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속에 있는 여신들
진시노다 볼린
우리 속에 있는 여신들
서문 글로리아 스타이넘
감사의 말 진 시노다 볼린
서론 우리 모두의 가슴 속에는 여신이 있다
제1장 내 모습을 담고 있는 여신들
제2장 여신들 살려내기
제3장 처녀 여신들 셋: 아르테미스, 아테나, 헤스티아
제4장 아르테미스 .사냥과 달의 수호신, 경쟁심이 가득한
우리들의 큰언니
제5장 아테나: 지혜와 공예의 수호신, 전략가이며 아버지를
선호하는 딸
제6장 헤스티아: 화로와 신전의 수호신,지혜로운 노처녀 고모
제7장 상처받기 쉬운 여신들 셋: 헤라, 데미테르, 페르세포네
제8장 헤라: 결혼의 수호신,신실한 아내
제9장 데미테르: 곡식의 수호신, 양육자 그리고 어머너
제10장 페르세포네 .처녀이자 지하세계의 여왕, 감수성이 예민한
여성이자 어머니의 딸
제11장 창조하는 여신 241
제12장 아프로디테 .사랑과 미의 수호신, 창조적인 여성, 그리고
연인
제13장 어느 여신이 황금의 사과를 얻는가?
제14장 모든 여성에게는 자신만의 주인공이 있다
옮긴이
후기
서문
만일 당신이 이 책의 주제에 대해서 거부감을 갖고 있다면 저는
특히 당신에게 이 책을 읽도록 권하겠습니다. 왜냐하면 제가 바로
그런 거부감을 갖고 있었으니까요. 즉, 어떻게 과거의 가부장제
사회에나 존재했던 신화 속의 여신들을 살펴보는 것이 현재
우리들의 현실을 분석하고 미래의 평등한 사회를 만들어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겠냐는 것이지요.
우리가 책을 고를 때 주변의 믿을 만한 친구의 추천에 가장 많이
의존하는 것처럼, 제가 이 원고를 읽어 봐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
것도 이 책의 글쓴이를 제가 이미 개인적으로 신뢰하고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제가 진 시노다 볼린 박사를 처음 알게 된 것은 그녀가 미국
정신의학회 소속의 의사들을 모아서 ERA 남녀 동등권 개정안를
지지하는 그룹을 만들 때였습니다. 그들이 ERA를 지지한 이유는,
의사로서의 경험을 통해 볼 때, 법률상의 남녀 평등이 여성 정신
건강에 결정적인 도움이 된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어떤 그룹이나 여러 사람의 노력이 합쳐진 결과이지만, 볼린
박사의 경우는 특히 효과적이고 생기 있게 그룹을 이끌어 나가는
조직자로서의 능력을 발휘하여, 전국적으로 흩어져서 각기 바쁘게
지내는 의사들을 하나의 조직으로 뭉쳐질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그 과정에서 볼린 박사는 회원들 간의 나이, 인종, 그리고 전문적
견해의 차가 극복되도록 노력하였고, 정확하고 유용한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이 그룹에 가장 적대적인 견해를 갖고 있는
사람에게도 그룹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그룹의 품격이 전해질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볼린 박사의 활동을 보면 그녀가 구체적이고도 전문적인 조직
경영자임을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그녀는 부드러운
혁명가입니다. 상처를 치유해 주는 잔잔함과 수용적인 태도를
지니고 일을 함으로써 그녀 자신이 여성 혁명이 가져을 더 나은
세계에서 살아갈 여성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그녀는 미국 내에서 가장 영향력 있고 명성 높은 전문인 조직 중의
하나인 미국 정신의학회 내에 변화를 일으키게 한 장본인입니다.
더구나 이러한 변화를 가능케한 장본인이 여성이며 더구나 백인
여성이 아니란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미국 정신의학회는
89%가 남성이고 거의 대부분이 백인 남성이며, 아직도 남성
지배적인 프로이드 이론들로 제한되어 있는 조직입니다. 미국
정신의학회의 역사가 쓰여질 때, 특히 정신과 의사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역사가 쓰여질 때, 이 작은 체구에 부드러운 목소리를
지닌 볼린 박사의 활동은 중요한 업적으로 기록될 것입니다.
우리 속에 있는 여신들의 첫 장을 읽고 있을 때, 저는 간결하고
분명한 각 문장에서 볼린 박사의 믿음직스런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제 마음 속에는 아직도 글이 진행되면서
여신들에 대한 전형적인 논의들이 곧 나타날 것이라는 염려를 지을
수 없었습니다. 즉 융 Jung, 1875∼1761과 그 동료들은 그리스의
신들을 집단 무의식의 원형을 설명하는 예들로 사용하였는데, 이때
신들의 분류 기준을 서로 대비되는 개념, 즉 남성적인 것과
여성적인 것을
대표하는 것으로 나누었습니다. 따라서 이 분류 방식에 따르면
남성과 여성 모두 전인적인 인간의 개념을 갖기가 어렵고,특히
이러한 이분법을 통하여 여성적 양식은 남성적 양식보다 열등한
것으로 개념지어집니다. 저는 그리스 신들을 이런 식으로 원형화
함으로써, 우리 여성들 자신이 그 원형들을 닮으려고
하고,그럼으로써 그 원형들의 한계까지 받아들이게 되는 게
염려되었습니다.
그러나 저의 염려는 각 여신들을 설명하는 부분을 읽고는
해소되었으며, 더불어 새로운 이해도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한 예로서, 일곱 명의 여신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고
설명되며 각 여신은 자신 속에 무한한 변화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 일곱 여신들은 가부장제 사회에서 통용되고 있는
처녀와 창녀, 어머니와 첩이라는 단순한 이분법을 멀리 걷어내
버립니다. 사실상 이 여신들 중에는 권력을 쥔 남성과의 관계를
통하여서만 자신의 의미를 발견해 내는 여신도 있습니다. 결국에는
이들도 우리처럼 가부장제에서 살았으니까요. 그러나 이들은 또한
공개적이든 은밀히든 그들 고유의 힘도 지니고 있습니다. 여신들
중에는 독립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신들도 있는데 성적 매력이
있거나 지성적인 유형에서부터 정치적이고 영적인 유형까지
다양합니다. 가장 예외적인 유형으로는 여신들끼리 강한 유대감을
가지면서 서로를 도와주는 경우일 것입니다.
둘째로, 이 일곱의 유형들은 서로 결합하여 더욱 다양한
유형들을 제시함으로써 우리 각자의 상황이 요구하는 유형이나,
우리 자신 속에 아직 개발되지 않은 부분의 유형까지도 제시해 줄
수 있습니다. TV에 나오는 여성의 역할을 한번 보는 것만으로도
우리 자신의 삶이 중요한 영향을 받는다면, 우리 안에서
원형을 찾아내고 활성화시키는 작업은 얼마나 더 근원적인
영향을우리에게 주는 것이겠습니까?
마지막으로,우리는 자신을 어떤 특정한 하나 혹은 몇 명의
여신에 제한하여 유형화시킬 필요가 없음을 말해둡니다. 이
여신들은 사실상 다 함께 어울려서 인간 본성의 총체적 모습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각 여신들은 젼인적인 여성의 모습을 보여주는
여신 중의 여신,즉 위대한 여신의 일부만 대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 전인적인 위대한 여신은 가부장제 사회가
도래하기 전에, 적어도 종교와 우리의 상상력 안에서
존재하였습니다. 그렇다면,그때와 마찬가지로 지금도 전인적인
위대한 여신을 상상해 보는 작업이 그것을 실현시킬 수 있는
첫번째 작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여신들의 유형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들의 다양한 행동 방식과
성격의 특징들을 분석하고 설명하는 간단하고 유용한 방법을 배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크게는 이 여신들을 통해서 우리에게 필요한
힘과 특성들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알리스 워커AIice
Walker가 컬러 퍼플 The Color Purp에서 분명히 한것처럼 우리는
신을 만들고 그 신에게 우리가 생존하고 커나가기 위하여 필요한
특성들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이 책의 가장 값진 가치는 이 책이 제공하는 깨달음의 순간에
있을 것입니다. 글쓴이는 그것을 감탄의 순간이라고
이름지었습니다. 우리가 이해하고 내면화하는 감탄의 순간
말입니다. 그것은 우리가 경험했던 것을 인정하고 그에 따라
생기는 신뢰감과 한걸음 더 나가 "아, 바로 그래서였구나!" 하는
자각으로 이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독자들은 각기 다른 것을 배을 것이고 감탄의 순간도 각기 다를
것입니다. 저의 경우는 아르테미스를 읽을 때 그 순간이 왔는데,
아르테미스는 다른 여성들과 연대의식을 갖고 있으며, 어머니를
구해냈지만 어머니처럼 되고 싶어하지는 않았던 여신입니다. 저는
아르테미스를 통하여 제가 경험했던 것들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고
가부장제 사회에선 드문 유형인 아르테미스의 예로서 제 자신이
인용되는 것이 자랑스러웠습니다. 그러나 아르테미스와 달리 저는
진한
자율성을 지니지 못했으며 갈등 상황을 두려워 하지 않는 태도를
개발시키지도 못했습니다. 페르세포네는 우리 대부분이 사춘기 때
경험했던 느낌들을 보여줍니다. 그녀의 장점과 단점은 또 다른
감탄의 순간을 자아냅니다. 자신이 특별히 좋아하는 남성이 원하는
모습대로,혹은 이 사회가 원하는 모습의 여성상을 자기 자신에게
투영해 보는 시기가 이때이지요. 다양한 여성상을 이때 연습해 보
게 됩니다. 꿀임없는 독서와 삶을 머리 속에서만 구현하는
아테나의 태도도 우리에게는 친근한 모습이고,산만하면서도
감수성이 예민한 모습을 보여주는 헤라, 데미테르와 페르세포네,
그리고 인간 관계나 창작 행위에 있어서 지속성보다는 순발력과
강렬한 집중력에 더 가치를 두는 아프로디테의 모습도 우리에게는
친근한 모습입너다.
여신들의 모습에서 내 자신에게는 없지만 개발해야 하는
특성들,혹은 주변사람들에게서 볼 수 있지만 우리가 이해할 수
없었던 특성들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저는 헤스티아가
계획 있게 집안일을 꾸려나가는 모습에서, 보다 상징적이고
정신적인 면에서 집안일이라는 것도 중요한 정도에 따라 일을
분하고 순서를 정하는 작업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저는
아테나와 아르테미스의 집중력이 부러웠고, 그들을 통해 사소한
것들에 신경을 쓰지 않는법을 배운 남성들을 더욱 이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저는 자립적인 이 두 여신으로부터 갈등과 적개심이
필요할 수도 심지어 바람직한 것일 수도 있으며 그것을
인신공격으로 받아들여서는 안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글쓴이는 그리스 여신들을 가부장제의 틀에 고정시켜 분석하지
않고, 생동적이고 믿음직스런, 현실적인 여성으로 우리에게
제시합니다.
예를 들어서, 이제부터 저는 꾸밈이 없고 매혹적인 대화를
나누고 싶을 때, 그 대화의 구체적인 부분들만으로는 설명될 수
없는, 대화 전체가 강한 인상을 주는 그런 대화를 나누고 싶을 때,
대화를 하는 상대와 내가 음악의 즉흥곡처럼 자발적으로 이야기를
나누는 그런 대화를 하고 싶을 때, 아프로디테의 특성들을 생각해
낼 것입니다. 제가 가정과 명상에 잠길 필요가 있을 때,
헤스티아가 저를 인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제가 자신을 위재서나
다른 여성들을 위해서 갈등에 직면해야 하지만 용기가 부족할 때,
아르테미스를 기억할 것입니다.
이제는 더 이상 현실과 신화 충에서 어느 것이 우선이냐는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진 휴스턴 Jean Houston이 바람직한 인간
The possible human에서 썼듯이, 신화는 과거에 묻혀 있는 것이
아니라, 늘 현재 속에서 다시 살아나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이 불평등한 사회에서 벗어날 때, 남신과 여신은 하나가
되며 똑같은 모양을 이루게 될 것입니다. 그때까지, 이 책은
우리에게 새로운 길, 즉 새롭게 보고 새롬게 태어나는 길을 제시해
줄 것입니다.
당신은 스스로를 정확하게 보여주는 신화를 이 책에서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글로리아 스타이넘 Gloria Sleinem으로부터
감사의 말
이 책의 각 장에는 수많은 사람들의-저의 환자, 친구 그리고
동료들-도움이 있었는데, 그들은 각 여신의 다양한 모습들을
보여줌으로써, 각 여신들에 대한 통찰력을 갖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서술은 제가 여러 상황에서 알게 된
많은 여성들, 특히 20년간 정신과 의사로서 임상을 통해 알게 된
여성들의 모습을 엮어 만든 작품입니다. 사람들이 저를 신뢰하여
그들의 깊은 가슴 속까지 저에게 보여줌으로써 그들의 심리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었고, 그로부터 저를 포함한 다른 사람들의 심리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 것을 영광스럽게 생각합니다. 저의
환자들은 저의 가장 훌릅한 선생님입니다. 그들 모두에게
감사합니다.
이 원고를 완성하는 데 3년이 걸렸는데, 그 동안에 원고를
발전시키고 좋은 글을 쓸 수 있게 조언해준 편집진에게
감사드립니다. 특히 커스틴 드림스테드, 킴 석닌, 메릴린 란다우,
제레미 타커, 스테파니 번스테인이 원고를 비평하고 편집하는 일을
하였으며, 린다 퍼링톤이 원고 정리를 해주었습니다. 그런데
그들이 각기 다른 의견을 제시했을 때, 저는 제 자신의 생각과
목소리에 귀를 기을여야 한다고 생각하였고, 결국에는 출판사를
바꾸게 되었습니다. 이 동안에 킴셔닌의 격려는 특히 위안이
되었습니다.
낸시 베리는 원고를 컴퓨터에 입력시키는 작업을 빠르고
정확하게 해주었습니다. 저의 문필 대리인인 죤 브럭맨과 카틴카
맷슨은 원고가 책으로 만들어지는 어려운 과정에서 그들의
전문적인 견해로 도움을 주었습니다. 저의 출판인인 하퍼 앤드
로우 출판사에 있는 플레이톤 칼슨은 저의 첫번째 저서인 도교로
설명하는 심리학 The Taoof Psy.hology을 좋게 평가해 주었는데,
우리 속에 있는 여신들 GoddessesinEverywoma에 대해서도 기대를
걸고 있었습니다. 이들 모두에게 감사드립니다.
이 원고를 쓰는 동안 저의 가족들은 가장 훌릉한
지지자였습니다. 오래 전에 저는 제가 만일 글을 쓰게 된다면
가족들로무터 고립되어서 문을 닫은 채로 쓰지는 않겠다고
결심했었습니다. 저는 항상 가족 곁에 있으면서 그들이 저를
필요로 할 때 함께 할 수 있는 상태에서 글을 쓸 것이며,가족들
또한 이런 저를 배려해 주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제 남편 짐과
저의 아이들 멜로디와 앤디는 제가 이 글을 쓰는 내내 저와 함께
있었습니다. 정신적인 격려 외에도 제 남편 짐은, 그 자신
편집자로서 전문적인 안목을 가지고 제 원고를 가끔씩 읽어보았고,
제 자신의 직감을 믿으라고 격려해 주었습니다.
제가 낙심할 때마다 이 책이 다른 사람에게 도움이 될 젓이라고
상기시켜 주면서 책이 끝날 수 있도록 격려해 준 많은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저의 책무는 이 책이 완성될 때까지 버티는
일이었습니다. 일단 출판이 되면, 책은 그 자체로 생명을 가지게
되며 다양한 독자를 만나면서 새롭게 태어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진 시노다 볼린 Jean Shinoda Bolen
씨앗에서 뿌리가 나오고, 그리고 싹이 나오기 시작한다.
싹이 자라 묘목이 되고, 묘목에서 줄기가 뻗어난다.
줄기 주위로 가지가 솟고, 그리고는 맨 위에 꽃이 핀다. 이러한
성장을 가져오게 한 것은 씨앗도 아니고 그렇다고 대지도 아니다.
성장의 가능성은 신비한 기의 형태로 씨앗 안에 놓여져 있다.
바르게 키워짐으로써 이 기가 일정한 형식으로 표현되는 것,
그것이 성장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엠.씨. 리차드, 도자기, 시 그리고 사람을 중싱으로 중에서
M.C.Richards, Centering in Pottery,Poetry and the person.
서론
우리 모두의 가슴 속에는 여신이 있다
우리 모두는 각자의 인생을 엮어나가는 동안 뚜켠한 하나의
역할을 갖는다. 정신과 의사로서 나는 그 동안 수백 명의
환자들로부터 그들의 인생 이야기를 들어왔다. 그 경험을 통하여
나는 우리 각자에게는 신화적 공간이 있음을 실감하게 되었다.
정신과 의사를 찾는 여성들 중에는 사기가 떨어지거나 우울증으로
정상적인 생활을 이어나갈 수 없는 경우와, 일정한 상황에
사로잡혀 있는 느낌이 되어 왜 자신이 그런 느낌이 드는지 그리고
그런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알고 싶어서 찾는 경우가 포함된다. 두 가지
중 어느 경우든, 여성들이 정신과 의사를 찾는 이유는 자신이
엮어가는 인생에서 어떻게 하면 더 나은 주인공이 될 수 있을라를
알기 위해서일 것이다. 더 나은 주인공이 되려면 여성은 자신의
인생을 구체화시킬 수 있도록 의식 있는 선택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 문화가 만들어낸 여성에 대한 스테레오 타입이 여성
자신에게 얼마나 강력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여성들은 의식하지
못하고 있다.여성들은 또한 그들이 무엇을 하고 어떻게 느끼는지에
영향을 끼치는 강력한 추진력이 그들 내부에 있음도 의식하지
못하고 있다. 이 책에서 나는 이 추진력을 그리스 여신들의 예를
들어서 설명하려고 한다.
여성들을 각기 다른 유형으로 분류하는 이유는 여성 내부에 있는
강력한 양식들 혹은 원형들의 다양성 때문이다. 한 예로, 어떤
여성은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음으로써 인생의 충족감을 느끼게
되며, 이렇게 할 수 없을 때 비탄과 분노에 잠기게 된다. 이
여성에게는 전통적인 여성의 역할이 의미 있는 것이다. 이 여성은
자율적이고 자신에게 중요한 계획들을 완성해 나가는 것에 가장
가치를 두는 여성과는 분명히 다르다. 이 여성은 또한 감정적인
강렬함을 지닌채 새로운 경험을 찾아서 끊임없이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고 새로운 창의적 노력을 기울이는 여성과도 다르다. 또
어떤 여성은 그녀의 영흔의 세계가 그녀에게 가장 중요한 의미를
지녀서 홀로 있기를 좋아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여성 각자의
마음 속에 어떤 여신이 가장 활동적이냐에 따라서 한 여성에게는
충족된 삶을 주는 양식이 다른 여성에게는 아무런 의미가 없을 수
있다.
또한, 어떤 여성은 마음 속에 여러 여신을 모시는 경우도 있다.
그 여성이 까다로우면 까다로울수록 그녀 안에서 활발한 활동을
벌이는 여신의 수는 많아진다. 한 여신은 그녀가 원하는 것의
일부만을 만족시켜 줄 뿐이며, 그녀가 원하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아무런 의미도 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내 마음 속에 있는 여신들에 대해 알게 됨으로써 나는 내 자신을
더 잘 이해하게 된다. 그리고 내가 왜 부모, 친척, 연인, 아이들
그리고 주변 사람들과 지금과 같은 상태의 관계를 맺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잘 이해하게 된다. 또한 우리는 다양한 양식의 여신들을
이해하게 됨으로써 어떤 여성에게는 자극적이거나 좌절감 혹은
만족감을 주는 일들이 다른 여성에게는 전혀 그런 동기가 되지
못한다는 것도 알게 된다.
여신들에 대한 이해는 남성들에게도 도움을 준다. 남성들은
다양한 유형의 여신들을 접하면서,세상에는 각기 다른 유형의
여성들이 있으며, 이 각기 다른 여성들에게 기대해야 할 것이 모두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됨으로써, 여성들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
여신들에 대한 이해는 특히 하나로 뭉뚱그려 설명할 수 없는
여성,겉으로 보기에 모순 덩어리인 여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여신들에 대한 이해는 의사에게도 도움을 준다. 여신들에 대한
이해가 여성환자의 사회생활과 심리상태에 있어서의 갈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다양한 성격들에 대한
이해를 가능케 하며,심리적인 어려움을 겪거나 정신질환을
일으키기 쉬운 성격들에 대해서, 그리고 어떤 유형의 여신을
모시고 있는 여성이 어떤 식으로 발전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예측할 수 있게한다.
이 책은 여성에 대한 새로운 심리학적인 관점을 제시한다.
그리고 그 관점은 그리스 여신들의 분석을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그리스 여신들은 지난 삼천 년동안 우리의 상상력 속에서 여성의
다양한 모습을 구현하는 존재로 살아 숨쉬어 왔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여성 심리는, '정상적'인 여성이란 이러한 유형으로
이러한 성격과 이러한 심리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는 기타의
다른 이론들과 관점을 달리한다. 이 책은 정상적인 석성이 다양한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나는 내 직업을 통해서 여성에 대해 많은 것을 배됐다. 나는
응의 심리학을 받아들이는 정신과 의사로서,환자를 치료하면서,
캘리포니아 의대 정신과의 임상 교수로서 강의를 통하여 그리고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응 연구소에서 선임 정신분석가로서,여성
심리에 대해 배워 나갔다. 그러나 이 책에서 내가 말하고자 하는
여성 심리가 단지 나의 직업적 경험에 의존해서만 나온 것은
아니다. 내가 여성에 대해 아는 많은 것이 내 자신 여성으로서,
딸, 아내 그리고 두 아이의 엄마로서, 여성의 역할을 꾸려나가는
과정에서 비롯되었다. 또 여성 모임에서, 그리고 친구들과
대화하면서, 나는 여성에 대해 많은 것을 알게 되었다. 우리는
여성 모임에서 그리고 친구들과 대화를 통하여, 서로에게서 서로의
모습을 비춰 보고, 친구의 경험 속에서 나 자신의 모습을 보게
되고, 그 전까지 알지 못했던 새로운 나의 모습,그리고 여성인
우리의 모습을 보게 된다.
여성 심리에 대한 나의 이해는,또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여성으로서의 경험에서 나온 것이다. 1973년에 나는 정신과의
레지던트였다. 그 해에 훗날 70년대의 여성운동을 일으킨 두 가지
사건이 일어났다. 첫번째 사건은 베티 프리단 Berry Friedan이
여성의 신비 The Feminine Mystique을 출판한 것이다. 가족을
통해서 사는 삶을 살아온 여성들의 텅 빈 느낌과 불만을 다룬 이
책에서,프리단은 불만의 원인이 정체성의 위기에서 비롯된다고
보았고, 그것은 자신이 성장을 할 수 없다는 인식에서 나온다고
밝혔다. 그러나 우리의 문화는 여성의 이같은 불만을 무시해
버림으로써 인간으로서 계속 성장하고 싶어하는 여성들의 기본적인
욕구를 억눌렀다고 설명하였다. 우리 사회가 제시하는 정상적
여성의 유형에 대해, 프로이드식 교리에 대해, 그리고 대중 매체가
조작해 내는 여성의 모습에 대해 의문을 제기함으로써 프리단의
책은 여성해운등의 탄생을 예고하는 인식들을 보여주었다.
같은 해 1973년, 케네디 대통령의 여성 권리 위원회는 미국 경제
구조의 차별성에 대해 보고하였는데, 여성은 같은 일을 하면서도
남성보다 적은 임금을 받으며, 고웅기회와 진급에 있어서 차별
대우를 받는다는 내용이었다. 이것은 여성와 역할이 격하되고
제한된 것이었음을 보여주는 예이다.
그러니까 내가 정신과에서 일할 때는 미국이 여성해방운동을
시작하려는 때였으며, 나는 1977년대를 통하여 여성 문제에 대하여
많이 의식화 되었다. 나는 여성에 대한 불평등과 차별을 알게
되었고, 남성들이 정한 정상적인 여성의 규정을 받아들이면 편하게
지낼 수 있고, 거부하면 힘든 삶을 살게 된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그 후 나는 북 캘리포니아 징신의학회와 미국 정신의학회에
여성주의 자 동료들과 함께 가입하였다.
1.여성 심리에 대한 두 가지 시각
내가 여성주의 시각을 받아들일 즈음에, 나는 또한 응의 이론을
따르는 정신분석가가 되고 있었다. 1966년에 정신과 레지던트를
마친 다음에, 나는 샌프란시스코의 응 연구소에 입학하여 1976년에
정신분석가의 자겪증을 받았다. 여성심리에 대한 나의 시각은 응의
심리학에 여성주의적 통찰력을 가미한 것으로서 이 시기에 주로
형성되었다.
응의 시각을 지닌 정신분석가로, 그리고 여성주의 정신과 의사로
활동하는 동안 나는 마치 전혀 다른 두'세계를 드나들고 있는
기분이었다. 응의 이론을 따르는 동료들은 바깥 세상의 정치와
사회의 변화에 대해 무관심했으며, 그 변화와 여성운동 간의
상관성을 별로 인정하지 않았다. 반면에 정신과에서 일하는
여성주의자 친구들은 내가 하고 있는 응 식의 정신분석학이 여성
문제와는 상관이 없는 내 전공 분야일 뿐이라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나는 두 세계를 왔다갔다 하면서 응과 여성주의의 두
시각을 합쳤을 때 여성 심리에 대한 새롭고 깊이 있는 이해가
가능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응의 시각은 여성들이 강력한 내부의 힘들 혹은 원형
archetypes들에 의해 좌우된다고 보는 것인데, 이 원형들을 나는
그리스의 여신들로 의인화시켜 보았다. 반면에 여성주의 시각은
외부의 힘들, 즉 사회가 여성에게 제시하는 표준 여성상
stereotypes들에 의해 여성들이 좌우된다고 보는 것인데, 나는 이
외부의 힘들이 어떤 여신 유형은 억압하고 어떤 유형은 밀어준다고
보았다. 다시 말하면, 모든 여성은 이 두 힘안으로는 여신 원형에
의해 움직이고 밖으로는 표준 여성상의 요구에 의해 움직이는
사이에 끼여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일단 내 마음을 움직이는 내부의 힘들이 무엇인지 알게 되면,
나는 새로운 힘을 얻게 된다. 내 안에 있는 여신들은 나의 감정과
행동을 구체화시키는 강력하고도 보이지 않는 힘이다. 그 여신들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나 자신을 의식화시킬 수 있는 새 영역이
된다. 어떤 여신들이 나를 지배하는지 알 수 있다면 나는 내
자신의 장점과 특징을 알 수 있고,그에 따라 나의 가성을 구체화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내 마음 속에 있는 여신 유형은 내가 맺는 남성들과의 관계에도
영향을 끼친다. 내가 왜 어떤 유형의 남성들에게는 매력을 느끼고,
또 어떤 유형의 남성들에게는 거부감을 갖게 되는지 그 이유를
설명해 준다. 나는 사회적으로 성공한 능력 있는 남성을 좋아할까
아니면 사회생활은 잘 못하지만 창의력 있는 남성에게서 매력을
느낄까혹은 소년 같은 남성에게 끌릴까 어떤 여신이 내가 그
남성을 좋아하도록 이끄는가 내 마음 속의 여신이 내가 바로 그
낭성을 선택
하고 지속적인 관계를 맺도록 하는 추진력이다.
가족간의 관계도 여신들의 영향을 받는다.
부녀간,모녀간,남매간,자매간, 그리고 모자간에 있어서 여신들마다
특히 자연스러운 모습을 보쳐주는 관계가 있다.
우리 모두는 각자 안에 있는 여신이 주는 장점과 약점이 있다.
이 약점을 변화시키고 싶다면 우선 나 자신이 그런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인정한 후, 그것을 극복해야 한다. 내 안에 그런 경향이 있고
나를 통해서 그런 경향을 충족시키려는 여신이 내 안에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나는 결코 그 여신이 지배하는 유형의
생활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2. 통찰력의 도구가 되는 신화
신화의 유형과 여성 심리를 연결하여 설명한 첫번째 사람으로는
에릭 뉴만 Erich Neumann을 들 수 있는데, 그는 응의 이론을
따르는 정신분석가로서 아모르와 싸이키 Amor and Psyche의
저자이다. 뉴만은 여성 심리를 묘사하는 방법으로 신화를
이용하였는데,뉴만의 설명은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아모르와 싸이키의 그리스 신화를 보자. 싸이키의
첫번째 임무는 산더미처럼 쌓인 잡곡더미에서 곡식들을 종류대로
구분하는 일이었다. 싸이키가 이 일과 다른 세 가지 일을 하면서
보여준 모습은 낙담하는 것이다. 나는 이 신화가 많은 일에
둘러싸여 있어서 힘들어 하는 내 여성 환자들의 많은 경우를
설명해 준다는 것을 알았다. 엄청난 자료들을 어떻게 종합해서
학기말 페이퍼를 작성해야 할지 고민하는 대학원 여학생,집안일에
짓눌려서 자기 시간을 만들어 그림 그리는 작업을 계속하기 어려워
우울해 하는 젊은 엄마 등이 좋은예이다. 그들은 둘 다,
싸이키처럼, 자기가 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정도보다 더 많은 일에
묻혀 있었지만 사실은 그 일들은 그들 자신이 선택한 것이었다.
싸이키 신화를 듣고 그들은 신화가 자신들의 상황을 대변해 준다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새로운 요구에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를 신화를 통해 배웠으며 상황을 헤쳐나가는 그들의 노력이
의미 있는 것임을 알게 되었다.
내 생활 방식에 신화적 공간이 놓여 있다는 주장을 일단
받아들이게 되면 그때부터 내 마음 깊은 곳에 있는 창의력을
새롭게 깨달아 가기 시작한다. 신화는 우리의 감정과 상상력을
불러일으키며 인간사의 공통된 주제를 다룬다. 그리스 신화와
수천년간 지속되어 온 다른 신화들은 그것이 바로 우리 자신들의
경험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친근하게 느껴지며 수천년간 지속될 수
있었다.
신화의 해석으로 지적인 이해와 직감적인 이해를 들 수 있다.
신화는 마치 꿈처럼 우리가 그 뜻을 알지 못해도 그것이 상징적인
의미를 갖기 때문에 회상하게 되는 그런 것이다. 신화 학자인 죠셉
캠벌 Joseph Campbell은 꿈은 개인의 신화이고 신화는 집단의
꿈이라고 말했다. 그러므로 신화를 들을 때 무언가 친근감을 갖게
되는 것은 당연한 이치다.
내 꿈이 정확하게 해석되었을 때 나는 그 꿈이 말하는 상황을
분명하게 인식하면서 "아하!" 하는 감탄의 순간을 갖게 된다. 나는
직감적으로 그 뜻을 파악한 것이다.
만일 신화의 해석을 읽으면서 당신도 어느 순간 "아하!" 하는
반응을 하게된다면 그것은 그 특정 신화가 바로 당신에게 의미
있는 어떤 것을 상징적으로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 당신은
핵심을 붙잡은 것이다. 나는 내가 신화의 예를 들면서 그 뜻을
설명할 때 청중이 이러한 깊은 차원의 이해를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것은 여성 심리 이론이 바로 나 자신을 이해하고 주변의
다른여성을 이해하는 것이 될 수 있는,핵심을 찌르는 학습
방법이다.
나는 60년대 말과 70년대 초에 걸쳐서 캘리포니아 의과
대학,산타 크루즈에 있는 캘리포니아 대학, 그리고 샌프란시스코의
응 연구소에서 여성 심리학 세미나를 하면서 신화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 후 15년간 씨애틀, 미네아폴리스, 덴버,
캔사스 시티, 휴스턴, 포트랜드, 포트 웨인, 워싱톤 디 씨,
토론토, 뉴욕 그리고 샌프란시스코 베이 에어리어에서 특강을
하면서 나의 생각을 발전시켜 나갔다. 어디서나 반응은 같았다. 즉
내가 신화의 예를 들어 나의 임상 자료들과,내 개인적 경험,그리고
여성 운동에 대한 내 견해를 설명할 때, 청중은 새롭고 깊은
이해를 하는 것이 었다.
특강을 할 때 나는 싸이키 신화로 말문을 연다. 싸이키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우선으로 하는 여신이다. 그리고 나는 두번째
신화를 시작하는데, 그것은 내가 발전시킨 것으로서, 학교와
사회에서 모두 성공적인 생활을 해나가며, 수많은 할일과
어려움으로 둘러싸여 있을 때도 그것들에 압도되기보다는 의욕을
돋구는 상황으로 해석하는, 그런 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런 성향을 가진 신화의 여주인공은 아틀란타인데, 그녀는
경주자이며 사냥꾼으로서, 이 두 방면에서 그녀를 꺾어 보려고
했던 남자들을 모두 능가하였다. 아틀란타는 아름다운 여성인데
사냥과 달의 여신인 아르테미스와 비교된다.
이런 식으로 강의하면서 나는 다른 그리스 여신들에게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그들이 보여주는 모습의 범위에 대해 공부해
나갔다. 그리고 나 자신 "아하!" 하는 감탄의 순간을 갖게 되었다.
한 예로 어느 날 내 사무실에서 질투심
과 원한으로 가득찬 여성 환자를 만나게 되었는데 그녀에재서 나는
제우스의 아내이며 결혼의 수호신인 헤라의 굴욕적인 모습을 본
것이다. 헤라는 남편의 끊임없는 바람기에 화가 나서 그의 상대
여성을 찾아내어 죽여버리는 일을 계속하고 있었다.
위의 환자는 남편이 바람을 피우고 있음을 최근에 알았고 그
후부터는 남편이 상대하는 여성에 대한 생각으로 괴로워하고
있었다. 그 상대 여성을 뒷조사 하고, 잔인하게 앙갚음하는 상상을
하고, 어떻게 하든지 복수를 하겠다는 생각으로 그녀는 미칠
지경이 되었다. 헤라의 경우처렁, 위의 환자도 정작 자신을 속이고
바람을 핀 남편에게는 분노를 터뜨리지 않았다. 나는 그 환자에게
헤라를 그렇게 만든 것은 제우스의 배신 때문이라는 얘기를
해주었고, 그 환자는 헤라의 경우를 통해 자신이 왜 그렇게 분노로
가득차게 '되었고 파멸로 치닫게 되었는지 알게 되었다. 결혼
문제는 그들 부부간의 문제인 것이며 문제는 남편에게 있는
것이므로 남편과 문제를 해결하려고 해야지 헤라처럼 복수심에
가득찰 필요가 없다는 것을 깨달은 것이다.
그러고 언젠가 내 여자 동료가 내가 지지하고 있는 ERA에
반대하는 얘기를 내 앞에서 한 적이 있었다. 나는 화도 나고 속이
상했었는데 그 순간에 "아하!" 하는 느낌이 왔다. 그 순간의
갈등은 우리 둘이 각기 모시고 있는 서로 다른 여신들 간의 충돌
때문에 일어났다. 그 순간 그 주제에 있어서 나는 여성을 보호하는
큰언니 격인 아르테미스의 원형을 닳고 있었고, 내 동료는
제우스의 머리에서 탄생했으며 모든 영웅들의 수호신이며,
가부장제를 수호하는, 아버지의 토습을 이은 딸인 아테나를 닮고
있었다.
그리고 또 언젠가는 패티 허스트 Patty Hearst양 유괴 사건을
신문에서 읽었는데 지옥의 신인 하데즈에게 유괴당해서 강간당하고
볼모로 잡혀 있던 페르세포네의 신화가 생각났다. 지옥의 신은
지금 이 순간에 신문의 서두를 장식하고 있었으며, 페르세포네는
신문왕인 거부를 부모로 둔 애지중지 보호를 받고 큰, 캘리포니아
대학을 다니는 여학생, 패티였다. 패티는 자칭 해방군의 두목에
의해 암흑가로 유괴되었으며 옷장 속에 갇혀 있으면서 수차례
강간당하였다.
나는 곧 우리 모두 마음 속에 여신들을 모시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어떤 여신이 우리 각자에게 가장 활발한 활동을
벌이는지를 아는 것이 극적인 사건의 이해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을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았다. 즉 내가 음식을 만들고
집안일을 할 때는 어떤 여신이 내 안에서 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지가 한 예가 될 수 있다.
여기 간단한 한 예가 있다. 남편이 일주일간 출장을 가게 되었을
때 나는 밥을 어떻게 지으며 집안일은 어떻게 하는가 헤라나
아프로디테를 모시고 있는 여성은 밥과 집안일에 대해 신경을 쓰지
않는다. 음식은 대충 찬밥과 냉장고에 남아 있는 반찬으로 때운다.
남편이 집에 있을 때 따끈하고 맛갈스런 식사 준비를 하는 것과는
전혀 딴판이다. 나는 남편을 위해 밥을 짓는 것이다. 반찬은 내가
좋아하는 것보다는 남편이 좋아하는 것으로 한다. 나는 헤라처럼
맛있는 음식을 준비하는 좋은 아내이며, 데미테르처럼 모성애로
남편을 보살피며, 페르세포네처럼 남편을 즐겁게 하는 일을 하려고
하며, 아프로디테처럼 남편에게 매력적으로 보이고 싶어 한다.
그러나 만일 헤스티아가 나에게 영향을 끼치는 여신이라면 상황은
달라진다. 나는 혼자 있을 때도 나를 위해서 맛있는 음식을 차릴
것이고 집안도 정돈해 놓고 지낼 것이다. 이것은 남편이 돌아을
때까지 집안을 치우지 않고 지내는 다른 여성들의 행동과는 다른
것이다. 헤스티아의 영향을 받는 여성은 그녀 자신이 즐기기 위해
꽃을 꽃아 놓는 여성이다. 그리고 집안은 항상 아늑하다. 왜냐하면
그녀가 살고 있는 집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성 심리를 신화를 통하여 이해하는 것을 나처럼 다른
사람들도 유용하다고 생각할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그 의문은
내가 우리 속에 있는 여신들이라는 제목으로 강연을 할 때 보여준
청중들의 적극적인 호응으로 풀어졌다. 신화가 통찰력의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에 대한 호응이었다. 내가 신화를 얘기했을 때 청중은
내가 말하는 것을 그대로 이해하였고,신화를 해석했을 때는,
사람들은 "아하!" 하는 감탄의 순간을 가졌다. 남자와 여자 모두
신화의 의미를 각자의 상황을 설명해주는 진실로 받아들였는데
이것은 우리가 지금까지 무관심하게 알고 있던 것들이 새로운
의미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해 주는셈 이었다.
나는 정신과 의사이며 심리학자로서 이러한 내 생각을 학회에도
발표하였다. 이 책의 일부는 내가 국제 분석심리학회,미국
정신분석학회, 미국 정신의학회, 미국 정신의학회 여성분과,
그리고 탈개인 심리학회에서 발표한 것이다. 학회에서의 반웅은
신화를 통한 여성 심리의 해석이 임상학적으로 도움이 된다는
것이며,성격 유형과 정신질환 증세들에 대한 통찰력을 갖고 있다고
평가하였다. 그들 대부분에게 이것은 응의 이론을 따르는
정신분석가로서는 처음으로 하는 여성 심리에 대한 발표였다. 응의
이론가인 동료들은 내가 여성 심리에 대해서 응의 이론과는 다른
생각들을 발전시키고 있으며 정통 심리학에 여성주의적 시각을
결합시키는 작업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 책은 일반 독자를
대상으로 쓰여진 것이지만 응의 이론을 공부하고 있는 독자들은
나의 여성원형에 기초한 여성 심리가 응의 남성적인 것과 여성적인
것에 대한 이론 ani- ma-animus theory과는 다르다는 것을 발견할
것이다 제3장, 처녀 여신들을 참조 할 것. 융의 이론가들은
그리스의 남신과 여신을 원형으로 많은 글을 써 왔다. 그리고 나는
그들의 글에서 많은 것을 배웠고, 그들의 글을 인용했다각
장의주를 참조할 것. 그러나 특별히 일곱 명의 그리스 여신을
선정하고, 그들을 심리적 기능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누면서 나는
심리적 갈등을 이하는 수단파 유형을 특별히 만들어 내었다. 이
유형을 통해서 나는 융의 이론에서 이미 언급되고 있는 집중력
있는 의식과 분산된 의식의 두 유형에다 세번째 유형인 아
프로디테적 의식을 더하였다 제 11장, 창조하는 여신을 참조할 것.
나는 두 가지의 새로운 심리학적 개념도 이 책에서 다루었지만
이 책의 주제와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자세히
언급하지는 않았다. 그 새 개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가 설명하는 여신들은 심리적 유형에 따른 응의 이론과
여성들의 실제적 행위간의 차이에 대해 설명해줄 수 있다. 융의
심리적 유에 따르면 우리는 양극화된 유형을 보인다. 즉 태도는
외향적이거나 내성적이고, 사고 방식은 감성적이거나 사유적인 것
중의 한 형태를 띠며,사물을 감지하는 방식은 직감 아니면
오성이다. 이 네 가지 기능감성과 사유, 직감과 오성 중에서 한
쪽이 의식의 수준에서 급격히 발달하게 되면,·다른 한 쪽은
상대적으로 개발되지않게 된다. 응의 양극적 구분 방식에 대해서
응 심리학자인 준 싱어 June singer와 메리 루미스 Mary Loomis는
예외를 제시하였다. 내 경우도 여신 유형이 융의 양극적 구분
방식에서 벗어난 예외적 여성들을 잘 설명한다고 본다.
