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의 시작#
"인간이란 무엇인가?" - 심리학의 물음 시작.
1) soul : 우주 삼라만상에 특성을 부여해 주는 초월적 실체
→ animism 物活論的 사고방식
삼라만상은 모두 같은 특성을 부여 받는다)
이것은 유아기에 나타나는 것과 비슷한 사고방식
어쩌면 가장 순수한 사고방식
2) physiology (相物論)
: 외형에 따라, 부여㎤은 특성이 차이가 남을 인정
"사람이 가장 잘 생겼다." 그러므로 가장 우월한 soul의
특성을 부여 받았다 (인간의 오만시작)
→ 원시종교의 시작, 기독교의 출발 (즉 더 우월한 특성을
부여받은 존재를 섬기는 것..
3) mind : 이때부터 인간만의 특성을 생각하기 시작(Greece부터)
mind-body problem 발생
즉, 일원론이냐 이원론이냐의 문제 아직도 미결의
문제이나 현대 심리학은 일원론의 입장에 가깝다.
"그렇다면 마음은 어디에 있는가?"
4) consciousness (의식/idea..)
인간 마음의 작용과정 과학적 분석의 시작
현대 심리학 1879. Wilhelm woudt - 심리학 실험실 창설
*왜 19C 말 부터 시작 되었는가? - 사상적 배경
+-지동설, 지구구체설 → 사람의 힘으로 밝혀내야 한다는 생각
| 즉 positivism(실증주의)의 확산
+-철학의 변화 → 존재론(형이상학)에서 인식론으로
+-진화론 → 생명관의 근본적인 변화
해부학, 조직학의 발달 →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인식
#의식의 연구#
1) 인식의 과정
"사과"=빨갛다+둥글다+시다+..+... sensation
의식= elements(i) (i=1~h)
→ structurism(구성주의 심리학) ; Woundt, Titchner
→ association (연합)
→ introspctrum (省察)
인식의 연구 ; sensationism, structurism, associationism,
introspectrumism
2) Functionalism(구조주의 심리학)
* James, Angell, Dewey..
종래의 심리학에 반대 : "모든 공통된 감각을 찾는 것은 불가능 하다,
그리고 찾을 가치도 없다. 개인간의 차이는
'의식의 기능' 이다."
→ functionalism individual difference를 주로 연구.
3) 행동주의 심리학
* 1913, Watson(미국), Koffka(독일)
Watson : 앞의 두가지 학설을 모두 반대 ('의식' 연구 자체를 반대.)
"심리학이 철학에서 독립한 이유는 '과학화' 이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철학이다. 그러므로심리학이 과학이 되기 위
해서는 객관적으로 관찰하고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객
객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것은 <behabior>이다. 이것만
이 객관적인 것이므로 이것을 심리학에서 다루어야 한다."
→행동주의 심리학의 시작
- Casual relationship -
+-행동의 결과 : response
+-행동의 원인 : srimulus
→ stimulus-response relationship
행동주의 심리학
a. 연구대상 : behabior → S-R relationship (대상의 변화)
b. 연구방법 : 실험 (방법론의 변화)
@ 실험 : variable(變因)
+-실험자가 체계적으로 변화시키는 variable : independent variable
| 실험자와 관계없이 고유의 variable : dependent variable
+-상황에 따른 환경 variable : random variable
→ random variable을 최대한 고정시키고(통제하고서) independent
variable을 변화 시켰을때 나타나는 dependent variable을 연구하는
것이 실험이다. (S1→R1, S2→R2, .....)
animal psychology(comparative psychology)
→사람에게는 할 수 없는 실험을 동물에게서....
* 의식은 부정하나 의식= elements(i) (i=1~h) 라는 요소주의적 입장은
그대로 이어진다.
4) Gestalt psychology
의식= elements(i) (i=1~h) 부정 (요소주의적 입장 부정)
- Koffka, Kohler, Weitheimer
→"부분이 모인다고 전체가 완정히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전체>라는
것에서 하나의 새로운 관계가 시작된다. 그러므로 전체를 분석해야 한다."
