는 전주파수대역에 걸쳐 아래 또는 위로 탐색을 시작하여 교신중인 주파수에서 멈추며 디스플레이에 "BUSY"라고 표시된다.
#3 탐색을 멈추려면 SC나 SC, CA, PR, MR, VF를 누르거나 전원을 끈다.
참고) 특별한 대역의 주파수 대역만 탐색하려면 F+ SC나 F+SC를 누르십시오.
탐색 옵션의 조절난을 참조하여 탐색범위, 주파수단계, 탐색 재개조건, 탐색 지체시간 등을 조절하십시오.
본 기기는 출고시 다음과 같이 조절되어 있습니다.
주파수 편차: 10KHz
탐색재개조건: 신호의 유무에 관계없이 10초 이내에 탐색재개
탐색 지체시간: 2초
탐색 범위: 144.000-146.770MHz
4) 빈 주파수의 탐색
2 meter band가 주로 사용되는 지역에서는 빈 주파수를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때에는 F+V-SE를 누르면 현재의 주파수에서 가장 가까운 빈 주파수를 아래 또는 위로 탐색합니다. 주파수 탐색방향을 바꾸자할 때에는 "빈 주파수 탐색 방향의 조정"난을 참조하십시오.
라. 수신
#1 전원을 켠다.
#2 음량과 스켈치를 적당히 조절한다.
#3 수신 주파수를 조절한다.
#4 이후 신호가 오면 수신을 한다.
@p226
^15,126^. 송신
송신 방법에는 단신과 복신의 두가지 통신 방법이 있습니다. 단신방식은 동일한 주파수로 송수신을 하며 복신방식은 각기 다른 주파수로 송수신을 하는데 중계기를 사용할 때에는 복신방식을 사용합니다. 즉, MHR-201로 중계기에 송신을 하면 중계기는 이를 수신하여 다른 주파수로 상대방에게 다시 송신합니다.
1) 단신 송신방법
#1 전원을 켠다.
#2 통신하고자 하는 주파수를 조절한다.
#3 디스플레이에 +나 -가 표시되면 F+ +/-버튼을 심볼이 사라질 때까지 반복해서 누른다.
#4 출력선택 버튼으로 송신출력을 조절한다
고출력 저출력
#5 송신버튼을 누르고 송신한다. 이때 디스플레이에 "TX"가 나타난다.
참고) 송신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만 송신이 가능하며 송신중에는 상대방의 말을 들을 수 없습니다.
송신버튼을 놓으면 수신대기 상태가 되어 상대방의 말을 들을 수 있습니다.
2) 복신 송신방법
#1 전원을 켠다.
#2 통신하고자 하는 주파수를 조절한다.
#3 디스플레이에 +나 -가 표시되면 F+ +/- 버튼을 눌러 (+)또는 (-)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4 출력선택 버튼으로 송신출력을 조절한다.
#5 송신버튼을 누르고 송신한다. 이때 디스플레이에 "TX"가 나타난다
참고) 송신 주파수가 주파수보다 600kHz보다 높을 때에는 F++/-를 누르면 디스플레이에 +가 표시됩니다. 600kHz이내 일 때에는 복신 주파수 분리간격을 새로 조절하거나 메모리에 송수신 주파수를 메모리하여 사용하십시오.("메모리 채널 사용법" 난과 "복신 주파수분리 간격의 조절" 참조)
@p227
바. 키버튼 작동금지
키버튼의 작동을 차단하여 입력된 내용이 뜻하지 않게 변경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습니다.
#1 F+LOCK을 누른다.
#2 디스플레이에 LOCK이 라고 표시되며 기능이 작동한다.
#3 다시 F+LOCK을 누르면 해제되어 키버튼이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사. 신호음 제거
평상시 아무 버튼을 누르면 신호음이 나는데 이 소리를 없앨 수 있습니다
#1 F+BEEP를 누른다. 이후 어떤 버튼을 눌러도 신호음이 나지않는다.