한 예로, 내가 어떤 한 모습에서 다른 모습으로 바필 때, 나는
한 여신 유형에서 다른 여신 유형으로 바뀌는 젓이다. 어떤
상황에서 나는 외향적이고 논리적인 아테나를 닮고 있지만, 또
다른 상황에서는 고요하고 내성적이며 집안을 지키는 헤스티아
여신을 닮는다. 한 여성이 이런 상반된 모습을 상황에 따라 보여줄
수 있는 것이 왜 여성이 융의 도식에 따른 유형으로 설명되어질 수
없는지의 이유가 된다. 또 나는 미적인 것에
대해서는아프로디테의경우처럼 세
부 상황까지 자세히 알고 있으나 가스 스토브의 기름이 다
떨어져간다는 것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한다 아테나라면 이런
경우는 없을 것이다. 여신 원형에 따른 설명은 역설적이게도 한
기능이이 경우에,오성 가장 발달했으면서도 동시에 가장 덜
발달되어 있는 경우에 대한 설명을 가능케 한다 제13장, 어느
여신이 황금의 사과를 얻는가 참조할 것.
둘째, 나는 임상을 통하여, 자신의 자아를 암도하면서까지
정신질환 증세를 일으키는 여신 원형의 힘이,고대 유럽의 위대한
여신으로부터 여러 단계를 거쳐 딸이거나 처녀들인 그리스의
여신에 이르면서 그 영향력이 줄어들긴 했지만 역사상 여신에게
있다고 생각되었던 힘과 같은 것임을 알게 되었다. 제1장,
내모습을 담고 있는 여신들 참조할 것.
이 책은 정신과 의사들에게 도움이 될 이론과 내용을 담고
있지만, 이 책은 여성을 더 잘 이해하고 싶어하는 사람과 특히
가장 가까이 여기고 아끼지만 때때로 이해할 수 없는 여성을
이해하고 싶어하는 사람, 그리고 자기 자신 속에 있는 여신을
발견하고 싶어하는 모든 여성들을 위해 쓰여진 것임을 밝힌다.
제1장 내 모습을 담고 있는 여신들
선천성 심장병을 가진 연약한 여자아기가 내 친구 앤의 품에
안겨 있었다. 품에 안긴 아기의 얼굴을 쳐다보는 순간 앤은 가슴이
뭉클해졌다. 그리고 나도 가슴이 저린 것을 느꼈다. 잠간 사이에
앤과 아기는 서로 연결된 것이다. 그 후로 앤은 정기적으로 아기를
보러 왔으며 가능한 한 오래 아기를 안고 있었다. 아기는 곧
수술을 받았지만 살지 못했다. 아기는 단지 몇달만을 살았을
뿐이지 만 앤에게 깊은 영향을 끼쳤다. 둘이 처음 보았을 때,
아기는 앤의 마음 깊숙히 숨어 있는 감성적인 부분을 건드린
것이다.
1976년에 정신과 의사이며 작가인 앤토니 스티븐스 Anthony
Stevens는 그리스의 아테네 근방에 있는 메트라 고아원에서
갓난아이가 어떻게 어른과 감정적인 교류를 갖게 되는지를
연구하였다. 갓난아이와 아이를 봐주는 간호원 사이에서 생기는
콸대감은 앤의 경우와 같은 것이었다. 즉 둘은 서로간에 매력을
느끼면서 마치 사랑에 빠지는 것처럼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었다.
스티븐스의 관찰은 우리가 생각하고 있듯이,모자 간의 사랑은
양육을 통하여 서서이 형성된다는 이론이 사실이 아님을 보여준다.
그는 고아원의 아기들의 삼분의 일 이상이 결연을 맺기 전에는
듣지도 보지도 못한 간호원들에게 애착을 갖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리고 일단 유대감이 형성된 후로는 간호원은 그
아이에게 특히 정성을 쏟게 되는데 그것은 아이가 그 간호원
이외의 다른 간호원에게는 거부감을 보이기 때문이었다.
어떤 어머니들은 방금 태어난 자신의 아기를 안자마자 아기에
대한 모성애와 깊은 애정을 느낀다. 아기가 어머니의 마음 속에
있는 어머니 원형을 건드린 것이다. 그러나 또 다른 어머니들에게
있어 모성애는 시간이 지나면서 자라게 되어 아기가 8내지 7개월이
되었을 때 확실해진다.
아이를 낳았는데 모성애가 동하지 않을 때,그녀는 곧 자신이
다른 어머니들이 느끼는 것을 느끼지 않고 있거나 혹은 첫째
아이를 낳았을 때의 느낌을 갖고 있지 않음을 깨닫는다.
어머니에게서 어머니 원형이 작동하지 않을 때, 아이는 유대감을
형성할 수 없으며, 어머니 원형이 어머니에게 생기기만을 바라게
된다 하지만 고아원의 예에서 본 것처럼,유대감은 반드시 낳아준
어머니하고만 생기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그 바람은 아이가
어른이 되서도 계속된다. 내가 어떤 여성 모임에서 만난 마흔한
살의 여성은 어머니가 돌아가셨다고 말하면서 흐느꼈는데 이제
다시는 어머니에게서 유대감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
어머니라는 여성의 마음 깊숙이 있는 한 존재 방식이 아이에
의해 활성화 되는 것처럼, 아이도 어머니를 찾도록 그렇게
만들어져 있다. 어머니와 아이 모두에게, 따라서 인간 모두에게,
어머니의 모습은 모성애와 감성으로 연상된다. 마음 속에서
작동하고 있는 내 안의 이 모습,무의식적으로 내 행동과 감정을
결정하는 이 모습이 바로 원형이다.
어머니는 여성 안에 있으면서 활성화될 수 있는 많은 원형 중의
하나이다. 우리가 다양한 원형들을 구분할 수 있을 때 우리는 어떤
원형이 내 안에서 활성화되고 있는지, 그리고 다른 사람 안에서
활성화되고 있는 원형은 무엇인지 알아낼 수 있다. 이 책에서 나는
여성들 마음 속에 활성화되어 있는 다양한 원형들을 그리스
여신들의 의인화를 통해 설명하려 한다. 한 예로 데미테르는
어머니 원형을 구현하고 있고,페르세포네는 딸을, 헤라는 아내를,
아테나는 전략가를, 헤스티아는 집안을 지키는 사람의 원형을
구현하고 있다. 이 원형에 대해 내가 그리스 여신의 이름을 붙인
것은 그 여신들의 모습이 여성들의 느낌을 잘 나타내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사실상 원형에는 이름이 붙어 있지 않다.
융은 심리학에 원형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원형은 집단
무의식에 들어 있는 본능적 행동 유형을 말하는 것이다. 집단
무의식이란 무의식의 한 부분으로서, 독립적인 것이 아니고
일반적인 것으로서 어디서나, 누구에게나 통용되는 행동 양식과
내용을 담고 있다.
신화와 옛날 얘기들은 원형의 다양한 표현들이다. 모든 사람에게
공동으로 있는 원형의 유형을 설명하므로 각기 다른 문화에서
나타나는 신화들이 공통점을 갖는 것이다. 선존하는
유형들로서,원형은 우리가 행동하는 방식과 인간 관계를 맺는
방식에 영향을 끼친다.
1. 원형으로서의 여신들
우리 대부분은 학교에서 올림푸스산의 신과 여신들에 대해서
배웠고, 그들에 대한 그림이나 동상들을 본 적이 있다. 로마인들도
이 신들을 섬겼는데 이름을 로마 이름으로 바러 불렀다.
올림푸스의 신들은 매우 인간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어서 그들의
행동과 외모와 감정적인 반웅들이 인간들의 행등, 사고방식과
유사했다. 이 신들은 모두 우리한테 친숙한데 그 이유는 그들이
원형적이기 때문이다. 즉 우리 모두가 공유하고 있는 집단
무의식에서 나타나는 존재와행동유형을 그 신들이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그 신들 중 가장 유명한 신들은 을림푸스산의 열두 신들이다.
제우스, 포세이돈, 하데즈, 아폴로, 아레스, 혜파이스투스 그리고
여섯 여신들인, 헤스티아, 데미테르, 헤라, 아르테미스, 아테나,
그리고 아프로디테이다. 이 중 화로와 신전의 순호신인 헤스티아가
술의 수호신인 디오니수스로 교체되어서 남녀의 비율은 칠대 오가
된다. 내가 이 책에서 묘사하는 여신들은 이 여섯 여신에다
페르제포네를 합친 것인데,페르세포네 신화는 데미테르 신화와
연결되어 있다.
이 일곱 여신을 나는 처녀 여신들, 상처받기 쉬운 여신들,
그리고 창조하는 여신 이렇게 세 그룹으로 나누었다. 처녀신들은
고대 그리스 시절부터 그렇게 분류되었고, 다른 두 그룹은 내가
묶은 것이다. 그들의 의식 상태와, 원하는 역할,그리고 자극을
받는 것의 종류에 따라 그룹으로 나누었는데, 각 그룹은 다른
사람에 대한 태도, 관계를 중요시하는 정도,그리고 주변 사람과
강한 유대감이 있어야 하는 정도에 있어 분명히 구분되었다. 이 세
그룹의 성격을 모두지니고 있는 여신은 생활 어딘가에서 깊게
사랑하고 자신에게 의미 있는 일을 하고 그리고 매력적이면서
창의적인 그런 자신을 표현해야만 한다.
첫번째로 소개될 그룹은 처녀 여신들.인데,아르테미스,아테나
그리고 헤스티아가 여기에 속한다. 로마인에게는 다이아나로
알려진 아르테미스는 사냥과 달의 수호신이다. 그녀 자신이
백발백중의 궁수였고 모든 어린 생명들의 보호신이었다.
로마인에게는 미네르바로 알려진 아테나는 지혜와 공예의
수호신으로 그녀의 이름을 딴 아테네 도시의 보호자이면서, 모든
영웅들의 수호신이기도 하였다. 아테나는 보통 무장한 모습으로
많이 알려져 있으며 전쟁에서는 최고의 전략가로 알려져 있다.
로마인에게는 베스타로 알려진 헤스티아는 화로의 수호신으로
올림푸스의 신들 중에는 별로 잘 알려지지 않은 여신이다. 그녀는
가정이나 신전 화로의 불길로 알려져 있다.
처녀 여신들은 자율적이고 충분한 자질을 가지고 있는 여성들을
대표한다. 다른 올림푸스의 여신들과는 달리 이들은 사랑에 쉽게
빠지지 않는다. 그리고 감정적인 애착 때문에 그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던 것을 포기하는 일은 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들은
피해자가 되지도 고통을 받지도 않는다. 원형으로서,이 세여신들은
여성들에게도 독립심의 욕구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자기
자신에게 의미가 있는 일에 집중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르테미스와 아테나는 목표 지향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를 하는, 업적 지틀적인 원형을 보여준다. 헤스티아는
내향적이면서 영적인 세계에 관심을 갖는 원형이다. 이 세 여신은
모두 활발하게 각자의 목표를 추구하는 여성적 원형들이다. 이
여신들은 자율적이며 능력이 있는 것이 여성적 속성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두번째 그룹인 헤라, 데미테르, 페르세포네를 나는 상처받기
쉬운 여신들로 분류했다. 로마인에게는 쥬노로 알려진 헤라는
결흔의 수호신이며 제우스의 아내이다. 로마인예게는 시어리즈로
알려진 데미테르는 곡식의 수호신인데 그녀의 신화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이 어머니로서의 그녀의 역할이다. 로마인에게는
프로세르피나로 알려진 페르세포네는 데미테르의 딸로서 소녀라고
불리기도한다.
이 세 상처받기 쉬운 여신들은 아내, 엄마, 딸이라는 전통적인
역할을 대표한다. 이 세 여신들은 관계 지향적인 여신들로서,
자신에게 의미 있는 관계를 잘 유지하는 것이 그들이 자신감을
갖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들은 애정과 유대감이 필요한
여성을 대변한다. 이들의 마음은 다른 사람에게로 향해있으며
상처받기 쉽다. 이 세 여신들은 남신들에게 강간당하거나 버림을
받았거나 아니면 지배를 받거나 굴욕을 당하였다. 그리고 각자는
그들의 애정이 깨어졌을 때 괴로워했고 정신질환적 증세를 보였다.
그러나 각 여신은 또한 괴로움으로부터 벗어남으로써, 애정의
파탄에 대한 대웅의 유형을 보여주었으며 고통을 통한 성장의
가능성이라는 인식을 여성들에게 마련해 주었다.
로마인에게는 비너스로 알려진 아프로디테는 사랑과 미의
여신인데, 창조적인 여신으로서 세번째 그룹에 속한다. 그녀는
여신들 중 가장 예쁘고 매혹적이었다. 그녀는 수많은 연애를 통해
많은 아이를 낳았다. 그녀는 사랑과 미를 만들고,성적 매력과
관능미를 지녔으며, 창조적인 생활을 만들어 내었다. 그녀는
자신이 선택하여 새로운 관계를 맺었으며 결코 상대방으로부터
희생당하지 않았다. 처녀 여신들처럼 자율성을 유지했고, 동시에
상처받기 쉬운 여신들처럼 관계를 맺었다. 그녀의 의식은 집중력
있으면서 동시에 포용성이 있어서, 자신과 상대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것이었다. 아프로디테 원형은 지속성보다는 강렬함을
관계에서 구하고, 창조적인 과정에 가치를 두며, 항상 변화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2. 족보
이 여신들이 누구이며 다른 신들과 어떤 관계를 맺었는지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신화 속에서 그들을 살펴보기로 하자. 기원 전
700년경 헤시오드가 처음으로 다양한 전통을 갖고 있는 신들을
정리하는 작업을 했는데, 신의 계보학 Theogony이라는 책을 통하여
어느 신이 누구에게서 나왔고 누구를 낳았는지에 대해 설명하였다.
헤시오드에 따르면 태초에 흔돈이 있었다. 이 흔돈으로부터 지아
땅, 타타루스 지옥의 끝, 그리고 에로스 사랑가 나왔다.
지아는 여성성을 지닌 땅으로서 우라누스 하늘라는 아들을
낳는다. 그 후 지아는 우라누스와 결합하여 열둘의 타이탄을
탄생시키는데, 타이탄은 원시적인 자연의 힘으로서 고대
그리스에서 숭배를 받았다. 헤시오드의 족보에 의하면 타이탄들이
바로 올림푸스 신들의 부모 혹은 조부모가 되는 셈이다.
우라누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첫번째 가부장의
모습인데,지아와의 사이에 난 자식들을 점점 미워하게 되어
자식들이 태어나자마자 모두 지아에게 다시 묻어 버렸다. 지아는
고통과 괴로움으로 지새다가 그녀의 타이탄 자식들에게 도움을
청하였다. 그러나 모두들 나서기를 두려워하던 중에 로마인에게는
사탄으로 알려진 막내 크로노스가 나섰다. 어머니가 준 작은 낫을
가지고 어머니가 고안한 계획에 따라 아버지가 오기를 기다렸다.
우라누스가 지아와 부부관계를 맺기 위해 지아 가까이 다가을
적에 크로노스는 낫을 들고 아버지의 성기를 잘라서는 바다에 던져
버렸다. 크로노스는 그 후 가장 강력한 남신이 되었다. 크로노스와
타이탄이 우주를 지배하였고 강, 바람, 무지개 같은 것이 되었다.
또 일부는 괴물이 되거나 악마와 같은 위험한 것이 되었다.
크로노스는 그의 누이동생인 리아와 결합하였다. 그리고
이들로부터 올림푸스의 신들인 헤스티아, 데미테르,헤라,
하데즈,포세이돈 그리고 제우스가 태어났다.
그런데 이번에는 크로노스가 자기 자식들을 없애려고 하였다.
크로노스의 운명은 자신의 아들로부터 축출당하는 것이라는 얘기를
듣고 이것을 막기 위하여 아이가 태어나자마자 아들인지 딸인지
구별하지도 않고 삼켜 버렸다. 결국 세딸과 두 아들을 없앤
것이다.
슬픔에 싸인 채 다시 임신을 하게 된 리아는 자신의 부모인 지와
우라누스에게 도움을 청하였고 아버지를 고자로 만들고 자식을
다섯이나 삼켜버린 크로노스를 벌 줄 것을 원했다. 부모는
리아에게 이번에는 크리트에 가서 몸을 풀도록 하고
크로노스에게는 돌멩이를 옷으로 싸서 아이로 속이라고 하였다.
크로노스는 돌멩이를 아이라고 생각하고 허등지등 삼켜버렸다.
이렇게 살아난 아이가 제우스이고, 제우스는 과연 아버지를
축출하고 인간과 신 모두를 지배하게 된다. 제우스는 속임수를
써서 아버지가 그의 형제들을 다시 토해내게 한 후에 다시 살아난
형제들의 도움으로 아버지와의 오랜 정권 쟁탈 투쟁 후에 권좌를
차지한다. 한편 크로노스와 그의 형제들인 타이탄들은 타타루스
지옥에 갇히게 된다.
이 승리 후에 세 형제 신들인 제우스, 포세이돈, 그리고
하데즈는 우주를 셋으로 갈라서,제우스는 하늘을,포세이돈은
바다를,하데즈는 지하 세계를 다스리게 된다. 대지와 올림푸스산은
공동의 소유였지만,결국에는 제우스가 다스리게 된다. 세 자매
여신들인 헤스티아, 데미테르 그리고 헤라는 이 와중에서 아무런
재산도 받지 못했는데 그리스 종교가 이미 가부장적 성격을 확실히
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제우스는 여러 여신과 성관계를 맺음으로써 많은 아이를 낳았다.
레토와의 사이에는 아르테미스와 태양의 수호신인 아폴로가
태어났고, 메티스와의 사이에는 아테나가, 데미테르와의 사이에는
페르세포네가, 마이아와의 사이에는 전달자의 수호신인
헤르메스가,그의 아내인 헤라와의 사이에는 전쟁의 수호신인
아레스와 대장간의 수호신인 헤파이스투스가 태어났다.
아프로디테의 출생에 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제우스와 디오네 사이에서 태어났다는 것과 다른 하나는
아프로디테가 제우스보다 먼저 태어났다는 것이다. 한편
디오니수스는 제우스와 인간인 세밀레 사이에 태어났다.
3. 역사와 신화
그리스 신들을 탄생시킨 신화는 역사적 사건에서 출발한다.
제우스와 다른 영웅들이 정권을 잡게 되는 것은 이미 가부장적
신화로서, 어머니를 숭배하는 종교를 가진 종족이 전쟁의 신을
숭배하고 아버지를 숭배하는 종교를 가진 종족과 맞서다가
결국에는 항복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로스앤젤레스의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유럽 고고학 교수로 료는
메리자 김버 터스Marija Gimbutas는 고대 유럽을 유럽의 첫번째
문명으로 본다. 가부장적 종교가 생겨나기 5,000년쯤 전에혹은
25,000년쯤 전 고대 유럽은 어머러 중심적이고, 정착민들이었으며,
평화롬고, 예술을 사랑하며, 위대한 여신을 숭배하는 농경문화
혹은 해양문화를 형성하고 있었다. 유적지의 유물을 통해 보면
고대 유럽은 평등 사회였으며 멀리 북쪽과 동쪽으로부터 온 기마
민족이며반유목 민족인 인도-유러피언에게 정복당했음을 알 수
있다. 이 침입자들은 아버지 중심적이고 전쟁을 좋아하며 하늘
지향적이고 예술에는 무관심한 종족이었다.
침입자들은 그들 자신이 정착민보다 더 뛰어난 종족이라고
생각하였는데 그것은 그들보다 문화적으로 더 발달한 정착민을
그들 손 안에 넣을 수 있기 때문이었다. 바로 이 초기 정착민들이
경배한 신이 위대한 여신 The Great God-dess이다. 이 위대한
여신은 아스타르테, 이쉬타, 이나나, 너트, 아이시스,
아쉬토레스,오세트,하토르, 니나,나무,닌갈 등으로 알려져 왔는데
자면과 출산에 깊이 관련된 여성적 생명력으로 숭배받아 왔으며
생명을 창조하고 파괴하는일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여신을 상징하는 것으로는 뱀, 비둘기, 나무, 달이 있다.
역사학자이며 신화학자인 로버트 그레이브 Roberr Graves에 따르면
가부장적 종교의 도래 이전에는 바로 이 위대한 여신이
영원불변하고 전지전능한 신이었다. 위대한 여신은 아이에게
아버지를 만들어 주기 위하여 연인을 만드는 것이 아니고 쾌락을
위하여 연인을 가졌다. 부성애라는 개념이 아직 생기지 않았으며
남신이 없었던 시대였다.
인도-유러피언의 계속되는 침략으로 여신에 대한 숭배는
줄어들기 시작했다. 이 침략이 시작된 시기는 대략 기원 전
4,700년에서 2,400년으로 잡고 있다. 여신 숭배는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침략자의 종교에 응화되기 시작했다.
침략자들은 그들의 가부장적 문화와 호전적 종교를 피정복
민족에게 강요하였다. 이제 위대한 여신은 침략자가 모시는 남신의
비굴한 배우자가 되었고 원래 여신의 속성이었던 것들을 남신에게
빼앗기게 되었다. 강간이 처음으로 신화에 등장하고 위대한 여신의
상징이었던 뱀이 영웅들에게 살해되는 이야기가 신화에 등장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리스 신화에 나타난 것처럼 위대한여신의 힘과
상징과 권력은 여러 여신들의 등장으로 각기 갈라지게 되었다.
그래서 한때는 위대한 여신에게 모두 있던 속성들이 이제 결혼의
식은 헤라에게, 여신의 성찬물은 데미테르에게, 여신의 뱀은
아테나에게, 여신의 비둘기는 아프로디테에게, 야생의 처녀로서의
기능은 아르테미스에게로 나뉘어졌다.
신이 여자였을 때 When God Was a Woman의 저자인 매를린 스톤
Merlin Srone은 이 위대한 여신의 몰락이 인도-유러피언족의
침입에서 시작되어 히브류, 기독교, 그리고 모슬렘 종교에 의해
완성되었다고 보았다. 남신이 지배하고 여신은 됫전에 머무는
형식이 되었고 일반 사회에서도 이 형식은 그대로 답습되었다.
여신 숭배의 억압과 여권의 억압이 어느 정도 상관성이 있는지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4. 역사 속에 나타나는 여신들과 원형들
위대한 여신은 생명을 창조하고 파괴하는 담당자로서,그리고
자연을 풍요롭게도 하고 황폐하게도 할 수 있는 담당자로서
숭배받았다. .그리고 이 위대한 여신은 아직도 우리 마음 속에
집단 무의식의 원형으로서 존재한다. 나는 내 환자들에게서 이
위대한 여신의 파괴적인 면을 자주 느끼곤 했다. 산후 우울증에
걸려 있던 한 환자가 특히 파괴적인 면에 있어서 이 위대한 여신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쟈넷은 방금 아이를 낳고 나서 정신질환적
증세를 보이는 젊은 엄마였다. 그녀는 자신이 세상을 다 없애
버렸다고 확신하고 있었고 정신착란과 우울증에 시달리고 있었다.
슬픔과 죄의식에 빠져서 그녀가 병동을 서성이고 있을 때 나는
같이 동무가 되어 걸었다. 그때마다 쟈넷은 자기가 이 세상을 다
먹어 버렸으며 파괴시켜 버렸다고 말하였다. 임신한 동안 쟈넷은
위대한 여신이 갖고 있는 생명의 창조자로서의 긍정적인 면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출산 후에 쟈넷은 자기가 창조한 것을 파괴해
버리는 힘을 가진, 그리고 그렇게 한, 위대한 여신이 된 것이다.
그녀의 감정적인 확신은 러무도 강렬해서 세상이 아직도
존재한다는 증거를 그녀는 무시해 버렸다.
위대한 여신의 원형의 긍정적인 면 또한 아직도 존재한다. 한
예로 생명을 유지시키는 여신으로서의 모습을 보자. 한 여성과의
관계에 자신의 존재 의미를 부여하는 남성에게는 그 여성이 위대한
여신이 된다. 그 사람에게는 그 특정 여인이 위대한 여신으로
생각되는 것이다. 실제로 이런 환상은 매우 흔하게 일어난다. 이
관계가 끝났을 때 그 충격이 너무나 커서 자살을 하는 경우도
있는데,그렇다면 그 람성의 생명이 진실로 여신에 의해 유지된
셈이다.
위대한 여신이 과거의 찬란했던 세력을 대변하듯이 위대한
여신의 원형은 다른 어느 원형들보다 강력한 힘을 지니고 있다. 즉
위대학 여신은 비합리적인 공포심과 혼동된 현실감으로 우리를
사로잡을 수 있다. 반면에 그리스 여신들은 그 힘이 덜한 대신
전문적이다. 콱 여신들은 자기가 세력을 펼칠 수 있는 영역이
제한되어 있다. 여성 심리에 있어서도 그리스 여신들은 위대한
여신만큼 힘을 쓰지는 못한다. 즉 우리의 감정을 완전히
장악하거나 현실을 혼
동시키게 하지는 못한다.
여성들의 일반적인 유형을 대표하는 그리스의 일곱 여신들
중에서 아프로디테와 데미테르, 헤라가 우리의 행동을 조정하는
가장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다. 이 세 여신이 나머지 다른
여신들보다 위대한 여신에 더욱 가깝다. 아프로디테는 위대한
여신의 출산 능력을 담당하고 있고, 데미테르는 위대한 여신의
어머니 기능을, 헤라는 위대한 여신의 여왕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각 여신들이 위대한 여신보다 힘에
있어서는 덜하지만, 일단 이 여신들이 자기 몫을 요구할 때는
우리의 정신 속에 강력한 븐능의 힘을 드러낸다.
만약 이 세 여신들 중의 하나로부터 행동의 지배를 받는 여성이
있다면, 그 여성은 저항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이 세 여신을
맹목적으로 추종하는 것은 여성의 삶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이
원형들은 신이 아니고 인간인 여성들의 현실적 삶과 그에 따른
인간 관계들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이유는
원형들이 시간 밖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나머지 네 여신들 중의 셋인 아르테미스, 아테나 그리고
페르세포네는 처녀여신들로서 딸들의 세대를 대표하고 있다. 이 세
여신들은 위대한 여신에게서 한 세대 더 멀리 떨어져 있다. 따라서
이 세 여신들은 원형으로서 덜 지배적이며 주로 우리의 성격
유형에 영향을 끼친다.
가장 나이가 많고 현명하며 존경받는 여신인 헤스티아는 전혀
세력을 갖고 있지 않다. 헤스티아는 존경받는 여성의 영적인 면을
대표하고 있다.
5. 그리스 여신과 우리
그리스 여신들은 삼천 년 동안 인간의 상상력 속에 유지되어
왔던 여성의 모습이다. 여신들은 우리들의 모숨을 반영하는데 단지
우리가 실제로 행사할 수있는 것보다 더 많은 힘과 다양성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여신들은 강하고 아름다우며 우리들의 삶의
과정을 구체화시키는 뭔형이나 유형을 대표하고 있다.
이 여신들은 서로 다르다. 각 여신은 각각 장점과 단점억 될 수
있는 성향을 가지고 있다. 이들의 신화는 이들이 중요하게
생각한는 것이 무엇인지를 보여주며, 비유로서 각 여신을 닮은
여성은 어떤 식의 행동을 펼쳐 나가는지클 보여준다.
또한 그리스 여신들은 다양하고 복잡한 면을 지닌 여성들에 대한
비유로도 사용될 수 있다. 여신들 모두는 각 여성의 내면에
잠정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만일 내 안에 몇몇의 여신들이 서로 내
마음을 지배하기 위하여 경쟁하고 있다면 나는 나의 어떤 면을
언제 표현해야 할지 결정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나는 한 번은
이쪽으로 다음에는 저쪽으로 끌려 다니는 생활을 하게 될 것이다.
그리스 여신들도 우리처럼 가부장제 사회에서 살았다. 남신들이
하늘과 땅과 바다와 지하세계를 지배하는 동안에 여신들은 현실에
적웅하여 남신으로부터 펄어져 나가거나, 남신과 섞이거나, 마음
속으로 움츠러들었다. 관계 지향적인 여신들은 실게 상처를
받았으며 남신에 비해서 약하였다. 남신들은 여신이 원하는 것을
무시할 수 있었고 여신을 억압할 수 있었다. 즉 여신들은 가부장적
문화에서의 여성의 삶을 반영하고 있다.
제2장 여신들 살려내기
고대 그리스의 여성들은 직업의 종류와 삶의 여정에 따라 특정한
여신의 지배를 받는다고 알고 있었다. 그에 따라 여성들은 그
여신들을 숭배하였다. 베짜는 여성은 아테나의 후원이 필요했고,
어린 소녀는 아르테미스의 보호를 받아야 했으며, 결혼한 여성은
헤라를 숭배했다. 여성들은 그들이 도움을 필요로 하는 여신들의
제단에 예물을 바치고 경배했다. 아이를 분만하는 여성은
아르테미스에게 고통을 호소했고, 집안을 아늑한 가정으로 만들고
싶은 여성은 스티아를 불렀다. 여신들은 힘이 있었기 때문에
여성들은 여신들에게 제사와 경배와 예물을 바쳤다. 여성들은 또한
헌금도 하였는데, 그렇게 하지 않을 경우 여신들의 분노와 보복이
따를 것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현대 여성의 경우에도, 여신들은 원형으로 남아 있으며, 고대
그리스 시대에서처럼 우리에게서 그들의 몫을 요구하고 지배하려
든다. 즉 내가 지금 어떤 여신의 지배를 받는지는 알지 못하지만
나는 내 삶의 과정에 맞는 특정한 원형에 몰두하게 되는 것이다.
한 예로,사춘기의 한 여학생이 이성에 눈뜨고 쉽게 유혹받는
생이어서, 결국 성경험을 일찍하고 어쩌면 원하지 않는 임신을
하게 되었다고 치자. 아직 어린 소녀는 자신이 사랑의 여신인
아프로디테의 결합과 출산을 향한 욕구에 붙잡혀 있었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알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혹은 어떤 여학생은
아르테미스의 보호 아래 있으면서, 독신으로 사는 삶에 가치를
두고 야생의 생활을 좋아해서,승마나 걸 스카웃의 야영 생활을
즐겼을지도 모른다. 또 어떤 여학생은 젊은 아테나가 되어서 책
속에 파묻히는 생활을 하며, 과학 경시 대회에 참여하기도 한다.
지혜의 여신에 의해서 점수를 잘 받고 남으로부터 인정을 받관
싶어하는 마음을 갖게 된 것이다. 또 어떤 여학생은 처음 인형을
가지고 놀던 어린 시절부터 계속 데미테르의 영향하에 있으면서
아이를 낳고 싶은꿈을 간직한다. 또 어떤 여학생은 풀밭에서 꽃을
따고 있는 페르세포네와 같이 구체적인 목적의식 없이 누군가가
자신을 데리고 가기를 기다리고 있다.
모든 여신들은 우리 마음 속에 잠재적으로 존재해 있는데, 그
중에서 어떤 여신의 원형은 활성화되고 어떤 여신의 원형은
퇴화된다. 응은 수정을 만드는 작업을 가지고 일반적인 원형과
일반적인 것 활성화된 원형 우리 내부에서 작용하고 있는 것
사이의 차이점을 설명하곤 했다. 원형이란 보인지 않는 유형으로서
수정이 어떤 모습을 취하게 될지 결정하는 동력이다. 일단 수정이
어떤 모습을 갖추게 되면 이제 이 눈에 보이는 유형은 활성화된
원형이라고 할수 있다.
원형은 또한 씨앗에 포함돼 있는 청사진과 같다. 씨앗으로부터의
성장청사진의 구체화은 흙과 기후 조건, 영양 상태, 화분의 깊이
등에 따라 달라진다. 마찬가지로, 어떤 여신이 어떤 삶의 주기에
내 안에서 활성화되느냐는 여러 가지요소 즉, 내 자신의 성향,
가족, 문화, 홀몬, 주변 사람들, 예상치 않은 환경들, 내가 선택한
활동들, 그리고 현재 내 삶의 국면들에 따라 달라진다.
1. 타고난 나의 성향
갓난아이는 자기의 성격을 타고 나는데, 활동적이거나
고집스럽고, 조용하거나 호기심 많고, 혼자 잘 지내거나 사교적인
성격 등은 각 여신 원형과 잘 어울린다. 여자 아기가 두 살이나 세
살이 되었을 때 아이는 이미 특정 여신에게 나타나는 특성들을
보여주기 시작한다. 엄마가 하라는 대로 졸졸 따라하는 여자
아기는,혼자서 대문 밖으로 나가서는 동네를 돌아다니는
아기와는-페르세포네와 아르테미스가 다른 것처럼 -다른 것이다.
2. 가족 환경과 여신들
가족의 기대가 내 안에 있는 어떤 여신은 후원하고 어떤 여신은
억누르게 하는 효과를 낳는다. 만일 부모가 딸에게 원하는 것이
모든 면에서 예쁘게 행동을 하거나 엄마 예행 연습을 하는
것이라면 부모는 딸 안에서 페르세포네와 데미테르의 특성들을
강화시키고 있는 것이 된다. 자기가 무엇을 원하는지 알고있으며
오빠나 남동생처럼 특권과 기회를 갖고싶어 하는 딸이 있다면, 그
딸은 자신 속에 있는 아르테미스를 표현하고 있을 뿐인데도
고집스럽다고 려지기 십상이다. 혹은 딸이 아테나를 표현하고 있을
때, 제발 여자답게 행동하라는 충고를 받게 될지 모른다. 반면에
요즘은 여자 아이가 그 반대의 경우를 맞기도 한다. 즉 집안에서
엄마가 하는 일을 따라하는 것을 딸은 정말로 원하는데도 부모는
딸에게 조기 교육과 운동을 강요하는 경우이다.
아이가 타고난 여신 유형은 가족의 기대와 만나면서 서로
상승작용을 하게 된다. 그러나 가족이 아이가 지니고 있는 특정
여신 유형을 인정해 주지 않는 다고 해도 그 유형은 사라지지 않고
단지 아이가 부자연스럽게 행동하게 되고 자존심이 상처 입는
결과를 낳을 뿐이다. 한편 아이가 지닌 여신 유형이 가족의 지지를
받게 될 때도 문제는 남게 된다. 한 예로, 페르세포네처럼 남이
지도 하는 대로 따라하던 여자아이는 남을 즐겁게 하는 일로
칭찬을 받아오던 것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자신이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기 힘들다. 그리고 아테나 유형의 어린이가
월반할 때는 지적인 능력은 강화되는 것이지만 그 대가로 우정을
포기해야 한다. 즉 아이 속에 내재하는 여신의 유형과 가족이
원하는 유형이 같아서 한 여신을 활성화시키게 될 때 그러한
발전은 편중된 것이기 쉽다.
그러나 가족이 자연스럽게 여자 아이가 지니고 있는 속성을
발전시키고 격려할 때, 아이는 자기가 원하는 일을 하면서 자신에
대해서 만족감을 느낀다. 그 반대의 경우는, 아이가 타고난 여신
유형이 가족의 반대에 부딪칠 때이다. 가족의 반대가 아이의
타고난 유형을 변화시키지는 못하지만, 그 대신 아이가 자신이
갖고 있는 속성과 관심에 대해 혐오감을 갖게 된다. 그러면서 자기
아닌 다른 모습을 함으로써 갖게 되는 거짓된 느낌에 휩싸인다.
3. 여신에게 끼치는 문화의 영향
우리 문화는 여성의 어떤 역할을 인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어떤
특정 여신을 후원하고 있는 것일까 사회가 평가하는 여성의 역할은
여신 원형들의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면 하나를 부각시킨 것에
기초한 것이기 일쑤다. 가부장제에서 인정받는 여성의 역할은 처녀
페르세포네, 아내 헤라, 그리고 엄마 데미테르다. 아프로디테는
창녀나 끼있는 여자로 경멸의 대상이 되는데 이것은 아프로디테
원형의 성적 감각에 대한 의도적인 오해이며 가치 절하라고 할 수
있다. 자기 주장이 강하고 분노에 찬 헤라는 잔소리가 심한 여자로
묘사된다. 그리고 아직도 몇몇 사회에서는 여성이 자율적이고
지적이며 성적인 표현을 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 결국
아르테미스, 아테나 그리고 아프로디테의 모습들은
보이지 않아야 하는 것이다.
한 예로,고대 중국에서는 여자의 발을 묶는 관습이 있었는데
여성들은 신체적으로 기형이 되었을 뿐 아니라 심리적으로도
의존적이 되었다. 그런 상황에서는 여신 유형 중의 몇몇은 단지
신화 속에서만 살아 있게 된다. 여인 무사 The Woman Warrior라는
소설에서, 작가 맥신 홍 킹스턴 Maxine Hong Kings-ton은
현실적으로 중국 여성이 어떻게 무시당하고 있나에 대해 썼다.
그리고는 신화 속에만 등장하는 용맹하고 거대한 중국 여인 무사에
대해 새로이 써나갔다. 그 신화는 특정 여신 유형이 여성의 현실적
삶에서는 존재하지 못했지만 신화와 옛 얘기와 상상 속에서는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여성의 삶은 그 시대가 상정하는 바람직한 여성상에 의해
규정지어진다. 사회가 제시하는 바람직한 여성상은 특정 여신
유형을 선호하는 결과를 낳는다. 미국의 경우, 바람직한 여성상은
지난 몇십 년 사이에 크게 바뀌었다. 한 예로, 이차대전 후의
베이비붐은 여성들에게 결혼과 모성애를 강조하는 결과를
낳았는데, 아내가.되고 싶은 헤라의 욕구와 모성애로 가득찬
데미테르의 유형을 갖고 있는 여성들에게는 만족스러운 시대였다.
그러나 지적 호기심과 경쟁심이있고 가정을 갖는 것 외에 다른
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싶어하는 아테나나 아르테미스의 유형을
갖고 있는 여성에게는 어려운 시대였다. 그 시대에 여성들은
결혼을 잘하기 위하여 대학에 갔고, 일단 결혼을 하면 학업을
중단하였다. 아늑한 주택가에서 가족끼리 사는 것이 꿈인
시대였다. 그 당시 미국 여성들은 아이를 둘만 낳고 마는 것이
아니라 셋, 넷, 다섯, 여섯까지 낳았다. 1970년에 미국의 출산율은
인도의 출산율과 같았는데 그런 일은 역사상 처음이었다.
20년 후인 1970년대에, 여성해방운동이 시작되면서 아르테미스와
아테나의 시대가 열렸다. 무언가 업적을 이루고 싶어하던
여성들에게 만족할만한 시대가 온 것이다. 여성주의자와
직업여성이 이제 관심의 초점이 되었다. 많은 여성들이 박사
학위를 따기 위해, 의사와 판사가 되기 위해, 그리고 회사에서
일하기 위해 대학에서 공부하고 있다. 죽음이 우리를 갈라
놓기까지는의 혼인서약은 해가 짠수록 깨지는 율이 높아지고
출산율은 계속 떨어지고 있다. 반면에 짝을 찾고 싶은 헤라의
욕구와 아이를 갖고 싶어하는 데미테르의 욕구를 갖고 있는
여성들은 점점 더 악조건 속에서 지내야 했다.
자기 안에 있는 특정 원형이 그 시대가 요구하는 여성상과
맞아떨어질 때, 여성은 자기가 원하는 것을 하면서 동시에 사회의
인정을 받는 행운을 누릴 수있다. 외부의 지원이 그렇게 중요한
것이다. 한 예로, 아테나의 논리적 사고를 타고난 여성은 대학에
가서 지적인 개발을 해야 된다. 한편, 혜스티아의 영혼을 가진
여성은 종교 집단에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4. 여신에게 끼치는 홀몬의 영향
홀몬이 갑자기 변하게 되는 사춘기, 임신 그리고 폐경기 때는
특정 원형이 강세를 보이게 된다. 사춘기 때 가슴과 성기 주위의
발달을 가져오는 홀몬은 아프로디테의 특징인 관능과 성을
자극할지도 모른다. 어떤 소녀는 신체적 발달을 가져올 때
아프로디테의 성향까지 보이는 경우가 있고, 또 어떤 소녀는
가슴이 나오고 월경이 시작되지만 남자 아이들에 대한 관심은
시작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우리의 행동은 홀몬으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홀몬과 우리 안에 있는 여신 원형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임신했을 때 몸 안에는 프로제스테론 홀몬이 급격히 생성되고 이
홀몬이 생리적으로 임신을 유지시킨다. 그런데 이 홀몬의 증가에
대한 반응은 여성들마다 각기 다르다. 어떤 여성은 배가 불러오는
것을 보면 정신적으로 충족감을 느끼고,어머니 여신인 데미테르가
된 것 같은 기분이 된다. 또 어떤 여성은 임신했다는 사실조차
잊어버리고 하루도 빠지지 않고 일하곤 한다.