전체=Gestalt(..configuration) → 'perception'의 연구
* 독일의 패망이후 미국의 behavior psychology가 중심 그러나 1960년대
후반부터 다시 gestalt psychology 우세. (일제시대 경성제대에 설치됨.
우리나라의 주요학파)
5) 정신분석학
스스로 인식하는 의식을 다루는 종래의 심리학에 반대하는 새로운 의학적
정신분석학. Freud, Joug..
Freud 의식과 무의식을 빙산에 비유, 눈에 보이지 않는 무의식의 내용이
훨씬 더 크다고 주장. 본능적인 욕구인 무의식이 모든 행동의 원천
그러므로 무의식적 욕구체계를 분석하는 것이 인간을 이해하는 방법
이다.
→Depth psychology (의식세계를 계층화) = psycoanalysis
실증적으로는 검증하기 힘든 것이므로 정통심리학과는 거리가 있음
주로 부적응 행동자의 심리치료에 쓰임 → Counseling psychology
Maslow Roger "이전의 심리학은 결정론적이므로 올바르지 못하다."
ex) behabior : S-R relationship 즉 인간의 의식을 환경이
지배한다는것
depth : 인간의 생물학적 욕구가 의식을 지배한다는 것
결국 인간의 보든 증동성, 자주성, 주체성은 인정되지
않는다.
인간을 대상으로 실험해도 그들이 인간 일반을 대표하는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실생활을 하는 인간의 심리학을 해야한다.
→ humanistic psychology 인본적 접근
* 인간관의 변화
코페르니쿠스 인간중심의 우주관
다윈
K. Marx 사변적, 정신적 존재에서 물질에 끌려다니는 인간으로..
Freud 합리적 존재에서 스스로의 행동의 원인도 모르는 존재로..
Skener S-R relationship 인간의 자주성 부정
지난 100년간 심리학의 영역확대, 오늘날은 하나의 학파, 하나의 조류에 이끌
려 다니는것이 아닌 복합적 작용.
* 오늘날의 접근 방식
(1) 신경생리적 접근 (신경망 분석)
(2) 행동적 접근 (behabior..)
(3) 인지적 접근 (형태주의적 입장)
(4) 정신분석적 접근
(5) 인본적 접근
[심리학] - 인간의 삶 분석
(1) 환경과 인간은 반드시 관련된다. 환경세계와의 만남에서 심리학의 문제 출발
인간이 환경을 이해하는 과정, 인간의 外界 인식문제 → 심리학의 제1 문제
(2) 인간은 변화한다. 인간의 변화과정 추적 → 심리학의 제2 문제
+-환경세계가 동일할 샔 시간에 따른 변화
+-시간이 동일할 때 환경에 따른 변화
(3) 외부환경에서의 능동적 접근과정 → 심리학의 제3 문제
... 기초 심리학, 응용 심리학 모두 앞의 세가지 문제와 연결...
# mature personality (성숙성격)
Jung... 인간의 의식을 ego, self, 표층적 무의식, 심층적 무의식으로 나눔
self는 성격체계 사이에서 항상 긴장.
균형성격(balanced) - 모든것을 최대로 발휘
self-actualization은 균형성격일때만이 가능. self-actualization이 인간
의 삶의 목표이다. 그러므로 balanced personality를 이루는 것이 삶의
과정이어야 한다. 그러나 균형은 매우 힘든것으로...