#2 다시 F+BEEP를 누르면 신호음이 난다
@p228
아. 송^5,23^수신주파수의 교환
복신방식으로 사용할 때 F+REV를 누르면 송수신 주파수를 서로 바꿀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44.940MHz를 수신 주파수로 144.340MHz를 송신주파수로 설정했을 때, F+REV를 누르면 144.340MHz가 수신 주파수, 144.740MH7가 송신 주파수가 됩니다.
^46,126^. 조명장치
#1 본체 측면의 L버튼을 누르면 5초간 디스플레이에 조명이 켜진다
#2 F+L을 동시에 누르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에 조명이 켜진다.
#3 다시 L버튼을 누르면 조명이 꺼진다.
^56,126^. 메모리채널 사용법
3개의 그룹에 걸쳐 16개의 주파수를 메모리하며 두었다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호출 주파수 메모리
우선 주파수 메모리
상용 주파수 메모리
1) 호출 주파수의 메모리
가) 메모리 방법
#1 VF를 누른다.
#2 메모리 할 주파수를 조절한다.
#3 CA를 누른다. 디스플레이에 와 기본주파수가 표시된다.
@p229
#4 톤주파수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F+T=SQL를 누르고 조절장치를 돌려 다음 #8-#11의 순서에 따라 조절한다. 이때 디스플레이에 T-SQL라 표시한다.
#5 F+M-WR를 1초 이상 눌러주면 조절된 주파수와 함께 주파수분리 간격(중계기사용시), 송수신 톤주파수가 메모리 된다.
#6 다른 송신주파수를 입력하고자 할때나 톤주파수를 바꾸고자 할때 에는 F+M-SET를 누른다. 디스플레이에 와 송신주파수가 나타난다.
#7 조절장치를 사용, 계속 다른 주파수를 입력한다
#8 송신 톤주파수를 입력할때 에는 SC를 누른다. 디스플레이에 TC와 톤주파수가 나타난다.
#9 조절장치를 돌려 톤주파수를 조절한다 톤을 원치 않을 때에는 OFF에 맞춘다.
#10 수신 톤주파수를 입력할 때에는 SC를 누른다. 디스플레이에 TC와 톤주파수가 나타난다
#11 조절장치를 돌려 톤주파수를 조절한다. 톤을 원치 않을 때에는 OFF에 맞춘다.
#12 송신버튼을 누르면 입력된 것이 보존되고 호출 주파수 메모리가 디스플레이에 확인된다.
나) 사용방법
#1 CA를 누른다
#2 송수신기는 호출 주파수를 찾아 송신주파수와 톤을 미리 프로그램해둔 대로 맞춘다.
#3 다시 CA를 누르면 기존의 조절상태로 되돌아간다.
2) 우선주파수의 메모리
3개의 우선주파수를 메모리할 수 있는데 송수신기는 이 주파수들을 사용할 동안 호출 주파수 메모리와 상용 메모리의 작동을 주기적으로 탐색합니다.
@p230
가)메모리 방법
#1 VF를 누르고 조절장치를 돌려 입력하고자 하는 주파수를 맞춘다.
#2 F를 누른 상태에서 주파수의 왼쪽에 Pl, P2, P3 중 하나가 나타날 때까지 주파수 조절장치를 돌린다.
#3 중계기를 사용하거나 톤스켈치를 주파수에 싣고자 할 때에는 F+T-SQL를 누른다. 이때 디스플레이에 "T-SQL"라 표시된다
#4 F+M-WR를 1초 이상 누르면 조절된 주파수가 메모리에 입력된다.
#5 주파수 분리간격이나 톤주파수를 바꿀 때에는 PR을 누른 뒤 조절장치를 바꾸고자 하는 우선주파수 메모리에 맞춘 다음 호출 주파수 메모리 절차의 #6-#12에 따라 조절한다.
#6 각 우선주파수 메모리는 각기 다르게 메모리 된다.