폐경은 에스트로젠과 프로제스테론이 감소하면서 생기는
것으로,여성이 일생 중 또 한번 맞는 흘몬 변화의 시기이다.
폐경에 대한 반응은 평상시 어떤 여신이 활성적이었냐에 따라
다르다. 데미테르는 아이들이 다 떠나간 후의 적막감으로 우울증에
걸리는 반면, 또 다른 여성은 마가렛 미드 Margaret Mead가 말한
대로 폐경기의 열정에 가득차게 된다. 이 열정은 새롭게 충전된
여신이 오랫동안 기다리던 자기 차례를 드디어 만났음을 말한다.
어떤 여성의 경우는 월경 주기에 따라서 홀몬과 원형이 상호
작용하여 그들의 심리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경험한다. 민감한
여성들은 월경 주기의 처음 반 동안은 자율적인 여신들인
아르테미스와 아테나의 지배하에 외향적이고 진취적이 되는
반면,주기의 나머지 반 동안에는 여성 홀몬인 프로제스테론이
증가함에 따라 몸을 사리게 되고 의존적이 되는 것을 경험한다. 즉
데미테르, 헤라, 페르세포네 혹은 헤스티아가 강력한 영향을
끼치는 것이다.
홀몬과 그에 따른 여신 유형의 변화는 각기 다른 여신이 시간에
따라 주도권을 잡게 됨에 따라 우리에게 갈등과 혼란을 겪게 한다.
일반적인 예로서 자율적인 아르테미스 여성이 또 마찬가지로
자율적인, 결혼에 얽매이고 싫어하지 않는 남성과 동거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동거는 아르테미스 여성에게는 잘 어울리는 생활
방식이었다. 그런데 홀몬이 바뀌어,월경 주기의 나머지 반의
시간이 될 때 결혼이 하고 싶은 헤라의 욕구가 등장하게 된다.
결혼하지 않고 있는 상태가 자신이 거부당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걷잡을 수 없는 분노를 느끼게 된다. 매 월경 주기마다
이 여성은 우울증에 빠졌다가는 다시 정상적인 생활을 하는 일을
반복한다.
5. 여신을 활성화시키는 인물과 사건들
우리 마음 속에 있는 여신 원형은 인물과 사건들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한 예로,어떤 여성은 주변의 사람이 곤란에
빠져 있을 때 자기가 하던 일을 중단하고 그 사람을 도우려고 하는
데미태르가 된다. 이런 태도는 결국 그녀가 자기 일에 충실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직업 경력에는 나쁜 효과를 갖게 된다. 그녀는
다른 사람의 고민을 들어주느라고 오랫동안 전화를 받기도 하고,
남을 돕기 위해 자리를 비우곤 해서, 결국 해고를 당할 위기에
놓여 있게 된다. 반면에 어떤 여성은 여성주의자들의 모임에
참석한 후, 여성들간의 걸집이 필요하다는 것을 절실히 느낀 끝에
여성들의 영역에 남성들이 침입하는 것을 극도로 싫어하는
아르테미스로 변한다. 그리고 금전적인 문제를 통해 사람들과
친근한 보통의 여성이 계약서에 명시된 대로의 자기 몫에 철저한
아테나로 변하곤 한다.
또한 여성이 사랑에 빠질 때에 변화가 올 수 있다. 심리적으로,
원형의 수준에서 변화는 이미 왔을지도 모른다. 아프로디테가
활성화될 때, 아테나의 영향은 줄어드는데, 이때 자신의 경력을
쌓는 일보다는 사랑이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하게 된다. 혹은
헤라처럼 결혼을 우선으로 생각하던 것이 상대방의 배신으로
생각이 바뀔 수도 있다.
정신질환적인 증세는 여신의 부정적인 측면이 활성화될 때
나타난다. 아이의 죽음이나 가족의 죽음은 여성을 슬픔에 지친
데미테르로 만들어 깊은 우울증에서 헤어나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남편이 바람장이어서 동료나 부하 여직원, 혹은 이웃 여자
중에 매력 있는 여성들을 볼 때마다 접근하려고 할 때,
아내는질투심 많은 헤라가 된다. 이때 헤라는 의심이 많아지고
과대망상에 빠져서 실제로 아무 일도 없는데도 남편이 자신을
속이고 배신했다고 상상한다.
6. 여신을 활성화시키는 행동들
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라는 말은 우리 속의 특정 여신을
활성화시키는 작업이 구체적인 행동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것을
표현하는 것이다. 한 예로, 내가 매일 명상 시간을 갖는다면 내
안의 헤스티아는 점차 강력해려서 내향적이고 침착한 헤스티아가
활성화될 것이다. 명상의 효과는 주관적인 것이기 때문에 변화를
느끼는 사람은 주로 당사자 자신이다. 하루 한두 번의 명상으로
나는 하루 일과를 더욱 차분히 해나가면서 헤스티아의 특징인
편안하고 만족한느낌을 갖게 된다. 때때로 다른 사람도 그 변화를
느끼게 되는데, 한 예로 명상을 계속하는 상사가 침착해지고
따뜻한 사람으로 변하게 된 것을 부하 직원이 느낄 때이다.
대학에 들어와서 계속 공부를 하는 여성들은 아테나의 특성을 더
개발하려는 사람들이다. 공부하는 것, 지식을 정리하는 것, 시험을
치르는 것 그리고 논문을 프는 것, 이 모두가 아테나의 논리적
사고를 요하는 것이다. 아이를 낳기로 결정한 여성은 모성적인
데미테르가 자기 안에 활성화되기를 원한다. 한편, 등산을 하기
위해 장비를 챙기고 길을 떠나는 여성은 아르테미스가 활성화되게
한것이다.
7. 여신들 불러내기
호머 시의 많은 부분이 그리스의 신들을 불러내는 것이다.
호머의 시 한편을 보면 여신의 모습과 특성과 업적을 묘사하는데,
듣는이의 마음 속에 여신의 모습을 그려넣고 있다. 그 다음에 시는
집으로 들어와서 우리를 축복해 주도록 여신을 초대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즉 고대 그리스인들은 우리가 배울만한 한가지를 알고
있었는데 그것은 여신을 상상하고 나서 그 여신을 불러내는
것이다.
각각의 여신을 다루는 다음의 글들에서 독자는 자신이 잘 모르는
여신에 대한 글도 접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어떤 원형은 독자에게
특별히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독자의 마음 속에 없거나 거의
발달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발견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의식적으로
보고 느끼는 노력을 하는 가운데 상상을 통하여 여신에게 초점을
맞춤으로써 여신을 불러내어 자신에게 필요한 힘을 달라고 요구할
수 있다. 다음의 기원은 그 예가 될 수 있다.
아테나 지금 이 상황에서 분명히 생각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페르세포네 내가 솔직하고 활달해질 수 있도록 해주세요.
헤라 내가 남편에게 충실한 아내가 될 수 있도록 해주세요.
데미테르 내가 참을성이 많고 너그러운 좋은 엄마가 될 수 있도록
해주세요.
아르테미스 내가 정한 목표를 향해 꾸준히 추진해 나갈 수 있도록
해주세요
아프로디테 내가 내 몸을 존중하고 사랑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헤스티아 당신이 내 곁에 있어서 내가 평화와 고요함을 느낄 수
있게 해주세요.
8. 삶의 단계에 따른 여신들
여성은 일생 동안 많은 삶의 단계를 거친다. 그리고 인생의 각
단계마다 가장 영향을 끼치는 여신이 자리잡고 있다. 혹은 어떤
여성은 일생 동안 한 여신의 유형을 따를 수도 있다. 지금까지
살아온 일생을 되돌아 볼 때 우리는 어떤 여신이 우리를
지배하였는지, 아니면 특정한 몇몇의 여신이 돌아가며 우리에게
영향을 끼쳤는지를 알 수 있다.
청소년기에 여성은 교육에 전념하기 쉽다. 나도 의대에 다니는
동안 공부에 몰두했다. 그 동안 아르테미스 원형이 의사가 되려는
나의 목표를 지속시키게 해줬다. 한편, 진료를 할 때에는 내가
알고 있는 모든 지식을 동원하여 정확한 처방을 내릴 수 있도록
아테나의 능력을 원했다. 반면에 대학 친구들이 졸업하자마자 곧
결혼을 하여 아이들을 낳고 살림한는 것을 볼 때,내 안의 헤라와
데미테르가 자극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생의 중년기는 변화의 시기다. 나에게 영향을 끼치는 여신이
바뀌는 시기도 이때다. 삼십대 중반에서 사십대 중반의 시기에
지금까지 나를 지배해 오던 원형이 그 강도가 약해지고 새로운
여신이 나타나는 경우가 빈번해진다. 인생의 중년기까지 각자가
노력해 왔던 것들의 결과가-그것을 결혼과 육아일수도 있고,
직업의 경력을 쌓는 일, 창작 활동, 한 남자에게 몰두하는 일,
혹은 이 모든 것의 종합일 수 있는데-명백하게 드러나면서, 무언가
지금과는 다른 것에 자신의 힘을 쏟을 수 있는 여가와 힘이 남게
된다. 이것은 곧 새로운 여신의 등장을 말해주는 것이다. 아테나가
영향을 끼쳐서 다시 대학원에 가서 공부를 계속하고 싶다는 생각을
할 수도 있고, 데미테르의 욕망에 따라 경력을 쌓던 여성이 아이를
갖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될 수도 있다.
그 다음 변화의 시기로서, 새로운 여신이 등장할 때가 여성이
경기를 맞을 혹은 남편과 사별하거나 은퇴를 할 때, 그리고 나이가
듦을 느낄 때이다. 남편과 사별하고 나서 처음으로 집안 경제를
꾸려 나가야 할 때 과연 아테나가 등장하여 그 동안 남편이 투자해
놓은 것을 잘 이해하고 유지시킬 수 있을까 갑자기 찾아온
고독함을 헤스티아의 등장으로 편안한 홀로의 삶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까그렇지 않으면 이제 아무도 돌보아줄 사람이 없기 때문에
낙심하게된 데미테르처럼 삶이 무의미하고 허무한 것으로 느껴지게
될까모든 다른 삶의 단계에서와 마찬가지로 흐 결과는 각자의 정신
속에 활성화되어 있는 여신에 따라, 각자가 속해 있는 현실에
따라, 그리고 각자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제3장 처녀 여신들 셋
아르테미스, 아테나, 헤스티아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세 처녀 여신은, 사냥과 달의 수호신인
아르테미스, 지혜와 공예의 수호신인 아테나, 그리고 신전과
가정의 수호신인 헤스티아다. 이 세 여신들이 대표하는 성격은
여성 심리 중에서 자율적이고 활동적이면서 관계 지향적이지 않은
부분들이다. 이 부분들 중에, 외향적이고 업적 지향적인 원형은
아르테미스와 아테나이고 내부 지향적인 원형이 헤스티아다.
자신의 능력을 재발하고 싶어하고, 이익을 추구하며, 다른 이들과
경쟁하고, 글과예술의 형식을 이용하여 자신을 표현하며, 정돈된
삶을 살고, 자신의 삶을 관조하는 그런삶을 원하는 원형이 바로 이
세 여신이다. 자기만의 방 a ,room of her, own역자 주 버지니아
울프가 쓴 여성 해방에 관한 글의 제목. 여성이 자신의 권리를
찾기위해서는 첫째 경제적으로 독립할 것, 둘째 자기 혼자의
시간을 가질 수 있는 기만의 방을 가질 것을 주장했다을 갖고
싶어하는 여성들, 자연 안에서 편안함을 느끼는 여성들, 지식을
얻는 데 기쁨을 느끼는 여성들, 그리고 고독하면서 관조할 수 있는
삶을 좋은 삶이라고 생각하는 여성들은 모두 이 세 여신 유형들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고 하겠다.
이 세 여신들의 특성은 아직 남성의 지배를 받지 않은 부분, 은
남성에 의해 건드려지지 않은 부분을 보여준다는 데 있다. 만일
어떤 여성이 이 세 여신 중의 한 원형을 드러낸다면 그것은 그녀의
중요한 부분이 심리적으로 처녀임을 말해주는 것이다.
처녀란 단어는 깨끗하고 순수하며 부패되지 않고 사용되지 않은,
즉 아직 남성에 의해 만져지지 않은 것을 말하는데, 우리가 처녀지
혹은 원시림이라고 말할 때의 뜻, 혹은 아직 처리되지 않았다는
뜻으로서 새양털의 뜻과 같은 의미를 담고 있다. 또 올리브에서
처음 기름을 짜낼 때처럼 아무 열처리도 하지 않은 상태로서,
감정이나 정열의 열기에 다치지 않았다는 것으로 비유되기도 한다.
처녀 금속이라는 것도 천연의 상태로서 아직 다른 금속과 합성되지
않은 것을 말한다.
남성신들에 의해 지배받던 종교제도 안에서 그리고 실제적인
역사적 시기에서 아르테미스, 아테나, 그리고 혜스티아는 예외에
속한다. 이 세 여신들은 결혼한 적이 없으며 결코 남성신들이나
남성들에 의해 굴욕을 당하거나, 강간을 당하거나, 유혹을 받고
멸시를 받은 적이 없다. 이 여신들은 자기 본래의 모습을 유지할
수 있었다. 더구나 단지 이 세 여신들만이 모든 신과 인간들
중에서, 사랑의 여신인 아프로디테의 강력한 힘에 휘둘리지 않고
열정과 성적 욕망, 낭만적인 감정들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이 세
여신들은 한눈에 반해서 사랑의 열병을 앓게 되는 것들과 같이,
사랑과 성욕 때문에 마음이 흔들리지는 않았다.
1. 처녀 여신의 원형
처녀 여신들인 아르테미스, 아테나, 그리고 헤스티아가 지배적인
원형일 때, 여성은, 응식의 분석가인 에스터 하딩 Esther
Harding이 여성의 신비 Women'sMysteries라는 책에서 썼듯이,
자기만으로 온전한 하나가 된다. 처녀 여신의 원형을 지닌 여성
심리의 중요한 부분은 어떤 남자에게도 속해 있지 않다는 데있다.
따라서 하딩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처녀이며 자기 안에 온전히
하나인여성은 누구를 즐겁게 하기 위하여, 혹은 남으로부터
사랑받기 위하여, 혹은 인정받기 위하여 무슨 일을 하는 것이
아니다. 그녀가 하는 일은 권력을 잡기 위해서나 그의 사랑과
관심을 얻기 위해서가 아니고 자신이 하는 일이 옳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하는 일들이다. '그래요'하고 말하기가 훨씬 쉬울 때에도
그녀는 안돼요 하고 말해야 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 여성은 처녀
원형을 갖고 있지 않은 여성들이, 실제로 결혼을 했던 안
했던,자신의 행동을 변화시켜 가면서까지 신경을 써야 하는 여러
가지 것들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다.
여성이 온전히 자기 자신일 때, 그녀는 자신이 지키는 가치에 라
행동하고 자신을 충족시키며 자신에게 의미가 있는 것에 의해
움직이고 남들이 어찌 생각하느냐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다.
심리적으로 말해서 처녀 여신은 집단적이고 남성 중심적인 사회
문화적 기대속에서 그려지는 여성의 모습으로부터, 또한 한 남성이
판단하는 여성의 모습으로부터 벗어난 여성의 영역에 있다. 처녀
여신들의 모습은 내가 진정 누구이며 바라는 것이 무엇인가를
보여주는 진면목이다. 이 진면목은 오염되지 않고 잘 유지되는데
그것은 그녀가 자신의 그러한 점을 드러내지 않기 때문이다.
그녀는 그러한 자신의 면모를 침해당하지 않게 잘 지키며 남성들의
기준에 맞추려고 자신의 모습을 수정하지 않으면서도 자신을 잘
표현한다.
처녀 원형은 공공연히 혹은 비밀리에 여성주의자인 여성의
일부분을 잘 보여준다. 처녀 원형들은 여성들에게는 일반적으로
허락되지 않는 영역에서 야심을 펴는 행동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여성 조종사였던 아멜리아 어하트Amelia Earhart 역자
주 ' 1897∼1937?, 태평양 횡단 비행 중 행방불명됨는 그 당시의
조종사 누구도 가보지 못했던 곳을 비행하려는 야망을 가졌었다.
또 여성
적 창의력을 갖고 있는 시인, 화가, 음악가들 중에는 여성의
경험을 바탕으로 예술 활동을 하기도 한다. 아드리엔느 리취
Adrienne Rich의 시나 쥬디 시카고 Judy Chicago의 그림들, 혹은
흘리 니어 Holly Near의 자작곡인 민요들이 그 예들이다. 또
우리들이 하는 매일의 명상이나 조산원으로서의 역할도 그 예가 될
수 있다.
많은 여성들이 여성적 형식을 창조하기 위하여 함께 참여하는
방식을 택했다. '여성의 의식화 운동을 위한 소그룹 모임들과 역자
주: 60년대 말과 70년대 초에 미국에 풍미했던 소그룹 운동으로서
여성해방운동에 참여하는 길 중의 하나가 되었다. 산정에서
여신에게 경배드리는 예식, 여성이 여성을 돕는 여성 전용 병원,
그리고 다같이 참여하여 조각 이불을 만들기 등은 처녀 여신
원형들이 여성 집단을 통하여 표현되는 예들이다.
2. 의식의 수준: 초점을 맞춘 조명처럼
내가 분류한 세 그룹의 여신 유형은 처녀 여신, 상처입기 쉬운
여신, 창조하는 여신 각기 특징적인 의식의 형태를 보여준다. 그
중 처녀 여신들의 특징은 초점을 맞춘 의식을 갖고 있는 것이다.
아르테미스, 아테나, 그리고 헤스티아와
같은 여성은 자신의 관심을 현재 자신에게 문제되는 것에
집중시키는 능력을 갖고 있다. 그런 여성은 자기가 하고 있는 일에
완전히 몰두한다. 그리고 집중하는 동안, 그녀는 현재 하고 있는
일과 길게 잡고 있는 자신의 목표에 관련되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는 것은 무엇이든지 쉽게 관심에서 제거할 수 있다.
나는 이 초점을 맞춘 의식이 꼭 어느 한곳을 비추는 강렬한 빛과
같다는 생각이 든다. 무대 위를 비추는 하나의 강렬한 조명 같은
이 빛은 빛이 비추는 대상 이외의 것은 모두 어둠 속으로
삼켜버린다. 그것이 가장 강렬한 형태를 멀 때, 초점을 맞춘
의식은 날카로운 광선과 같아서 대상에 대해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이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정확하고 심지어 파괴적이기까지
하다. 집중적 의식이 어떤 형태를 띠느냐는 의식의 강도와 초점의
대상에 따라 달라진다.
여성이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혹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주변 사람들의 요구에 의해 중단되지 않고, 심지어는 먹고 자는
일까지도 아랑곳하지 않고 집중할 수 있을 때, 그녀는 자신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초점 있는 의식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그녀는 자기가 하고 있는 일에 혼신의 힘을 기울인다. 그녀는
올곧은 마음을 가지고 있어서 단지 그 한곳만을 향하여 마음이
향한다. 그녀가 이렇게 자기한테 주어진 일이나 자기가 정한
외부적인 목표에 집중할 때에 이것은 아르테미스와 아테나의
특징이고, 그 초점이란 목표 달성을 향한 것이다.
다니엘 스틸 Danielle Steel은 열일곱 권의 소설을 썼는데,
열여덟 개의 언어로 번역되어 전부 사천 오백만 권이 팔렸다.
그녀의 경우가 바로 초점 있는 의식의 예가 된다. 그녀는 자기
자신을 목표 달성에 전념하는 자로 표현하였다. 그녀는 자신의
태도를 다음과 같이 말했다. 매우 긴장된 나날이예요. 나는 하루
평균 스무 시간씩 일하고 잠은 하루에 두서너 시간을 잘 뿐이지요.
이런 식으로 매일같이 하루도 빠짐없이 여섯 주를 보내면서 소설을
완성합니다.
이 의식의 초점이 자신의 내부로, 특히 자기 영혼으로 향할 때
그녀는 헤스티아처럼 오랜 시간을 주위로부터 방해받지 않고 한
자세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명상할 수 있다.
3. 존재와 행위의 유형들
자기 내부의 진정한 욕구에 따라서 수영 선수가 되고, 적극적인
여성주의자가 되고, 과학자, 통계학자,회사 중역,가정 주부,승마의
기수, 혹은 수녀가 되거나 스님이 되는 여성들은 모두 이 처녀
여신들의 특성을 지녔다고 할 수 있다. 자신이 가진 재능을
개발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자신이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추진하기 위하여 처녀 여신적 성향을 가진 여성들은 자주 전통적
여성의 역할을 피하곤 한다. 어떻게 이렇게 할 수 있을까 즉 자기
자신에 충하면서도 동시에 현재의 남성의 세계에서 적응하며
살아가는 방법을 알아내는 것은 처녀 여신적 성향의 여성들에게
주어진 하나의 도전이라고 할 수 있다.
신화에서 이 세 여신들은 각기 이 문제에 직면했었고 각자의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갔다.
사냥의 수호신인 아르테미스는 도시를 떠남으로써 남성과 만나는
일을 피했다. 그 대신 황야에서 수많은 요정들과 함께 지냈다.
아르테미스의 현실 적응 방식은 남성과 그들의 영향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의식화 그를에 참여하여
여성주의자가 되어서는 자기 자신을 찾고 자신의 문제에 열중하는
여성들, 혹은 여성들의 필요에 따라 세워진 여성들만의 집달에서
일하는 현대 여성들이 이 유형에 속한다. 또한 고집 센
개인주의자들도 아르테미스 형 의 여성에 속한다. 이들은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이면 주변의 도움이나 격려 없이도,
남성들이 인정해 주지 알아도, 심지어는 다른 여성들이 인정해
주지 않아도 상관없이 홀로 일을 추진해 나간다.
그와는 반대로 지혜의 수호신인 아테나는 남성과 동등하게 혹은
남성보다 뛰어난 상태로 남성과 같이 일한다. 아테나는
전쟁터에서는 가장 냉정하면서도 최고의 전략가였다. 아테나의
적웅 방식은 남성과의 동일화라고 할 수 있다. 아테나는 남성 중의
하나처럼 되었다. 아테나의 방식은 현대 여성 중에 기업에서
일하거나 전통적으로 남성 직종이었던 곳에서 성공한 여성들에게서
많이 발견된다.
마지막으로 신전과 가정의 수호신인 혜스티아처럼 남성들로부터
움츠러들면서 내성적인 방식으로 적응하는 경우가 있다. 그녀는
자기 안으로 움츠러들고, 외모에 무관하며, 홀로 지낸다. 이러한
방식을 받아들이는 여성은 자신의 여성적인 모습을 무시하여서
뭇남성들의 관심을 끌지 않으려고 하며, 경쟁적인 상황에 있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조용히 살면서 그녀가 가치 있게 여기고
관심을 가지는 집안일을 하면서 명상 속에 삶의 의미를 찾는
생활을 한다.
이 세 여신들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로 인해 변화를 갖게
되지는 않는다. 그들은 결코 자신들의 감정에 따라 혹은 다른
신들에 의해 휘둘리지 않았다. 그들은 쉽게 고통받지 않으며,
사람들의 영향을 받지 않고, 변화에 둔감하다고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자기 자신의 문제에 더욱 집중할수록 다른 사람의
영향을 덜 받는다고 할 수 있다. 즉 자신의 문제에 집중하는 것이
다른 사람과의 연관 뿐만 아니라 자신의 감정적이고 본능적인
삶으로부터도 격리시키게 하는 것이다. 심리적으로 말해서, 이러한
여성은 완전히 그녀를 꿰뚫지 않는 한 아무도 그녀와 가깝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어느 누구도 그녀에게 큰 문제가 되지
않으며,그녀로서는 감정적으로 밀착돼 있다는 것의 의미를 알기
어렵다.
따라서 만일 사람인 우리가 이 처녀 여신 유형을 닳았다면
우리는 주변에 진정으로 가까운 사람이 없는 채로 편파적이고
외로운 삶을 살아갈지도 모른다. 그러나 여신은 자신의 유형에
갇혀서 그 역할만을 수행하지만 사람인 우리는 자신의 삶을 통하여
성장하고변화할 수 있다. 한 여성이 근본적으로 이 처녀유형을
하고 있더라도,그녀는 살아가는 동안, 밀착된 관계가 어떤
것인지를 가르치는 헤라를 자신 안에서 발견할 수 있고,
데미테르의 강렬한 모성애를 자신안에서 느낄 수 있으며, 어쩌면
예상 외로 사랑에 빠져서, 자신 안에 아프로디테가 일부를
차지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도 있다.
4. 새로운 이론
나는 아르테미스, 아테나, 그리고 헤스티아를 긍정적이고도
활동적인 여성적 유형으로 설명하였다. 그런데 이것은 심리학에서
전통적으로 설명되어 온 것과는 다른 설명 이다.
프로이드의 견해를 따르면 처녀 여신들의 특성은 정신질환적
증세로 설명되며, 융의 견해를 따르면 처녀 여신들의 특성은 여성
심리 속에 있는 반구무의식적인 남성적 요소의 표현으로 규정되어
왔다. 이 이론들은 처녀 여신 유형에 어울리는 여성들의 행동을
규제하여 왔고 그녀들의 자존심을 손상시켜 왔다. 프로이드 이론을
잘 알고 있는 많은 여성들이 아이를 원하기보다는 직업의경력을
쌓기 원하는 자기 자신을 비정상적이라고 여기게 되었다. 또한
융의 이론에 익숙한 많은 여성들이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기를
주저하였는데, 그것은 객관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에 있어 여성이
남성에 비해 열등하고 독단적이기 쉽다는 응의 이론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었다.
지그문드 프로이드의 여성 심리에 대한 이론은 성기 중심적인
것이라고 요약 할 수 있다. 프로이드는 여성 신체와 정신에 나타난
다른 면을 보려 하지 않고 해부학상 여성에게는 남성의 성기와
같은 것이 없다는 인식 위에서 여성을 설명하였다. 프로이드의
견해에 의하면 성기가 없는 여성은 불구이며 남성에 비해
열등하다. 그 결과로 정상적 여성은 남성의 성기를 부러워하는
괴로움을 갖게 되고, 따라서 자학적이면서 자기 도취적인 성향을
띠며, 초월적 자아 양심의 발달이 남성에 비해 더디다.
프로이드의 정신 분석학 이론 중 여성 심리를 설명한 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능력 있고 자신감 있으며 사회에서 무슨 일인가를 달성하고,
자신의 지성과 능력을 구체화시킬 기회를 갖게 된 것을 기뻐하는
여성은 '남성성 콤플렉스' masculinity complex를 갖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프로이드에 따르면 이런 여성은 자신이 남성의
성기가 없는데도 성기가 있는 듯이 행동하는 것이다. 정상적인
여성이라면 남보다 뛰어나고 싶다는 욕구를 갖지 않는다. 그런
욕구는 남성성 콤플렉스의 증세이며 현실을 부정하는 것이다.
2. 아기를 낳고 싶어하는 여성은 실제로는 성기를 갖고 싶어하는
것이며, 이 윽구를 아기로 대치시키고 있다.
3.남성에게서 성적인 매력을 느끼는 여성은 자신의 엄마가
성기가 없음을 발견하였기 때문이다 프로이드 이론에 따르면, 여자
아이가 커서 남자와 짝을 이루고 싶다고 느끼게 되는 욕구는,
어렸을 때 자기가 남자 아이와 같은 고추가 없으며, 더구나 엄마도
고추가 없 음을 발견하고, 엄마에 대한 사랑을 고추가 있는
아버지한테로 전환하는 일련의 사건에서 생긴다고 보았다.
4. 남성만큼 성적으로 분방한 여성은, 프로이드의 견해에
따르면, 사실상 자신의 관능을 표현하고 성을 즐기는 것이 아니다.
차라리 성기 절단에 대한 불안감을 가라앉히기 위한 강박관념의
표현일 뿐이다.
한편 여성 심리에 대한 융의 이론은 프로이드의 이론에 비하면
여성에게 훨씬 친절한 편인데,그 이유는 응은 프로이드처럼 여성을
결함이 있는 남성으로는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응은 남성과
여성의 심리 구조는 남성과 여성으로 분리시키는 각기 다른
염색체에 따라 다르다고 보았다. 융에 의하면 여성은
의식선상에서는 여성적 성격을 갖고 있지만 무의식 속에 남성적
요소 ani-mus를 갖고 있다. 반면에 남성은 의식선상에서는 남성적
성격을 갖고 있만
무의식 속에 여성적 요소 anima를 지닌다.
융에 의하면, 감수성, 수동성, 육아, 그리고 주관성 등은 모두
여성적 성격이다. 반면에 합길성, 영성, 그리고 객관적이고
확고하게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은 남성적 속성이라고 보았다.
남성은 남성적 속성을 자연스럽게 가지고 있다고 본 것이다.
그런데 만일 여성이 남성적 속성을 성격으로 갖고 있다면, 그
속성이 아무리 잘 발달했다 하더라도 그녀는 결함이 있는 여성이
된다. 왜냐하면 그녀는 여성이지 남성이 아니기 때문이다. 만일 한
여성이 사회에서 성공으
며 합리적인 사고 능력을 갖고 있다고 해도 그녀는 단지 잘 발달된
남성적 요소를 갖고 있을 뿐이다. 왜냐하면 그녀의 남성적 요소는
아무리 발달했다 하더라도 규정상 의식 면에서 남성에 못 미치며
따라서 남성보다 열등한 것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여성이 갖고
있는 남성적 요소 animus는 적대적이고 권력추구적이며 비합리적인
편파성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고 응은 보았다. 이런 속성들은
응과 현재 응의 이론을 따르는 이론가들에 의해 무의식 속에 있는
성적요소의 특징으로 인정되고 있는 것들이다.
융은 여성에게 근본적으로 결함이 있다고 보지는 않았지만,
남성보다는 근본적으로 덜 창의적이고 객관화시켜서 행동을 취할
수 있는 능력이 적다고 보았다. 대체적으로 응은 남성과의 판계
안에서 남성을 섬기는 것에 따라 여성을 정의하려 했고 여성이
자기 자신의 욕구에 따라 자율적인 행동을 취하는 것을
인정하지 않았다. 한 예로, 창의성에 대해 융은 창조자는
남성이고여성은 남성의 창조적 과정에 있어서 보조적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남성은 자신의 무의식 속에 있는 여성적 요소
anima로부터 완전한 창작품을 만들어 낸다. 그리고 여성은 자신의
무의식 속에 있는 남성적 요소 animus로부터 창작의 씨앗을 만들어
내어 남성 속에 있는 여성적 요소에 뿌린다.
융의 이론적 입지는 여성의 성취 욕구를 억누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융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남성의 직업을 택하고
남성처럼 일하고 공부함으로써, 여성은 자신의 여성적 성질에
직접적으로 해가 되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전적으로 어울리지는
않는 일을 하고 있다.
5. 여신 유형들
여신들 모두가 정상적인 여성적 행동 유형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가정해 보자. 그렇다면 타고나기를 헤라나 데미테르보다는
아테나나 아르테미스에 더 가까운 여성이 자신의 목표 지향적인
태도를 유지하면서 활발한 활동을 벌이는것에 대해서도 여성적인
자아를 가지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녀는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하면 되는 것이다. 그녀는 더 이상
프로이드가 진단한 것처럼 남성성 콤플렉스라고 생각하여 괴로워할
필요도 없고, 응이 말한 것처럼 태도가 남성적이고 따라서 남성적
요소 animus를 가지고 있다는 말을 들을 필요가 없는 것이다.
한 여성이 아테나나 아르테미스 같은 여신 유형에 속한다면,
그녀의 성격에는 소위 여성적 속성으로 간주되고 있는
의존성,수용성 그리고 아이를 키우는 마음 같은 것이 없을지
모른다. 그러나 만일 그녀가 가까운 관계를 만들고 싶다면,그래서
상처받기 쉽고,사랑과 위로를 주고받고,그리고 다른 사람의 성장을
지켜보고 도와주는 그런 사람이 되고 싶다면, 그녀는 여성적
속성을 자기 안에 개발시켜야 한다.
한편 사색적인 헤스티아는 자신의 내부에만 관심을 쏟기 때문에
사람들로부터 감정적으로 거리를 두고 있다. 그러나 그녀가 거리를
두고 있지마는 그녀의 잔잔한 따뜻함은 사람들에게 위로가 되고
도움이 된다. 헤스티아 유형에게서 필요한 것은 아르테미스나
아테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람들과 친밀한 관계를 가질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하겠다.
아르테미스, 아테나, 헤스티아에게 필요한 것들은 헤라,
데미테르, 페르세포네, 혹은 아프로디테를 닮은 여성들이 필요로
하는 것과는 다르다. 후자에 속하는 여신 유형들은 여성들이 우선
관계 속에서 자신을 규정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럴 여성의
성격은 응의 도식에 잘 맞는다. 이런 여성이 필요한 것은 집중력과
객관적 사고능력,자기 주장 등인데, 바로 이런 점들이 이들에게는
부족하다. 따라서 이들은 남성적 요소 animus를 개발시키거나
자신의 삶 속에서 아르테미스나 아테나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혜스티아가 지배적 원형인 여성의 경우,그녀는 다른
관계지향적인 여성들처럼 남성적 요소를 개발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또한 이 사회에서 적극적으로 살기 위하여 아르테미스와
아테나를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6. 남성적 요소인가? 아니떤 여성적 원형인가?
여성의 활동적인 성향이 남성적 요소 때문인지, 그렇지 않으면
여성적 원형에 의한 것인지의 구분은 각자의 주관적인 느낌과 꿈
속에 나타난 인물들의 분석을 통하여 가능하다. 한 예로, 어떤
여성이 그녀의 강한 부분이 진정한 자기모습이 아니라고 느긴다고
하자. 즉, 어려운 상황에 직면할 때 '좀더 강해지자'라든지,
'남자처럼 생각하자'라고 자신을 부추긴다든지, 그런 강한 토습을
보이는 것이 자기 자신에게도 편안하지 않다고 하자. 이때 그녀의
강한 모습은그녀의 남성적 요소로서 때때로 그녀를 돕기 위해
나타나는 것이다. 전기가 나갔을 때 보조 엔진을 이용하는 것처럼,
남성적 요소는 항상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비축되어 있는 것이다.
이런 보조 형식은 헤스티아, 헤라, 헤미테르, 페르세포네 혹은
아프로디테 같은 유형의 여성에게 많이 보인다.
그러나 한 여성이 아테나나 아르테미스의 성격을 지니고 있을
때, 그녀는 타고나기를 강하게 태어났고, 합리적으로 사고할 뿐
아니라, 자신이 진정으로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 알고 있고,
그리고 여유 있게 경쟁적인 상황에 대처한다. 이런 성향은 그녀
자신에게 이질적으로 느껴지는 것이 아니고 여성으로서의 그녀
자신을 표현하는 것일 뿐이며 따라서 그녀를 위해 특별히 작용하는
남성적 요소가 아니다.
꿈의 해석은 아테나나 아르테미스 원형과 남성적 요소를 구분할
수 있는 두번째 방법이다. 한 여성의 활동적이고 목표 지향적인
성향이 처녀 여신 원형을 지니고 있기 때문인지 혹은 그 여성의
남성적 요소 때문인지를 꿈이 구별해 줄 수 있다.
아테나나 아르테미스 원형을 지닌 여성은 꿈 속에서 자주 낯설은
지방을 혼자 탐험하는 꿈을 꾼다. 꿈 속에서 그녀는 장애물과
싸우고, 산을 오르며, 처음 보는 나라를 돌아다니며, 지하 세계를
헤매기도 한다. 한 예로, 차를 운전하면서 밤에 시골 길을
질주하는데 나를 쫓아오는 다른 차를 따돌려 버렸어요. 생전 처음
보는 도시에서 헤매고 있었어요. 나는 이중첩자였어요. 나는 거기
있으면 안되는 사람이었고 내가 누구인지 아는 사람이 있다면
큰일날 상황이었
어요등의 꿈을 들 수 있다.
꿈 속에서 온갖 장애물을 만나거나 아니면 아주 쉽게 여행하는것
등은 그녀가 확고하게 사회에서 경력을 쌓으려는 데 대한 내부와
외부로부터의 방해를 받는 정도를 말해주는 것이다. 꿈 속에서처럼
그녀는 현실 세계에서도 자신이 자신의 앞길을 정하는 것에
자연스러움을 느낀다. 그녀는 활동적이며 자기 자신에 책임을 지는
사람이다.
진취적인 성향이 구체화되는 초기 단계에는 대개 다른 사람과 께
있는 꿈을 꾸곤 한다. 이때 꿈 속에 같이 등장하는 사람은 남성일
수도 여성일 수도 있으며,자기가 잘 아는 사람일 수도 혹은 누군지
구분할 수 없는 사람일 수도있다. 이때 같이 등장힌는 사람의 성이
여성인가 남섯인가에 따라 이 진취적인 성향이 남성적인 것인지
남성적 요소 여성적인 것인지 처녀 여신 구분할 수 있다.
한 예로, 한 여성이 아테나나 아르테미스의 성향을 구체화시키고
있는 경우라면, 그리고 아직 교육이나 경력이 초기 단계에 있는
정도라면, 그녀가 꿈 속에서 동반할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누군지
모습이 분명하지 않은 여성일 것이다. 나중에, 그녀가 좀더 발달된
단계에 도달할 때, 그때의 꿈에서는 동반자의 모습이 확실해져서
동반자의 교육 정도와 진로가 그녀와 같은 여성,혹은 대학친구로서
사회 활동을 하고 있는 친구가 나타나기 쉽다.
꿈 속에서의 모험에 동반하는 사람이 성인 남성이거나 소년일
경우, 그녀는 전통적인 여성일 가능성이 높으며 상처받기 쉬운
여신들의 유형에 가깝고 헤스티아나 아프로디테와 비슷한 경우이기
쉽다. 이런 여성에게 남성은 행동을 상징하고, 그녀의 진취적이며
경쟁적인 성향은 남성적인 것의 표현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어떤 여성이 미심쩍어하며 남성적인 요소의 도움을 받아
직업을 갖거나 대학원에 진학했다면,그녀의 그런 태도는 잘 모르는
남성이나 소년이, 낮선곳이나 위험한 곳에서 그녀를 동반하고 있는
꿈으로 나타나곤 한다. 그러다가 그녀가 새로운 세계에서 좋은
성적을 받거나 진급이 줬을 때, 그래서 자신의결정에 대한 확신이
생기게 줬을 때, 그녀가 꾸는 꿈의 내용은 이제 좀더 우호적인
것이 되고,꿈 속의 동반자는 좀더 구체적으로 자기가 잘 알고 있는
남성
으로 바꿔다. 한 예로 나는 남자 친구와 버스를 타고 길고 먼
여행을 떠나고 있었어요. 혹은 나는 차를 타고 있었는데
현실에서는 알지 못하는 남자가 차를 몰고 있었어요.그러나 꿈
속에서는 아주 잘 아는 사람이었지요." 같은 경우를 말한다.
내가 이 책에서 주장하는 이론은 원형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것이고, 원형에 대한 개념은 융으로부터 얻은 것이다. 나는 융이
설명한 여성 심리의 도식에 반대하지 않는다. 다만 응의 도식이
어떤 여성에게는 설명력이 있지만 모든 여성에게 설명력이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 상처받기 쉬운 여신들과
아프로디테에 관한 나의 설명은 근본적으로 융의 도식에 기초하여
좀 더 다듬은 결과들이다. 반면에 이제부터 보게 될 아르테미스,
아테나, 그리고 헤스티아에 대한 나의 글들은 융의 도식을 벗어난
새로운 유형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제4장 아르테미스: 사냥과 달의 수호신
경쟁심이 가득한 우리들의 큰언니
1 . 아르테미스 여신
로마인에게는 다이아나로 알려진 아르테미스는 사냥과 달의
수호신이다. 훤칠한 키에 사랑스러운 모습의 아르테미스는
제우스와 레토 사이에서 태어났다. 짧은 가운을 입고 은빛 활과
화살통을 메고서, 수많은 요정들과 사냥개를 이끌고 산과 들을
질주하는 아르테미스는 백발백중의 명사수다. 또한 달의 여신인
아르테미스는 양손에 횃불을 들고 있거나 머리 위로 달과 별이
원을 그리는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야생의 삶,특히 젊은 야생의 삶을 대표하는 여신인 아르테미스는
그녀의 특성을 나타내는 야생의 동물로 비유되기도 한다. 숫사슴,
암사슴, 숫토끼, 메추라기 같은 것들은 모두 그녀가 지닌 붙잡기
어려운 성질을 공유하고 있고, 암사자는 사냥꾼다운 그녀의 용맹과
위엄을 보여주며,사나운 멧돼지는 그녀의 파괴적인 성향을
드러낸다. 또한 젊은이들을 보호하는 아르테미스의 역할은 곰으로
상징된다. 사춘기에 있는 그리스 소녀들은 아르테미스에게 제사를
드렸고, 아르테미스의 보호 아래 그들의 말괄량이 시절을
여자곰이라는 이름으로 보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아르테미스는
들판을 질주하는 야생마로 표현되기도 하였다.