대부분의 사람 +- self가 무의식에 좌우됨 → extrovert
+- self가 ego에 좌우됨 → introvert
" self-actualization된 balanced personality가 곧 mature personality
이다." - Jung
* Freud와의 비교
self는 Freud의 ego에, ego는 super ego에 해당. 그러나 Jung의 에고는
개인의 경험중 의식속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현실세계에서만 작용하나
super ego는 사회가 개인속에 내면화 된 것으로 id에 까지 영향을 미친
다는 점이 다르다. Freud의 id에 해당하는것을 Jung은 심층적과 표층적
으로 나누어 놓았는데, 표층적 무의식은 개체발생적인 개인의 경험에서
비롯되는 것이고 심층적 무의식 (ex) arche type : 어둠 등에 대한 공포)
은 집단무의식으로 계통발생적이고 조상
으로부터 전해진 경험에 의존하는 범인류적, 범문화적인 것이다. 즉 Jung
의 무의식은 생물학적 근거가 아닌 인간의 경험에서 근거를 찾는다.
(1) 성숙 성격의 연구
+-cross-sectional (횡단적) - 성숙인격자들의 특징연구.
+-longitudenal sectional (종단적) - 성숙 성격의 형성 단계 연구.
(2) 성숙 성격자의 특징
주체성 : 자신의 책임, 역할
자기 수용 : 현실속에서 자신을 객관화, 수용(자신의 이상 속에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현실 그대로의 모습을 인정.)
따뜻한 대인관계 : 타인에 대한 이해
자기 통일 : 화고한 인생관
문제 중심성 : 문제를 해결하는데 만족감, 자기 중심이 아닌 문제 중심
(3) 성숙 성격의 단계
에릭슨의 발달단계론, Masbw의 동기 위계설...
생리적 동기 → 안정욕구 → 소속, 애정동기 → 자존감 → self-actualization
(→ 상위동기)
사람의 동기에는 위계질서가 있다. 하위단계 동기가 충족되지 않으면 다음
단계가 나타나지 않는다. 어떤단계에서도 동일한 행동은 나올수 있다. 그러니
그 행동의 질은 강도나 크기에 의한것이 아니라 동기에 따라 틀려지는 것이다.
상위동기일수록 더 수준높은 행동, 즉 한인간의 모든 행동이 자기실현의 동기
에서 나올때가 가장 이상적인것이다.
* 동양사상, 종교에서의 핵심문제 또한 '이상적 인간'에 관한것이었다.
불교 : 見性成佛 ; 해탈, 사물을 깨닫는것, 벗어나는것.
도교 : 仙人(가장 이상적..) → 無爲自然
유교 : 聖人, 君子, 大人, 至人, 成人, 大丈夫....
공자 論語 - 君子: 修己以敬 (자기를 다스림으로서 敬) → 자기탄생
修己以安人 (나와 관계되는 다른사람을 편안히 한다.)
→ 관계완성
修己以安百姓 (천하 모든 사람을 편안히 한다.
→ 사화완성
증자 대학 ; 明明德 (밝은덕을 밝게 깨닫는다)
親民 (백성과 친하다)
至於至善 (지극한 선에 머무른다)
맹자 ; 聖之淸 (뙾끗한)
聖之和 (조화)
聖之任 (사회적 책임 완수)
聖之時 (때에 따라 모든 것을 갖춤)
모두 점차 관계가 확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서양의 이상적 인간형 - 자기완성
+-동양의 이상적 인간형 - 관계완성, 사회완성까지 이루어야 한다. 자기완성만
있다면 단지 士일뿐 君子는 아니다. 다른 이들도
이끌어 야 한다.
→ 사회를 보는 시각의 근본적 차이에서 이러한 것이 기인한다. 서양은 시회
가 독립적이고 , 자율적인 개인으로 인해 존재한다고 보나 동양은 인간을
관계속의 존재로, 그리고 이러한 관계의 모임을 사회로 본다.
* 유교에서의 단계...
大學... 修身齊家治國平天下
<8조목 格物, 致知, 誠意, 正心,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
공자 十五/志學 - 사람의 도리에 대해 깨우치려 하다.(學=사람의 도리)
三十/立身 - 즉 self-identitiy가 30에 이루어졌다.
四十/不惑 - 즉, 정서적 안정이 40대에 이루어짐.
五十/知天命 - 50에 인생목표를 알다.
六十/耳順 - 60에 자기 객관화 가능.
七十/從心所欲 - 하고싶은대로 하여도 기본도리에 어긋나지 않는다.