나) 사용방법
#1 PR을 누른 후 SC나 SC를 눌러 3개의 메모리 중 하나를 맞춘다.
#2 VF를 누르고 F+P-SC를 1초 이상 누르면 송수신기는 우선주파수 메모리를 4초간격으로 탐색한다.
#3 우선탐색시간을 수정하고자 할 때에는 "우선탐색시간의 조절"난 참조
#4 PR을 누른 뒤 SC나 SC를 1초 이상 누르면 3개의 우선주파수 메모리를 계속 탐색한다.
#5 송수신기는 미리 조절해 놓은 탐색조건에 따라 탐색을 멈춘다. ( "탐색조건의 조절" 난 참조)
주) 우선 주파수 메모리를 지속적으로 탐색하려면 2개 이상의 우선주파수를 메모리해두어야 합니다.
@p231
3) 사용주파수의 메모리
가) 메모리 방법
#1 VF를 누른 뒤 조절장치를 돌려 입력하고자하는 주파수에 맞춘다.
#2 F를 누르고 조절장치를 돌려 디스플레이에 주파수 옆에 메모리 번호가 나오도록 맞춘다.
#3 F+M-WR를 누르면 입력이 완료된다.
#4 주파수 분리 간격이나 톤주파수를 바꾸려면 PR을 누른 뒤 조절장치를 바꾸고자 하는 우선주파수 메모리에 맞춘 다음 호출 주파수 메모리 절차의 #6-#12에 따라 조절한다.
#5 각 메모리는 서로 다르게 메모리 된다.
나) 사용방법
#1 MR을 누른 뒤 조절장치를 돌리거나 SC나 SC를 눌러 12개의 메모리 중 원하는 하나를 찾는다.
#2 MR을 누른 뒤 SC나 SC를 1초 이상 누르면 송수신기 는 12개의 메모리들을 지속적으로 탐색한다.
#3 송수신기는 미리 조절해 놓은 탐색조건에 따라 탐색을 멈춘다. ("탐색조건의 조절" 난 참조)
4) 메모리의 제거
#1 PR또는 MR을 누른 뒤 제거하고자 하는 메모리를 선택한다.
#2 F+M-CLR을 누르면 현재의 메모리에 입력된 내용이 지워진다.
주) 상용주파수 메모리 1과 호출주파수 메모리는 지울 수는 없고 단지 다른 내용으로 바꿀 수만 있습니다.
5) 메모리 채널의 수동모드로 전환
#1 메모리 채널을 맞춘다.
#2 F+M -1 VFO를 누른다.
#3 메모리의 모든 내용이 수동작동모드로 전환된다.
@p232
6) 프로그램된 옵션의 확인
송신 주파수와 메모리 송수신 톤주파수 또는 조정된 VF주파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CA, PR, MR또는 VF를 누르고 확인해 보고자 하는 메모리 번호나 주파수를 맞춘다.
#2 톤 주파수를 확인하려면 F+T-SQL을 누른 후 모니터 버튼을 누른다.
#3 누르고 있는 동안 스켈치가 열리고 디스플레이에 송신 주파수가 1초간 나타나며 송신 톤주파수와 수신 톤주파수가 잇달아 표시된다.
^124,126^. 톤주파수 사용법
톤주파수를 사용해야만 작동하는 중계기가 있으며, 톤주파수를 수신해야만 작동하도록 송수신기를 조작할 수 있습니다. 이 무전기는 38개의 표준 톤주파수를 송신하도록 조작할 수 있습니다.
@p233
1) 입력방법
#1 디스플레이에 tc off나 re off가 나오도록 한다
#2 주파수 조절장치를 돌려 원하는 주파수에 맞춘다.
#3 톤 주파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off에 맞춘다.
#4 둘 중 하나만 사용할 수도 있다.
2) 작동 방법
#1 F+T-SQL을 누른다.
#2 이후 송신시에는 주파수에 톤주파수가 실려서 송신되며 수신시에도 톤주파수가 실린 신호만 수신한다.