1. 계보와 신화
아르테미스는 태양의 수호신인 아폴로와 쌍등이로 태어났다.
그들의 어머니인 레토는 자연신으로서 타이탄신들 사이에서
태어났고, 그들의 아버지인 제우스는 올림푸스산의 주신이었다.
레토가 출산할 때가 다 되었을 때 큰 문제가 발생하였다.
레토가가는 곳마다 모두들 레토를 외면하였는데 그것은 제우스의
합법적인 아내인 헤라의 분노가 두려워서였다. 결국 델로스라는
척박한 섬에서 레토는 아르테미스를 낳는다.
아르테미스는 태어나자마자 곧 아폴로를 낳기 위해 진통하는
어머니를 도왔다. 구일 낮과 구일 밤을 레토는 고통 속에서
헤매이는데 그것은 헤라의 저주 때문이었다. 아르테미스는
어머니의 산파 역할을 하였고 그래서 출산의 여신으로 불려지기도
하였다. 진통 중에 있는 여성들은 아르테미스를 부르며 진통을
멎게 해주기를 기도하거나, 아르테미스의 화살에 맞아 죽음으로써
진통이 끝날수 있기를 기도하였다.
아르테미스가 세 살이 되었을 때, 어머니는 아르테미스를 데리고
올림푸스의 제우스를 만나러 갔다. 아르테미스에게 바치는
노래에서 칼리마쿠스 Callima-chus 시인은 흡족해 하는 제우스의
무릎에서 놀고 있는 아르테미스를 다음과 같이 노래한다.
"제우스는 아르테미스를 쓰다듬으며 말했다. 여신들이 아르테미스
같은 아이만 낳아준다면 질투심 많은 헤라의 분노가 무슨 걱정이랴
아가야, 너는 네가 원하는 것은 모두 가지게 될 것이다.
아르테미스는 활과 화살을 달라고 하였다. 그리고 한 무리의
사냥개들과 같이 지낼 요정들,뛰어다니는 데 불편이 없을 짧은
겉옷,드넓은 산과 황야,그리고 영원히 .친녀로 지낼 수 있을 것을
요구하였다. 제우스는 이 모든 것들을 아르테미스에게 주었고
아르테미스가 직접 고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자 아르테미스는 숲과 강가를 다니며 가장 예쁜 요정들을
직접 뽑았다. 바다 밑으로 들어가서는 포세이돈신의 기능공인
싸이클로피스를 찾아가서 자신이 쓸 활과 화살을 만들도록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 손에 활을 들고 요정들을 이끌고서는, 반은
염소이고 반은 남자인 피리를 부는 자연신인 팬을 찾아가서, 가장
뛰어난 사냥개들을 얻었다. 날이 어두워졌지만 빨리 사냥을 하고
싶은 아르테미스는 횃불을 밝히고 사냥을 하였다.
아르테미스의 신화를 살펴보면 아르테미스는 자신에게 도움을
청하는 사람들에게 재빨리 단호하게 행동으로 실천함으로써 그들을
구해주고 보호해준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아르테미스는 자신을
배반하는 사람에게는 가차없이 처벌을 내렸다.
한번은 아르테미스의 어머니 레토가 델피에 있는 아들
아폴로를방문하러 가던 중 타이티우스신과 만나게 되었는데,
타이티우스는 레토를 강간하려고 하였다. 레토가 도움을 청하자
아르테미스는 재빨리 달려와서 화살로 타이티우스를 죽임으로써 어
머니를 구해내 었다.
또 한번은 거만하고 우둔한 니오베가 레토를 비웃는 실수를
저질렀다. 즉 자기는 예쁜 자식들을 많이 나았는데 레토는 겨우
둘만 낳았을 뿐이라고 자랑을한 것이다. 화가 난 레토는
아르테미스와 아폴로를 불러서 자신을 모욕한 니오베에게 복수를
하라고 하였다. 아르테미스와 아폴로는 즉시 활과 화살을 들고서,
아폴로는 니오베의 여섯 아들을 죽이고 아르테미스는 니오베의
여섯 딸을 죽였다. 그러자 니오베는 눈물을 흘리는 돌기둥으로
변하였다.
아르테미스는 어머니가 원할 때마다 꿉임없이 찾아와서 어머니를
도왔는데 이것은 주목할 만한 점이다. 다른 어떤 여신도 이런
모습을 보여준 적이 없기 때문이다. 다른 여인들도 아르테미스에게
도움을 청하곤 했고 그들은 반드시 도움을 받았다. 아레투사라는
숲속의 요정은 강간을 당할 위험에 처하자 아르테미스를 불렀다.
아레투사는 사냥을 끝내고 돌아와서 옷을 벗고 수영을 하고
있었다. 그때 강가의 신이 아레투사를 보고 욕정을 느끼고는
달아나는 그녀를 피쫓았다. 아르테미스는 아레투사의 비명소리를
듣고는 그녀를 안개 속에서 구출하고는 샘물로 변하게 하였다.
아르테미스는 자신의 기분을 상하게 하는 사람에게는 잔인하게
아하였다. 악테온의 실수가 거기에 속한다. 사냥꾼인 악테온은
숲속을 헤매다가 우연히 아르테미스와 요정들이 숲속 깊은
연못에서 목욕을 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 멍 하니 바라보았다.
갑작스러운 악테온의 침입에 화가 난 아르테미스는 악테온의
얼굴에 물을 끼얹고 그 물은 악테온을 숫사슴으로 변하게 하였다.
악테온이 몰고 온 사냥개들은 숫사슴으로 변한 악테온을 쫓기
시작하였다. 공포에 질서악테온은 도망가려 했지만 사냥개들에게
물려서 갈기갈기 찢겨 죽게 되었다.
아르테미스는 또 다른 사냥꾼인 오리온도 죽이게
되는데,오리온은 아르테미스가 사랑하는 사람이었다. 이 살인은
아르테미스가 오리온을 사랑하는 것에 기분이 상한 아폴로의
장난에 의해 실수로 저지른 것이었다. 어느날 아폴로는 오리온이
머리만 내놓은 채 바다를 건너는 것을 보았다. 그러자 아폴로는
아르테미스에게 바다 저 멀리 검은 물체를 지적하면서 너무 멀리
있기 때문에 화살로 맞출 수 없을 거라고 말하였다. 아폴로의 말에
자극을 받은 아르테스는 그 검은 물체가 오리온의 머리인 줄
모르고 화살을 쏘아서 오리온을 죽였다. 아르테미스는 후에
오리온을 별자리에 앉히고 자신이 갖고 있는 사냥개들 중의 하나인
시리우스가 오리온좌를 하늘에서 동반하게 하였다. 이렇게 하여
아르테미스는 일생 단 한번 사랑하였던 사람을 자신의 경쟁적인
성격으로 인해 희생자가 되게 한 셈이다.
아르테미스는 사냥의 여신으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지만,
아르테미스는 달의 여신이기도 하다. 달빛 아래서 혹은 횃불을
들고 밤에도 아르테미스는 황야를 거닐었다. 쎌린느와 헤커트와
함께 아르테미스는 달의 삼위일체를 나타낸다. 쎌린느는 하늘을
다스리고 아르테미스는 지상을,그리고 헤커트는 신비스럽고 괴기한
지하세계를 다스린다.
ll. 원형으로서의 아르테미스
사냥의 여신이며 달의 여신인 아르테미스는 자주적인 여성의
기질을 의인화한 것이다. 아르테미스가 보여주는 원형은 우리에게
자신이 선택한 영역에서 자신이 정한 목표를 향해 나아가게 한다.
1. 처녀 여신
처녀 여신인 아르테미스는 사랑에 빠지는 것으로부터 벗어나
있다. 아르테미스는 페르세포네나 데미테르처럼 버려지거나
강간당하지 않았으며 부부라는 짝의 반으로 있은 적도 없다. 처녀
여신의 원형으로서의 아르테미스는 그 자체로 완전함을 나타내며,
내 일은 내가 알아서 할 수 있다라는 태도를 가짐으로써
아르테미스 원형을 지닌 여성에게 자신감과 독립심을 갖고 일할 수
있게 한다. 이 원형은 여성에게 남성 없이도 완전함을 느낄 수
있게 한다. 아르테미스원형을 지님으로써 여성은 남성의 동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자신의 일과 이해에 따라 일할 수 있게 된다.
아르테미스 여성의 정체감과 자신감은 자신이 누구이며 무엇을
하느냐와 상관이 있지, 자신이 결혼을 했으며 누구와
결혼했는지와는 상관이 없다. 미스나 미세스가 아닌 미즈를
주장하는 것은 남성으로부터의 분리와 독립을 강조하는
아르테미스의 성향을 보여주는 것이다.
2. 목표물을 향한 궁수
사냥의 여신인 아르테미스는 가까이 있건 멀리 있건 어떠한
목표물도 표적뜨로 삼을 수 있으며 그녀가 쏜 화살은 반드시
과녁을 맞춘다. 아르테미스 원형을 지닌 여성은 자신이 중요하게
여기는 것에 강렬하게 집중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목표까지
가는 동안 주변 사람들의 요구나 다른 사람들과의 경쟁 때문에
어수전해지지 않는다. 오히려 경쟁은 목표물로 향하는 과정에서 더
많은 자극을 줄 뿐이다. 여러 가지 방해물이 있고 어떤 때는
목표물 자체가 확실히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기도 하지만
아르테미스는 끈질기게 목표물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결극에는
자신의 목표를 완성해 낸다. 즉 아르테미스 원형은 자신이 정한
과녁을 맞출 수 있게 해준다.
3. 여성운동의 원형
아르테미스 여신은 여성운동이 이상형으로 생각해 은 성향을
지니고 있다. 경쟁력과 성취력, 남성들과 그들의 의견으로부터
독림되어 있는 것, 그리고 고통받는 자들과 힘없는 여성과
어린이들에 대한 배려가 그것이다. 아르테미스 여신은 자신의
어머니인 레토가 아이를 낳을 때 도왔으며, 레토와 아레투사를
강간의 위기에서 구해주었고, 강간을 하려 했던 타이티우스와
자신의 지역을 침입한 악테온을 처벌했다. 아르테미스는
어린이들,특히 사춘기의 소녀들을 보호하는 여신이다.
아르테미스의 이러한 관심은 여성운동이 강간의 후유증을 치료해
주는 병원을 설치하고,호신술을 가르치며,성폭행을 당한 여성들을
돕고, 매맞는 여성들을 위한 보호소 설치 등에 관심을 보이는 것과
유사하다. 여성운동은 안전한 출산과 산파학을 강조하여
왔고,근친상간과 포로노그래피에 관심을 가져왔으며, 여성과
어린이들에게 해로운 것을 막고 그러한 해를 일으키는 사람들을
처벌하려 하고 있다.
4. 큰언니
아르테미스 여신은 수많은 요정들과 산과 들과 시내에 있는 작은
신들을 대동하였다. 그들 모두는 함께 숲속을 탐험하고 거칠은
황야에서 사냥을 하였다. 집안일이나 유행, 혹은 여자가 해야 할
일은 이것이다는 생각에 의해 제약을 받지 않았으며 남성의 통제를
받지 않았다. 그들은 모두 자매처됐 지냈으며 아르테미스는
큰언니로서 그들을 이끌고 도와주었다. 여성운동이 여성들간의
자매애를 강조해온 것은 아르테미스 원형으로부터 영감을 받아온
것에 비추어 자연스러운일 일 것이다.
7. 자연으로 돌아간 아르테미스
거칠은 황야와 길들여지지 않은 자연과 친화력을 지닌
아르테미스는, 가방을 챙겨들고 시골의 자연 속으로 내려가서는
자연과 하나가 되고 자기 자신과 하나가 되어본 경험이 있는
여성들의 원형이 된다. 달과 별이 쏟아지는 곳에서 잠이
들고,아무도 없는 해변을 거닐거나,사막 저편을 응시하면서 자연과
영적교감을 나누어 본 여성들에게는 아르테미스가 그들월 원형이
된다.
린 토마스Lynn Thomas는 (가방을 챙기는 여인 The Backpacking
Woma룻이라
는 글에서 아르테미스의 성향을 통해 자연을 느끼는 여성의 감각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초보자에게는 장엄함과 침묵, 깨끗한 물과 맑은 공기가 먼저
다가온다. 그리곤 거리감을 둘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것은
일상의 생활과 사람들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것이며
재충전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자연은 그 특유의 에너지로
우리 속에 들어온다. 나는 아이다호에 있는 스네이크 강가 옆에
누워 있던 때를
기억하는데, 잠을 이를 수 없었고 자연의 힘 안에 빨려들어가고
있음을 느꼈다. 이온과 원자들의 춤사위에 나는 압도되었다.
그리고 내 몸은 달빛에 의해 끌려가고 있는 것 같았다.
6. 달빛의 통찰력
사냥꾼인 아르테미스가 과녁을 향하여 보내는 매서운 눈길은
아르테미스와 연결된 두 종류의(눈길)중의 하나다. 다른 하나는
(달빛의 통찰력)으로서, 달의 여신으로서의 아르테미스를
나타낸다. 달빛 아래서 보이는 풍경은 은은하며 아름답고 때때로
신비롭기조차 하다. 이때 우리의 눈길은 별들이 가득한 하늘로
향하거나 주변의 자연의 풍광으로 향하게 된다. 달빛 아래서
아르테미스와 교감을 이룬 사람은 잠시 동안이라도 무의식적으로
자연의 일부가 되며 자연과 하나가 됨을 느끼게 된다.
자연 속의 여인 Women in the wilderness자이라는 책에서 차이나
갤런드 China Gallnd는 강조하기를 거칠은 자연 속으로 찾아
들어가는 여인은 자신의 마음속을 찾아 들어가는 것이라고 하였다.
"거칠은 황야를 찾아가는 것은 우리 마음 속에 있는 황야를
찾아가는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 자연과 우리 자신이 매우 가까운
존재라는 것을 알게 되는 것,바로 이것이 자연을 찾는 가장 큰
가치가 될 것이다. 아르테미스를 쫓아 황야로 들어간 여성들은
자신들이 더더
명상적이 됨을 느끼게 된다. 각기의 꿈들은 보통 때보다도 더욱더
선명해지고 그럼으로써 자기 자신을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게
해준다. 그들은 달빛 아래서 마음 속의 길들과 꿈 속의 상징들을
쳐다본다. 이것은 대낮의 밝은 햇빛 아래서 가장 확실히 볼 수
있는,손에 만져지는 현실과는 대조적인 것이다.
7. 아르테미스를 살려내기
아르테미스 유형의 여성들은 자신들이 아르테미스에게 끌리고
있음을 금방 느낄 수 있다. 다른 유형의 여성들도 아르테미스를
알아두는 것이 필요하다고 느낄지도 모른다. 또 어떤 여성들은
자신 안에 아르테미스가 있음을 알고 아르테미스가 좀더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기를 바란다. 어떻게 아르테미스를 살려낼
수 있을까 혹은 내 안의 아르테미스를 어떻게 강하게 만들 수
있을까? 그리고 우리 딸들에게서 아르테미스가 성장할 수 있도록
어떻게 도와줄 수 있
을까?
때때로 아르테미스를 개발시키는 일은 발본책을 필요로 한다. 한
예로 재능 있는 여성 작가는 새로운 남성과 사귀기 시작할 때마다
자신의 글쓰는 일을 뒤로 미루고 있었다. 사귀는 남성마다
처음부터 그녀를 사로잡았다. 그리고 곧 남성은 그녀에게 필요한
사람이 되었다. 이제 그녀의 생활은 남성을 중심으로 움직이게
되고 그가 멀어지거나 절교를 선언하면 그녀는 흥분하여 어쩔줄
모르게 된다. 가까운 친구가 그녀에게 남자에 빠져 있다고 충고해
준 후에야 그 여성 작가는 자신의 행동의 유형을 볼 수 있게
되었다. 만일 자신이 글쓰는 일을 제대로 꼰고 싶다면 당분간
남성과 사귀는 일을 뒤로 미뤄야 함을 알게 된 것이다.그녀는
도시를 빠져나가 옛 친구를 가끔씩 만나는 것 외에는 아무도
만나지 않았다. 그리고 그녀는 자신에게서 고독과 일과
아르테미스를 개발시키고 있었다.
일찍 결혼하여 딸에서 아내로 곧 전환해버린 여성은 자신 안에
있는 아르테미스의 성향을 이혼한 후에나 발견하는 예가 종종
있다. 자신의 일생 중 처음으로 혼자 살게 되면서 그녀는 이제
혼자 여행을 가도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며,
아침 일찍 일어나 달리기를 할 때의 만족감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성지원 모임의 일원이 되면서 즐거움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혹은 남자 관계가 복잡한 여성의 경우, 한 남성과 헤어지고 다른
남성과 새로 사귀게 될 때까지의 공백기 동안에는 자기 자신이
비참하다고 생각한다고하자. 그런 여성은 남성과 사귀는 것을
완전히 포기하거나 영원히 결흔을 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진지하게 해보기 전까지는 결코 자신에게서 아르테미스의 기질을
발전시킬 수 없을 것이다. 일단 그녀가 용기를 가지고 자신의
상황을 직시하고 친구들과 새로운 관계를 맺으면서 자신의 할일을
해나간다면그녀는 머지않아 자기자신에 대한 충족감과 만족을 느낄
수 있을 것인데 그것은 그녀 안에 아르테미스 원형이 발전되었기
때문이다.
자연 속으로 여행을 떠나는 것은 여성들에게 아르테미스를
느끼게 하는 좋은 기회가 된다. 특히 그룹이 함께 여행하면서
각자가 독자적인 행동을 할 수 있는 여행이라면 더욱 좋다. 또한
운동경기를 하거나 여학생 캠프에 참가하거나 낯선 지역을 찾아
여행하는 일 또는 교환학생이 되어 외국 문화 속에설 살아가거나
평화봉사단의 일원이 될 때 우리 딸들은 그 자체로 충족감을
느끼는 아르테미스가 자기 안에서 커가고 있음을 알게 된다.
III. 아르테미스 여성
아르테미스의 성향은 일찍부터 나타난다. 대개 아르테미스
성향의 아기는 새로운 것, 신기한 것에 호기심을 나타내며
얌전하기보다는 활발하다. 부모가 아이에 대해 보통 표현하는
아래와 같은 말들은 바로 아이가 자신이 정한 일에 집중할 수 있는
아르테미스 성향을 지녔음을 보여준다. 우리 아이는 세살인데도
집중력이 대단해요. 아유, 아이가 고집이 보통이 아녜요.·아이와
약속한건 꼭 지켜야 해요. 꼭 기억하고선 약속을 받아내요.이렇게
아르테미스 성향은
아주 어려서부터 나타나는데, 걷기 시작하면서부터는 미지의
세계에 대해서 호기심이 가득한 아이로 큰다.
아르테미스 여성은 자신이 세운 원칙에 철저하다. 그리고
어린아이들은 철저히 보호해주럭 하며, 불의에 접하면 "그건
공평하지 않아요하곤 시정하려고한다. 아르테미스 소녀가 아들을
선호하는 집쎄서 태어났다면, 오나 남동생을 위하는 집안 분위기를
그냥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다. 집안에서의 평등한 대우를 주장하는
이 소녀는 이미 여성주의자의 싹을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다.
1. 아르테미스의 부모
자신이 세운 목표를 향해 나아가면서, 자신이 여성이라는 것과
있는 그대로의 자기자신에 만족해 하는 아르테미스 여성 뒤에는
대부분 레토와 같이 정다운 어머니와 제우스와 같이 딸을 인정해
주는 아버지가 있기 마련이다. 아르테미스 여성이 갈등 없이
성공을 향해 경쟁하고 성취할 수 있기에는 부모의 성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제우스처럼 딸을 인정하고 격려해 주는 아버지는 딸이 원하는
것을 할 수 있게 선물을 준다. 그 선물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으로, 아버지와 흥미도 같고 서로 비슷한 점이 많아 자연히
아버지가 딸에게 관심을 갖고 용기를 북돋워 주는 경우이다.
선물은 때로 더 확실히 눈에 보이는 것으로서 훈련과 기구
같은것이 되기도 한다. 세계적 테니스 선수인 크리스 에버트
로이드 Chris Evert Lloyd는 그 자신 테니스 선수였던 아버지 지미
에버트 Jimmy Evert로부터 훈련을 받았는데, 아버지는 크리스가
7살 나던 해에 딸에게 라켓을 선물로 주면서 딸의 재능을
북돋웠다.
그런데 아르테미스 딸이 전통을 고집하지 않는 부모 밑에서
태어났을 때는 어떻게 될까? 부모가 육아며 집안일 등을 나눠하며
각자가 자기의 직업이 있는
경우, 아르테미스 딸은 자신의 아르테미스 성향을 인정해 주고
발전시켜 줄 모델을 이미 갖고 있는 셈이다. 더욱이 이때
아르테미스 딸은 결흔과 육아가 자신의 목적을 추구하는 일과 서로
양립될 수 없으리라는 걱정없이 자유롭게 자신의 계획을 추진하게
된다.
문제는 아르테미스 딸이 자신들이 원하는 형의 딸이 아니어서
실망하고 야단치는 부모를 만났을 때 생긴다. 얌전하고 보송보송한
아기를 원했는데 그 대신 활동적이고 한시도 가만히 한곳에 있지
않으려는 아기가 태어났을 때 엄마는 아이에 대해 실망하거나
아이가 엄마를 따르지 않는다고 생각하기 쉽다. 엄마를 졸졸
따라다니고 엄마의 잔일들을 도와주고 엄마 말을 고분고분 듣는
그런 아이를 원하는 엄마가 아르테미스 딸을 갖게 되었다면 실망을
금하기 어려울 것이다. 네 살만 되어도 독립심이 강한 이 꼬마
아이는 엄마와 집안에서 노는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아이는 대신
골목에 나가 자기보다 큰 아이들과 놀려고한다. 그리고 어른들
보기 좋으라고 리본과 레이스가 달린 치마를 입고 있는일을
싫어한다.
후에 이 아이가 커서 부모의 허락을 필요로 하는 어떤 일을
하려고 할 때 부모가 그 일에 반대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만일
오빠나 남동생은 남자이기 때문에 허락을 받고 자신은 여자이기
때문에 허락을 받지 못한다면 아르테미스 딸은 거세게 반항할
것이다. 그리고 자신의 반항이 아무 효과가 없다면 함구한 채
방안에 웅크리고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아르테미스 딸을
받아들이고 인정해 주지 않을 때 그 아이의 자존심과 자신감은
크게 위축된다. 특히 자신이 존경하는 아버지가 자신을 자랑스러운
딸로 인정해 주는 대신 여자답지 못하다고 야단을 치거나 자신의
능력,생각, 희망에 대해 야단을 치거나 경멸할 때 그 타격은
치명적이다.
임상에서 나는 자신을 인정해 주지 않는 아버지를 둔 아르테미스
딸들의 고뇌를 많이 보았다. 전형적인 그들의 모습은 겉으로는
강하고 방어적인 자세를 취하지만 안으로는 상처를 입고 있다.
그들은 강한 성격을 지니고 있고 아버지가 어떻게 생각하든 영향을
받지 않으며 경제적으로 독립할 수 있을 때까지만 아버지 집에서
살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그런 아버지 밑에서 자란 아르테미스
딸들의 후유증은 그 강도와 심각성에 있어서 다양하지만 대충
다음과 같은 유형을 보여준다. 우선 자신의 능력에 대해 확신을
갖지 못하며 자신에 대해 굉장히 비판적이다. 즉 자신의 불신이
자신에게 최대의 적이 되는 셈이다. 겉으로는 자신의 포부와 기를
꺾으려는 아버지의 권위에 잘 대처하고 있는 듯이 보이지만 이미
마음 속으로는 아버지의 비판적인 레도를 받아들이고 있는 것이다.
마음 깊이, 아르테미스 딸은 자신이 대단한 존재가 아니라는
느낌과 싸워야 한
다. 그리고 막상 자기에게 새로운 기회가 주어졌을 때 망설이게
된다. 자신의능력을 완전히 발취하지 못하며 심지어는 자신이
성공했을 때도 계속 자신이 적합치 못한 인물이라는 의혹을 떨치지
못한다. 이런 유형은 딸보다는 아들을 선호하는 문화, 딸은
전형적인 여성이기를 원하는 문화와 가족에 의해 재생산 된다.
내 수업에 들어온 한 아르테미스 여성은 "엄마는
페르세포네엄마의 말을 잘따르는 딸를 원했고 아버지는 아들을
원했지요. 그런데 제가 태어났어요." 하고말했다. 아르테미스 딸을
둔 어떤 어머니들은 자신이 별로 가치를 두지 않는일에 몰두하는
딸의 모습이 쌕 내키지 않아서 딸에 대해 비판적이게 된다.
어머니의 이런 태도가 아르테미스 딸의 기를 꺾지는 못하나 그래도
기운나게 하는 일은 아니다. 아버지가 딸에 대해 갖는 부정적인
태도는 어머니가 딸에 대
해서 갖는 부정적인 태도보다 더 파괴적인 결과를 낳는데,그것은
아버지가 더 대단한 권위를 지녔기 때문이다.
아르테미스 딸이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또 하나 갖게 되는 문제는
수동적이고 나약해 보이는 어머니를 두었을 때다. 불행한
결혼생활이나 알를 중독 등의 후유증으로 우울해하는 어머니, 항상
어린이처럼 관심받기를 원하는 어머니가 그런 예가 된다.
아르테미스 딸들은 그런 관계를 "내가 엄마고 엄마가 내
딸이었지요"라고 표현한다. 이들 아르테미스 딸들과 좀더 깊숙이
얘기를 나눠보면 강한 어머니를 가져보지 못하고 그렇다고
어머니의 삶을 바러줄 수 있을 만큼 자기 자신 강하지 못한 것에
대해 슬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르테미스 여신은 언제나
자신의 어머니인 레토를 도와줄 수 있었지만, 어머니를 구하려는
현실 세계의 아르테미스 딸들의 노력은 대부분 실패로 끝났다.
나약한 어머니를 보면서 아르테미스 딸들은 아르테미스 성향을
강화시킨다. 그들은 어머니처럼 되지 않겠다고 결심하면서 자신
안에서 의존심과 나약함을 억누르고 독립적이 되려고 노력한다.
그러나 아르테미스 딸이 전통적인 여성의 역할을 행하는 자신의
어머니를 경멸할 때,그녀는 사실상 자신이 마련한 올가미에
씌워지는 것이다. 어머니와 동일시하는 것을 거부함으로써
아르테미스 딸은 여성적이라고 생각되는 부드러움, 수용력, 결혼과
모성애에 대한 감동들도 같이 거부하게 된다. 그리하여 그녀는
다시 한번 무력감에 시달리게 된다. 이번에는 자신의 여성성의
영역에서.
2. 사춘기와 청년기의 아르테미스
국민학교 시절의 아르테미스 딸들은 경쟁심이 대단하고,인내심과
용기, 그리고 승부욕이 강한 특징을 보인다. 자신이 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아르테미스 딸은 있는 힘을 다한다. 걸스카웃이
되어 등산과 수영, 야영생활을 즐기며 캠프화이어를 위하여 장작을
직접 패기도 한다. 혹은 아르테미스 여신처럼 활을 잘 쏠 수도
있다.
중고등학교 시절의 아르테미스 딸은 독립심과 탐험심의 경향을
지닌다. 숲속을 찾아 들어가고 등산을 하며 길을 갈 때도 다음
길에는 무엇이 있을지 호기심으로 가득차서 다닌다. 날
내버려둬요. 옆으로 비켜 주세요가 아르테미스 소녀의 늘상 하는
말이 된다. 아르테미스 소녀는 그 또래의 다른 소녀에 비해
비동조적이고 덜 순응적이다. 이것은 아르테미스 소녀가 다른
사람의 비위를 맞추는 일에 무관심하고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분명히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르테미스 소녀의
이러한 확신은 주위의 반발을 사기도 한다. 주위에서는 아르테미스
소녀가 고집불통이며 여성적이지 못하다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아르테미스 소녀는 대학에 들어가게 될 때, 대학의 자유로움과
경쟁적인 분위기에 신이 나려한다. 대학에서 아르테미스 소녀는
자신과 비슷한친구들을 만나게 된다. 정치적인 성향을 지닌
아르테미스 소녀는 대학의 총학생회에 출마하기도 한다.
그리고 운동신경이 발달한 소녀는 하루에 수십 킬로미터의
거리를 조깅하면서 자신과의 대화를 즐기게 된다. 마라톤은 특히
목적지를 향해 집중하고, 경쟁심과 인내심이 요구되는 경기인데,
마라톤에 참가하는 여성들은 아르테미스의 특질을 가장 잘 드러내
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스키를 탈 때, 산밑으로의 코스를
정하면서 심리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전혀 두려움 없이 앞으로
나아가는 여성에게서 또한 아르테미스 성향을 읽을 수 있다.
3. 직업
아르테미스 여성이 정열을 쏟는 일은 그녀에게 주관적인 가치를
지닌 것이다. 그녀는 경쟁심에 부추겨지며 주변의 방해에 의해
단념되는 적이 없다. 아르테미스 여성이 사회사업 쪽이나
법률관계의 일에 종사하고 있다면 그것은 재부분 특별한 이상을
갖고 그 일을 선택했기 때문이다. 만일 그녀가 사업을 하고 있다면
성공을 가져다 줄 수 있으리라고 확신하는 상품을 가지고 사업을
시작하거나 아니면 아마도 자신의 뜻을 펼칠 수 있게 도와주는
사람과 함께 을
시작했을 것이다. 만일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일에 그녀가
종사한다면, 그녀는 자신의 개인적 상상력을 표현하려고 한다.
그녀가 만일 정치계에 뛰어들었다면 그녀는 환경보호운동이나
여성운동의 옹호자가 된다. 돈, 명예, 권력 같은 세속적안 성공은
그녀가 뛰어나게 잘하는 부분에 대한 보답으로 자연히 뒤따르게 될
것이다.
그러나 사실상 대다수의 아르테미스 여성이 관심을 갖는 일은
상업적 가치가 없는 것이며 세속적 성공이나 명성, 돈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오히려 그 반대로 그녀들의 관심은 아주
개인적인 것이며 많은 시간을 요하는 것이라서 세속적인 성공이나
인간관계를 맺는 일이 힘든 것이 사실이다. 그렇더라도 그꼰한
노력은 아르테미스 여성 개인에게는 만족스러운 일이 된다. 한
예로 가족법 개정운동이나 공해 방지법 운동에 적극 참여한다든지
격려해 주는 주람 없고 상품적 가치가 없는 창작에 몰두하는
자세는 들어주는 사람 없는 깊은 산 속에서 혹은 황야 저 멀리서
소리치는 아르테미스 여신을 연상케 한다. 예술가의 경우 주관적인
경험과 창작을 강조하는 아프로디테와 아르테미스가 합친
경우이다.
아르테미스 여성은 전형적인 현모양처형을 따르지 않기 때문에
자기 자신이나 가족들과 갈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그것이 그녀의
노력을 꺾어버리기도 한다. 딸이 원하는 것이 가족들이 보기에는
여성답지 못한 것이라면 그 딸이 가족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기는 힘들다고 하겠다. 아르테미스 여성이
추구하는 직업은 얼마 전까지도 여성에게는 개방되지 않은
것들이었다. 그런 중에 아르테미스 여성은 아무도 격려해 주는
사람이 없고 너무도 많은 장애물에 둘러싸여 아르테미스 기질을
버렸어야만 했다.
4. 다른 여성과의 관계: 자매애
아르테미스 여성은 다른 여성들과의 친화력이강하다. 요정
친구들에 둘러싸인 아르테미스 여신처럼 아르테미스 여성은
친구와의 관계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이런 특성은 아주
어릴적인 국민학교 시절부터 나타난다. 그때 사귄 친한 친구들끼리
마음을 터놓고 지내며 그때의 우정은 어른이 될 때까지 지속된다.
직장에서도 아르테미스 여성은 쉽게 기존의 여성들끼리의
연결망에 소속된다. 여성들끼리의 판계를 중요시 여기고 여성
후배들을 이끌어 주며 여성 동료들을 격려해 주는 모습은 자매애
원형의 자연스런 모습이라고 하겠다.
한편 이런 그룹활동에는 소극적이고 개인주의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는 아르테미스 여성들도 대부분 여성운동은 지지한다. 이런
경향은 아르테미스 여성이 어머니와 가깝게 지내면서 어머니의
삶을 통해 우리 사회에서 여성의 일생이 어떻게 전개되는지에 대한
자연스러운 관심과 인식에서 시작된다. 혹은 자신의 삶을 성취하고
싶었지만 꿈을 이루지 못한 어머니로부터의 직접적인 영향에서
비롯될 수도 있다. 1970년대의 아르테미스 여성들은 그들의
어머니들이 못 이룬 꿈들을 실현시키고 있다. 그들의 어머니들이
젊었던 시절에는 제2차 세계대전 직후라서 결혼하여 전업주부로
지내는 것이 가장 이상적으로 생각되는 시기였으며 따라서 그들
자신의 꿈을 포기해야 했다. 아르테미스 딸들 뒤에는 자신의 꿈을
대신 이뤄주는 딸을 대견해하는 어머니가 있음을 자주 볼 수 있다.
기질적으로 아르테미스 여성은 여성주의자다. 여성운동에 대해
아르테미스 여성은 적극 동조한다. 아르테미스 여성은 대개 자신이
남성과 동등하다고 생각한다. 아르테미스 여성은 지금껏 남성과
경쟁해 왔으며 여자에게 일반적으로 주어진 역할이 부당한
것이라곤 생각한다. "여자가 재주가 많으면 팔자가 세다"든가
"남자 기를 꺽지 마라" 같은 말들은 아르테미스 여성의 기질을
부정하는 표현들이다.
5. 성생활
아르테미스 여성은 영원히 순결을 지킴으로써 자신의 성에 대해
수동적이고 드러내지 않는 삶을 살아온 아르테미스 여신을 닳을 수
있다. 그러나 현대를 살아가는 여성에게 이런 유형은 사실상
드물다. 차라리 아르테미스 소녀가 어른이 되었을 때 성경험을
이미 해본 경우가 더 많을 것인데 이때 아르테미스 여성의
성경험은 새로운 모험을 하고 싶은 그녀의 탐험심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아르테미스 여성의 성에 대한 태도는 일에 몰두하는 전형적인
남성의 태도와 유사하다. 그들 모두에게 사랑이란 이차적인
문제이다. 자신의 직업과 지금 하고 있는 일이 우선적으로 중요한
것이다. 따라서 성경험은 운동처럼 하나의 육체적 경험이지 그것이
헤라 여신의 경우처럼 애정의 육체적 표현이거나 아프로디테처럼
자신의 성적 본능의 표현이 되는 것은 아니다.
6.결혼
자신의 일과 운동에 힘을 쏟는 아르테미스 여성에게 결혼은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 더구나 결혼하여 가정에 안주하는 것은
한참 경력을 쌓는 아르테미스 여성에게는 별로 부러운 일이 되지
못한다. 만일 어떤 아르테미스 여학생이 매력적이고 학생들간에
인기가 높아서 남학생들로부터 데이트 신청을 많이 받는다면
그녀는 그 중의 한 남학생과 연애를 하기보다는 여러 남학생들과
같이 어울리려고 할 것이다. 그리고 그녀는 결혼하기보다는
실험적으로 우선 같이살
아보는 방법을 택할 것이다. 그리고 어쩌면 그녀는 영원히 독신로
지내기를 선택할지도 모른다.
아르테미스 여성이 결혼을 할 때,그녀의 남편은 대부분 같은 과
친구이거나, 직장 동료, 혹은 자신의 경쟁자이기 쉽다. 그리고
그들의 결혼생활은 평등하게 꾸려진다. 결혼한다 하여 자신의 성을
남편의 성으로 바꾸는 일은 하지 않는다.
7. 남성들과의 관계: 형제애
아르테미스 여신의 쌍등이 동생인 아폴로는 다양한 면모를 지닌
태양의 수호신이다. 아폴로신은 아르테미스 여신과 짝을 이루는
남성신이다. 아폴로신의 영역이 도시일 때 아르테미스 여신은
거칠은 황야를 다스리며 아폴로가 태양을 차지했다면 아르테미스는
달을 차지했다. 집짐승을 다스리는 아폴로에 대해서 아르테미스는
산짐승을 다스리며, 아폴로가 음악의 신일 때 아르테미스는
산위에서 드리는 강강수월래 춤을 주관한다. 아폴로는
올림푸스산의 두번째 세대로서 합리성과 법을 대표하는 것으로도
표현되지만, 한편으로는 예언의 신으로서 비합리적인 것을
대표하기도 한다. 다시 말하면 아폴로신도 누나인 아르테미스처럼
남성적인 성향과 여성적 성향을 모두 지닌 양성적인 신인 것이다.
아르테미스와 아폴로의 관계는 아르테미스 여성이 남성과 맺는
관계의 남성이 친구이든, 동료이든, 혹은 남편이든 유형을
보여준다. 아르테미스 여성은 대개 심미적이고 창의력 있으며
음악성이 뛰어난 남성에게 매력을 느낀다. 그 남성의 직업은 대개
남을 도와주는 분야나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는 분야이다. 그
남성은 대개 지적인 면에서 여성과 같으며 서로 같거나 아니면
서로 보완할 수 있는 관심사를 갖고 있다. 한 예로 배우이자
실천가이며 건강체조 주창자인 제인 폰다 Jane Fonda와 진보
정치가인 톰 헤이든 Tom Hayden의 관계를 들 수 있다.
아르테미스 여성은 가부장적인 남성과 난 타잔, 넌 제인식의
관계에서 전혀 매력을 느끼지 못한다. 아들에게 집착하지도
않는다. 즉 아르테미스 여성은 남성이 자신의 삶의 중심이 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것이다. 아르테미스 여신이 늠름한 외관을
갖추고 있듯이 아르테미스 여성은 늠름한 마음을 가지고 있어?
(귀여운 여인)의 역할을 하는 것이 자신에게 우스꽝스럽게
느껴진다.
아르테미스와 아폴로의 관계에는 대개 스포츠에 대한 흥미가
같이한다. 두 가람은 같이 스키를 즐기기도 하고 수영,조깅, 등산
등을 같이한다. 만일 스포츠를 즐기는 아르테미스 여성이 상대와
같이 스포츠를 할 수 없다면 그녀는 두 사람의 관계에꺼 중요한
부분이 빠졌다고 생각할 것이다.
아르테미스와 아폴로의 관계는 성적인 관계보다는 친군와 같은
결흔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서로에게 가장 친한 친구가 된다. 따라서
남편이 다른 유형의 역경과 사랑에 빠져 남매처럼 지내왔던 그들의
결혼생활이 깨어지게 될 때도 아르테미스 여성은 이혼한 남편과
계속 친한 친구 관계를 유지하곤 한다.
아르테미스 여성이 자신의 결혼생활에서 의미 필은 성관계를
가지려 한다면, 또 다른 여신인 아프로디테의 영향을 받아야 한다.
그리고 그 결혼이 남편에게 성실한 것이 되기 위해서는 헤라
여신의 영향도 있어야 한다. 헤라 여신과 아프로디테 여신의
성향이 없는 아르테미스 여성의 결혼생활은 남매와 같은 것이되기
쉽다.
이렇게 동료로서의 관계를 맺는 것 외에 아르테미스 여성에게
두번째로 흔한 관계의 유형은 그녀를 길들이는 남성과의 관계이다.
이 두번째의 남성은 아르테미스 여성에게 깊은 감동을 받은
남성인데, 그녀를 자상하고 자신의 감정에 민간한 여성이 되도록
가르친다. 그리고 이런 남성은 대개 그려가 아이를 낳기를 원한다.
위와 같이 서로 대칭적이거나 보완적인 관계보다 못한 것으로서
아르테미스 여성이 맺을 수 있는 관계는 그녀가 어린 시절
아버지와 겪었던 갈등을 재생산하는 겄이다. 그런 남편은
아르테미스 아내가 원하는 것을 전혀 지지하지 않을뿐 아니라
아내를 비난하고 깎아내린다. 이때 아르테미스 여성은 어렸을 때
아버지에게 했던 것처럼 자신을 방어하면서 자신이 하려는 일을
계속 추진한다. 그러나 그녀의 자존심은 이미 상처를 받았고
그녀의 사기는 저하되어 있으며 결국에는 남편이 원하는 아내상에
자신을 맞추게 된다.
혹은, 아르테미스 여신과 오리온의 사랑에 관한 신화에서처럼 한
남성과 사랑에 빠져서는 그 관계의 경쟁적인 성격 때문에 관계
자체가 끝나버리는 경우도 있다. 만일 그가 큰 업적을 이룬다면
아르테미스 여성은 그를 위해 기뻐하기보다는 그의 성공을 불쾌해
하며 깎아 내리려고 한다. 그리고 이런 경쟁심은 결국 상대 남성이
그녀에 대해 갖고 있는 사랑의 감정을 약화시킨다. 반대로 상대
남성의 경쟁심이 아르테미스 여성의 사랑의 감정을 약화시킬 수도
있다. 아르테미스 여성의 성공이 상대 남성에게 위협으로 느껴지는
경우가 그것이다. 이렇게 서로간의 경쟁이 계속될 경우 경쟁심은
악화될 뿐이며 아주 사소한 문제까지 경쟁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아르테미스 여성이 자기와 꼭 어울리는 타입이라고 생각하는
남성은 첫째로 대개 그 여성이 자기와 비슷하기 때문에, 즉 그
여성에게서 자기 자신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로 자기
자신에게서는 찾아 볼 수 없는 독립심, 적극성, 의지력 등을
아르테미스 여성에게서 느끼기 때문에 그녀에게 매력을 느낄 수
있다. 셋째로 그 남성 자신이 가장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순수함을
아르테미스 여성이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매력으로 여겨지는 것이 아르테미스
여성에게서 자신과 유사성을 발견하는 것이다. 자신과 한편이 되어
자신을 도을 수 있고 자연스러운 동료가 되어주는 모습을
그녀에게서 보는 것이다.