#성격과 적응
[성격의 정의, 속성]
personality -"성격"-어느 개인의 독특한 사람됨
by Allport : "성격이란 ①환경에 대한 개인의 적응을 특징 지우는 비교적
②일관성 있고 독특한 ③행동 사고 양식"
①특히 사회적 환경 (인간관계) - interpersonal relationship
②성격은 수시로 변하는 것이 아니라 일관된 측면이 있는 것이다.-consistency
③tendency : 내적 성향
@ personality : 남에 대한 것을 파악 / self : 나의 것을 파악
: 즉 행동에서 personality를 파악할 수 있다.
ex) 자기 진술(self-report), 행위(actions), 생리적 반응(physiological
reaction)
[성격의 결정]
Webb : "성격이란 것은 100% 유전적, 100% 환경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어진다"
... 현대 심리학에서는 환경의 요인이 더 크다고 보는 경향
(중세 서구 -유전적 / 현대, 특히 미국 -환경적)
지금까지의 성격 이론 - 주로 5가지로 분류
I. 유형론 - 단순한 유형별 분류
(1) Physique Theory(체격론)
Kretchmer : 환자들의 체격과 심리 문제가 대체로 특징지어졌다
ex) 細長型 -지나친 민감, 세심, 자기 억제, 知的.... ; 사고 과정의 붕괴
肥滿型 -사교적, 명랑, 애정 욕구 큼.... ; 정서 체계의 붕괴
鬪士型 - 활동적, 공격적, 강한 자기 주장.. ; 별 정신적 문제없음
Sheldon<humor theory 창시자-physique theory에 대한 이론 제공을 위해서>
- 출생전발달(10개월간의 태아 시절) 연구
처음 수정후 2주간... 배종기 ; 착상(태아 형성의 기반)
수정후 5주~8주까지... 배이기 ; 신체 각부분이 분화해서 발달할 준비
심장 박동 시작
8주 이후 ; 태아의 성장
@배이기 ; 내배엽-소화 기관,내장... /중배엽-근육... / 외배엽-신경계통)
; "각 부분마다 필요한 영양분이 틀리다, 그러므로 섭취한 영양분에
따라 성장이 틀려진다."
ex) 외배엽 발달...신경 발달...세장형
내배엽 발달...내장, 소화기 발달...비만형
중배엽 발달... 근육 발달...투사형
! 어디까지나 상상일 뿐 근거가 없는 이론이다
!! 관상도 체격론의 근거이다 ex) 얼굴형상에 따라 범죄형/비범죄형
(2) Humor Theory
Hippocrates "④4가지 체액의 구성비에 따라 사람의 감정이 달라진다"
④혈액 -유쾌한 감정,다혈질 / 점액 -신체활동 느림
담즙 -민첩 / 흙담즙 -우울
@ humor/physique theory는 사람이 신체적 튿징을 토대로 한 것. 주로
의사들에 의해 제기... 이론적 근거 희박..운명론적
(3) 기능별 유형론
Jung : oriental theory
+- extrovert(외향성) -심리기능이 외부로 지향, 타인에 대한 큰 관심
+- introvert(내향성) -심리기능이 내부로 지향, 타인에 대한 관심이 적은
.. 그러나 이것은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면이 나타난다. 지나친 단순화이다.
Gilford : ⑤S, T, D, C, R 의 다섯 가지 측면, 25=32가지 유형
⑤Sociology(사교성), Thought(사고), Depress(감정), Cyclic(안정),
Relex(태평)
Ben : 생물학적 성격- 남성적, 여성적, 양성적
* 시대별 '지향(direct)'주의
~르네상스 이전 ; 심리기능은 그 사회의 전통지향...신을 경배함
- traditional directed personality
~산업혁명 ; 자기 스스로 표준..심리기능은 내부로 지향
- inner directed personality
~현대 ; 이익추구, 행동의 표준을 남에게서..