#3 어떠한 메모리에든지 톤주파수를 첨가시킬 수있다.
@p234
초단파(YHF)대 차량용 송수신기
1. 각부의 명칭과 기능
가. 전면부(145MHz)
#1 동조손잡이: 주파수의 가변 및 각종설정에 쓰인다
#2 VOL손잡이:음량을 조절한다
#3 LOW/DIM키: 송신출력을 HUMID(TM-241/441만)/LOW로 바뀐다.
F키를눌러서 F표시가 켜있는 동안누르면 디스프레이 및 손잡이류의 일루미네이션의 밝기를 바꿀 수가 있다. F키를 1초 이상 눌러 F표시가 점멸하는 동안 누르면 타임아우트 타이머외 ON/OFF를 할 수 있다.
#4 POWER스위치: 전원의 ON/OFF를 합니다 VFO키, MR키를 누르면서 전원을 넣으면 각각 VFO 리세트, MR리세트가 된다. 또 마이크로폰의 PF키에 본체의 키를 프로그램 할 수 있다.
#5 SQL손잡이: 시계방향으로 돌려서 무신호시의 사-하는 음을 없애는 스켈치 동작에 쓰인다
#6 마이크로폰 단자: 마이크로폰 단자접속도(세트정 면에서 본 그림)
@p235
^14,126^. 디스플레이부 스위치
#1 VFO/M -V키
누르면 VFO동작으로 된다. 동조손잡이로 주파수가 바뀌어진다:
F키를 눌러 F표시가 켜져 있을때 누르면 메모리 채널이나 콜채널의 내용이 VFO동작으로 옮긴다. (메모리 쉬프트)
F키를 1초이상 눌러서 F표시가 점멸할 때 누르면 캐리어스캔과 타임스캔을 선택할 수 있다.
이 키를 누르면 전원을 넣고 다시 누르면 콜채널 및 메모리채널의 내용을 지우고 모든 데이터가 초기설정치로 된다. (VFO리세트)
#2 MHz/LOCK키
VFO동작시 누르면 107kHz이하의 주파수표시가 지워진다. 이 동안 동조손잡이 또는 마이크로폰의 UP/D0WN 스위치로 주파수를 1MHz스텝으로 바꾼다.
(MHz 토드) 약 10초가 지나던가 아무키 또는 PTT스위치를 누르면 해제된다.
LOCK키: F키를 눌러서 F표시가 켜져 있을 때 누르면 전면패널의 F키를 제외한 모든 키 및 동조손잡이는 작동하지 않게된다. (마이크로폰의 키는 동작한다) 다시 반복하면 해제된다.
F키를 1초이상 눌러서 F표시가 점멸하고 있을 때 누르면 오토파워 오프기능이 ON/OFF된다.
@p236
#3 MR/M키
누르면 메모리 채널동작이되고 동조손잡이로 메모리 채널이 선택됩니다
1초 이상 누르면 메모리채널스캔을 개시합니다.
F키를 누르고 동조손잡이로 메모리 채널을 골라 F표시가 켜져 있을때 누르면 표시중인 주파수가 메모리에 기억됩니다.
메모리채널 동작에서 F키를 1초이상 눌러 F표시가 점멸할 때 이 키를 누르면서 전원을 넣으면 메모리는 모두 초기설정 값으로 돌아갑니다.
다. 디스플레이 하단부
#1 콜채널을 ON/OFF시킨다
#2 표시중인 주파수에 대하여 벨기능을 ON/OFF시킨다
#3 누를 때마다 T, CTCSS, OFF로 변화된다. T와 CTCSS에서는 송신시에 미리설정 된 톤주파수를 부가한다.
@p237
#4 쉬프트중이거나 스프리트메모리 동작중에 송, 수신주파수를 반전시키는 키이다.
#5 DTSS기능과 페이징기능을 변환한다.