자신에게 없는 부분을 아르테미스 여성에게서 보고 매력을
느끼는 남성은 대개 아르테미스 여성의 의지력과 독립심을
보면서다. 그는 보통 비여성적이라고 생각되는 성향에 그녀를 앉혀
놓고 그녀의 강한 점에 도취된다. 그런 남성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여성은 텔레비전의 원더우먼 wonderwoman-그녀는
아르테미스의 로마식 이름인 다이아나로 분했다-과 같은 것이다.
우리집 아들이 8살이었을 때의 일이다. 하루는 아들아이 친구가
와서는 감탄을 하면서 자기 여자 친구가 얼마나 용감한가를
얘기했다. 그 아이는 자신의
여자 친구가 용감하며 적극적이어서 자기가 위험에 처했을 때
의지할만한 아이로 생각하고 있었다. "누가 나를 못살게 굴 때,
내가 그 여자애한테 전화하면 당장 나한테 달려을 거야." 정신분석
학자로서 나는 그 아이가 말할 때 보여줬던 감탄과 자부심(그런
여자 아이와 자기가 친하다는)이 아르테미스 여성을 이상형으로
생각하는 남성들이 자기가 사랑하는 여성이 보여주는 업적들에
대해 자랑스럽게 말할 때의 느낌과 같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세번째의 남성은 아르테미스 여성의 순수함과 순결성에 끌린
경우이다. 그리스 신화에서 이런 매력은 히폴리투스에게서
나타났다. 히폴리투스는 매력적인 소년으로서 아르테미스 여신에게
마음을 바치고 동정을 지켰다. 사랑의 여신인 아프로디테는 이러한
히폴리투스에게 감정이 상해서 그에게 불행이 일게 하였다. (이
이야기는 아프로디테 편에서 다시 얘기하기로 한다.)
아르테미스처럼 순수한 여성에게 끌리는 남성은 세속적인 성욕을
혐오한다. 이런 남성은 대개 젊은 히폴리투스처럼 청소년기의
나이로 그들 자신 성경험이없기가 쉽다.
8. 자식과의 관계
아르테미스 여성은 보통의 어머터형이 아니다. 임신을 하고
젖먹이는 것이 아르테미스 여성에게는 전혀 만족을 주는 경험이
아니다. 그 반대로 임신은 운동선수 같은 단단한 체격을 유지하고
싶은 아르테미스 여성에게 혐오스러운 일이 될 수 있다. 그녀는
어머니가 되고 싶은 강한 본능을 느끼지 않는다(그러려면 데미테르
성향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아르테미스 여성은 어린이들을
좋아한다.
아르테미스 여성이 자신의 아이를 낳았을 때,그녀는 대개 좋은
어머니가 된다. 신화에서 그녀의 심볼인 암곰처럼 아르테미스
어머니는 독립심을 강조하고 싸움을 피하는 법을 가르치지만 일단
자신을 방어해야 될 때는 사나워진다. 아르테미스 어머니의 자녀들
중에는 자기들을 위해서라면 어머니가 죽음을 걸고 싸울 것이라고
확신하는 경우가 많다.
아르테미스 여성은 자기 아이를 낳지 않는 것에 대해
자연스럽게생각하며 자신의 모성애를 다른 아이들에게 보내곤
한다. 걸 스카웃 지도교사가 되거나 새어머니가 되는 등의 기회가
그것이다. 이러한 역할을 통해서 아르테미스 여성은 성숙한 여성의
길목에 서 있는 소녀들을 보호하는 아르테미스 여신과 유사한
모습을 보여준다.
아르테미스 어머니는 자식이 갓난아이였을 때를 회고하며 그때는
아이들이 귀여웠는데 하고 회상에 잠기지는 않는다. 그 대신
아이들이 점점 더 독립적으로 성장해 가기를 바란다. 모험심이
강한 활동적인 소년 소녀들에게 그들의 아르테미스 어머니는
훌릉한 친구가 된다. 아르테미스 어머니는 바깥에서 누런뱀을
잡아가지고 집으로 돌아오는 아이들을 반겨주며, 아이들과 같이
신나하떠 캠핑을 간다.
그러나 문제는 어머니는 아르테미스인데 자식은 수동적이고
의존적인 경우에 있다. 그런 아이에게 너무 일섹부터 독립심을
강조하면 오히려 아이는 더욱 더 의존적이 되려고 함으로써 문제가
악화된다. 아이는 자신이 부모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한다고
생각하고 아르테미스 어머니의 기대를 만족시킬 만큼 자신이
능력이 있지 못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9. 아르테미스 여성의 중년
서른여섯에서 쉰여섯 사이의 나이에 있는 아르테미스 여성은
만일 그녀가 다른 여신 성향도 함께 지니고 있지 못한 경우 중년의
위기를 맞게 된다. 아르테미스 원형이란 원래 젊은 여성이 자신의
목적을 정하고 그 목표를 향해 다른 생각 없이 매진하는 여성과
어울리는 것이다. 그러나 중년이 되면 변화가 생긴다. 이제 그녀가
탐험하지 않은 곳은 얼마 없으며 그녀가 추구한 목표는 이미
달성됐거나 실패로 끝난 상태다.
중년 여성이 된 아르테미스 여성은 과거에 비해 점점 명상적이게
되며 내면의 세계에 관심을 갖는다. 이제 수렵의 여신인
아르테미스보다는 달의 여신인
아르테미스가 더 영향력 있다. 폐경기를 맞으면서 외향적이던
아르테미스 여성은 자신의 내부로의 여행을 시작한다. 이 여행
중에 그녀는 과거로부터의 (망령)을 만나게 되며 지금까지 무시해
왔던 감정과 욕구를 새롭게 느낀다. 이 폐경기 때의 현상은 헤커트
여신과 관련이 있는데, 헤커트 여신은 어두워진 달과 망령들과
신비스러운 세계의 여신이다. 헤커트도 아르테미스도 둘 다 달의
여신들로서 대지 위를 거닐었었다. 이 두 여신들은 아르테미스
여성이 나이가 여듦에 따라 만나게 되는데 그것은 젊은 시절 다른
목적을 향해 매진했던 것처럼 이제는 심리적인, 영적인 영역을
향해 추진하는 아르테미스 여성에게서 볼 수 있다.
10. 아르테미스 여성의 노년
아르테미스 여성이 나이가 들어서도 아르테미스 성향을 계속
유지하고 있는것을 보는 것이 드문 일은 아니다. 그녀의 젊은
활기는 결코 멈추지 않는다. 그녀의 몸이나 마음이, 혹은 몸과
마음 모두가, 항상 활동적이다. 새로운 관심사를 만들어 그것에
매진하거나 외국으로 여행을 가기도 한다. 그녀는 젊은이들과의
친밀성을 계속 유지하며 항상 생각을 젊게 가지기 때문에 중년
여성이나 할머니가 되었음을 느끼지 못한다.
북캘리포니아에 살고 계시는 두 할머니들이 이런 전형적인 예가
된다. 엘리자베스 터월리거 Elizabeth TerwilliBer 할머니는
칠십이 넘으셨지만 아직도 국민학생들을 데리고 산과 들로 나가서
자연을 가르친다. 나무 뿌리 뒤켠에 살짝 숨어 있는 진기한
버섯들을 신기하게 쳐다보기도 하며 예쁜 뱀을 들어 보고, 언덕
위에 피어 있는 식물들 중에서 먹을 수 있는 것들을 구분하는 법을
가르쳐 주기도 한다. 고추밭을 지날 때는 고추를 하나 따서 먹어
보기도 한다. 할머니는 자연에 대한 자신의 흥미를 어린
국민학생들과 나누며 어린이들을 자연의경이로 향하게 한다.
두번째의 아르테미스 할머니는 프란시스 혼 frances Horn
할머니인데, 인간심성에 대한 뒤늦은 탐험심으로 칠십의 나이에
심리학 박사가 된 분이다. 그리고 칠십다섯의 나이에 <<내가
원하는 것은 하나 Twant One Thing>>라는 자서전을 썼으며, 그
안에서 그녀 자신의 탐험심과 그리고 영원히 변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들을 적어 나갔다.
미국에서 가장 유명한 여류 예술가 중의 하나인 죠지아 오키페
Georgia 0'Keeffe 할머니는 아흔의 나이에도 항상 그래왔던 것처럼
창작 활동을 늦추지 않는 아르테미스 할머니이다. 그려는
열정적이었으며 거치른 남서부 지역의 정신을 이어받아서 최선을
다해 인생의 목적을 달성해 나가는 여성이었다. 오키페 할머니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한다. "나는 언제나 내가 원하는 것이 뭔지
알고 있었지.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원하는 게 뭔지
몰라."그녀는
자신이 성공한 이유는 자신의 진취적인 성격 때문이라고 보며
자신이 "원하는것과 연결이 된다고 생각되면 꼭 붙들었다"고 한다.
아르테미스 여신과 같았던 오키페 할머니는 진정 자신이 원하는
분명한 목표를 찾았으며 그 목표를 달성하였다.
IV. 심리적인 문제점들
아르테미스 여신은 자신이 선택한 영역틀서, 자신이 선택한
무리들과 함께,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며 떠돌았었다. 고통을
받은 다른 여신들과는 달리 아르테미스 여신은 한 번도 괴로워 본
적이 없다. 그 대신 아르테미스 여신은 자신의 비위를 상하게 하는
이들을 해쳤으며 자신의 보호 아래 있는 이들을 위협했다.
마찬가지로 아르테미스 여성의 심리적인 문제점은 자신이
괴로워하기보다는 다른 사람들을 고통스럽게 한다는 데 있다.
1. 나는 아르테미스 여성인가?
목표를 향해 매진하며 일에 열중하면서 아르테미스 여신처럼
살아가는 여성은 매우 만족스러운 삶을 살 것이며 특히 자신에게
의미 깊은 일에 있는 힘들다 쏟을 수 있을 때에는 전혀 인생에
부족함을 느끼지 않을 것이다. 아르테미스 여성은 끊임없이
매진하는 삶의 방식을 즐긴다. (가족)이라는 터전이 아르
테미스 여성에게는 중요한 것이 못 된다. 아무리 사회와
부모로부터의 압력이 대단하다 해도 헤라나 데미테르 원형이 자신
속에 없다면 결혼과 아이가 그렇게 대단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아르테미스 여성에게는 남녀간의 밀착된 애정을 찾기 어려운 대신,
그녀는 친구들과 형제애로서 그리고 자매애로서 관계를 맺어나가며
남의 아이들과 유쾌한 시간을 보낸다.
아르테미스 여신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경우 그 여성의 성격은
다음과 같이 영향을 받는다. 그 여성은 무언가 도전할 수 있고
개인적으로 성취감을 느낄수 있는 흥미로운 일을 해야만 한다.
그렇지 못할 경우 아르테미스 원형은 축소되며 적당한 자기 표현을
할 수 없게 되면서 아르테미스 여성은 갈등과 절망감을 느끼게
되고 끝내는 우울증에 빠지게 된다. 제2차 세계대전 후 베이비붐이
한창일 때 현모양처의 역할 외에는 가능하지 않았던 아르테미스
여성에게서 우울증의 증세를 많이 볼 수 있던 것이 좋은 예이다.
아르테미스 여신이 주변 사람들에 대해 얼마나 파괴적일 수
있었는지를 생각해 볼 때 주변 사람에게 피해를 입히는 행동을
하는 여성들은 무의식 속에 있는 자신의 아르테미스 원형을
표출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제 아르테미스 여성의 이러한
부정적인 성향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하자.
2. 연약함에 대한 경멸
아르테미스 여성에게 호기심과 탐구심이 계속 남아있는 한
그녀의 남성에 대한 관심은 같은 선상에서 나온 호기심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단 그 남성이 감정적으로 더
가까이 접근하거나 결혼 신청을 하거나 그녀에게 의존적이 된다면,
아르테미스 여성의 그 남성에 대한 호기심은 곧 끝이 난다. 뿐만
아니라 그 남성에 대한 관심은 곧 그에 대한 경멸로까지 바린다.
그 결과로아르테미스 여성은 끊임없이 남성들과 사귀지만 그것은
그 남성이 밀착된 애정을 표현하지 않는 한에서, 그리고 그녀가
원하면 언제든지 만날 수 있을 정도로 그녀에게 빠져 있지 않는
한에서 지속된다. 이런 면은 자기 자신에게서 충족감을 느끼는
처녀 여신의 속성을 지니면서, 동시에 자신에게 있을 연약한 면을
전혀 인정하지 않고 다른 사람의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는
여성에게서 볼 수 있다. 이런 유형을 변화시키려면 남을 사랑하고
신뢰하는 것이 자신에게 매
우 귀중한 것일 수 있다는 경험을 해봐야 한다.
남성의 관점에서 보면 그녀는 인어와 같다. 즉 그려의 반은
아름다운 여성이지만 그녀의 나머지 반은 차갑고 비인간적이다.
융의 이에 따른 분석을 하는 에스터 하아딩 EstherHarding은 처녀
여신의 성향을 가진 여성의 이런 면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 "달의 여신으로서 달의 무심함과 차가움이 아르테미스
여성의 차가운 여성성을 잘 나타내 준다. 이러한 차가웅과
무심함에도 불구하고, 아니 어쩌면 바로 이 무심함 때문에
아르테미스 여성이 지니는 비인간적인 애정이 남성들에게 매력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또한 아르테미스 여성은 자신을 사랑하는 남성에 대해 일단
관심이 없어지면 잔인해질 수 있다. 그녀는 그 남성을 냉정하게
끊어버리고 자신의 사생활을 간섭하지 말라는 식으로 그를 대하게
된다.
3. 파멸로 이르게 하는 분노
아르테미스 여신의 파괴적인 면은 야생 멧돼지로 그녀를
상징하는 데서 잘 나타난다. 신화에서 아르테미스 여신은 자신의
기분이 상했을 때 마을에 사나운 멧돼지를 풀어놓곤 했다.
<<불핀치의 신화 Bullfin.h's Mythology>>라는 책을 보면
"멧돼지의 눈은 피빛불꽃으로 번득이고 온몸의 털은 창처럼 빳빳이
곤두전뜨며 앞니빨은 인디안 코끼리의 이빨처럼 보였다. 한참 크고
있는 옥수수대는 뿌리째 뽑히고 있고 포도와 올리브 나무들은
쓰러졌으며 가축테들은 혼비백산하여 물려다녔다. 이것은 바로
분노가 어떻게 파멸로 이르게 하는지를 생생히 보여주며
아르테미스 여정이 분노로 가득찼을 때의 리유가 될 수 있다.
아르테미스 여신의 분노와 대응할 만한 분노는 헤라 여신의
분노밖에 없다. 그러나 두 여신의 분노의 강도는 비슷하다고
하지만 분노의 대상과 그 원인은 판이하게 다르다. 헤라 여성은
(다른 여성)에 대해 분노한다. 반면 아르테미스 여성은 다른
남성이나 남성들에 대해 분노하는데 그 이유는 자신을 얕보거
나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일을 존중해 주지 않기
때문이다.예를 들어서, 70년대 여성운동의 주요 활동 중의
하나였던 의식화 운동에 참가한 여성들에게 대개는 건설적인
방향으로 변화를 유도했었다. 그러나 많은 아르테미스 여성들이
의식화 운동의 결과로 이 사회가 얼마나 여성들을 경멸하고 있으며
불평등한 한계를 주어왔는지를 깨닫게 되었고, 이 문제에 밀착되어
있는 발언들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가부장적인 발언들에
대해 격렬한 적의를 표현해 왔다. 신중한 여성 관찰자들은 이때
분노에 찬 아르테미스 여성들과 남성 중심주의자들의 격돌을
피해갔다. 한편 의식화 운동의 여러 소모임에서,적의로 가득찬
아르테미스 여성들로부터 의식화되지 못했다는 일방적인 비난의
표적이 되면서 많은 여성들이 상처를 입었다.
캘리돈 보어(Calydon Boar 성난 맷돼지)의 신화에서는,
히포메너스와 경주를 했었던 아틀란타가 손에는 창을 들고 성난
멧돼지를 맞닥뜨리는 얘기가 나온다. 이 멧돼지는 이미 멧돼지를
묶으려는 많은 영웅들을 찌르고 죽인 상태였다. 멧돼지의 가죽은
갑옷보다 단단하다. 이제 이 멧돼지는 아틀란타 그려를 향하고
있었다. 멧돼지를 죽이지 않으면 자신이 죽을 판이었다.
아틀란타는 멧돼지 가 아주 가까이 달려을 때까지 기다렸다가
정확히 조준을 해서 멧돼지의 유일한 약점인 눈알을 표적으로 창을
찔렀다.
아르테미스 여성의 파괴적인 분노는 바로 위의 아틀란타가 한
것과 같은 것을 함으로써만이 삭혀진다. 아르테미스 여성은 자기
자신의 파괴성을 솔직히 직면해야 한다. 그 파괴성이 자신의 한
면임을 인정함으로써 그 파괴성이 자신을 소모학고 주변 산람깍짓
팍괵핫는 것을 막악앗 한각.
자신 속에 있는 멧돼지를 직면하는 일은 용기를 필요로 한다.
그것은 그 동안 자신이 얼마나 자신과 주변 사람들을 파괵해
왔는지를 인정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단 이 점을
인정하게 되면 그녀는 더 이상 자신이 정당하고 강력한 사람임을
느낄 수 없게 된다. 겸손함을 통해서 그녀는 자신의 인간성을
되찾게 된다. 그녀도 단점이 있는 인간이며 복수의 여신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는 것이다.
4. 가까이하기 어려움
아르테미스 원형은 (가까이하기 어려운 아르테미스)로
불리워진다. 감정적인 거리감을 유지하는 것은 아르테미스 여성의
특징인데 그것은 자신의 목표에 열중하고 주변 사람들의 기분에
대해서 무관심하기 때문이다. 그녀의 무관심의 결과로서 그녀
주변의 가까운 사람들은 자신이 별로 의미 있는 사람이 아니며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한다고 느끼게 되며, 그 결과로 그들은
상처를 입게 되고 아르테미스 여성에게 화가 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아르테미스 여성은 자신이 변하기 위해서는
의식적인 노력을기울여야 한다. 주변 사람들이 말하는 것을 듣고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하면 반대로 그들은
아르테미스 여성이 자기의 계획에 따라 집중하여 일을 마치고
그들에게 다시 관심을 보일 때까지 기다려줄것이다. (만일
아르테미스 여성이 일에 열중하고 있을 때 관심을 다른 데로
돌리려고 중단시킨다면 분란이
일어날 것은 당연하다. 아르테미스 여성이 자신의 성격을 이미 잘
알고 있어서 그녀가 다시 자신만의 일로 빠져들려고 한다는 것을
알려준 주위 사람들에게 고마워하기 전에는 말이다. )
아르테미스는 언제든지 사라질 수 있는 여신으로서 야생동물이 한
순간 눈에 보이다가 다음 순간 사라지듯이 그릴게 숲속으로 사라져
버릴 수 있는 여신이다. 사람들과 감정적므로 거리를 두는 것이
집중적으로 일을 하는 아르테미스 여성에게 나타나는 부작용이라고
할 때, 가까운 사람과 계속 교류를 맺고 관계를 유지하려는 노력이
아르테미스 여성의 이런 경향을 줄여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조심함으로써 아르테미스 여성은 일상적인 생활에서 뿐
아니라 주기적으로 잠적해 버리는 버릇도 견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5. 잔인함
아르테미스는 잔인한 적이 많았다. 예를 들어 사냥꾼인 악테온은
아무 뜻 없이 아르테미스 여신이 벌거벗고 목욕하고 있는 것을
보게 되었는데 이것이 아르테미스에게는 중죄에 해당되는
것이었다. 아르테미스는 곧 악테온을 숫사슴으로 변하게 해서
악테온의 사냥개에게 먹히게 하였다. 그리고 자만심에 찬 니오베가
아르테미스와 아폴로의 어머니인 레토를 얕잡아봤을 때, 이들
쌍등이 남매는 결코 용서하지 않고 레토의 명예를 지키게 하였다.
옳지 못한 일에 대해서 분노하고,주변 사람들에 대해
성실하고,자신의 견해를 주장할 수 있는 강함이 있고,그것을
행동으로 표출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것, 그것은 분명 아르테미스
여신과 아르테미스 여성들이 지닌 장점들이다. 그러나 그들이
내리는 처벌의 잔인함은 소름끼치는 것이다. 니오베의 열두 자식을
모두 살해함으로써 아르테미스와 아폴로는 니오베가 더 이상
자랑할 게 없게 만들어 버렸다.
이런 잔인함의 원인은 아르테미스 여성이 사람들의 행동을 흑백
논리로 판단하기 때문에 생긴다. 이런 시각에서는 사람들의 행동은
선하거나 악한 것 둘중의 하나이며 그런 행동을 한 사람도 좋은
사람 아니면 나쁜 사람으로 구분된다. 그러므로,아르테미스 여성은
자신이 보복을 하거나 처벌을 내릴 때 완전히 정당하다고
생각한다.
그녀는 동정심과 애정을 개발시킬 필요가 있는데, 그러한 태도
변화는 성숙을 통해서 가능하다. 많은 아르테미스 여성이 자신감과
상처받구 않을 단단한 감정으로 무장한 채, 성년기에 진입한다.
그러나 인생 경험을 거치면서 그들도 고통받고, 오해를 사며
실패할 때가 있다는 것을 경험하면서 그들의 동정심도 성장하게
된다. 아르테미스 여성이 인간의 연약함이 무엇인지를 알게 되며,
이해심 있게 되고, 사람들이 자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복잡한
존재라는 것을 알며, 다른 사람과 자신 모두의 실수에 너그러워질
수 있다면, 이러한 인생 경험은 그녀를 인정 많은 사람으로 변하게
해줄 것이다.
6. 중대한 결정: 이퍼제니아를 희생시킬 것인가, 구해줄 것인가
아르테미스에 대한 마지막 신화의 일화는 아르테미스 여성에게
중요한 선택을 뜻한다. 이것은 이피제니아 신화로서 아르테미스가
이피제니아를 구해줄 것인지 아니면 결과적으로 죽게 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트로이 전쟁 이야기를 보면, 그리스 전함들이 트로이를 출정하기
위해 그리스의 올리스 항구에 집결했었다. 그러나 함대들은 바람이
일지 않아 돛을 띄을수가 없어 모두 묶여 있는 상태였다. 이
잔잔함이 신의 장난이라고 확신한 대장 아가메논은 점장이를 불러
자문을 구한다. 점장이는 아르테미스가 기분이 상해 있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아가메논의 딸인 이피제니아를 제물로 바쳐야만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처음에 아가메논은 완강히 거부하지만,
시간이 지남
에 따라 병사들은 화를 내고 기강이 흐트러지기 시작하자,그는
아내 클리템네 스테라에게 이피제니아를 아킬레스와 결흔시키려고
하니 데리고 나오라고 속임수를 쓴다. 그 대신 이피제니아는
제물로 바쳐진다. 이피제니아의 생명은 군함을 움직이게 해줄
바람과 거래되는 것이다.
그 후의 이야기는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아르테미스의
원대로 이피제니아가 죽게 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죽기 바로
직전에 아르테미스가 숫사슴을 이피제니아와 바러치고 타우리스로
이피제니아를 옳겨놓은 다음 자신을 숭배하는 여신들 중의 하나로
만들어 놓는 것이다.
이 두 가지의 종말은 아르테미스가 보여줄 두 가지의 태도를 잘
나타낸다. 한편으로는 아르테미스 여성은 가부장제에 의해
억압받고 가치가 전도된 여성과 여성적 가치를 구해낸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강한 목표 지향과 함께 아르테미스 여성은
여성들에게 전통적으로 여성적인 성향이라고 생각되어 왔던 것들,
즉 수용적인 태도, 다른 사람을 돌보고, 관계지향적이고, 가까운
사람들의 행복을 위하여 기꺼이 자신을 희생하는 것 등을 비난하고
포기할 것을 강요한다. 사실상 모든 아르테미스 여성은
이피제니아와 같은 부분을 가지고 있다. 상처받기 쉽고 사람
사귀기 좋아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의존하려는 경향이 다분한, 젊고
남을 쉽게 믿는 아름다운 모습이 그것이다. 아르테미스 여성이
자신의 이런 부분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려고 할까? 더구나 자신이
선택한 목표를 향해 매진하는 일생을 보내면서 말이다. 아니면
아르테미스 여성은 자신 속의 이피제니아를 죽이고 강하고
분명하게 목적을 향해 돌진하는 여성이 될까?
V. 성숙해지는 길
아르테미스 원형을 극복하기 위하여 여성은 그녀의 무의식 속에
있는 수용적이고 관계지향적인 잠재성을 개발해야 한다. 그녀는
자신의 연약한 모습을 보일 필요가 있으며 남을 사랑할 줄 알고
깊이 보살펴줄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한다. 그런데 이런 변화는
대개 관계 안에서 생긴다. 사랑하는 남성을 통해서 혹은 아이를
낳음으로써.
그러나 이런 진전은 아르테미스 여성이 자신이 일생에 추구했던
목표들을 이미 완성했거나 실패해서 일단 자신의 추진력이 소비된
후에나 가능하다. 목표추구와 경쟁의 쾌감이 끝난 후에야 혹은
목표 자체가 시시해진 경우에나 변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 이전의
아르테미스 여성을 사랑하는 남성은 그때까지 기다려야 하거나,
혹은 아프로디테의 도움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1. 아틀란타의 신화: 성숙해진 마음에 대한 비유
아틀란타는 어떤 남자와도 견줄만한 사냥 실력과 달리기 실력을
지닌 용감하고 능력 있는 여성이었다. 그녀는 태어나자마자 산
꼭대기에 버려졌는데 곰이 주워다 그녀를 키웠으며 아름다운
여성으로 성장하였다. 밀리거라는 사냥꾼이 아틀란타의 연인이
되어 둘은 같이 사냥을 하며 가깝게 지냈다. 이 둘은 캘리돈
보어(사나운 멧돼지)를 죽임으로써 그리스 전역에 그 명성을
떨치게 되었다. 캘리돈 보어를 죽인 후 밀리거는 곧 아틀란타의
품에서 죽게 된다. 아틀란타는 그들이 함께 지내며 사냥하던 산을
떠나서 아버지를 만나게 되며 아버지의 왕위를 이어받을 후계자로
인정받는다.
그러자 많은 남자들이 그녀의 환심을 사려고 몰려들었다. 그러나
그녀는 그들을 모두 쫓아냈다. 그 남자들 중에서 짝을 정하라는
목소리들이 높아지자 아틀란타는 자신과 달리기 시합을 해서
이기는 사람과 결혼하겠다고 공표한다. 경주에 이기면 아틀란타와
갈혼하지만 지면 목숨을 내놓아야 한다. 많은 남자들이 아틀란타와
시합을 했지만 이기는 사람은 항상 아틀란타였다.
마지막으로 아틀란타를 진심으로 사랑한 히포메너스가 경주에
참가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히포메너스는 운동 신경이 전혀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경기에서 이긴다는 건 거의 상상할 수
없는 일이었다. 히포메너스는 경기 전날 밤사랑의 여신인
아프로디테에게 도와달라고 기도를 드렸다. 아프로디테는
히포메너스의 기도를 받아들여 경주에서 사용할 세 개의 금사과를
그에게 주었다.
1) 첫번째 사과 .시간이 흐르고 있음을 인식하는 것
경기 초반에 히포메너스는 아틀란타의 트랙에 첫번째 금사과를
던졌다. 아틀란타는 번쩍거리는 금사과를 보고 그것을 줍기 위하여
속도를 줄였다. 아틀란타가 손 안의 금사과를 쳐다보고 있는 동안
히포메너스는 경주를 앞지를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아틀란타는
금사과의 반사되는 빛 속에서 사과의 굴곡 때문에 일그러진 자신의
얼굴을 보게 되었다. "내가 늙으면 이런 모습이 되겠구나"고
아틀란타는 생각하였다.
많은 활동적인 여성들이 세월이 흐르고 있음을 인식하지 못하고,
자신이 도달하여야 할 목표와 경쟁심을 일으킬 도전들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 중년의 시기에 가서야 세월을 인식하게 된다. 일생
중 처음으로 그녀는 자신이 더 이상 젊지 않다는 것과 자신이
살아온 과정과 앞으로 가야할 길을 늠해 보게된다.
2) 두번째 사과: 사랑의 중요함에 대한 인식
히포메너스가 두번째 사과를 아틀란타의 트랙에 던졌다.
아틀란타가 다시 정신을 집중하여 히포메너스를 쉽게 앞지르고
있을 때였다. 아틀란타가 아프로디테의 두번째 사과를 들어올리자
그녀의 죽은 연인인 밀리거의 추억이 떠올랐다. 육체적이고
감정적으로 밀착된 관계를 갖고 싶다는 욕구는 아프로디테에 의해
생기게 된다. 이런 욕구가 세월은 흐른다는 인식과 맞물렸을 때
아르테미스 여성의 응집력은 사랑과 애정에 대한 수용력으로
전환한게 된다.
3) 세번째 사과.아이를 낳으려는 본능과 창의력
아틀란타가 히포메너스와 다시 비슷해질 때쯤에 결승선이 보이기
시작했다. 아틀란타가 히포메너스를 앞지르고 이기려는 순간
히포메너스는 다시 세번째 금사과를 아틀란타 쪽을 향해 던졌다.
순간적으로 아틀란타는 망설였다. 그냥 달려서 경기에 이길 것인가
아니면 금사과를 봄으로써 경기에 질 것인가? 아틀란타의 선택은
사과를 잡는 것이었고 그때 히포메너스는 결숭선을 지나
승리함으로써 아틀란파를 아내로 맞이할 수 있게 된다.
30대 후반에 있는 많은 활동적이고 목표지향적인 아르테미스
여성이 아프로디테의 아이를 낳고 싶어하는 본능(데미테르의
도움에 의존해서)에 따라 추진력을 낮춘다. 경력을 쌓아가는 많은
여성들이 놀랍게도 아이를 낳아야 한다는 긴박한 욕구에 가득차
있는 것을 보게 된다.
이 세번째 사과는 직접적으로 아이를 낳는 일 이외의 다른 것을
나타내기도한다. 인생의 전반기를 지나면 이제 업적은 그리 중요한
것이 되지 않을 수 있다. 그 대신 자신의 삶의 내용을 좀더
개인적인 차원의 것으로 메우는 방식으로 변하게 된다.
만일 한 남성과의 사랑을 통해서 이런 아프로디테의 성향이
눈뜨게 되었다고하자. 이제 아르테미스 여성의 편향성은, 그것이
지금까지 아무리 만족스귀운 삶이었다 해도, 이제는 전체적으로
치우쳐지지 않은 삶으로 변신하게 될 것이다. 자신예게 진실로
의미 있는 것이 무엇인지 성찰할 수 있게 되며,외향적일뿐 아니라
내성적인 면도 동시에 지니게 될 것이다. 그녀는 독립심도
필요하지만 애정도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는다. 사랑의 중요성을
한번 인정하게 되면, 아틀란타가 그랬듯이, 자신에게 정말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결정할 순간들을 맞게 될 것이다.
제5장
아테나: 지혜와 공예의 수호신
전략가이며 아버지를 선호하는 딸
1 . 아테나 여신
아테나는 지혜와 공예의 수호신으로서 로마인에게는 미네르바로
알려져 있다. 아르테미스처럼 아테나도 순결을 지킨 처녀
여신이었다. 그녀는 단단한 몸매를 지닌 아름다운 무사로서 자신이
선택한 영웅들을 보호하고 자신의 이름을 딴 도시 아테네를
수호하였다. 올림푸스산에서 갑옷을 입고 있는 여신은 아테나
하나이며, 헬멧을 뒤로 비스듬이 써 아름다운 얼굴을 드러내면서
한 손에는 방패를 한 손에는 창을 든 모습을 하고 있다.
아테나는 전쟁시에는 전략을 짜고 평화시에는 집안에서의 여러
가지 기술들을 관장한다. 그래서 한 손에는 창을 들고 다른 한
손에는 그릇이나 물레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아테나는 도시의 수호신이었으며, 군대의 후원자였고, 수직공,
대장장이, 도공, 재단사들의 수호신이기도 하였다.
그리스인들에게는 아테나는 야생마를 길들일 수 있게 하고, 배
짓은 이에게 그들의 기능을 잘 살릴 수 있도록 도와주며,쟁기며
갈퀴,멍에 그리고 전차 만드는 을
사람들에게 가르쳐 주는 여신으로 부각되었다. 올리브 나무는
아테나가 아테네 도시에 준 선물인데 그 결과로 아테네는 올리브를
경작하게 되었다.
아테나는 지혜를 지닌 커다란 눈의 부엉이로 묘사되기도 한다.
또한 두 마리의 뱀이 엉켜 있는 모습은 아테나의 방패에 그려져
있거나 옷 가장자리에 장식으로 그려진다.
아테나가 다른 이들과 같이 있는 모습으로 나타날 때 그
상대방은 항상 남성이었다. 한 예로 제우스 신의 왕좌 옆에 무장을
하고 서 있는 모습이라든지,<일리아드와 오딧세이>의 영웅들인
아킬레스와 오디세우스와 함께 있는 모습들이 그것이다.
전쟁의 기술이든 집안에서의 기술이든 그것이 아테나와 연결되면
그것은 계획에 그치지 않고 반드시 실행에 옳겨져 결과를 낳는다.
전술, 실용성, 그리고 눈에 보이는 결과, 이것이 아테나가 가진
지혜의 특징이다. 아테나는 합리적인 사고방식에 가치를 두며
본능과 자연보다는 의지와 지식이 주도할 수 있기를 원한다.
그녀의 기질은 도시적이다. 아르테미스와는 대조적으로 아테나는
야생은 길들여지고 가라앉혀져 야 된다고 생각한다.
1. 계보와 신화
올림푸스의 여러 신들 중에 아테나가 속하게 되는 과정은 매우
극적이다. 아테나는 제우스의 머리에서 태어났는데 날 때부터
성숙한 여성이었으며 번쩍이는 금빛 갑옷을 입고 한 손에는
날카로운 창을 들고 괴성을 지르면서 태어났다. 또 다른 일화에
의하면 그녀의 출생은 제왕절개 수술을 방불케 한다. 제우스는
해산이 가까이 옴에 따라 지독한 진통으로 고통받는다. 이때
대장간의 신인 헤파이스투스의 도움으로 양 날이 선 도끼로
제우스의 머리를 침으로써 아테나가 태어났다는 설도 있다.
아테나 자신도 그녀의 부모는 제우스 한 사람뿐이라고
생각했으며, 끝까지 제우스 편이 되었다. 아테나는 말하자면
제우스의 오른팔이었다. 제우스는 자신을 상징하는 천등과 방패를
아테나에게 맡길 정도로 그녀를 신뢰하였다.
아테나는 자신의 어머니인 메티스를 인정하지 않았는데 사실상
아테나는 자신에게 어머니가 있다는 사실을 몰랐다. 혜시오드의
이야기에 따르면 메티스는 제우스의 첫번째 배우자였으며 대양을
지키는 신으로서 그 지혜가 널리 알려졌었다. 메티스가 아테나를
임신하고 있을 때 제우스는 메티스를 작게 만들어 입속에
삼켜버렸다. 메티스는 두 아이를 낳을 예정이었다. 딸은
제우스처럼 용감하고 지혜로운 의논 상대가 되고 아들은 이 세상의
모든 신과 사람을 다스리는왕이 될 예정이었다. 메티스를
삼켜버림으로써 제우스는 그런 예정을 없애버렸으며 메티스의 그런
성향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었다.
신화 속에 나타난 아테나는 영웅들의 친구이며 보호자이고
조언을 해주는 수호신이었다. 아테나 여신이 도와준 기라성 같은
영웅들을 열거하자면 한이 없다.
그 중에서 페르세우스의 예를 들어보자.페르세우스는 고곤
메두사를 살해하였는데 메두사의 머리카락은 뱀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턱은 놋쇠로 되어 있고 찌르는 듯한 눈초리는 누구든지
쳐다보기만 하면 돌로 변하게 되어 있었다. 아테나 여신은
페르세우스에게 거울을 줌으로써 거울에 비친 메두사를 보고 싸울
수 있게 했으며 칼을 든 페르세우스의 손이 메두사의 뱀 머리칼에
물리지 않도록 보호해 주었다. 그 결과로 페르세우스는 메두사를
죽일 수 있었다.
아테나는 또 금양털(골든 플리스)을 사로잡기 위하여 배를
만돌고 있는 제니스과 알고너츠를 도와주었다. 벨르로폰에게는
금빛 굴레를 주어 날개 달린 말인 페가서스를 길들일 수 있게
하였고, 헤라클레스가 열두 번의 임무를 완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트로이 전쟁 중에는 그리스를 적극적으로 도와주었는데 특히
그리스 최고의 용사인 아킬레스를 돌봐주었으며,
오디세우스(율리시즈)가 집을 찾아오는 오랜 세월 동안 그를
지켜주었다.
영웅들을 도와서 이기게 하고 올림푸스산에서 제우스를 보좌하는
일 외에 아테나 여신은 가부장제를 옹호하는 일을 하였다. 서구
문학의 역사에서 제일 처음 등장하는 재판으로서 오레스테스
사건의 경우 아테나는 오레스테스를 옹호하는 결정적인 표를
던졌다. 오레스테스는 아버지(아가메논)을 살해한
어머니(클리템네스트라)를 복수하기 위하여 어머니를 죽인다.
아폴로가 오레스테스를 변론하였는데 아폴로는 주장하기를
어머니란 단지 아버지가 뿌린 씨앗을 키우는 역할에 불과하며
남성은 여성보다 뛰어나다고 하였다. 그리고 그 증거로서 여성의
몸을 빌리지 않고 제우스의 머리에서 태어난 아테나의 탄생을
들었다. 이제 재판관들의 투표는 반으로 나뉘어져 아테나의 투표
하나가 상황을 결정하게 되었다. 아테나는 아폴로의 편을 들어
오레스테스가 자유의 몸이 되게 함으로써 어머니와의 대감보다는
가부장제의 원리를 지키는 것이 우선이 되게 하였다.
아테나에 대한 신화 중에서 여성이 관련된 한 유명한 일화가
있다. 아테나에 의해 거미로 변해버린 아라큰에 대한 이야기가
그것이다. 수공의 여신인 아테나는 어느날 유명한 수직공인
아라큰으로부터 누가 더 기술이 좋은지 시합을 해보자는 제의를
받았다. 둘은 모두 재빨리 솜씨 좋게 일을 해냈다. 응단 짜는 일이
끝났을 때 아테나는 아라큰의 완벽한 솜씨에 감탄하였지만
아라큰이 완성한 응단의 도안이 제우스가 변신을 통해 애정행각을
벌인 것을 용으로 하고있는 데에 크게 분개하였다. 응단의 첫번째
부분은 레다가 백조로 변한 제우스를 애무하는 모습을
그렸고,두번째 부분은 황금비로 변한 제우스에 의해 임신이 된
다네의 모습을,세번째 모습은 거대한 횐빛 황소에 의해 유기된
처녀 유로파를 내용으로 하였다.
이 응단의 내용들이 아라큰을 결국 파멸로 몰게 하였다.
아테나는 분노에 가득차서 응단을 갈기갈기 찢어버렸으며 아라큰이
목을 매도록 유도하였다. 그러고 나서 아테나는 아라큰이 안췄다는
생각이 들어 다시 아라큰을 살려 놓지만 그 대신 거미로 변하게
하여 영원히 실에 묶여서 실을 짠게 하였다(생물학에서는 거미를
이 불행한 소녀의 이름을 따서 아라크니드로 부른다. ). 아버지의
지지자로서 제우스의 방탕한 생활을 공개한 것에 대해 아라큰을
처벌하고 제우스의 몰염치에 대해 도전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는
아테나의 태도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
ll. 원형으로서의 아테나
지혜의 여신인 아테나는 승리할 수 있는 전략과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해 주는 것으로 유명하다. 마음보다는 머리로
움직이는 논리적인 여성들에 의해 지켜지는 유형이 아테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다.