- other directed personality
II. 구조론(structure theory)
성격을 이루는 기본요소, 그 역동적인 관계로 사람을 이해.
+-고전 정신분석학.. Freud, Jung...
+-Neo-Freud 학파(新 정신분석학)... E.Fromm...
+-Gestalt Theory(filed theory)
1. Frued
id(原初我) ; 무의식의 영역, 본능적인 욕구의 덩어리(의식세계의 원인)
+-sex drive(성적욕구) → libido → 'instinct for life'
+-aggressive drive(공격욕구) → thanato → 'instinct for death'
ego(自我) ; 의식의 현실적 영역, 욕구의 현실적 충족 담당
@ plesure principle
+-id - '꿈'을 통한 비현실적 욕구 충족 → primary process
+-ego - 현실적인 욕구 충족 → secondary process
그러나 이러한 두가지만 있으면, 배고플때 빵을 훔칠 것이지
기다리지는 않는다. → "super ego의 존재"
morality principle → super ego는 무의식 세계 속으로까지 확장
id는 ego, super ego의 간섭으로 인해 꿈으로 욕구 표출
사람마다 다른 성격이 나타나는 이유 : super ego, id의 역동적 구조가 틀리
기 때문.
; 역동적 구조가 틀려지는 이유 +-ego defense mechanism - 자아방어기재
+-성격발달과정
(1) defense mechanism
ego는 id와 super ego 사이에서 긴장, 갈등... → 'anxiety'
..이를 재대로 이겨내지 못하면 여러가지 신경, 정신적 부작용
?realistic anxiety(현실적 불안) 불안의 객관적 요소존재 본인알수있음
anxiety ?neurotic anxiety(신경성 불안) 욕구자체에 의한 두려움(ego-id사이)
?moral anxiety(도덕적 불안) 두려움의 원인을 자각못함(ego-superego)
defense mechanism ... 남과 다른 성격을 갖게 하는 요인
a. 변명의 방어기질 - 행동의 원인을 다른 곳에서 찾아 변명
i) rationalization(합리화)
사회적, 개인적으로 부끄러운 것을 용납받을 만한것으로 대신하여 합리화
"추상적 이유"를 댄다 ex) "너 잘되라고 하는것이다"
ii) projection(투사)
구체적인 사람, 사물에게 원인을 돌림. "구체적으로 이유"
ex) "필기구가 않좋다"
b. 욕구 변화의 방어기질(reaction formation)
비현실적욕구를 다른모습(비난받지않을)으로 바꾸어서 ego를 방어-'역형성'
ex) 성에 대한 호기심 - 혐오, 회피 ...
c. sublimation(승화)
억압된 욕구를 사회적으로 훌륭한 행동을 함으로써 거기서 충족시키려는것
ex) 성에 대한 호기심을 예술활동으로 승화
d. displacement(전위)
억압된 욕구를 좌절된 대상이 아닌, 덜 위험한 대상에게 바꾸어 표출
ex) 화풀이, 보복...
e. 현실 회피의 방어기질
i) regression(退行)-오히려 더 어린시절로 회피하려 듬..
ex) 부모의 관심을 얻기위해, 새로 태어난 동생처럼 다시 어려져서 관심을
끌려는 아이..
ii) lonversion(전환)-두려운 상황 앞에서 질병 등의...
ex) 큰 시험을 앞두고 손의 마비..
@ 이러한 defense mechanism은 모두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인 스스로 이러한 것을 분석할 수 있다면 부적응이 아닌 치료의 과정임.
(2) 성격발달과정
a. Oral period(0~1세) - 입에 의한 성적욕구충족, id만이 존재하는 시기
; id의 욕구가 쾌락원리에 의해 작용, ego가 없으므로 제 3자의 개입 불가피
Oral period 때 욕구충족에 제한/과도 하면 성인이 되어서도 욕구가 살아남아
성격에 영향을 미친다(fixation=고착), 이때 형성된 성격을...