다음항의 조작은 먼저 F키를 눌러 F표시가 나와 있는 동안(10초동안)에 해당키를 눌러 준다.
표시중인 주파수를 콜채널 주파수로 기억한다.
어러트기능을 ON/OFF시킨다.
수신주파수에 대하여 송신주파수를 쉬프트 시킨다.
쉬프트 폭
TM 241 ±600kHz
TM 441 ±SHlz
TM 541 ±20kHz
동작중인 주파수 스텝이 표시된다. 동조손잡이 등으로 주파수스텝을 변경시킬수 있다.
ALT기능을 ON/OFF시킨다. (TM 541만)
다음항의 조작은 먼저 F키를 1초이상 눌러 F표시가 점멸되는 동안(10초간)에 해당키를 눌러준다.
프로그래머블 VFO의 하한주파수를 설정한다. TSS 또는 페이징 ON일때 딜레이 시간외 변경이 가능하다.
프로그래머블 VFO의 상한주파수를 설정한다. DTSS또는 페이징이 ON일때는 동작하지 않는다.
톤주파수가 표시된다. 그 동안에 동조손잡이 등으로 주파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비프음을 ON/OFF시킨다.
@p238
다. 디스프레이
#1 LOCK A.LOCK: LOCK기능이 ON일 때 켜집니다. ALL LOCK기 능이 ON일 때 켜진다.
#2 ALT: (TM-541 만)ALT 기능이 ON일 때 켜진다
#3 DTSS: DTSS 기능이 ON일 때 켜진다.
#4 DRS: DRU-1(별매)을 장착하여 DRS동작시 켜진타.
#5 APO: APO 기능이 ON일 때 켜진다.
#6 BUSY: 스켈치가 열려 있을 때 켜진다.
#7 ....: 수신시에는 S미터, 송신시에는 RF미터가된다.
#8 ON AIR: 송신하고 있을 때 켜진다.
#9 LOW MID: 송신출력이 LOW(또는 MID)인 것을 알려준다. 표시가 없으면 HI이다.
#10 T: T. O. T(타임아우트타이머) 기능이 ON일 때 켜진다.
#11 88: 동작중인 메모리채널번로를 나타낸다. (채널 넘버는 최후에 조작한 번호가 표시된다. ) 콜채널중에는 C표시가 켜진다.
@p239
#12 F: F키가 눌려져 있는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10초 이내에 다음동작을 행하도록 하라.
#13 종: 벨 기능이 ON일때 켜진다. 신호를 수신하면 점멸로 된다.
#14: CTCSS: TSU-6(별매)을 장착했을 때 톤주파수와 일치한 신호만 수신하는 톤스켈치동작중인 것을 나타낸다.
T: 톤이 ON일때 커진다.
#15 AL: 메모리채널 1을 5초마다 모니터하는 어러트 동작중임을 나타낸다.
#16 REV: 리버스 동작중인 것을 나타낸다.
#17 송신주파수, 주파수스텝, 톤주파수 등을 표시한다. 스캔중에는 점멸한다.
#18 + -: 수신주파수에 대한 송신주파수의 +-를 나타낸다. 표시가 없으면 송수신 주파수는 같다. (심플렉스) 스프리트채널중에는 +-가 동시에 켜진다.
@p240
라. 뒷면 파넬
#1 안테나 단자: 지정한 커넥터로 임피던스 50의 안테나에 접속을 한다
#2 전원커넥터: 부속된 DC코드를 통해 13.8V의 직류전원에 접속한다. DC코드는 적이 +극, 흑이 -극이다.
#3 휴즈홀더
#4 외부스피커용 단자: 임퍼던스는 8이다.
'책,영화,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전 서문 (0) | 2022.10.14 |
---|---|
세계역사를빛낸100사건 (0) | 2022.10.14 |
언제나 궁금했던 71가지 재미있는 말 이야기 (0) | 2022.10.14 |
오류선생전 (0) | 2022.10.14 |
용담유사 (0) | 2022.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