아테나는 여성적 원형이다. 바르게 생각하며,감정이 고조된
상황에서도 자신의 이성을 지킬 수 있고, 갈등의 와중에서도 좋은
방책을 마련해 내는 것-이런 것들이 몇몇 여성들에게는 자연스러운
기질이라는 것을 아테나 원형은 보여주고 있다. 이런 여성들은
아테나와 같은 것이지, (남성처럼) 행동하는 것은 아니다. 그녀의
남성적인 측면,즉 에리머스는 결코 그녀 자신을 위해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나 아테나 원형은 분명히 바르게 그녀 자신을 위해
사고하는 것이다. 논리적 사고는 여성 안의 남성적 기질인
에니머스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며, 그녀의 여성적 자아와는 무관한
것이라는 전통적인 응식의 해석에 대해 내가 이의를 제기하는
부분이 바로 이 아테나 원형에 근거한 것이다. 아테나와 관련된
여성적 성향이 어툴게 자신 안에서 작동하는가를 잘 파악한다면,
여성은 더이상 자신이 남자 같다는(다시 말하면 여성적이지
못하다는) 두려움에 빠져 있을 필요없이 긍정적으로 자기 모습을
그릴 수 있다.
아테나 원형이 여성의 지배적인 유형이 아니라 다른 원형들과
공존하는 형태일 때 아테나 원형은 다른 원형들의 좋은 협력자가
된다. 예를 들어서 한 여성이 결혼을 통해 완전함을 느끼려는
헤라에 의해 유도된다면, 아테나는 현재의 상황을 평가하고 상대
남성을 구할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하도록 도와준다. 혹은
여성연구소를 운영하는 일이나 여성건강 증진을 위한 모임이
아르테미스에 의해 주도될 때 그 계획의 성공 여부는 아테나의
정치적 역량에 의해 많이 좌우된다. 그리고 감정적으로 격정의
와중에 있을 때도, 만일 그녀가 마음 속에 있는 원형으로서의
아테나를 불러낼 수 있다면, 합리적인 사고를 함으로써 자신을
유지시킬 수 있을 것이다.
1. 처녀 여신
아르테미스에게 적용되었던,상처받지 않으며 그 자체로 완전한
성향은 아테나에게도 적용된다. 아테나의 심리구조를 지닌 여성은
아르테미스나 헤스티아의 심리구조를 지닌 여성들처럼 자기 자신의
이해를 우선으로 한다. 즉 아르테미스 원형처럼 아테나도 다른
사람들의 필요보다는 자기 자신에게 중요한 일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아테나가 아르테미스나 헤스티아와 다른 점은 항상 남성들과
친구 관계를 유지하려고 한다는 점이다. 남성들과 거리를 두거나
자신 속으로 움츠러드는 대신, 아테나는 남성들의 세계 안에 속해
있기를 원한다. 그 대신 처녀 여신적 성향을 지닌 아테나는 가까이
지내는 남성들과 결코 연애 감정으로 발전하거나 성적인 관계를
갖는 식으로 변하지 않는다. 아테나는 남성과의 관계를 이성적으로
발전시키지 않고도, 친구로서, 동료로서, 신뢰할 수 있는 가까운
친구로서 지낼 수 있는 것이다.
아테나는 성숙한 여신으로서 올림푸스산의 집단의 한 사람이
되었다. 신화에 의하면 아테나는 세상사의 결과에 대해 관심이
많았다고 묘사되고 있다. 따라서 아테나 원형은 아르테미스 원형의
보다 성숙하고 나이든 모습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세상에 대한 현실적인 감각,실용적인 태도,기존의
제도에 대한 순응, 그리고 이상주의나 낭만주의의 결핍 등은 분별
있는 어른의 견본으로서의 아테나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
2. 전략가
아테나의 지혜는 일반적인 전쟁의 전략 전술이거나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업계의 거물이 지닌 지혜이다. 트로이 전쟁시 아테나는
최고의 전략가였다. 아테나의 전략과 중재 덕에 그리스인은 전쟁을
승리로 이끌 수 있었다. 아테나 원형은 또한 사업에서,
학계에서,과학 군사 정치 영역에서 활발한 활동을 벌인다.
한 예로 경영학 석사를 마친 한 여성은 재계의 실력자의 후원
아래 경영의 최일선까지 진급할 수 있었다. 정치적이고 경제적인
고려가 중요한 의미를 갖는 상황에서 아테나는 여성이 현명하게
행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녀는 자신의 계획을 성사시키기 위하여
효과적으로 전략을 짜기도 하포 급히 부상하고 있는 야심 있는
남성을 도와주기도 한다. 그 어느 쪽의 길을 가든 아테나 원형의
여성은 자신의 영역의 한계를 분명히 인식하며, 그녀가 취하는
지식은 현실적이고 실용적이며, 결코 감정에 따라 행동하거나
기분에 쉽쓸리는 생활을 하지 않는다. 아테나의 심리구조를 지닌
여성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어내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알고 있다.
외교란 전략과 권력,속임수를 쓰는 책략이 섞여 있는 것인데
아테나가 자신있어 하는 영역이다. 클래어 루스 Clare Boorh
Luce씨가 좋은 예가 된다. 클래어 루스씨는 미인 대회 출신으로
극작가, 국회의원, 주이태리 대사, 그리고 미군의
명예 장군의 경력을 섭렵하였다. 그녀의 대단한 야심, 그리고
남성의 세계에서 일찍 성공하기 위하여 머리를 쓰고 연고자들을
이용하는 것에 대해서 많은 비난과 감탄이 동시에 쏟아졌었다.
(클래어 루스씨는 잡지 <<타임>>지의 발행인인 헨리루스씨와
결흔하였는데 헨리 루스씨는 언론계에서는 제우스와 같은
인물이다. ) 그녀
에 대해 감탄하는 사람들은 그 많은 야유 속에서도 그녀가
침착함을 끈지 않는점을 들었고, 그녀에 대해 비난하는 사람들은
그려가 차갑고 교활한 음모꾼이라고 말하였다.")
아테나와 같은 여성은 박사학위를 받고 대학에 몸담고 있는
여성에게도 나타난다. 대학에 자리를 잡기 위해서는 연구를
하고,논문을 발표하고, 학회에서 봉사하며, 연구비를 지급받아야
한다. 즉 게임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알고 점수를 얻어야 하는
것이다. 경쟁에서 앞서기 위해서는 남성과 마찬가지로 여성도
지도교수와 후원자, 그리고 협조해 주는 동료가 필요하다. 대체로
지적인 능력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것이다. 전략과 정치적 수완도
있어야 한다. 전공이무엇이며, 무슨 과목을 가르치고
연구하는지,그리고 어느 대학에 자리를 잡게 되는지, 무슨 과의
어느 교수를 자신의 지도교수로 정하는지, 이 모든 것이 그녀가
연구비를 지급받고 좋은 대학에 취 직할 수 있는지를 가늠하게
하는 요소이다.
화학 분야의 노벨상 수상자인 로잘린 얄로우 Rosalynyalow씨는
방사성 면역측정(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몸 안에 있는
호르몬과 다른 화학 물질의 앙을 측정하는 법)의 발견으로
노벨상을 받았는데 그녀는 머리가 뛰어난 아테나임에 틀림없다.
그녀는 손과 허리를 동시에 써서 일하는 즐거움을 이야기하온
했다.(지혜와 기능적인 면을 합친 아테나의 모습). 그녀는 연구
실험의 순서를 잘 짜냄으로써 빈틈없는 전략가의 모습을
보여주었고, 이러한 그녀의 전략가로서의 자질은 학계에서 입지를
세우는 데에도 많은 도움을 주었다.
3. 장인(숙련공)
공예의 여신으로서, 아테나는 일상 생활에 유용하고도 미적인
즐거움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것들을 만들어 내었다. 무엇보다도
아테나는 베짜는 기술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것은
손과 머리가 함께 움직여야 되는 것이다. 융단을 만들거나 베를 짤
때, 어떤 모양을 만들지 계획하고 도안을 그려 넣어야 하며, 한줄
한줄 짜나가면서 도안을 작성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은 아테나
원형의 표현으로서, 선견지명을 갖고 계획하고 기능을 익히고,
인내심을 갖는것이 중요하다.
실을 잣고,옷을 만들어 내며,가족들이 입는 것의 거의 모든 젓을
만들어 내는 여성은 가정 내에서 아테나의 성향을 발휘하고 있는
것이다. 남편과 같이서 부로 진출하여 거친 황야를 사람이 살만한
옥토로 개간해 낸 서부시대의 여성들도 아테나의 성향을 지니고
있다고 할 것이다. 생존하고 성공하기 위해서는 아테나의 성향이
필요하다.
4. 아버지의 딸
아테나를 (아버지의 딸)이라고 부르는 것은 권위와 책임감과
권력을 모두 지닌 강력한 남성(가부장적 아버지, 재계나 정계의
거물이라고 할 수 있는 남성)에 대해 자연적으로 끌리는 아테나의
성향을 지칭하기 위한 것이다. 아테나 원형은 관심이 비슷하고
사물을 보는 방식이 비슷한 권력 있는 남성과 사제 관계를 맺도록
여성을 유도한다. 이때 그녀는 쌍방이 서로에게 성실하기를
기대하는데,즉 일단 그녀가 상사에게 충성을 맹세한 후 상사의
열렬한 지지자이면서 그의 오른팔이 되는 동시에, 그로부터 신뢰를
받아서 그의 권위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사에게 자신의 모든 능력을 기울여 헌신하는 여비서들은
아테나 여성의 좋은 예이다. 자신이 정한 (거물)에 대한 그들의
충성심은 변하지 않는다. 나는 닉슨 대통령의 개인 비서였던
로즈마리 우즈 Rosemary Woods씨가 워터게이트 사건의 핵심이 되는
테이프를 18분간 삭제하였을 때, 아테나의 손이 그녀를 거들지
않았올까? 생각해 보곤 한다. 증거물을 없애는 지혜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그리고 아무 죄의식 없이 그 일을 하기 위해서는
아테나의 (지혜)가 필요한 것이다.
아테나가 지니고 있는 (아버지의 딸)이라는 성향은 또한
가부장제적 가치와 권리를 수호하며, 전통을 유지하고, 남성들의
권위에 대해 정당성을 부여하는 것에서도 나타난다. 아테나 여성은
대개 현체제를 옹호하고 기존의 가치를 받아들여서 그 안에서
행동한다. 정치적으로는 보수적이며 변화를 거부한다. 아테나는
성공하지 못하고, 바닥 인생을 살거나, 체제에 반항적인 사람들에
대해서 별로 동정심을 보이지 않는다.
한 예로 필리스 슬라플리 Phyllis Schlafly씨를 보자. 그녀는
래드클리프 대학에서 최고의 성적으로 석사를 마쳤으며, 굉장히
조직적이며 사리가 분명한 여성으로 알려져 있는데, 남녀 평등권
주장에 대해 반대 운동을 벌였다. 그녀가 남녀 평등권 반대 운동을
벌이는 초기에는 그 조항이 의회에서 거의 통과될지도 모르던
상황이었다. 그녀가 1972년 10월에 STOPERA라는 반대 조직을
결성했을 때, 이미 서른 개의 주에서 법이 통과되었었다. 그러나
그녀가 반대 운동을 격렬히 전개하기 시작하자 이러한 움직임은
멈추기 시작했고,그 후 팔년에 걸쳐 다섯 주가 더 평등법을
통과시켰고 반면에 기존의 다섯 주가 다시 그 법을 폐기시켰다.
슈라플리씨의 전기를 쓴 이는 그녀를 (말없는 다수의 연인)이라고
칭하였다. 그녀는 가부장적 가치를 옹호하면서 (아버지의
딸)로서의 그녀의역할을 충실히 해낸 현대판 아테나라고 할 수
있다.
5. 중용의 덕
아테나 원형이 지배적인 여성은 모든 일을 중용의 도에서
처리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무엇이든지 과다하게 하는 것은 대개
격렬한 감정과 욕구, 혹은 정열과 정의감, 두려움, 탐욕의
결과이게 마련이어서, 합리성을 추구하는 아테나는 이 모든 것들을
거부한다. 아테나 여성은 또한 중용의 견지에서 사건을 지켜보고,
그 결과를 기록하며, 그것이 비생산적이라고 생각되는 즉시 행동의
방향을 바꾼다.
6. 무장을 한 아테나
아테나는 올림푸스산에 금빛 갑옷을 입고 등장했다. 그리고
사실상 (무장)은 아테나의 성향을 잘 드러낸다. 지적인 방어력을
통해 아테나는 고통을 느끼게 되는 일들을 (그것이 자기 자신의
일이든 남의 일이든) 사전에 피하는 것이다. 감정이 격앙된
상황이거나 치열하게 눈에 보이지 않는 경쟁을 하고
있는상황에서도 아테나는 감정에 좌우되지 않고 사태의 진전을
판찰하고 분류하고 분석하면서 다음 행동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정한다.
경쟁세계에서, 아테나 원형은 아르테미스 원형보다 훨씬
유리하다. 아르테미스는 목표를 향해 추진하고 경쟁을
하지만,그녀는 아테나처럼 갑옷을 입고 있는 것이 아니라 짧은
가운을 걸치고 있을 뿐이다. 만일 한 여성의 지배적인 원형이
아테나가 아닌 아르테미스라면 그녀는 예기치 못한 적대감과
속임수에 분캐하면서, 상처를 받거나 분노에 차서 감정적이 되어
상황을 비효율적으로 만들기 십상이다. 같은 상황이라면 아테나는
냉정하게 사태의 추이를 지켜볼 것이다.
7. 아테나를 살려내기
근본적으로 아테나의 성향이 없는 여성은 교육 과정과 직장
생활을 통하여 이 원형을 개발시킬 수 있다. 교육은 아테나 성향의
발전을 가능케 한다. 여성이 학교 수업을 진지하게 받을 때,그녀는
혼련된 학습 습관을 지니게 된다. 수학, 과학, 문법, 연구,그리고
논문을 쓰는 일은 아테나적 기술을 요하는 일이다. 직장의 경우도
같은 원리가 적용된다. 전문 직업인이 된다는 것은 사사로운
태도를 버리고 객관적인 태도와 숙련되게 사무처리를 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여성이 되는 것을 뜻한다. 남에 대해서 동정심을 깊게
느끼는 여성이 의사나 간호사의 직업을 택했다고 해보자. 그녀는
곧 자신이 아테나의 영역에 발을 들여 놓은 것이라는 것을 깨닫고,
감정이 개입 안된 중립적인 진찰을 할 수 있어야 하고, 논리적인
사고와 숙련성을 갖춘 직업인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곧 깨닫게 될
것이다.
모든 종류의 교육은 아테나 원형을 개발하고 자극시킨다.
객관적인 사실을 배우며, 정확히 사고하는 법을 배우고, 시험을
준비하고 치르는 과정에서 아테나는 성숙하게 된다.
아테나 원형은 또한 필요에 의해서 개발되기도 한다.
폭력가정에서 자라는 어린 소녀는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지
않음으로써 자신을 보호하는 방법을 배운다. 그려는 전혀 감정이
없는 사람으로 변하게 되는데 만일 그렇지 않으면 자신을 보호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살아남기 위하여 그녀는 나름대로 관찰을
하고 전략을 짰을 것이다. 매맞는 여성이 생존 수단을 구하고 그
상황을 탈출하려 할 때 아테나는 이미 그 여성에게서 활성화되고
있는 것이다.
<<호머의 신들 The Homeric Gods>>니 저자인 월터 오토 Walter
f.Otto씨는 아테나를 (언제나 가까이 있는) 여신이라고 불렀다.
그녀는 남들의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언제나 자신이 수호하는
영웅들 바로 뒤에 있었다. 그녀는 조언을 해주고 경쟁자를 이길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 주었다. 여성이 감정의 소용돌이 속에서
침착하게 생각하기 힘들 때, 혹은 직장에서나 학교에서 남성과
똑같이경쟁하게 될 때, (언제나 가까이 있는) 아테나 원형을 더
가까이 자기에게 부를 필요가 있다.
ll[. 아테나 여성
일상생활에서 아테나를 가장 잘 구현하는 여성들은 착실하고
사교적인 모습을 지닌다. 이들은 실질적이며,복잡하지
않고,자의식이 강하지도 않으며, 자신만만한 사람들로서 소란을
피우지 않고도 일을 차분하게 끝마칠 수 있는 여성들이다.
전형적인 아테나 여성은 건강하고, 활동적이며, 심리적 갈등을
겪지 않는다. 내가 보기에 아테나 여성은 단정하게 옷을 입는, 즉
유행에 민감한 디자인보다는 실용적이고, 오래 가는, 유행을 타지
않는 옷을 즐겨 입는 모범생 같은 여성으로서,그녀의 심리구조도
그녀의 외양을 닳았다고 생각한다.
여유가 있는 아테나 가정주부는 좀더 유행이 가미된 모범생 같은
옷을 입을 것이고, 아테나 직장 여성은 블라우스에 투피스를 입은
정장으로 변화를 보일 것이다. 그러나 그들 모두의 외양은
중상충의 점잖은 모습을 유지하려는 것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등그런 칼라와 앞에 단추가 달린 옷은 영원히 성적인 매력을
강조하지 않는 아테나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
1. 유년 시절
아테나 아기는 아르테미스 아기처럼 짐중력이 대단하지만,
거기에 지적인 호기심이 가미된다. 예를 들어 아테나 아기는
다섯살에 이미 글을 깨우친 아이가 된다. 몇 살의 나이이든지,
아기는 책을 보기만 하면 책을 만져보려고 할 것이다. 아기가 책을
읽지 않는다면, 아마도 아기는 아버지의 발끝을 졸졸 따라다니며
"왜, 아빠?" 혹은 "이건 어떻게 만들어지는 거야, 아빠?" 혹은
전형적으로"나좀 보여줘, 아빠!" 하고 말할 것이다. (아기의
질문에 논리적으로 대답해 줄 수있는 아테나 엄마가 있을
경우에만, 아테나 아기는 "왜, 엄마?"하고 질문하게 된다. )
아테나 소녀는 호기심 많고, 지식을 갈구하며,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고싶어 한다.
2. 아테나의 부모
아테나 딸이 사회적으로 성공한 아버지의 귀여운 딸이며, 자신을
닮은 딸이 라고 자랑스러워 하는 아버지를 만났을 때 아테나 딸의
성향은 자연스럽게 발전할 수 있다. 자신의 역할 모델인
아버지로부터 이런 인정을 받을 때 아테나 딸이 자신의 능력에
대해 확신을 갖는 것은 당연하다. 그런 딸은 자신의 능력과 야망에
대해 아무 갈등도 느끼지 않고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아테나 딸들이, 딸을 자랑스러워 하는 제우스
아버지를 두는 것은 아니다. 아테나 딸이 제우스 아버지를 만나지
못했을 때, 아테나 성향의 발전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빠지게
된다. 어떤 아버지들은 너무나 사회활동이 바빠 딸을 제대로
지켜볼 수 없으며, 또 다른 제우스 아버지들은 딸이 얌전하고
여자답게 크기를 원한다. 그런 아버지들은 우스개소리로, "그렇게
어렵게 공부할 필요 없다"라든지, "이건 여자가 갖고 놀게
못돼"혹은 "이건 사업문제니까 끼어들지 말아라"고 말하곤 한다.
그 결과로 아테나 딸은 대개 사업을 하거나 전문인이 되는 것에
대해 직접 구체적인 반대에 접하지 않았더라도 자신의 기질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갖게 되고 자신의 능력에 대해서도 확신을 갖지
못한다.
아테나 딸이 전혀 제우스 같지 않은 아버지를 두었을 때 (사업에
실패했거나, 알콜중독자, 아무도 애송하지 않는 시를 쓰는
시인,혹은 출판되지 못하는 소설을 쓰는 소설가), 아테나 성향의
발달은 크게 약화된다. 아테나 딸은 자신이 쉽게 이룰 수 있는
목표조차 도달하려는 열망을 갖지 않는다. 그리고 심지어는
주변사람에게 성공적으로 보일지라도, 아테나 딸 자신은 자신의
무능력이 곧 만천하에 드러날 사기꾼으로 자기 자신을 느끼곤
한다.
아테나 딸을 둔 어머니는 자신에게 아테나의 성향이 없다면 대개
어머니 대접을 못받고 있다고 생각하거나, 딸을 아주 낯설게
느끼게 마련이다. 한 예를 들어서 관계지향적인 어머니는 자신이
딸과 전혀 교감을 이룬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어머니가 딸에게
친척들이나 친구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어머니의 감정을 말하곤 할
때, 아테나 딸은 전혀 관심이 없다. 그 대신 딸은 물건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작동하는지 궁금해 하는데, 엄마는 전혀 모르며 관심도
없음을 알게 된다. 이런 결과로 아테나 딸은 어머니를 무능력하게
볼지도 모른다. 국민학생 자테나 딸을 둔 한 어머니는 말하기를,
"내 딸은 열살인데 서른된 어른 같아죠"라고 했다. 그 딸이 항상
외치는 말은, "엄마, 제발 현실파악 좀 하세요"였다. 이 어머니는
계속 말하기를, "어떤 때는 딸이 어른이고 내가 아이.같은 생각이
든다"고 했다.
비생산적인 모녀관계의 또 다른 유형은 아테나 딸에게 어머니가
"너는 뭔가 잘못됐다"는 인상을 줄 때다. 예를 들어, 그런
어머니는 딸에게 "너는 셈만 따지는 기계같아!" 혹은 "여자아이
같은 흥내만이라도 내라!"고 말할 것이다.
아테나 성향을 잘 발달시킨,자신감이 충만한 야심 있는 여성은
대개 제우스와 메티스 같은 관계 (아버지는 사회적 성공을 거두고,
어머니는 집안 살림과 내조를 잘하는)를 지닌 부모를 두고 있다.
그런 딸은 대개 그 딸의 출생을 바라는 (즉 첫아들을 둔 후 딸을
바라는 집이나, 여러 딸들 중 맏딸, 혹은 정상아가 아니거나
아버지를 크게 실망시킨 오빠나 남동생을 뒀을 경우의) 부모 밑에
태어났기가 쉽다. 그리고 그 결과로 아테나는 아들 대신 자신에게
거는 아버지의 기대를 한몸에 받으며,아버지와 관심을 나누는
친구관계를 형성한다.
긍정적인 자기 모습을 지닌 아테나 여성이 야심을 키우는 것에
대해 전혀 갈등을 느끼지 않으면서 클 때는, 부모가 모두 직업이
있거나 성공한 어머니를 두고 있는 경우가 많다. 아테나 딸은
어머니를 자신의 역할 모형으로 삼고 성장하며, 있는 그대로의
자기 모습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지지를 부모로부터 받는다.
3. 사춘기와 청년기의 아테나
아테나 소녀는 자동차 뚜껑을 열고 안을 들여다 볼 수 있다.
자동차를 타고 가다 타이어가 구멍이 났을 때 세워 놓고 타이어를
갈 정도의 방법을 알고 있다. 컴퓨터 수업에서는 즉시 기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감을 잡으혀 컴퓨터를 친밀하게 느낀다. 오리가
물 속에 들어가는 것처럼 아테나 소녀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다를
수 있게 되는데 그 이유는 논리적이고 분명하게 생각하며 세부
과정도 상세하게 따져보기 때문이다. 아테나 소녀는 주식을 배우고
투자해서 이윤을 남기는 일을 하기도 한다.
대개의 경우, 아테나 소녀는 "여자애들은 바보같고 우둔해"
하면서 국민학교 남학생들이 여학생에 대해 갖는 태도와 같은
태도를 갖는다. 아테나 소녀는 이상한 벌레를 봤을 때 비명을
지르는 대신 그 벌레가 어느 과에 속하는지 관심을 갖고 쳐다본다.
다른 친구들이 어수선을 피을 때에 아테나 소녀는 이리저리 생각해
본다. 거미가 바로 옆에 앉아 있어도 무서워하지 않는다.
아테나 소녀는 바느질, 뜨개질에도 뛰어난 재능을 보인다.
아테나 소녀는 이런 종류의 공예를 즐기며 어머니나 다른 전통적인
취향을 가진 친구들과 함께 관심을 공유하기도 한다. 아테나
소녀는 누구보다도 새로운 도안을 이용하여 새로운 것들을 만들어
내는'것을 즐겨하지만, 인형옷을 만들거나 자신을 위한 아기자기한
것을 만드는 것에는 흥미가 없다. 그녀는 눈에 보이는 결과를
낳는일을 좋아한다. 실용성과 고급에 대한 기호가 그녀로 하여금
직접 자기 옷을 만들게 한다.
많은 소녀들이 사춘기를 심하게 앓을 때, 아테나 소녀는 대개
사춘기를 무리없이 보낸다. 신경질로 비명을 지르거나 우는 일들이
아테나 소려에게는 전혀 생기지 않는다. 흘몬의 변화가 아테나
소녀의 행동과 태도에 영향을 끼치는 것 같지도 않다. 고등학교
시절 동안, 아테나 소녀는 지적인 동료로서 남학생들과 시간을
함께 보내기도 한다. 바둑클럽에 들기도 하고, 학교 교지 편찬하는
일을하기도 하며, 과학 경시대회에 참가할지도 모른다. 수학을
좋아하며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기도 하며,화학,물리, 컴퓨터
연구실에서 시간을 보낼지도 모른다.
사회적 인식에 민감하여, 외향적인 기질의 아테나 소녀는 자신의
관찰력을 이용하여서 어떻게 입어야 할지, 어떤 친구를 사귀어야
할지를 알아낸다. 아테나 소녀는 자신의 능력을 과시하며 인기도
있지만 결코 감정적으로 완전히 빠지는 일은 없다.
아테나 여성은 미리 앞을 내다본다. 대부분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무엇을 할지 심각하게 생각하며, 대학에 갈 돈이 있다면 (미국은
대학에 들어가기가 어렵지 않음) 아테나 소녀는 대개 대학으로
진로를 선택한다. 가족이 학비를 댈 정도의 능력이 못될 경우에도
아테나 소녀는 장학금을 받거나 응자를 얻어서라도 대학에 갈 길을
선택한다.
대학에 들어온 아테나 여성은 대학에서 대부분 자유로움을
느긴다. 자신의적성에 맞는 대학을 선택함으로써 고등학교
시절보다 훨신 자유로움을 느끼며 그들은 열심히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고 교육의 기회를 받는다. 아테나 여성은 전형적으로
남녀공학 대학을 선택하는데 남학생과의 경쟁심과 남학생을 높게
평가하는 성향 때문이다.
4. 직업
아테나 여성은 자기로부터 무엇인가 만들어 내려고 한다. 그녀는
그 결과를 향해 열심히 노력하며, 현실을 받아들이고 적응하려고
노력한다. 따라서 아테나 여성에게 성년의 세월은 대개 생산적인
것이 된다. 권력이 난무하는 업적 위주의 영역에서, 전략과
논리적인 사고를 이용하여 성공해 나가는 여성에게서 아테나
여신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집안에서의 아테나 여성은 자신의
실용성과 미적 감각을 살려서 가정 살림에도 뛰어난 재능을
보인다. (가정도 아테나 여신의 영역이었음을 상기할 것.)
아테나 소녀가 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에 진학하지 않는다면,
대개 그녀는 기능 훈련을 받아 회사에 취직함으로써 사회에
진출하지, 결코 신데렐라의 꿈에 빠지지는 않는다. 결흔을 통해
탈출구를 찾을 때까지 기다리지 않는 것이다. "언젠가 나의
왕자님이 나타나겠지" 하는 꿈은 아테나 여성에게는 생소한
것이다.
만일 아테나 여성이 결혼하여 살림을 한다면, 대개 그녀는
살림꾼이기가 쉽다. 물건을 사거나 빨래를 하거나 집안 정돈을
하거나,·아테나 여성의 규모 있는 처리는 항상 돋보인다. 예를
들어 부엌은 언제나 정돈되어 있다. 아무도 아테나 여성에게
살림하는 법을 가르칠 필요가 없다. 그녀는 타고난 살림꾼이기
때문이다. 일주일 전에 쇼핑을 계획하고 세일 품목을 이용하여
음식 장만을 한다. 아테나 여성은 긴축 재정을 하여 적자를 내지
않고 규모 있게 살림하는 것을 생활의 자극으로 여긴다.
아테나 여성은 뛰어난 선생이 될 수 있다. 그녀는 사물을
정확하고 분명하게 설명한다. 특히 가르치는 주제가 정확한 지식을
요하는 것이라면 아테나 선생은 이미 그것을 완전히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아테나 선생의 강점은 복잡하게 얽혀 있는 문제를
차근차근하게 단계적으로 풀어나가는 데 있다. 아테나 선생은
학생들에게도 열심히 할 것을 요구한다. 최선을 다해 공부할 것을
요구하는 그녀에게는 학생들외 변명이 통하지 않는다. 학생들의
변명을 들어보면 공부하지 않은 학생에게 동정점수를 주는 일은
일어날 수 없다. 그녀에게 지적 자극을 줄 수 있는 학생이 아테나
선생에게는 가장 이상적인 학생이 된다. 아테나 선생은 실력 있는
학생을 선호하고 뒤처지는 학생들보다는 그들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낸다. (모성애가 강한 데미테르 선생의 경우, 도움이 가장
필요한 학생에게 시간을 가장 많이 할애한다. )
공예가로서, 아테나 여성은 기능적이면서도 미적인 즐거움을 줄
수 있는 것 들을 만들어 낸다. 그녀는 또한 사업가의 수완이
있어서, 자신이 만든 것을 상품화시켜 수입을 얻는 것에도 관심이
있다. 그녀는 손으로 하는 일은 무엇이든지 잘하며, 필요한 기술을
다 습득하고 물건을 만들어 내는 자신에 대해 뿌듯해 한다. 그녀는
같은 일도 다양하게 변화를 주면서 즐길 수 있다.
학문세계에서의 아테나 여성은 능력 있는 연구원일 가능성이
크다. 논리적인 접근과 세부 상황에 대한 치밀함은, 실험을 하고
자료를 모으는 일에 아테나 여성이 뛰어남을 발휘하게 한다.
그녀의 관심 영역은 대개 사고의 명료함이요 구되고 증거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한 분야다. 그녀는 수학과 과학, 혹은 경영학,
법학, 공과계통,또는 의과와 같이 주로 남성들의 영역이라고
생각되는 곳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여성이 별로 없는 영역에서
전혀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다.
5. 다른 여성과의 관계: 소원하거나 없음
아테나 여성은 대개 가까운 여자 친구가 없는 편인데, 아테나
여성의 이러한 패턴은 보통 절친한 친구를 만들어 가는 사춘기 때
드러난다. 사춘기 때 대부 분의 소녀들은 친구끼리 서로의 고민과
속사정, 집안 문제, 자신의 몸에 대한 불안감,혹은 불투명한
미래에 대해 서로 이야기하곤 한다. 남학생과 성에 대한 호기심이
그들의 초조함의 주요 원인이 될 수도 있고, 시적 감상과 창작에
대한 욕구, 혹은 죽음과 광기,신비로움, 종교적인 문제로 갈등에
빠지기도 한다. 이 모든 것이 비슷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친구들끼리 이야기하는 내용이다. 그러나 아테나 소녀는 현실적인
관찰자이며 회의적인 합리주의자로서 이런 관계에 빠져들지
않는다.
더군다나, 그리스 신화예 따르면, 아테나 여신은 한때, 이오다마
혹은 팰러스라고 불리는 여동생 같은 친구를 사귀었다. 이 두
소녀는 서로 경쟁을 하는 게임을 했었는데 아테나의 창에 실수로
이오다마가 찔려서 죽게 되었다. 신화에서와 마찬가지로 아테나
소녀는 감정이입의 능력이 부족학여 친구들과의 우정을 키우기가
어렵거나 아테나 자신의 경쟁심 때문에 우정을 키우기 어렵다.
실제 생활에서 친구들은 아테나 소녀가 우정을 아무렇지 않게
생각하거나 승리에만 집착하는 모습을 보일 때 경악하게 된다.
때때로 아테나 소녀는 속임수를 쓰기도 하는데 우정을 람아버리는
그녀의 성격의 일면을 잘 드러낸다.
다른 여성들과의 친밀감이 부족한 현상은 대개 아주 어린
시절부터 시작되는데 주로 아버지를 우러러보면서 아버지와 자신을
동일시하고, 어머니와는 성격과 관심이 모두 맞지 않는 경우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경향은 친한 여자 친구가 없음으로써 강화된다.
그 결과로 아테나 여성은 마음속 깊이 다른 여성과 자매애를
느끼지 못한다. 전형적인 여성에게도, 여성주의자에게서도
친근함을 느끼지 못하며,단지 전문직 여성일 경우,여성주의자들과
피상적으로 비슷함을 유지할 뿐이다. 따라서 (자매애)라는 것은
대부분의 아테나 여성에게는 생소한 개념 이다.
신화에서,오레스테스의 재판에서 가부장제를 위하여 결정적인 한
표를 던진 신은 아테나였다. 현재에도 남녀평등권 운동이나, 자유
임신 중절법 등을 반대에는 의견을 표명하여 이러한 법안이
부결되게 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여성들뜬 아테나
여성들이다. 나는 지금도 남녀 평등권 운동을 위하여 일하고 있을
때, 한 아테나 여성이 일어나서는 큰소리로 "나는 여자예요.
그렇지만 나는 남녀 평등권 운동에 대해 반대합니다!"고 말하던
것을 기억한다. 그러자 대부분의 남성과 대부분의 말없는
반대표들이 그녀 뒤를 따르며 행진에 참여하였다. 그녀는 기존의
가부장제를 지키려는 그녀의 입장에 있어서나 대부분의
남성동료들과 편안한 관계를 유지하려는 태도에 있어서 필리스
슬라플리씨의 작은 분신이었다.
아라큰의 일화는(제우스의 방탕한 생활을 공개함으로써 아테나의
분노를 차 거미로 변해 버린 실 짜는 여인) 현대판으로 다시
재현된다. 여학생이나 비서는 교수나 상사의 성적 희롱을 학교와
회사에 고발할 것이다. 혹은 아버지의 근친강간을 목격하고
아버지에게 해로운 증언을 하려는 딸도 있을 것이다. 혹은 자신을
정신 치료하는 정신과 의사가 자신과 비윤리적으로 성관계를
가졌다고 보고하
는 환자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들 모두는 마치 아라큰처럼,
자신의 지위를 이용하여 비밀리에 연약한 여성을 성적으로
위협하고 유혹하고 질리게 하는 힘있는 남성을 폭로하는
보잘것없는 사람들에 지나지 않는다.
아테나 여성은 불평의 원인이 되는 남성에게보다는 주로 불평을
하는 여성에게 화를 낸다. 아테나 여성은 불행을 야기시킨 것은
희생자인 근 여성이라고 주장한다. 혹은 더 전형적인 경우는
아테나 여신처럼 비난의 대상이 된 그 남성 행동을 공개한 것
자체에 대해 분개한다.
여성주의자들은 전문직으로 성공한 아테나 여성들에 대해
분노하는데, 그 이유는 그녀들이 한편으로는 현상유지를 통해
여성문제와 관련된 정치적 문제에 대해 가부장적 입장을
유지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여성운동의 결과로 얻게된
교육,균등한 기회,승진 등의 혜택을 가장 많이 누리고 있기
때문이다. 남성중심적인 영역에 제일 처음으로 참여하여 인정을
받은 여성들을 여성주의자들은 (여왕벌)이라고 부른다. 그녀들은
그들의 (자때들)이 진출하는 것을 도와주
지 않는다. 오히려,그들은 보통의 진출조차 어렵게 만든다.
6.남성들과의 관계: 능력 있는 남성에 한함
아테나 여성은 성공한 남성들에게 자연스럽게 끌린다. 대학에
다닐 때는 과에서 가장 뛰어난 남학생에게 끌렸었다. 기업에서는
언젠가는 경영진에 참여하게 될 능력 있는 남성에게 매력을
느낀다. 그녀는 누가 승리자가 될 인물인지 감을 잡을 수 있는
약은 능력을 지녔다. 그녀는 권력에 대해 매력을 느낀다. 주위의
나이 많고 성공한 남성 지도자의 도움으로 그녀 자신이 권력을
추구하거나,혹은 더 전형적인 방법으로서 야심 있고 능력 있는
남성의 동료, 아내, 수석비서가 됨으로써 권력을 추구한다. 아테나
여성에게 있어서 (권력)은 헨리 키신저 Henry Kissinger 전
국무장관이 말한 대로 (최고의 최음제다).
아테나 여성은 빈등거리는 사람을 못참아 한다. 그녀는 몽상가에
대해 관대하지 못하며,비세속적인 것을 추구하는 남성에 대해 전혀
감동받지 않으며, 단호하게 행동하기에는 너무 동정심이 많은
남성에 대해 매정하다. 다락에서 굻어가며 예술 활동을 하는
시인과 예술가들이 아테나 여성에게는 전혀 위대해 보이지 않으며,
어른의 외양을 하고 있지만 마음은 항상 소년인 남성에게서 전혀
매력을 느끼지 못한다. 아테나 여성에게 있어서 (부드러운
마음씨)라든지,
(신경과민적), (예민한) 등의 형용사는 (패배자)를 지칭하는
것이다. 아테나 여성에게 있어 남성이라면 능력이 있어야 한다.
아테나 여성은 대개 자신에게 맞는 남성을 고른다. 그녀는
데이트 신청을 거절하고, 자신의 야심을 채을 수 있는 기준에
미달한 남성이 경영하는 기업에는 취직을 하지 않음으로써
자신에게 맞는 남성을 고를 수 있다. 혹은 그녀는 한 남성을 정해
놓고 교묘한 전략을 써서 마치 그 남성이 극녀를 선택한
것처럼하게 한다. 상대방을 정확히 파악한 아테나 여성은 가장
적절한 순간을 포착하여 결흔이나 동업 얘기를 꺼낼 것이다.
아테나 여성이 그의 경영진 안에 부하로 참여하거나 비서가 되고
싶을 때, 그녀는 기회를 만들어 자신이 얼마나 열심히 일하며 능력
있는 여성인지를 보여줌으로써 상사에게 강한 인상을 남긴다.
그리고 일단 상사 주변에 배치되고 나면 그녀는 상사에게 없어서는
안될 사람이 되려고 있는 힘을 다하는데, 이런 역할은 그녀에게
감정적으로도 일에 대해서도 만족감을 준다. (회사 내에서는
그녀가 아내)라든지, (이인자)라는 표현은 아테나 여성에게 권력을
갖고 있다
는 만족감과 자신이 선택한 (거물)과 연결되어 있다는 느낌을
주며,그녀는 평생 자신의 상사에게 충성을 바칠 것이다.
아테나 여성은 전략을 짜기 위하여 논의하는 일을 무척 좋아하며
막후에서 일어나는 일에 민첩하다. 그녀의 충고와 조언은 인정머리
없는 것이기도 하지만 통찰력이 있으며 도움이 된다. 아테나
여성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추구하고, 강하며, 재능이 있고,
현대판 권력 탈환전에서 성공한 남성에게 많은 점수를 준다. 몇몇
아테나 여성에게는 자신의 남성이 더 (교활한 오디세우스)로
변할수록 더 매력있어 보인다.
7. 성생활
아테나 여성은 머리로만 살며 전혀 자신의 몸에 대해 관심을
쏟지 않는다. 그녀는 자신의 몸은 그냥 있는 것으로 생각하여,
아프거나 다치기 전에는 전혀 인식하지 못한다. 전형적인 경우,
아테나 여성은 섹시하지도 않고 그렇다고 애교를 부리 거나 낭만적
이지도 않다.
그녀는 남성을 연인으로보다는 친구나 상사로서 사귀는 것을
좋아한다. 그녀는 아르테미스처럼 성생활을 가벼운 운동이나
모험으로 생각하지도 않는다. 아르테미스처럼, 아테나 여성도
이성에 대한 끌림이나 감정적인 약속의 표현으로서 성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자신 안에 헤라나 아프로디테 여신이 활성화되도록 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성생활은 기껏해야 두 사람의 관계에서
하나의 협정 항목에 불과하거나,계산된 행위에 불과할 뿐이다.
아테나 여성은 성인이 되어서도 오랜 기간 돈안 독신 생활을
유지하는데,그동안 그녀의 노력은 주로 자신의 경력을 쌓는 데
쏟아진다. 만일 그녀가 자신이 선택한 거물의 수석비서이거나
행정보좌로 헌신하고 있는 중익라면, 아마도 (회사 안에서의
아내)에 만족하며 평생 독신으로 지낼지도 모른다.
만일 결흔한 여성이 계속 아테나 여성으로 남아 있는다면,
성생활에 대한 그녀의 태도는 대략 그녀가 신체의 기능에 대해
생각하는 정도와 같은 것으로서, 정기적으로 하는 것이며 자신에게
좋은 것이며, 아내로서의 의무의 일부라고생각할 것이다.
아테나 여성은 레즈비언 여성들에게서도 자주 보이는데, 이것은
보통 예상과 어긋나는 것이다. (아테나 여성들의 가부장제에 대한
지지라든지, 거물에 대한 친화력,그리고 자매애의 부족 등).
레즈비언 아테나 여성은 자신의 상대로서 자신과 잘은 유형을
원한다. 그들은 둘 다 전문인 여성으로서, 고도의 목표를 향해
나아가며,동료로 시작하여 사랑하는 관계로까지 발전하곤 한다.
그들의 관계에 있어서, 레즈비언 아테나 여성은 서로 상대방의
실력과 성공, 그리고 지적인 능력에 끌린다. 열정보다는
동료관계와 서로에 대한 신뢰가 서로를 연결하는 끈이 된다.