Oral personality
i) oral aggressive personality - 욕구가 너무 제한되었으므로 입을 놀리는
활동을 통해 욕구 충족(볼펜, 껌, 손톱을 씹는 행위, 말많음...)
ii) oral co-operative personality - 욕구의 과도충족으로 의존적,자기중심적
@ 이때의 제3자 개입은 대개 weaning(이유)의 형태임..
b. Anal period(1~3세) - 배변활동을 통해 성적욕구 충족, id만이 존재
제3자 개입 :toilet training, 이시기에 형성된 성격..
Anal personality
i) anal retention personality - 욕구 과소 충족 (소아성변비의 원인), 지나
친 금욕, 지나친 인색으로 성격이 흐름.
ii) anal explosion personality - 욕구 과다 충족,자기 중심적, 의존적,
타인에 대한 배려가 없음..
c. Phallic period(3~5,6세) - 성기 등의 확인으로 자신의 ego파악, 성감대가
성기로 오게되고 성기조작으로 욕구 충족 → '나'라는 것을 알게
되면서 점차 ego 발달시작.
이성부모에 대한 동성부모와의 경쟁..이성부모에 대한 애착
Oedipus complex, Electra complex가 필연적 결과.
i) 남자의 경우
: 여기서의 key는 母의 태도이다. 경쟁대상인 父에게 패배감을 느낄 수 밖
에 없고 그래서 父와 자기와의 차이를 알게된다. 자기편가에 대한 회의감이
들고 동시에 아버지에 대한 공포감을 가지게 된다(=Castration phobia/거세
공포증). 아버지와의 대립을 피하려하고 모방을 시작한다(= identification)
ii) 여자의 경우
: 원래의 남성신체를 완전한것으로 본다(여자는 불완전). 내게있던 남성성
기를 어머니가 잘라 버렸다고 생각(=penis envy/男根선망).
@ 여성해방학자들의 비판을 받음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동성부모의 가치관, 행동양식이 전해지기 시작함
super ego를 갖추게 됨(이후에 성격을 고치기란 힘들다). 만일 이때 부모의
사이가 좋지못하게 된다면(이성부모와의 사이만 좋다면) super ego형성불가,
즉 super ego의 형성에 정상적인 부부관계가 결정적 영향.
d. Latent period(5,6~사춘기) - 전신으로 성감대의 이행, 전신활동으로 성욕
충족. 관심이 외부환경으로 전환, 그것을 다루는 기술 습득에 치중
e. Genital period(사춘기~) - 직접 이성과의 접촉을 통해 욕구 충족 신체적
으로는 성인이나 아직 사회솬습적으로 미성년인 청소년에게는 사회규범에
따라 억제할것이 요구됨. 자가충족(자위행위 등..)이나 지향된활동
(공부, 운동..)이 행해짐..
@ Freud의 이론은 "id의 성적욕구가 어느 부분을 통해 이루어지는가"가 핵심.
pan-sexuality theory(汎性論)이라고도 한다.
비판> i) 성적욕구가 중요하기는 하나 그거이 모든것은 아니다.
ex) 사회학, 문화인류학을 보면 성적욕구의 근원과 다른 연구결과들
이 많다 ..가부장적 사회만 있는것은 아니다. 어느 사회에서는
외숙이 자신의 조카들의 부양을 책임진다.
Freud의 이론 대로면 super ego가 없고 도덕, 전통이 없어야 하는데
이 사회에서도 수천년간의 도덕, 전통이 있다.