둘간의 성관계는 거의 없을 수도 있다. 그들은 자신들의 동성연애
관계를 완전히 비밀로 하기 쉽다. 둘의 관계는 오래 지속되며
직업상 서로 헤어졌을 때도 관계는 지속된다.
8. 결혼
아테나 여성이 자신의 힘으로 사회적 성공을 할 기회를 갖지
못했을 때, 대부분의 아테나 여성들은 결혼을 통해 목표를
달성하였다. 그녀들은 열심히 일하고 업적지향적인 남성으로서
그녀들의 존경을 받는 사람과 결혼하였다. 지금도 그때와
마찬가지로 아테나 여성의 결혼은 정열적인 결합이 아니라 친구
같은 동료 관계의 성격을 띤다.
아테나 아내는 대개 남편에 대해 정확히 평가하고 있으며 그들은
서로 조화를 이룬다. 그녀는 남편의 협력자이고 동료이며 남편의
진급이나 경영에 대해 절대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구 경쟁에 이기기
위해 그와 함께 전략을 짜고, 요하다면 그의 편에서 일을 하려고
한다. 아킬레스가 그의 상관인 아가메논 끈향하여, 분노에
가득차서 칼을 빼려고 했을 때 아테나 여신은 현명하게 아킬스의
감정에 치우친 조급한 행동을 제지했다.
결혼할 당시 이미 남편이 나이가 지긋해서 사회적 성공을 거두고
있는 상태라면,그리고 매우 복잡하고 고도의 기술적인 거래를 하고
있는 중이라면, 아테나 아내의 주요 역할은 남편의 사교적인
면에서의 협존자가 되는 일이다. 그녀의 일은 사교적인 자리를
마편하고, 사회적으로 중요한 인사들과 동맹관계를 유지하는
것이다.
남편의 의논 상대가 되고, 남편의 성공을 위해 사교 활동을
벌이는 일 말고도, 아테나 아내는 집안살림을 잘 꾸려나간다.
꼼꼼하게 일을 처리하고 실용적인 태도를 지닌 그녀의 성격을
반영하듯이,그녀는 예산 안에서 생활하고 어디에 어떻게
지출했는지를 모두 알고 있다. 또한 그녀는 자신의 역할로
생각하면서 아이를 낳고 키우는 일을 기꺼이 한다.
아테나 아내와 남편은 사건에 대해서는 대개 활발하게 대화를
나눈다. 그러나 자신의 감정을 이야기하는 대화는 실제로 없다.
아테나 아내처럼 남편도 감정을 무시하고 있거나, 아내는 감정에
대해서는 무감각하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헤라 여성과 아테나 여성이 남성에 이끌리는 이유는, 제우스처럼
그 남성이 권위와 권력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운스에게
원하는 것이나, 관계의 성격에 있어서는 둘은 판이하게 다르다.
헤라 여성은 남편을 자신의 구세주로 여기고,그가 자신을 충족시킬
의무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녀의 남편과의 연결은 깊고, 본능적인
것이다. 남편이 외도를 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될 때,헤라 여성은
치명적인 타격을 입게 되며 그 분노를 다른 여성에게 터뜨린다.
그와는 대조적으로, 아테나 여성은 성적인 질투와는 무관하다.
그녀는 결혼을 서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동료 관계로 본다.
그녀는 성실하게 대하고 성실함을 기대한다. 그러나 그 성실함이
반드시 성생활의 순결을 얘기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아테나
아내에게는 자신이 남편의 바람 때문에 버림을 받을 수도 있다는
것은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다.
재클린 케네디 오나시스 Jacqueline Kennedy Onassis는 아테나
여성으로 보인다. 그녀는 존 에프 케네디 John F. Kennedy
상원의원과 결혼했는데 그가 미국 통령이 되었다. 후에 그녀는
아리스토텔레스 오나시스 Aristotle Onassis와 재혼하였는데,그는
전 세계에서 몇 안되는 갑부이자 인정머리 없는 세도가의 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었다. 이 두 남성은 모두 대단한 바람장이로
알려져 있다. 케네디씨는 다양한 여성편력이 있었고,오나시스씨는
오페라 가수인 마리아 칼라스 Mariacallas씨와 오랜 동안 애정
관계를 맺어 왔었다. 재클린 케네디 오나 시스씨가 완벽한 배우가
아니라면,그녀는 다른 여성들에 대해 전혀 앙심뜰 품지 않은 것이
분명하다. 질투심이나 분노가 없어 보이는 것, 그리고 권력자를
선호하는 그녀의 모습은 아테나 여성의 특징이다. 결흔 생활
자칙가 위협을 받지 않는 한, 아테나 여성은 남편이 애인이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며 합리화한다.
그러나, 가끔 아테나 여성은 남편이 다른 여성에게 기울이는
관심에 대해서 너무 과소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이 바로
그녀의 맹점인데, 그녀 자신이 정열이 없으므로 다른 사람에게는
그것이 중요할 수 있다는 것을 계산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그녀는 연약한 감정이나 정신적으로 가치있는 것들에 대해
동정심이나 감정이입이 부족한데,그것들이 남편에게는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이해의 부족이 결국 그녀가 전혀
예기치 못했고 준비되지 못한 상황 안에서 어느날 갑자기 남편이
이혼을 원하고 다른 여성과 재혼하는 일이 있을 수 있게 되는
원인이 된다.
아테나 아내가 이혼을 원하는 경우,그녀는 상대적으로 적은
감정적 동요 속에서 남편에 대한 호감을 잃지 않고 헤어질 수
있다. 이것은 내가 아는 서른두살의 증권 중개인에게서 받은
인상과 일치하는 것이다. 그녀의 남편은 증권 거래소의
중역이었다. 그 남편이 실직을 당하자, 다른 직업을 열심히
찾아보는 대신 집안에서 풀이 죽어 지내고 있었다. 그녀는 점점 이
점을 참을 수 없게 되었고, 남편을 더 이상 존경하지 않게 되었다.
일년 후에 그녀는 남편에게 이혼을하자고 말했다. 그녀의 태도는
마치 고용인이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고 직원을 해고하거나, 더
좋은 일꾼이 나타났을 때 직원을 바러 버리는 것과 비슷하다.
그녀는 남편에게 말을 하려 하지 않았고, 이혼하자는 말을 하는
것이 고통스러웠지만, 결론은 그와 헤어져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일단 이 불편한 마주침이 끝나자,그녀는 안도의 한숨을
쉬었다.
그녀가 이흔을 원했든,아니든,아테나 여성은 이흔의 상황을 잘
극복한다. 이혼 과정은 대개 분노나 복수심 없이 협상된다. 남편이
자신을 버리고 다른 여성에게 갔다고 해서 그녀는 황폐한 느낌을
받지는 않는다. 그녀는 이혼한 남편과 계속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으며, 때로는 사업관계를 지속시키기도 한다.
부부가 모두 직업을 가지며,부부 모두 전문직에 종사하는 경우,
아테나 여성은 다른 어떤 유형의 여성보다도 가장 결혼생활과
직업을 잘 병행할 수 있다. 부부가 다 일에 종사할 때, 자신 또한
자신의 전문직에서 경쟁에 뒤처지지 않아야 하고, 갑자기 생활에서
일어나는 일들도 다 잘 소화해 내어야 한다. 이런 작업은 계획을
잘해야 하는데, 이것은 아테나가 가장 뛰어난 부분이다. 아테나
여성은 여성에게 요구되는 전통적인 역할을 받아들이며, 남편에게
원칙에 따라 똑같이 일을 나누자는 주장은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부부가 직업을 가진 결혼생활을 이끌어 나가는 아테나
아내는 대개 집안일을 감독하고, 파출부를 이용하며, 그래서
자신의 경력도 쌓고 집안도 잘 꾸려나가는 슈퍼우먼이라는 인상을
주며,동시에 남편의 협조자며 믿음직한 동료가 된다.
9. 자식과의 관계
아테나 어머니는 아기가 커서 엄마 말을 알아들을 수 있을
때까지 기다리지를 못한다. 어서 빨리 무언가를 가르치고, 데리고
나가 이것저것 구경시켜 주고 싶어한다. 그녀는 (대지의 어머니)인
데미테르와는 정반대의 성향을 지녔는데, 데미테르는 아기를 안는
것을 굉장히 좋아하며, 아기가 영원히 아기로 머물러 있었으면
하고 바라는 형이다. 반대로 아테나 여성은 다른 여성의 자궁을
빌릴수만 있다면, 그리고 자신의 아이가 틀림없다는 것이
확실하다면 자궁을 빌릴방법을 택할 것이다. 아이를 낳는다면 아이
봐줄 사람과 집안 살림해줄 사람을 구할 것이다.
아테나 어머니는 능력 있고,외향적이며,지적으로 호기심 많은
아들을 둘 때 가장 행복해 한다. 이 아들들은 앞으로 영웅이 될
인물들이며, 아테나 어머니는 이들이 뛰어난 인물이 되게 하기
위하여,가르치고,조언하고,용기를 북돋워줄 것이다. 그녀는
아들들에게 전형적인 남자다움을 강조할 것인데, 예로써 (남자가
울면 못써) 식의 충고를 하는 것이다.
아테나 어머니는 자신을 닮아서 독립심이 강하고, 사물에 대해
논리적인 접근을 하는 딸하고는 좋은 관계를 유지한다. 자신을
닮은 딸에게 아테나 어머니는 좋은 선생이며 역할 모델이 될 수
있다. 문제는, 어머니가 자신과 전혀 다른유형의 딸을 두었을
때다. 그런 딸들은 대개 사물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보다는,사람들의 감정에 대해 더 관심이 많으며,지적이지도
않고,진취적이지도 않을 수 있다. 이 전통적인 딸에게 아테나
어머니는 잘해주지 못한다. 어머니는괴팍 다른 딸에 대해 신기해
하면서,인내심 있게 받아줄 수도 있다. 혹은 그딸을 무시하고
아들만 선호할지도 모른다. 어떤 식이든지, 딸은 감정적으로
거리감을 느끼며, 자신이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고
느낀다.
아테나 언니는 쉽게 감정에 좌우되는 자식들에 대해 어떻게 해야
할지를 모른다. 상황은 물론 자식에게는 더욱 나쁘다. 자식들이
어머니의 기준을 받아들인다면, 그들은 어린 시절에는
갓난아기처럼 울음 많은 자기 자신을 못마땅하게 여길 것이며,
어른이 되서는 감수성이 강한 자기 자신을 열등하게 느낄것이다.
어머니의 실용적인 마음이 환상적인 꿈을 꾸는 자식을 참을 수
없게 하는 것 이다.
아테나 어머니는 자식들이 자신들이 해야할 일을 제대로 하기를
바라며, 감정에 매여서 인생을 그르치지 않기를 바란다. 자신이
훌릉한 군인이었던 것처럼, 자식도 훌릉한 군인이 되기를 바란다.
10. 아테나 여성의 중년
아테나 여성은 인생의 황금기로서 중년을 보낸다. 사물을 있는
그대로 파악 할 수 있는 능력을 지녔기 때문에, 그녀에게 (꿈에서
깨어나야) 할 일은 없다. 모든 일들이 계획대로 진행되는 한,
그녀의 인생은 차근차근하게 성공적으로 전개된다.
중년의 시기에, 아테나 여성은 대개 자신의 상황을 점검해 보는
시간을 갖는다. 그녀는 모든 가능성들을 점검해 보고,다음 단계로
자연스럽게 넘어간다. 만일 직업이 그녀의 가장 중요한
관심사이고,경력을 한참 쌓아가는 단계에 있다면, 이제 자신의
궤도를 정확하게 볼 수 있다. 즉 이대로 나가면 어디까지 진급할
수 있는지, 자신의 현 위치가 얼마나 탄탄한지, 지도자와의 관계가
어떤 식으로 자신에게 영향을 끼칠 것인지가 그것이다. 만일
아테나 여성이 전업주부라면,아이들이 성장함에 따라 어머니의
손이 덜 필요할 것이고,그녀는 자신이 할일을 찾아내어서 그 일에
몰두할 것이다.
그러나, 아테나 여성의 중년은 예기치 않게 위기를 맞을 수도
있다. 그녀의 질서정연한 생활에 감정적인 대혼란이 끼어들 수
있는 것이다. 그녀는 중년의 한가운데서 결혼의 위기를 맞을 수
있으며,그것은 그녀가 지금까지 유지해 왔던 중심을 뿌리째
뒤흔들고 그녀를 감정의 깊은 수렁에 빠뜨리게 할지도 모른다.
대개 남편이 맞는 중년의 위기가 그녀에게 영향을 끼치게 된다.
친구같이 지낸 결혼생활이, 서로에게 협조자가 되어 왔던 그들의
관계가, 미제 남편에게는 더 이상 만족스럽지 못할 수가 있다.
이제와서 남편은 결흔생활에 정열이 없음을 느끼게 되고, 그를
낭만적이고 성적으로 자극하는 다른 여성에게 감정이 끌릴 수
있다. 만일 아테나 아내가 자신의 아테나 성향을 끝까지 지킨다면,
그녀는 그 난관을 지혜롬게 극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중년의 시기에는, 다른 원형들이 더 활동적이기 마련이며,따라서
인생 처음으로 그녀는 예측 못할 행동을 저지를 수 있다.
폐경이 아테나 여성을 우울하게 만들지는 않는다. 왜즐하면,
아테나 여성은 자신의 정체성을 어머니에 두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아름다움과 젊음이 그녀의 정체성을 이루지도 않는데,그녀의
정체성은 자신의 지성과 능력, 그리고 자신이 꼭 필요한
사람이라는 데 근거한다. 따라서 늙는다는 것이 대부분의 아테나
여성에게는 손실이 아니다. 그 반대로, 그녀는 젊은 시절보다 더
권위 있고 쓸모 있고 영향력 있는 사람이 될 것이며, 대부분의
다른 여성이 늙고 매력이 없어지는 것에 대해 초조해할 때 그녀의
자신감과 행복은 중년에 더 커질 것이다.
11. 아테나 여성의 노년
아테나 여성은 세월이 지나도 별로 변하지 않는다. 일생 동안
그녀는 초기에는 가정과 직장에서, 나중에는 지역사회에
봉사함으로써, 활기 있고 현실적인 여성으로 지낸다. 노년의
그녀는 보수적인 집단을 지지하는 모습을 보일 것이다. 중상충의
기흔 아테나 여성들은 자선단체나 교회의 기등이 되는 집단이다.
그녀들은 병원에 자원봉사하며, 적십자 운동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나이가 들수록 더 저명해지게 된다.
아이들이 자라서 집을 떠날 때, 아테나 어머니는 외로움에
시달리지 않는다. 이제 그녀는 자신이 즐기는 일이나, 공부,
계획들을 추진시킬 시간을 얻게 된 것이다. 대개 성인이 된
자식들과의 관계는 즐거운 것이 된다. 그녀 자신이 아 이들을
독립심 있고 자립적이게 키웠기 때문에, 그리고 너무 간섭하거나
의존적이게 키우지 않았기 때문에, 자식들과 손자들은 그녀와의
관계에서 아무 문제가 없다. 그들은 보통 어머니를 존경하고
대개는 좋아한다. 그녀가 애정을 많이 표현하는 편은 아니지만,
집안 대소사 때마다 가족을 모으고 유대관계를 갖는다.
남편이 세상을 떠나고, 혼자의 삶을 시작할 때, 아테나 여성은
대개 그런 생활을 예견하고 있다. 여성의 평균수명이 남성보다
길며, 자신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과 결혼했을 확률이 높기 때문에
홀로 있을 때를 생각하고 준비하는 것이다. 홀로 되었을 때 그녀는
자기 돈을 직접 관리하고,주식에 투자하며,가족 사업이나 그녀
자신의 사업을 계속한다.
17. 심리적인 문제점들
합리적인 아테나 여신은 결코 자기 중심을 잃은 적이 없다.
그녀는 중용의도를 지키며 살았고 감정이나 비합리적인 느낌에
압도당한 적이 없다. 헤스티아를 제외한 대부분의 다른 여신들은
자신의 감정을 터뜨림으로써, 다른 이들을 고통스럽게 하거나,그들
자신이 감정의 희생양이 되어 고통받다. 이들 여신과 같은 성향을
지닌 여성들도 남을 괴롭히거나 자신이 괴로움을 당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아테나 여신은 달랐다. 그녀는 결코 나약하지
않고, 비합리적인 감정에 지배당하지 않으며, 그녀의 행동은
충동적이기보다는 계산된 것이었다. 아테나 여신을 닮은 여성은
이러한 성향도 닳기 때문에 그녀는 다른 사람이나 자기 자신의
감정의 기복에 따른 희생자가 되지 않는다. 그녀의 문제점은
심리적으로 무장된 바로 그런 성격에 있다. 한쪽으로 치우친
성장이 그녀가 성장할 필요가 있는 다른 면을 억제했을지도
모른다.
1. 나는 아테나 여성인가?
아테나처럼 산다는 것은 머리로 살며 목적을 갖고 행동하는 것을
말한다. 그런 여성은 한쪽으로 치우친 삶, 즉 자신의 일을 위해
사는 삶을 산다. 비록 그녀가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을
즐길지라도, 그 어울림에는 감정적인 친밀함이나, 성적인 매력,
정열, 절정, 절친함 같은 것이 배제되어 있다. 그녀는 또한 다른
사람과 강한 유대를 맺는 결과로, 그리고 그러한 욕구를 지녔기
때문에 얻는 고통과 깊은 절망으로부터도 벗어나 있다. 합리적인
아테나와 자신을 완전히 동일시하는 것은 다양한 인간 감성의
강렬함으로부터 거세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그녀는 자신의 감정을
잘 조절하여 언제나 자제하는 모습을 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테나 여성은 다른 사람과 감정적으로 깊이 연루되는 것을
피하며, 인간의 격렬한 감정을 표현하는 음악이나 미술에서 별로
감동을 받지 않으며, 신비한 경험에 감동되지 않는다.
머리로만 살기 때문에, 아테나 여성은 자신의 몸을 완전히
경험하지 못한다. 그녀는 관능적 쾌락이라는 것에 대해 거의 알지
못하며 오르가즘의 끝까지 자신의 몸을 맡길 때의 기분이 어떤
것인지 알지 못한다. 아테나는 여성으로 하여금 언제나 본능의
차원 (위에) 있도록 하며, 따라서 모성, 관능, 혹은 아이를낳고
싶은 본능 등을 강렬하게 느끼지 않는다.
이러한 아테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신 안의 다른 극면을
발시킬 필요가 있다. 아테나가 자신의 한 면을 제한시킨다는 것을
깨닫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수용하려고 한다면,그것은 점차적으로
가능할 것이다. 사람들이 자신에게 의미깊은 일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자신의 감정을 이야기할 때, 그것이 자신에게는
마음에 와 닿지 않는다 해도, 그녀는 사람들이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상상해 보려고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언제나 증거를
요구하고 회의적인 태도를 갖는 자신의 성향이 자신을
사람들로부터 거리를 두게 하는 원인이며, 정신적이고 감정적인
깊이로 향한 가능성을 막는 이유가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가끔 아테나 여성은 예기치 않게, 충격적으로 자신의 아테나의
한계를 넘어서는데,그것은 무의식에 잠겨 있던 감정들이 솟구치게
되는 압력적 상황에 놓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아이가 중병이
들거나,다른 사람으로부터 다쳤을 경우를 들어보자. 성난
어미곰처럼 무서운 모정보호 본능이 그녀의 새로운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는데, 이때 그녀는 아르테미스의 측면이 자신에게
있음을 알게 된다. 혹은 남편이 다른 여자와 사랑에 빠질 때,
그래서 그들의 동료로서의결혼 관계가 위기에 빠지게 될 때,
그녀는 평소와 같이 이성적으로 직장에 나가는 모습을 유지하는
대신, 헤라의 상처받은 복수심에 가득차 있을 수 있다.혹은 마약을
복용한 후, 경이로운, 혹은 두려운, 전혀 다른 의식의세계로
빠지게 될 수도 있다.
2. 메두사 효과
아테나 여성은 사람들을 긴장시킴으로써 그녀와 다른 유형의
사람들의 즉흥성과 생명력, 창의력을 걷어가 버리는 능력을 갖고
있다. 이것이 바로 그녀의 메두사 효과이다.
아테나 여신은 갑옷의 가슴 부분에 그녀의 힘을 상징하는
방패막을 덧입었는데,그 방패막 위에는 아테나의 힘을 상징하는
메두사의 얼굴이 그려져 있다. 메두사는 머리칼이 모두 뱀으로
되어 있는 무서운 모습을 하고 있으며, 누구든지 메두사를
쳐다보는 사람은 돌로 변하게 하였다. 메두사는 아테나 여성의
다른 한 면을 보여준다. 비유적으로 말하면, 아테나 여성은 다른
사람의 경험을 시들하게 하며,대화의 활기를 죽이고,사람 사이를
움직이지 않는 그림처럼 바
꾸어 버리는 힘이 있다. 상세하게 내용을 살펴보고 증거에 초점을
두며,논리적이고 이성적으로 대화를 하는 그녀는 대화를
무미건조한 형식의 연속으로 바꾸어 놓곤 한다. 또한 그녀는
너무나 무감각하기 때문에 아주 개인적인 문제들도 피상적이고
소훤한 것들로 바꾸어 놓곤 한다. 문제를 해부하고 비판하는
태도를 지니는 아테나 여성의 태도가 뜻하지 않게 상대방의 주관적
경험을 무시하게 된다. 그녀는 다른 사람들에게는 극도로 중요한
영적인, 윤리적인 문제들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며, 연애 문제로
고민하는 것을 참을 수 없어 하고, 어떠한 종류의 나약함에
대해서도 비판적이다. 이러한 공감의 부족은 치명적인 것이다.
그러한 경우가 사교적인 문제에서만 발생한다면,사람을 굳어버리게
하는 메두사 효과는 단지 분노를 자아내거나 화를 내게 하는 데서
끝날 수 있다. 그러나 아테나 여성이 권위가 붙는 높은 직책에
있을 때,그녀는 고곤 메두사의 놀라운 파괴력으로 사람들을 공포에
질리게 할 것이다. 예를 들어서,중요한 결정이 달린 면접을 한다고
하자.그녀가 메두사의 눈매로 피면접자를 조사할 때에, 피면접자는
분석적이고 기계적인 사람이 자신의 부적당함을 찾아내려는 듯한
질문을 퍼붓는 것에 대해 마치 자신이 확대경 밑에서 해부당하는
듯한 느낌을 갖게 된다. 해부적인 지식과 돌 같은 마음을 지닌
사람 앞에서, 피면접자는 자기 자신이 돌처럼 굳어져 있는 것을
느낀다.
한때 내 동료가 진급에 관한 면접을 받을 때 고곤 메두사를
만났던 불행한 경험을 이야기하였다. 지금, 그녀는 정신 착란
상태가 심한 환자들을 아주 잘 치료하는 정신과 의사다. 그녀는
직감적으로 환자의 비정상적인 행동이 의미하는 뜻과 감정을
이해함으로써 환자들을 아주 잘 다루었다. 그러나 면접시, 아테나
여성을 만났을 때, "나는 완전히 질려 버려서 아무 말도 할 수
없었어. 아무생각도 안 나고,생각을 할 수도 없었지‥‥ 엉망으로
면접을 끝냈지" 하고 말하였다. 당사자의 취직이나 진급을 정할
권리가 있는 사람의 당사자에 대한 면밀한 조사와 질문이 당사자를
돌같이 굳어버리게 할 때, 대개 그 사람은 제우스 원형의
사람으로서 자신의 방패를 지닌 남자일 경우가 많다. 그러나
여성들이 권력의 자리에 더 많이 진출함에 따라, 이 방패를 지닌
여성들이 많이 눈에 띈다. 그리고 그녀들이 아테나와 같은
유형이라면, 그들은 메두사 효과를 나타내기 쉽다.
이러한 메두사의 효과를 지닌 아테나 여성은 대개 자신의 그런
부정적인 영향력을 의식하지 못하고 있다. 사람을 위협하고
공포심을 조장하는 것이 그녀의 의도는 아닌 것이다. 그녀는 단지
자신에게 주어진 일을 잘할 뿐이다. 자료를 자세히 살펴보고,
전제들을 조사해 보며,그리고 그러한 전제들에 의해 얻어진 결론에
대해 의문을 가져보는 것이다. 그러나 모르는 사이에 그녀는
괴테의 말과 같이, (해부를 한 결과로 살해하는 것)이다. 그녀는
그녀의 객관적인 태도와 날카로운 질문으로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려는 노력을 대신한다. 그럼으로써, 마음 속의 문제들을
공유할 수 있는 진실한 대화의 가능성을 배제하여 버린다.
가끔씩 나는 완전히 지적으로 자신의 병에 대해 접근하는 환자를
접하게 되는데, 그 환자는 자신의 삶에 대한 온갖 사실들을
말해주고, 중요한 사건들을
이야기하지만, 그녀는 자신의 느낌에 대해서는 전혀 이야기하지
않는다. 내가 그 환자와 상담할 때,나는 그 환자가 얘기하는 전혀
생명력 없고 지루한 이야기들을 (일어난 일들에 대해 전혀 감정이
개입되어 있지 않는) 딴 생각없이 들어주기 위해 애를 쓰게 된다.
그녀의 무미건조함이 나에게까지 파급되는 것이다. 내가 돌처럼
굳어버리게 되려고 할 때,나는 즉시 이것이 바로 그녀가 모든
인간관계에서 보이는 모습임을 깨닫는다. 이것이 바로 그녀가 왜
자신의 삶에서 친밀한 관계를 이루어 내지 못하며 외로움을 느겨야
하는지의 이유가 된다. 비유적으로 말해서 여성이 아테나의 갑옷과
메두사의 가슴 보호막을 입고 있을 때, 그녀는 어떠한 연약함도
드러내지 않는 것이 된다. 그녀의 무장된 갑옷(대개 그녀의
지식)은 언제나 방어를 하고 있으며,그녀의 권위와 비판적인
시야는 사람들과 감정적으로 거리를 두게 한다.
그녀가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끼치는 메두사 효과에 대해
실망한다면, 그녀는 상황을 바꿀 수 있다(아테네 여신은 메두사
가슴 보호막을 자신의 갑옷 위에 덧붙인 것이며, 언제든지 뗄 수
있는 것임에 주목할 것). 그녀가 갑옷과 가슴 보호막을
례어낸다면, 그녀는 더 이상 메두사 효과를 보이지 않을 것이다.
그녀가 더 이상 남들에 대해 판단하려 들지 않을 때, 다른 이들의
삶의 방식과 감정에 대해 판단할 수 있는 권위가 자신에게 있다고
생각하지 않을 때, 그녀의 메두사 보호막은 사라지게 된다. 그녀가
마음으로부터 그녀도 다른 사람에게 배울 것이 있으며 다른 사람과
공유할 것이 있다는 것을 깨닫고,동료로서 참여한다면, 그녀의
메두사 보호막과 메사 효과는 사라질 것이다.
3. 교활함 . "성공하기 위해서는 무엇이든지 하라"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거나 도달해야 할 목표가 있을 때,
아테나여성의 관심은 완전히 "어떤 방법을 취해야 하지?"와
"성공할 수 있을까?"에줄 국한되어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그리고 경쟁자를 물리치기 위해서는 (교활하며),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교활함은 아테나 여신의 특징이다. 예를 들어서, 트로이
전쟁시 그리스 영웅 아킬레스와 트로이 영웅 헥터간에 일대 접전이
있을 때에, 아테나는 (비열한 전략)을 써서 아킬레스가 이기도록
하였다. 아테나 여신은 헥터에게 동생이 여분의 창을 들고 옆에
있다고 속임으로써, 헥터는 자신의 창을 던진 후 여분의 창을
쓰려고 옆을 돌아보지만, 주위에는 동생은커녕 아무도 없음을 알게
되고,자신의 생명이 다 되었음을 알게 된다.
아테나 여신에게는 "이것이 공평한가?"라든지 혹은 "이것이
윤리적인가?"라는 의문은 전혀 상관이 없다. 단지 문제가 되는
것은 그것이 효과적인 전략아냐는 데 있다. 아테나 여성의 어두운
면은 아테나 여신의 바로 이런 면과 관련이 있다.
그녀가 다른 사람을 평가할 때는, 그 사람의 효율성이 기준이
된다. 옳고 그름이라든지, 좋고 나쁨과 같은 감정적인 가치들은
그녀의 사고구조상 관계될수가 없다. 그래서 그녀는 사람들이 왜
비윤리적이고 비도덕적인 행위에 대해 분노하는지 더구나 그것이
자신과 개인적으로 관련된 일도 아닐 때에는, 솔직히 이해할 수가
없다. 그녀는 또한 사람들이 왜 (원리 원칙)을 따지려 드는지,
그리고 목표로 가는 (과정)에 대해 민감한지 이해할 수가 없다.
따라서 그녀가 1970년대에 대학생이었다면, 과친구들이 베트남
참전 반대와 캄보디아 침공 반대로 거리로 뛰어나가 데모를 할
때에,그녀는 거의 참여하지 않는다. 사람들은 그녀가 윤리적인
문제에 무관심하다고 생각했을 텐데, 사실은 그녀는 아테나
원형(사람들의 감정에 횝쓸리지 않고 그녀 자신도 흥분하지
않는)에 충실했을 뿐인 것이다. 아마도 그녀는 자신의 계획에
따라,데모의 와중에도, 교
실에 있거나 연구실에서 연구를 하고 있었을 것이다.
V. 성숙해지는 길
다른 여신 원형들을 개발함으로써 특정 여신 원형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은 모든 여신 원형에게 적용되는 말일 것이다. 그러나
아테나 여성에게는 특별히 고려해야 할 몇 가지 방향이 있다.
1. 자신을 성찰해 보는 것
사회활동을 하는 아테나 여성은 기업,정계,사법계에서
세력다툼에 사로잡혀 있거나, 언제나 일거리에 쌓여 있어서
집에까지 일거리를 가져오곤 할 것이다.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그녀의 머리 속이 잠시도 쉬지 않고 굴러가는 바퀴처럼 느껴질
것이다. 자신의 일이 얼마나 자신을 소모해야 하는 일인지 깨닫게
될 때, 그리고 자신이 균형 있는 생활을 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 때, 공예의 여신인 아테나는 자신의 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심리적 방법을 제공한다.
아테나가 즐기는 여러 종류의 공예 중 아테나가 가장 좋아하는
것은 직조이다. 사업하는 아테나 여성이 언젠가 말하기를, "직조를
짤 때 가장 평안한 시간을 보낼 수 있다"고 말했다. "베틀의
리듬에 맞춰 내 마음을 그 리듬에 완전히 싣고 마음을
비우며,동시에 재빠르게 손을 움직이는 작업을 하고 나면 아름다운
벽걸이가 만들어지지요"하고 그녀는 말한다.
또 다른 아테나 여성은 재봉틀로 옷을 만드는 일로 자신의
일에서 벗어난다. 자기 옷을 직접 만드는 일은 아테나 여성에게는
실용적이면서토 창의적인 일이다. 고급 복지로 디자이너가 만든 것
같은 오버나 원피스를 십분의 일의 가격으로 만들 때,그녀는
즐거움을 느끼게 된다. 옷을 만들 때 그녀는 놀라을 정도로
인내심을 발휘한다. 재봉질을 통해 자신의 일로부터 벗어날 수
있고 완전히다른 마음 상태가 되는 것을 그녀는 반 진지하게
(치료)라고 부른다.
도자기를 굽는 일도 아테나의 공예 효과를 잘 드러낼 수 있는 한
방법이 된다. 사실상 모든 종류의 공예가 밖으로 향한 그녀의
사회생활과의 균형을 이루는 데 기여 한다.
2. 어린이의 마음을 갖기
아테나 여신은 한 번도 어린이여본 적이 없다. 그녀는 태어날
때부터 어른이었다. 이 비유는 아테나 여성의 실제 경험과
유사하다. 그녀가 기억할 수 있는 아주 어린 시절부터,그녀는
"사물의 이치를 헤아리고", "무슨 일이든지 잘하는 아이"로
불려졌던 기억을 갖고 있다. 그러나 현실감각이 뛰어나고 말을
잘하는이 어린 소녀는 주관적 경험이라는 영역에 대해서는 전혀
알지 못하고 성장하는데,후에 그녀는 결국 이런 성향을 원하게 될
것이다. 그녀는 자신 안에서 한번도 경험해 보지 못했던 어린이로
다시 돌아갈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새로운 것들에 경이로워하고
흔란스러워지는 아이의 마음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아테나 여성이 어린이의 마음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새로운
경험을 할 때 이성적인 어른으로 접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
대신,호기심 많은 어린이처럼, 그래서 모든 것이 새롭게 발견되는
것처럼 인생을 대할 필요가 있다. 아이가 새로운 것에 관심을 가질
때,아이는 그것에 온통 마음을 느낀다. 아테나 원형과는
달리,아이는 사물에 대해 편견을 미리 갖고 있지 않으며,
회의적이지도 않으며, 자신의 경험을 미리 분류된 이름에 따라
해석하고는 잊어버리는 태도를 갖지도 않는다. 사람들이 자신은
전혀 경험해 보지 못했던 것들에 끌해 이야기할 때, 아테나 여성은
잘 들을 줄 알아야 하고,그 상황과 감정을 잘 상상해 봄으로써
이해해 보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그녀 자신이 감정적 격정의
와중에 있을 때,그녀는 그 감정을 토로하고 주위의 도움을
받으려고 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잃어버린 자신의 동심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그녀는 놀고, 웃고 울며,
사랑하는 사람들의 포옹이 필요하다.
3. 어머니 되찾기
신화에 따르면, 아테나 여신은 어머니가 없는 딸로서 아버지인
제우스만 부모로 둔 것에 대해 자부심을 가졌다. 그녀는 자신에게
메티스라는 어머니가 있었으며, 아버지 제우스에게 삼켜졌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 비유적으로 아테나 여성은 여러 면에서
어머니가 없는 사람이다. 그녀는 어머니를 찾아야 하며, 어머니의
가치를 발견해야 한다. 그럼으로써 그녀 자신이 어머니가 될 수
있다.
아테나 여성은 대개 자신의 어머니를 우습게 보았다. 그녀는
어머니의 강점을 찾아낼 필요가 있고, 그 결과로 자신에게서
어머니와의 유시성을 발견할 때가치를 줄 수 있다. 그녀는 대개
어머니 원형(데미테르 여신에 의해 의인화된)이 부족한 경향이
있는데, 본능적으로 그리고 진한 모성애를 경험하기 위해서는 그녀
안에서 데미테르 원형과의 연결을 느껴야 한다.
여신들 The Godes표이라는 책의 저자인 크리스틴 다우닝
Christine Downing은 이러한 작업을 (아테나의 잃어버린 기억
찾기)라고 부르며,그것은 "여성성, 어머니, 그리고 메티스와의
관계를 재발견하른 작업"이라곤 말한다.
아테나 여성은 모계 중심적인 여성적 가치를 재발견할 필요가
있다. 즉 그리스 신화가 지금과 같은 형태를 취하기 이전의 세계,
오늘날 풍미하는 가부장적 문화에 의해 먹혀버린 여성적 가치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할 필요가 있는것이다. 그녀의 지적 호기심이
역사와 심리학 연구에서 시작하여 결레는 여성주의적 사고로
이르게 할 수 있다. 이 새로운 관점에서 그녀는 자의 어머니와
여성들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가질 수 있으며, 결국에는
자기자신에 대해서도 새로운 시각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많은 아테나 여성들이 여성주의자가 되었다. 아테나 여성이 자신이
사고하는 방식을 일단 바꾸기 시작하면, 그녀의 대인관계도 변할
수 있다.
제6장
헤스티아: 화로와 신전의 수호신
-지혜로운 노처녀 고모
1 . 헤스티아 여신
혜스티아는 화로의 수호신인데, 더 정확히 말하자면 등근
화로에서 타고 있는 불길이다. 그녀는 을림푸스산의 신들 중 가장
덜 알려진 여신이다. 헤스티아 여신과, 그녀의 로마식 표현인
베스타 여신은 화가나 조각가에 의해 사람의 모습으로 표현된 적이
없다. 그 대신, 헤스티아 여신은 가정에서, 신전에서, 도시 에서,
그 중심에서 타오르는 불길로서 항상 우리 곁에 있음을 느끼게
하였다. 헤스티아 여신의 상징은 원이다. 그녀의 첫번째
화로등도그랬고, 그녀를 모시는 신전도 원형이었다. 가정이나 신전
모두 헤스티아가 먼저 들어와야 축성이 된 것이었다. 헤스티아가
거기 있음으로 해서 그 장소는 신성해졌다. 혜스티아 여신은
영적으로 느껴지는 존재이며,신성한 불길로서, 우리에게 빛과
온기, 그리고 음식을 장만할 수 있는 불을 마련해 주었다.
1. 계보와 신화
헤스티아는 리아와 크로노스 사이에서 태어난 맏딸이다.
올림푸스산의 첫세대 신들 중에서는 제일 큰언니였으며, 다음
세대에게는 노처녀 고모가 되는 셈이다. 헤스티아가 태어날
당시에는 중요한 열두 올림푸스 신들의 하나에 속하였으나,후에는
올림푸스산의 열두 신에는 속하지 않았다. 주신인 디오니수스가
유명해져서 열두 신의 하나로 헤스티아를 대체하였기 때문이다.
그때도 헤스티아는 전혀 반발하지 않았다. 헤스티아는 그리스
신화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전쟁과 사랑의 사건들 속에 전혀
관련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주요 그리스 신과 여신들 중에는
제일 덜 알려진 여신이었다. 그러나 그려는 크게 추앙받았고
인간이 신에게 바치는 가장 좋은 제물을 받았다.
헤스티아에 관한 짧은 신화는 호머의 시 세 편에서 볼 수 있다.
헤스티아는(고결한 처녀)로 표현되어 있으며, 아프로디테의
힘으로도 결코 (성적 욕망을눈뜨게) 할 수도, 유혹하고, 설득하고,
정복할 수도 없었다.
아프로디테는 바다의 신인 포세이돈과 태양의 신인 아폴로가
헤스티아와 사랑에 빠지도록 유도하였다. 둘 다 헤스티아를
원했지만, 혜스티아는 그들을 단호히 거절하고 영원히 순결을
지키겠다고 굳게 다짐하였다. (아프로디테에게 바치는 노래)의
내용에 따르면, "제우스는 헤스티아에게 결흔 선물 대신 아름다운
특권을 주었다. 집안의 중심에 그녀를 앉히고 가장 좋은 제물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신전마다 헤스티아는 추앙을 받았고,
인간들에게 헤스티아는 고결한 여신으로 알려졌다고 그려져 있다.
헤스티아에게 바치는 나머지 두 편의 호머의 시는 가정과 신전으로
헤스티아를 부르는 기원의 시이다.
2. 의식과 경배
다른 신이나 여신과는 달리, 헤스티아는 자신만의 신화나 모습을
지니고 있지 않다. 그 대신,헤스티아의 중요성은 의식을
통하여,불의 중요성으로 나타난다. 집이 가정으로 변하기 위해서는
헤스티아의 존재가 필요하였다. 두 사람이 결혼하였을 때, 신부의
어머니는 자기 집에서 불씨를 지펴서는 신혼부부의 집에 첫 불을
지폈다. 이런 의식을 통하여 새로운 가정을 봉헌했다.
헤스티아에 대한 두번째 의식은 아이가 태어났을 때 이루어진다.
갓난아이가 태어난 지 닷새째 되었을 때, 화로 주위에서 의식을
가지는데, 아기가 가족의 일원이 된 것을 상징하는 것이었다.
그리고는 성스러운 축제의 향연이 뒤이었다.
이와 비슷하게,그리스의 모든 도시국가에는 성전의 한가운데에
신령한 불길이 있는 공동 화로가 놓여 있었다. 그리고 정복한
식민지에마다 고향의 화로에서 가져온 신령한 불꽃으로 새로운
화로를 만들고는 하였다.
그래서 신흔부부가 새집을 장만하거나 그리스가 새로운 정복지를
만들었을때, 헤스티아는 항상 그들과 함께 왔으며, 옛집과 새집을
이어주고, 연속성과 연결을 상징함으로써 공동체 의식을 강화시켜
주었다.
후에 로마에서 혜스티아는 베스타 여신으로 알려져서
숭배받았다. 베스타의 신성한 불길은 로마의 모든 시민을 한
가족으로 묶어 주었다. 헤스티아를 모시는 신전은 베스타 처녀들에
의해 관리되었는데, 베스타 처녀들은 헤스티아 여신의 순결과
익명의 정신을 실생활아서 실현시킬 의무를 지녔다. 어떤 면에서,
그들은 현실 세계에서 헤스티아를 재현하는 셈이었다. 즉 그림이나
동상과 같은 차뭔이 아닌, 살아 있는 혜스티아가 그들이었다.