→ 현대심리학의 정신분석은 무의식을 연구하는것이지 성적욕구를
연구하는 것은 아니다.
ii) Freud에 의하면 개인의 무의식에 미치는 영향이 부모에게만 국한됨
→ 현대 정신분석학자들은 사회, 문화적인 영향을 무의식의 근원으로
본다 E.Fromm '자유로 부터의 도피'
신으로 부터의 자유--이전에 보장되어 있던 안전등이 없어짐-불안-
자신을 구속할 다른 대상을 찾음(자유를 포기하는 행동 그러나
근본적으로는 자유를 희구)
iii) Freud 인간을 closed system으로 본다
E.Fromm 인간은미래에 대한 open system
III. Trait Theory(특성이론)
:구체적 특성을 가지고 사람의 특성분류
사람의 성격차이를 "양적차이"로 간주.(이전의 이론-질적인 차이로 봄)
ex) 친절성이 나타낼수있는 100개의 상황 중 개인이 나타낸 친절 행동 숫자로
서 파악 → 성격검사이론의 근거
(1) Allport
모든 사람의 특성을 +-common traits (공통특성)
+-personal dispositions (개별성향)
성격이라는것은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것 즉,
personal dispositions
i) Cardinal dispositions (주성향)
주로 특이성격의 소유자들에게 있어서 그의 인생을 통해 전체적으로 나타나는
성격 ex) Hittler - 권력욕
ii) central dispositon 모든 사람에게 있으나 양적 차이가 나는것
iii) Secondary disposition 취미, 기호 등에 대한..
Allport 시대에는 단지 이론 제시에만 그침
(2) Cattel의 이론
+-common traits → Allport와 동일
+-unique traits +-source traits(원천특성) - 16개
+-surface traits(표면특성) - 35개
→ '요인분석'이라는 방법으로 실제 생활 분석
Cattel's 16 PFC scale
+- Personal Factor
IV. Learning Theory
"인간의 모든 행동은 학습에서 나온다", "History of learning"
Pavlov, Skinner ... Reinforcement theory (강화이론)
"reinforcement가 없이는 학습이 이루어질수 없다."
ex) 개에게 종소리 - 고기 - 종소리 - 고기 .....
고기는 특수한 자극 즉 강화물(reinforcer)이다.
→'history of learning' is 'history of reinforcement'
Bandura ... Social Learning Theory (사회학습이론)
"reinforcement 없이도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다. 특히 사람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ex) 뱀에 물려보지 않은 사람이 간접경험에 인해 도망가는것.
→ model이 되는 사람을 관찰/모방
→'history of learning' is 'history of immitation'
* 특히 인간의 경우 social learning이 더 우세하다.
V. Phenomenological Theory
: 인본주의 심리학
객관적 보다는 개인의 인식(주관적 체험)에 의한 행동
주된 연구 대상은 'self' (개인의 가치관, 과거경험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것이
틀리다.
Roger's self theory<Phenomenological theory의 대표자>
.. 사람에게는 근본적으로 self-actualization need (self realization need)
가 있다. 즉 인간의 모든 행동은 '자기실현동기'의 발현이다. 그러나 이
경우 모든 사람의 행동은 창조적이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는 많은 사람이 부적응을 한다.
→ 이 부적응의 원인을 밝히는 것이 주된 관심
* Self-concept...
+-self-concept가 긍정적이면 창조적, 적응
+-self-concept가 부정적(또는 비관적,비현실적)이면 부적응
→ need for positive regard : 다른 사람으로 부터 좋은 평가를 받으려는욕구
need for self regard : 자기 스스로의 평가
이 두가지로 인해 다른 사람에 대해 관심을 갇게 된다. (다른 사람의
나에 대한 평가를 보려고..) → conditions for worth (⑥가치조건)
⑥ 타인으로부터 받은 평가를 자신에게 적용시키는 것
즉 평가=자신의 가치
ex) 타인으로부터의 칭찬을 자신의 conditons for worth로 간주한다.
그것에 맞추지 못하면 부적응이 일어난다.
.. Rogers는 부적응의 이유를 부정적 'self-concept'로 보았다. 그리고 그 과정은
'conditons for worth'와 관련 되었다고 주장...
'책,영화,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사 편력 - 네루 (0) | 2022.11.03 |
---|---|
순 우리말 사전 (0) | 2022.11.03 |
연극사 (0) | 2022.11.03 |
움베르토 에코 - 연어와 여행하는 방법 (0) | 2022.11.02 |
열녀춘향수절가(완판본) 상, 하 (0) | 2022.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