베스타 처녀로 선택된 소녀들은 아주 어릴 때,대략 여섯 살이
되기 전에,신 전으로 뽑혀갔다. 똑같은 옷을 입고,머리는 새
입회자임을 표시하기 위해 잘랐으며, 소녀들은 개인적이거나 눈에
띄는 특성들은 드러내지 않도록 지도받았다. 그들은 일반인과
격리되었으며, 사회로부터 존경을 받았고, 헤스티아처럼 살 것으로
기대되었다. 만일 자신의 순결을 상실할 경우에는 비참한 결과를
맞았다.
남성과 성관계를 가진 베스타 처녀는 헤스티아 여신을 모독한
것이었다. 그처벌로 그녀는 산 채로 땅에 묻히게 되는데, 불과
기름,음식과 잠자리가 준비된 작고 공기가 통하지 않는 지하실에
매장되었다. 그리고 그 무덤 위를 다시 평평하게 만들어 아무것도
없는 듯이 해놨다. 즉 헤스티아의 신성한 불길을 실현하는 베스타
처녀가 살아 있는 여신으로서의 의무를 다하지 못했을 때,
화로안에서 연기를 내며 꺼져가는 석탄처럼, 흙으로 뒤덮여 생명을
잃게 되는것이다.
헤스티아는 전달자의 수호신인 혜르메스(로마에서는 머큐리로
알려진)와 짝을 이루어 신화에 등장하곤 한다. 헤르메스신은
언변이 좋고 행동이 빠른 신이었는데, 여행자의 안내와 보호를
맡았으며, 연설의 신이며 사업가와 도둑의 수호신이기도 하였다.
헤르메스를 상징하는 것으로는 (험)이라고 불리는 대들보 같은
돌이 있다. 헤스티아의 불길은 집안을 따뜻하고 신성하게
하였으며, 혜르메스의 돌은 집어귀를 지키어 악귀를 막고 집안에
생식력을 가져오게 하였다. 신전에서 이들 신들은 서로
연결되었다. 예를 들어 로마에서는 머큐리의 사당은 베스타
신정으로 향하는 계단의 오른쪽에 모셔졌다.
이렇게 집안과 신전에서 혜스티아와 헤르메스는 서로 관련이
있었지만, 물리적으로는 서로 떨어져 있으면서 각기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였다. 헤스티아는 사람들이 가족으로서 서로 묶일 수
있도록 집안을 성스러운 장소로 만들었고, 헤르메스는 집어귀의
수호신으로 있으면서, 일단 집을 떠날 때는 세상의 안내자이며
친구로서, 대화가 잘 풀려나가게 하고 기민함과 행운을 줌으로써
좋은 결과를 낳게 하였다.
집안과 신전에서의 헤스티아 여신의 존재는 일상생활의 중심을
이룬다. 한여성의 성격을 이루는 원형 존재로서의 헤스티아는 매욱
중요한데, 헤스티아원형은 여성에게 완전함과 본래의 모습을
유지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1. 처녀 여신
헤스티아 여신은 세 명의 처녀 여신 중 가장 나이가 많다.
아르테미스나 아테나와는 달리,그녀는 거친 황야를 탐험하기 위해
나서지도 않으며, 도시를 건설하기 위한 모험에 참가하지도
않는다. 그녀는 집안이나 신전에, 화로 안에 담겨져 있는 모양으로
머물러 있다.
적어도 겉으로 보기에는, 무명의 헤스티아는 아르테미스처럼
재빨리 행동하지도 않고, 아테나처럼 예리한 사고와 갑옷으로
무장되어 있지도 않다. 그러나 각기의 관심 영역과 행동 유형은
틀린다 하더라도 본질적으로 변하지 않는 성질에 있어서 그들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즉 각기는 처녀 여신의 특징인 그자체로
충족된 성향을 지니고 있다. 그들 누구도 남성신이나 남성에게서
희생을 당하지 않았다. 그리고 각기는 자신에게 중요한 일에
생각을 집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으며, 남들의 필요에 의해 혹은
남의 도움을 받기 위하여 자신의 추진력을 흩뜨리는 일이 없다.
2. 자기 자신으로 향한 의식
헤스티아 원형은 집중력이 있다는 점에서 다른 두 여신과
유사하다. (라틴어로, (화로)라는 말은 초점이라는 뜻이다. )
그러나,그 초점이 자기 자신에게로 향해 있다는 점에서 그들은
서로 틀리다. 외향적인 아르테미스나 아테나가 계획을 짜고 목표
달성을 위하여 집중하는 것처럼,혜스티아는 그녀 내부의 주관적
경험에 관심을 기울인다. 예를 들어서, 헤스티아 원형은 명상을 할
때 완전히 몰
두할 수 있다.
헤스티아식의 인식 방법은 자기 내부를 들여다보고 직감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일을 감지하는 것이다. 혜스티아 원형은 자신에게
정말 의미 있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냄으로써 자신의 가치를
재발견할 수 있게 해준다. 자기 자신에 초점을 둠으로써, 우리는
상황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람들의 성격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으며 그들의 행동이 갖는 중요성과 그 유형을
알 수있다. 우리는 바로 이러한 통찰력을 통하여, 리들의 오감과
맞닥뜨리는 다양
한 사건들이 주는 일상의 혼돈 속에서, 명료함을 유지할 수 있관.
내성적인 헤스티아는 또한 감정적으로도 초연하여 자신의 관심에
전념함으로써 주변 사람들에 대해 무관심할 수 있다. 이 초연함은
사실상 처녀 여신 셋 모두에게 적용되는 말이기도 하다. 거기에
덧붙여서 헤스티아가 갖는 자신에 대한 충족갛은 고요한
평온함에서 기인하는데,그것은 고독 속에서 가장 잘 찾아진다.
3. 화로 지키기
화로의 수호신인 헤스티아는 집안살림을 지겨운 일로 생각하지
않고 의미 있는 활동이라고 생각하는 여성에게서 활발히 나타나는
원형이다. 혜스티아와 함께 화로를 지키는 일은 자기 자신과
가정을 잘 정돈된 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수단이 된다. 매일의
일상을 마무리하면서 마음의 평온을 이루는 여성은 헤스 티아
원형의 이런 면을 자신이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집안일을 상세한 부분까지 질서 있게 한다는 것은 명상에
상당하는 것으로, 정신을 집중시키는 일이다. 만일 혜스티아
여성이 자신의 마음 속의 흐름을 분명하게 설명할 수 있다면,
그려는 7명상과 집안일이라는 예술 Zen and the Art of
House7eeping이라는 책을 써낼 수 있을 것이다. 그녀는 집안일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일을 하며,그 일이 즐겁기 때문에
일을 찬다. 자신이 하는 일로부터 마음의 평안을 얻는데, 그것은
종교를 열심히 믿는 여성이 세상사를 모두 (하느님의 뜻)이라고
해석하여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혜스티아가
자신의 원형이라면, 그녀는 집안일을 끝냈을 때 마음 속으로부터
기분이 좋아짐을 느낄 것이다. 반면에 아테나가 자신의 원형이라면
집안일을 끝냈을 때 성취감을 느낄 것이고, 아르테미스는 이제
허드렛일을 끝내고, 나만의 시간을 만들었다고 한숨을 돌릴
것이다.
혜스티아가 그녀의 원형이 될 때, 여성은 집안일을 하면서
시간이 많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녀는 일을 하면서 한 눈은 시계를
보면서 몇 시인지 점검해 보는 일은 하지 않는데, 왜냐하면 그녀는
시간표에 맞춰 일을 하는 유형이 아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그녀는 그리스 사람들이 말하는 카이로스 시간이
된셈인데, 그것은 시간 자체에 참가한 것으로서, 심리적으로 아주
좋은 태도다.(우리들의 대부분의 경험이 시간 안에서 분실되는
것에 비해서). 빨래거리를 횐 빨래 검은 빨래로 분리하면서,세탁한
빨래를 개면서,설겆이를 하고 난장판이 된집안을 치우면서, 그녀는
허등대지 않고, 하나하나에 열중하면서 평온을 느긴다.
화로를 지키는 사람은 익명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언제나
배경으로 머물러 있다. 그들은 늘 당연하게 여겨지는
사람들이고,뉴스의 대상이 되거나 유명한 스타가 되지 않는다.
4. 신전의 화로 지키기
헤스티아의 원형은 종교적 집단에서 많이 보이는데, 특히 침묵을
강조하는 종교 단체에서 그러하다. 명상적인 카톨릭의 세계나
동양의 종교들은 명상에 기초하여 신심을 쌓는데, 이 러 한 종교는
혜스티아 여성에게는 좋은 환경 이다.
베스타 처녀들과 수녀들이 헤스티아 유형에 속한다. 수도원에
들어가는 젊은 여성들은 그 이전의 자기 모습을 포기한다. 그들의
이름은 바뀌고 그들의 성은 더 이상 불려지지 않는다. 그들은 같은
옷을 입으며, 자아를 없애려 노력하며, 순결한 삶을 살고,자신의
삶을 종교적 소명에 바친다.
동양의 종교가 서양인에게 점점 더 흥미를 끌면서, 우리는
헤스티아를 구현하는 여성들을 수도원뿐 아니라 (히피)부락에서도
볼 수 있다. 그들이 하는 훈련은 우선적으로 기도와 명상에 중점을
두는 것이다. 그들은 지역사회 봉사(혹은 집안살림)는 두번째로
비중을 푸는데, 지역사회 봉사나 집안일을 일종의 의식이라고
생각한다. 대부분의 성전에는 이름없이 자신의 구역에서 매일같이
예배에 참여하는 여성들을 볼 수 있는데 이들이 혜스티아라고 할
수 있다. 교회에서 사람들의 눈에 띄는 활동을 벌이는 여성은
혜스티아 원형에 다른 원형이첨가된 상태이다. 예를 들어서
아빌라의 성 테레사 St. Teresa of Avila수녀는 무아경의 글로
유명한데, 그녀는 헤스티아에 아프로디테가 합쳐진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마더 테레사 Mother Teresa는
모성적인 데미테르와 혜스티아가 합친 상태로 보인다. 영적인
자극을 받으면서 동시에 행정을 효과적으로 하는 뛰어난
어머리들은 대개 헤스티아에 덧붙여 아테나의 성향을 강하게
가지고 있다.
헤스티아의 가정파 신전은 가정에서 가정예배를 볼 때 합쳐진다.
유태인 여성이 가정예배를 위해서 종교적 예식의 저녁을 마련할
때, 우리는 그녀에게서 헤스티아를 얼핏 볼 수 있다. 그녀가
식탁을 준비할 때,그녀는 신성한 일에 완전히 물두되어
있는데,그녀에게는 이것이 카톨릭 미사 때,신부와 복사가 침묵속에
주고받는 행위만큼 신성한 것이다.
5. 지혜로운 할머니
올림푸스산에 있는 신들의 첫세대에 속하며 두번째 세대에제는
결혼 안한 고모가 되는 셈인 헤스티아는 존경받는 어른의 위치를
차지한다. 헤스티아는 주변 신들의 경쟁과 음모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으며 격렬한 감정에 휘말리는 경우를 피하려고 한다. 혜스티아
원형을 지닌 여성은 다른 사람들처럼 사건들에 의해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헤스티아를 내면에 지니고 있는 여성은 인간관계나 업적,
재산,특권,혹은 권력에 (애착심)을 갖지 않는다. 끄녀는 있는
그대로의 자기 모습에 충족감을 느낀다. 그녀의 자아는 주변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자신의 정체성에 의미를 두지않기 때문에
외부의 환경에 좌우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그녀는 살아가면서
전개되는 사건들에 의해 사기가 고양되지도,그령다고 비참해지지토
않는다. 그녀는 자신 안에 다음과 같은 모습을 지거고 있다.
그물 같은 욕망에서 벗어난 마음의 자유,
그 고통으로부터 풀려나,
이제는 나도 너도 나를 억누를 수 얼어,
고요함 속에 움직이는 하얀 빛과 같이,
혜안의 은총에 싸여 있네.
-T.S. 엘리어트, (네 개의 사중주) 중에서
헤스티아의 초연함으로 인해 이 원형은 (현명한 여성)의 기질을
갖게 된다. 그녀는 인생의 다양한 구비를 살아낸 할머니처럼,
연륜을 통해 그 기질은 부드러워졌지만 자신의 기상은 꺽지 않고
인생을 살아낸 모습을 지닌다.
헤스티아 여신은 신들을 모시는 신전에는 어디에서나 존경을
받았다. 혜스티아가 (신전)(혹은 기질)을 다른 신들(혹은 원형)과
공유할 때, 그녀는 자신의 현명한 생각을 이용하여 다른 신들(혹은
원형)이 목적을 이루도록 돕는다. 그리하여,헤라 여성이 남편의
불륜을 발견하고 괴로워할 때,그녀가 혜스티아 원형도 지니고
있다면, 그려는 헤라 원형만 지니고 있는 것에 비해 그렇게 상처를
많이 받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다른 원형들의 과도한 모습들은
헤스티아의 현명한 조언에 의해 개선되며, 헤스티아의 존재를
통하여 진실함과 영적 통찰력을 지닌 모습을 보여줄 수 있게 된다.
6. 안으로 향한 자아와 그 의미
혜스티아는 내부 중심적인 원형이다. 헤스티아 원형은 자신의
행위에 의미를 주는 (중심점)이며, 무질서와 흔란, 일상의 허덕임
속에서 여성에게 준거점을 제공하여 그녀가 우뚝 설 수 있는
기반을마련해 준다. 헤스티아를 기질로 지니고 있는 여성의 삶은
의미를 지닌다.
신성한 불길이 가운데서 타오르고 있는 헤스티아의 등근 화로는
만다라의 모습을 하고 있는데, 만다라는 명상을 할 때 이용되는
것으로, 전체 혹은 완벽함을 상징꾼는 것이다. 만다라의 상징적
의미에 대해서 응은 다음과 같이 썼다
가장 근본적인 특색은 성격의 핵심을 예고하는 것이다. 마음의
중심을 이루는 것으로서, 모든 것이 바로 그 중심에 연결되어
있고, 중심에 따라 모든 것이 배열되며,그 자체가 에너지의 원천이
된다. 이 중심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는 바로 자신의 본연의 모습을
드러내려는 거의 억제할 수 없는 충동에서 잘 나타나는데, 그것은
모든 생물이 어떤 상황에 놓여 있든지 각기의 본질적인 모습을
취하려고 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이 중심은 느껴지는 것도
아니고 에고라고 간주될 수도 없는 것이다. 굳이 표현하자면
그것은 자아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자아란 우리가 외부에 있는 사물의 핵심과 연결될 때 그
연결에서 하나됨을 느낄 때의 우리의 경험을 말하는 것이다.
이렇게 자아를 정의하고 나면,(연결)과 (분리)는 역설적이게도
같은 것이 된다. 즉 우리가 우리 마음 속의 따뜻함과 빛에 닿아
있음을 느낄 때(은유적으로 말해서, 영혼의 불에 의해 따뜻해지고
밝아질 때), 이 (불)은 사랑하는 우리의 가족도 따뜻하게 하며
멀리 다른 이들과의 관계도 유지하게 한다.
헤스티아의 신성한 불은 가정의 화로에서 그리고 신전의
화로에서 볼 수 있었다. 여신과 불길은 하나로서 가족과 가족을
연결하며, 국가와 식민지를 연결하였다. 헤스티아는 이들 모두의
영적인 연결망이었다. 헤스티아 원형이 영적인 중심이 되면서 다른
이들과 연결되어 있을 때,그것은 바로 자아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7. 헤스티아와 헤르메스: 원형의 이원성
기등과 원 모양의 테두리는 남성과 여성의 원리를 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왔다. 고대 그리스에서는,기등은 집안으로 들어가는
문 바깥에 서 있는 것으로 혜르메스를 표현하였고, 집안에 있는
등근 화로는 헤스티아를 상징하였다. 인도와 동양의 일부에서는
기등과 원은 서로 짝을 이루는 것으로 알고 있다. 똑바로 선
남성의 성기를 상징하는 기등이 여성의 성기를 상징하는 원을
통과하는 모습을 그린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인도와 동양에서는
이렇게 기등과 원을 서로 합쳐 있는 것으로 보았지만,그리스와
로마인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헤르메스미등)와 헤스티아(원)를
각자 분리시켰다. 이 분리를 더욱 강화하기 위하여, 헤스티아는
결코 통과되어지지 않을 처녀 여신으로,올림푸스산에서 가장
나이든 여신으로 상정되어졌다. 헤스티아는 헤르메스의
아주머니뻘이 되고, 헤르메스는 올림푸스산에서 가장 나이 어린
신이었다. 즉 이 둘은 가장 어울리지 않는 결합인 것이다.
그리스 시대 이후,서구의 문화는 언제나 이중성을 강조해 왔다.
남성성과 여성성의 분리, 정신과 신체의 분리, 논리와 감성,
능동적인 것과 수동적인 것의 분리는 곧 그에 걸맞는 가치의
분리를 낳아 뛰어난 것과 열등한 것으로 구분되었다. 헤스티아와
헤르메스가 둘 다 가정과 신전에서 숭앙을 받았을 때는,
헤스티아의 여성적인 가치가 더 중요했고 최고의 숭배를 받았었다.
그때의 이중성은 서로 보완적인 이중성이었다. 헤스티아는 그
이후로 가치가 전도되고 혀
지기 시작했다. 그녀의 신성한 불길은 더 이상 돌보아지지
않았으며, 그녀가 표현하는 것은 더 이상 존경받지 않았다.
헤스티아의 여성적인 가치가 잊혀지고 무시될 때, 마음 속의
신전(의미와 평화를 추구하여 자신 속에 침잠하는 것)의 중요성도,
안락함을 주고 신전과 같은 구실을 하는 가정꼭 중요성도 함께
잊혀지고 무시된다. 더구나, 주위 사람과의 연결의식도 사라지며,
자신이 속한 도시와 국가와 세계의 시민으로서 공동의 영적인
유대감으로 결속되어야 할 필요성도 줄어들게 된다.
8. 헤스티아와 헤르메스: 신비한 연결
신비로운 방법으로, 헤스티아와 헤르메스는 중앙에 놓여 있는
신성한 불길의 이미지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혜르메스-머큐리는 연금술의 혼인 머큐리우스였는데, 머큐리우스는
근원적인 불길로 글려졌다. 머큐리우스의 불길은 신비로운 지식의
원천이 되며, 지구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징된다.
헤스티아와 혜르메스는 영혼과 생명의 원형적인 사고를
보여준다. 헤르메스는 불길에 영혼을 드리우는 생명이다. 이러한
문맥에서, 헤르메스는 화로의 중심에서 사그러져 가는 석탄의
불길을 다시 꽃피우는 바람과 같다. 같은 방식으로, 우리의 생각은
마음 속 깊은'감정을 점화시킬 수 있고, 언어는 불명확하게 알려져
있는 것들을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하고,희미하게 인식되었던
것들을 비춰주는 일을 한다.
9. 헤스티아를 개발시키기
조용한 고적감 속에서 계획에 맞춰 집안일을 해나가는
여성에게서 헤스티아를 발견할 수 있다. 계획에 맞춰 집안일을
해나갈 때 여성은 각기의 일을 열중해서 하며 서두르지 않고 일의
결과를 즐기며 시간을 보낼 수 있다. 가장 헤스티아 같지 않은
주부도 한번은 이와 같은 헤스티아 유형의 태도로 집안일을 해냈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서, 장롱을 정리하기로 계획한 날에
쌓여진옷들을 버릴 것은 버리고 정리할 것은 정리하면서 지난
일들을 회고하고 앞으로의 일들을 기대하는 속에서, 물전들과 함께
자기 자신도 정리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그리고 그 결과로
주부는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는 정돈된 장롱을 갖게 되면서 동시에
유익한 하루를 보낸 것이 된다. 또는 오래된 사진들을 순서대로
분류하면서 앨범을 정리할 때 그 과정을 통하여 헤스티아 여성은
잔잔한 기쁨을 맛볼 것이다.
헤스티아 여성이 아닌 여성은 (헤스티아와 함께)(자기 자신 중
내향적이며 조용한 부분인) 시간을 보내기로 결정할 수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그들은 시간을 만들고 지낼 장소를
마련하여야 하는데, 특히 타자 지향적인 여성이면서 왕성한 활동과
대인관계로 시간이 채워져 있으며, "잠시도 쉴 틈이 없어요"
하면서 자랑 반 불평 반으로 말하는 여성에게는 특히 그러하다.
헤스티아 유형이 아닌 여성의 일상적 가사활동에 헤스티이-를
초대하기 위해서는 우선 헤스티아적인 태도로 바꾸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한 가지 일을 하기로 결정한 후에는,우선 그 일을 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마련해 놓아야 한다. 예를 들어서, 빨래를
개는 일은 바삐 일을 처리해 버릇하는 대닥수의 여성에게는
단순노동에 불과할 뿐이다. 그러나 헤스티아적 방식을 받아들였을
때, 빨래를 개는 일은 자신의 마음을 정돈하는 기회로 이용될 수
있다. 헤스티아가 있게 하기 위해서는 한 번에 한 가지 일을 하고
그 일에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며 한 번에 한 장소 혹은 한 방에서
일을 하며 자신이 가장 편한 시간에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 가지
일을 할 때에는 마치 일본의 다도 예식에 참여하는 것과 같은
마음으로 그 안에 빠지는 자세가 필요하며, 하나하나의 행동에
평온함을 지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단지 그때에만 마음 속
깊이 있는 고요함이 일상의 달각거리는 마음을 대신할 수 있을
것이다. 그 기준은 여성마다 다르며, 그 방법은 각자의 방식에
맞는 것으로 정해야 한다. 이런 과정에서 그녀는 처녀 여신이
된다. 더 이상 다른 사람의 필요나 기준에 따르는 하인이 되지
않으며, 시간에 쫓겨 압도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명상을 통하여 이러한 내부 지향적인 원형을 활성화시키고
강화시킬 수 있다. 일단 명상을 시작하면 매일의 습관이 되기
쉬운데 그것은 명상이 개인에게 소외되지 않은 자기 자신을
돌려주기 때문인 것으로, 마음의 평화와 조명을 얻음으로써
헤스티아에게 다가설 수 있다.
몇몇 여성의 경우,헤스티아의 존재가 느껴질 때 시상이 떠오르게
된다. 시인이며 작가인 메이 싸톤 Maysanon씨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시를 쓰는 일은 내가 평온한 마음이 되어, 깊이 침잠하고
균형을 이뤘을 때 가능한데, 그것은 내의지를 넘어선 것으로,
하나의 은총과 같이 시를 쓰게 되는 것이다. 그녀는 자아의 원형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이것을 그녀는 에고와 노력의 영역을
벗어난 은총으로 해석하고 있다.
10.예기치 않은 고독을 겪어 나가면서 레스티아를 발견하기
거의 누구나 일생의 한번은 예기치 않은 고독을 겪어 나가야 하는
기간을 갖게 된다. 그런 기간은 대개 이별이나,슬픔, 외로움,
그리고 혼자 있고 싶지 않은 그리움에서 시작된다. 예를 들어보자.
자유 기고가인 아디스 휘트만 Ardis Whitman은 어느 날 아침
남편이 급히 아침을 끝내고 허등지등 회사로 나간 후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남으로써 어처구니 없이 남편의 죽음을 맞게 되었다.
칠년이 지난 후, 아디스 휘트만은 예기치 않은 고독의 대가에
대해서 다음과 같
이 썼다. 그녀의 글은 헤스티아와 연결된 감정을 불러낸다.
비온 후에 처음 비치는 얇은 햇살처럼, 슬픔이 그러하듯이, 예기치
않게 들이닥친 고독에도 그 안에는 빈약하지만 따뜻함이 자라고
있다. 그 따뜻함은 추억에 의해서‥‥‥ 그리고 자신을 확인해
가는 과정의 흐름 속에서 느껴진다. 우리가 사람들에 뒤덮여서
살고 있을 때는, 우리가 지니고 있는 정열과 통찰력은 일상적
잡담에 의해 희석되어 간다. 그러나 인생 중 가장 위험한 순간들에
부딪쳤을 때, 우리는 그 위험한 사건들이 인간사의 가장 핵심적인
것(그로부터 우리의 영혼을 모양짓는)이라고 믿는다. 생명의 힘은
안으로부터 나온다. 그 안을 향하여 가라. 기도하고 명상하라.
자신 안에 있는 그 빛나는 장소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라.
헤스티아 여성은 조용한 성품과 밖으로부터 침해를 받지 않는
면에서, 그리고 주위에 언제나 평화롭고 따뜻한 분위기를 만들어
내는 데에서 헤스티아 여신과 같은 성향을 보인다. 헤스티아
여성은 대개 내향적인 여성으로서 고독을 즐기는 편이다. 최근에
나는 한 헤스티아 여성의 가정을 방문했는데, 집으로 들어서는
순간 집주인의 성격과 분위기, 그리고 화로의 여신인 헤스티아와의
연결을 금방 느낄 수 있었다. 집은 깨끗하고 밝으며 정돈되어
있었다. 식탁은 꽃으로 장식되어 있었으며, 방금 구어낸 빵은 김을
내며 맛있는 냄새를 풍겼다. 무언가 꼭 집어서 말할 수 없는 것이
집안을 조용한 수도원 같은 평화로운 장소를 연상시키게 했다.
캘리포니아의 타싸자라에 있는 선원이 생각났는데, 그곳은 외부
세계의 일들은 떨쳐지고 무한한 고요와 안정감으로 가득찬 곳이다.
1. 유년 시절
어린 시절의 헤스티아는 많은 점에 있어서 페르세포네의 어린
시절과 유사하다. 그들은 둘.다 유쾌한 성격을 지닌 다루기 쉬운
어린이들이다. (미운 세살)의 나이에도끼들은 고집부리지 않고
힘들게 하지 않으면서 그 기간을 넘어간다. 그러나 이 둘에게는
미묘한 차이가 있다. 페르세포네는 상대방의 눈치를 보며 상대의
비위를 맞추려고 노력한다. 헤스티아도 상대가 하라는 대로
따라하며 순종적으로 보일지 모르나,헤스티아는 홀로 있을 때에
아무런 지시 없이도 만족하며 잘 논다. 어린 헤스티아는 조용한
성품과 흔자 만족해 하는 기질을 타고 났다. 헤스티아가 다쳤거나
화가 났을 경우에, 그 아이는 엄마에게도 가지만 마찬가지로
조용히 있기 위하여 자기 방에서 흔자만의 시간을 보내면서 자신을
위로한다. 가끔, 사람들은 그 아이가 보여주는 내면의 모습과
지혜와 평안을 보여주는 영흔에 끌리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헤스티아 소녀는 사람들의 주목을 받기 위해 애쓰지 않으며
사람들의 반응에 민감하지도 않다. 아이가 자기 방 정리를 할 때,
아이는 그 일로 칭찬을 받을것이다. 그런 칭찬에 고무되면, 아이는
자신만의 방에서 나와 가족과 합류하며 나아가 사회생활도 즐길 수
있게 될 것이다.
2. 헤스티아의 부모
헤스티아 여신은 리아와 크로노스 사이에 태어난 첫번째
자식으로서, 크로노스가 자식들을 삼켜 버렸을 때는 첫번째로
삼켜졌으며, 다시 토해낼 때는 제일 마지막의 순서였었다.
그러니까 헤스티아는 형제들 중에서 가장 오랫동안 아버지의
깜깜하고 무서운 뱃속에서 지낸 셈이 되며, 그 안에서 유일하게
홀로 지낸 셈이다. 헤스티아 여신의 어린 시절은 결코 행복한 삶이
아니었다. 크로노스는 강압적인 아버지로서 자식들에게 따뜻한
마음이 전혀 없었다. 반면에 리아는 전혀 힘이 없었고 크로노스가
마지막 자식까지 다 삼켜 버리는데도 그것을 막기 위해 어떤
노력도 기울이지 않았다. 자식들 중에는, 헤스티아가 그나마 자기
힘으로 어떻게든 해보려는 태도가 가장 강했다.
내가 정신과 의사로서 임상시 본 헤스티아 여성의 몇몇은 마치
혜스티아 여신의 어린 시절과 같은 삶을 살았는데, 폭력적이고
강압적인 아버지와 그것을 말릴 아무 힘도 없이 우울증에 빠져버린
어머니를 둔 경우였다. 그들은 어린시절을 심리적으로
아무에게도의지하지 않고 버터왔는데, 폭군 같은 아버지의 욕구에
따라 아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무시되고 아이들의 감정은 다
묵살당하는 집안에서 지내왔다. 이런 환경에서 아이들은 대개
자신의 부모를 닳는다. 강한아이, 특히 아들들은 동생들 위에
군림하려 하거나, 가출하여 거리의 부랑아가 된다. 딸들 중에는,
힘이 없지만 모성애가 있는 딸은 데미테르 유형을 따라 자신의
동생들을 대신 돌봐줄 것이며, 헤라의 유형을 따르는 작은 나이가
들자마자 남자 친구를 사귀어 탈출구를 찾으려 할 것이다.
이런 환경에서 혜스티아 딸은 감정적으로 움츠러 있으며, 이
고통스럽고 갈등이 많은 가족들로부터 벗어나기 위하여, 그리고
자기에게 전혀 낮설은 학교환경으로부터도 벗어나기 위하여 자꾸
자기 안으로 침잠하게 된다. 부모에게 그랬던 것처럼 헤스티아
딸들은 형제들과도 분리되고 소외됨을 느낀다. 그리고 사실상
그녀는 형제들과는 정말 틀리다. 그녀는 남들의 눈에 띄지
않으려고 하며, 표면적으로는 적어도 복종적인데, 주변 사람과
다른 점은 내적 확신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녀는 어떤
상황에서나 겸손해 하며 사람들에 묻혀 있어도 홀로 있음을
유지한다. 따라서 헤스티아 여성은 사실상, 마치 헤스티아 여신이
그랬던 것처럼 구체적인 개성을 형성하지 않는다.
그와는 대조적으로, 평범한 중산충 가족에 자기를 지지해 주는
부모를 둔 헤스티아 딸의 경우 겉으로 보기에는 헤스티아의 특성을
보이지 않을지도 모른다. 유아원에서부터, 아이는 사람들이 아이의
내성적인 면을 가리켜 표현하는 말인 <소극적이고 부끄러워하는
성향>을 고치도록 지도받을 것이다. 따라서 아이는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유쾌하고 사교적인 성격을 개발하게 된다. 아이는
학교에서는 공부 잘하고, 피아노 레슨부터 발레에 이르기까지
다재다능하며,고등학생이 되어서는 남학생과 미팅도 할 수 있기를
기대받는다. 그러나 외부적으로 어떻게 보이든, 그녀의 진실된
모습은 헤스티아다. 그녀는 독립적이고 초연하며, 자신의 마음
속에서부터 나오는 감정적인 평온함을 지니고 있다.
3. 사춘기와 청년기의 헤스티아
사춘기의 헤스티아는 친구들간의 반목과 갈등에 끼이거나, 진한
열정에 사로잡히는 일이 드물다. 이런 점은 헤스티아 여신이
올림푸스산의 신들간의 사랑의 암투나 전쟁에 전혀 개입한 적이
없었던 것과 유사하다. 그 결과로 헤스티아 소녀는 학생환동의
중심을 차지하지 못하고, 다른 학생들에게는 고립된 것으로
보일지도 모른다. 혹은,그녀가 다른 성향도 개발시켰다면 그녀는
친구도 있고 학교 활동도 참여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그녀의
친구들은 그녀의 조용하면서도 한결같은 따뜻함을 좋아할 것이다.
비록 때때로 서로 논쟁이 붙을 때 전혀 자신의 입장을 택하지
않음으로써 상대를 화나게 하여, 좀더 경쟁적이었으면 하는
아쉬움은 남기지만 말이다.
사춘기는 혜스티아 소녀에게 종교적인 믿음이 심화되는 시기이도
하다. 이때 만약 그녀가 종교를 평생의 직업으로 택하려고 한다면
부모와 직접적인 갈등에 부딪치기도 할 것이다. 비록 몇몇 카톨릭
가정들은 딸이 수녀의 소명을 받은 것 같다고 하였을 때
기뻐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가정은 딸이 이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할 때 당황함을 금치 못하게 된다. 최근에는 헤스티아 딸들은
70년대 이후 밀어닥친 동양의 종교에 심취해 왔다. 헤스티아 딸이
사원에 고외국말로 찬송을 하고,새로운 이름을 사용할 때 대부분의
부모는 충격을 받으며, 지금까지 그래왔던 것처럼 얌전하고 말
잘듣는 헤스티아 딸의 신념을 쉽게 바꿀 수 있을 것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혜스티아 여신이 확신을 가진, 중심이 있는 처녀
여신이었던 것처럼, 헤스티아 딸도 대개는 부모의 말을 듣기보다는
자신을 뜻을 쫓는다.
헤스티아 여성이 대학에 갈 때, 그녀는 대학의 큰 규모에 따른
익명성과 자기만의 공간을 갖게 된 것을 즐긴다. 그러나 단지
헤스티아 성향만을 지닌 여성이 개인적인 욕구로 대학에 가는 일은
드물다. 왜냐하면 지적 욕구의 충족과 장래 남편감을 찾는
일,그리고 자신의 직업을 준비하는 일은 헤스티아의 관심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등기가 있으려면,다른 여신들이 존재해야 한다.
대학에 들어가는 대부분의 혜스티아 여성들은 다른 원형도 자신
안에 있거나 주변 사람들의 권유에 따른 것뿐이다.
4. 직업
경쟁적인 일터는 헤스티아 여성의 가치를 알아주지 않는다.
혜스티아 여성은 야심과 추진력이 부족하다. 그녀는 남들이 인정해
주기를 바라지도 않고, 권력에 가치를 두지 않으며, 경쟁에 앞서기
위해 전략을 짜는 일은 그녀에게는 전혀 낯선 일이다. 그 결과로
헤스티아 여성은 사무실 내에서 전통적인 여성의 일을 맡게
되는데, 이때 그녀는 전혀 눈에 띄지 않으며 항상 거기에 있는
사람으로 간주된다. 그녀는 언제나 변함 없는 자세로 일하는
사무실의 (보석)이며, 사무실의 정치와 소문에서 벗어나 있으며,그
대신 질서와 따뜻함을 마련해 준다. 헤스티아 여성은 커피를
대접하고 사무실을 장식하는 일을 즐긴다.
헤스티아 여성은 고요함과 인내심이 요구되는 직업에서 뛰어남을
발휘한다. 한 예로 사진 작가들이 선호하는 사진 모델은 헤스티아
여성이다. 헤스티아 여성의 눈에서는 안으로 향한 시선을 볼 수
있으며, 자신이 의식하지 못하는 우아함과 기품이 그녀의 자세에
모아져 있는 듯이 보인다고 한다.
많은 헤스티아 여성들이 이 렌즈의 다른 쪽,즉 사진작른의
역할에서도 뛰어남을 발휘할 수 있다. 헤스티아의 인내심과
고요함은 장 정확한 순간을 찾아서, 가장 순간적인 자세를 포착할
수 있는 순간을 기다려야 하는 사진작가의 역할과 들어맞기
때문이다. 헤스티아는 또한 다른 원형과 짝을 이루어 한 여성의
성향을 이를 때에 상대 원형에 헤스티아의 성향을 가미함으로써
훌릉한 팀을 이루게 한다. 한 예로,내가 지금까지 들어본 중에
가장 훌릉한 탁아소 선생
님은 데미테르와 헤스티아를 합친 모습을 하고 있었다. 그
선생님의 동료들은 너무나 쉽게 아이들을 이끌어 나가는 그녀의
모습에 감탄하곤 했다. "그 선생님은 결코 기진맥진하지 않아요.
아마도 아이들이 선생님이 지닌 고요함을 알아보는 것 같죠. 그
선생님은 수많은 아이들이 서로 선생님의 관심을 끌기 위해서
경쟁하는 교실을 따뜻하고 활기 있는 교실로 바꾸어 놓아요. 그
선생님은 결코 허둥대지 않으며, 한쪽에서는 완전히 집중하여
아이들을 돌보고, 다른 쪽에서는 아이를 안아주며, 게임이나 책을
읽도록 하면서, 아이들을 차분하게 가라앉히죠."
5. 다른 여성과의 관계
헤스티아 여성에게는 서로 가끔씩 만나는 가까운 친구가 몇
있다. 이들 친구들도 헤스티아 성향을 지녔을 가능성이 많으며
서로가 서로에게서 평안함을 느낀다. 헤스티아 여성은 소문이나
남의 얘기를 하지도 않으며, 지적인 혹은 정치적인 토론도 하지
않는다. 그녀의 재능은 따뜻한 마음을 갖고 상대방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데 있다. 친구가 내놓는 얘기가 무엇이든간에 그녀는
자신의 중심을 잃지 않으며 자신의 화로로 항상 따뜻한 장소를
마련해 준다.
6. 성생활
헤스티아가 지배적인 원형일 때, 성은 그녀에게 중요한 것이
못된다. 재미있게도 이것은 그녀가 성감이 있는 경우에만
그러하다. 헤스티아 여성과 그녀의 남편은 막상 성관계를 맺기까지
성은 잠복기에 머물고 있음을 말하곤 했다. 한 남편은 말하기를,
"그런데 일단 성관계를 시작하면 그녀의 반웅은 대담해지지요"라고
한다. 한 헤스티아 여성은 적극적일 때는 한 달에 한 번쯤 아니면
두달에 한 번쯤 성관계를 갖는 남편과 지냈다. 그녀는 자신이
성교가 있기 전의 아주 짧은 동안의 애무에도 곧 성감을 느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녀는 성관계를 맺을 때는 그것을 즐겼지만
또한 성관계를 갖지 않을 때에도 그 자체로 전혀 불만이 없었다.
그런 여성에게서 헤스티아 유형은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아프로디테의 성이 사랑을 하는 동안에는 거기 있으나 다른
경우에는 전혀 없
는 셈 이다.
전혀 성감을 느끼지 못하는 혜스티아 여성은,성을 남편을 위해
즐겁게 제공하는 (멋있고,따뜻한 경험)으로 본다. "남편이 내 몸
안으로 들어을 때 기분이
좋지요. 남편과 가까워진 기분이며, 남편을 즐겁게 해준다는 생각
때문이지요."
남편에게 있어, 혜스티아 아내와의 성관계는 (집에 돌아온 듯한)
혹은 (수도원)에 돌아온 듯한 평온함을 준다.
동성연애를 하는 헤스티아 여성에게도 이 점은 같다. 즉
성관계는 그 자체로 대단한 것이 아니다. 만일 상대방이 그녀처럼
성생활을 능동적으로 생각하지 않고 수동적으로 생각한다면,
그리고 상대방이 서로 먼저 관계를 시작하기를 바란다면, 그들의
관계는 전혀 성적인 표현 없이 몇 달 동안 혹은 몇 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7. 결혼
헤스티아 여성은 (양처)라는 전통적인 유형에 잘 어울리는
타입이다. 그녀는 집안살림을 잘한다. 자기 자신이나 남편에
대해서는 욕심이 없기 때문에 남편과 경쟁하려 들지도, 반면에
남편을 닦달하지도 않는다. 끼가 있거나 분방하지도 않다.
헤스티아 여성에게는 헤라 여성에게처럼 남편의 정절이 절대적으로
중요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녀 자신은 헤라처럼 정절을 지킨다.
적어도 아프로디테의 영향을 받지 않는 한, 헤스티아 여성은
외도를 하고 싶을 정도의 유혹을 느끼는 경우가 드물다.
헤스티아 아내는 전형적인 아내로서의 안락한 삶을 유지하는
여성, 의존적인삶에 만족하는 여성으로 비춰질지 모른다. 그러나
사실은 그렇지 않다. 혜스티아 아내는 무게 중심이 자기 안에
있다. 그녀의 침착한 분위기는 자기 안에서 충족된 삶을 살았던
혜스티아 여신의 성향으로부터 나온다. 감정적으로 충족된 느낌을
경험하기위해서 남편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다. 물론 남편이
없었다면 그녀의 인생은 많이 달라졌을 것이다. 그렇지만 인껑의
의미와 목은 달라지지 않는다.
기혼여성의 전형적인 역할 수행에 대한 묘사는 가장 활성적인
여신의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헤라는 (아내)의 역할에 치중하며,
데미테르는 (어머니)의 역할에, 아테나는 집안 살림을 효율적으로
경영하는 (안주인)의 역할을 보여준다. 헤스티아의 역할은 (집을
따뜻한 가정으로 만드는 주부)에서 보여진다.
8. 남성들과의 관계
차분하고,자기 주장이 강하지 않으며,욕구가 강하지 않은,좋은
아내감을 찾는 남성에게 헤스티아 여성은 매력적인 여성으로
다가온다. 그러한 남성은 자신이 집안의 가장이며 집안의 경제를
자신이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반면에 성적 매력이 있는
여성,자신에게 자극을 주는 여성,혹은 자신의 사회적 성공의
동반자를 뭔하는 남성은 혜스티아 여성이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여성은 성녀 아니면 창녀라는 이분법으로 여성을 인식하는
남성에게 헤스티아 여성은 매력적인 여성으로 다가온다. 이런
남성은 여성이 성경험이 없고, 성에 대한 관심이 없을 때
(성녀)라고 보며, 따라서 좋은 여성이라고 생각한다. 반면에
여성이 남성에게 매력을 느끼며 성적인 반응을 보일 때 그녀는
(나쁜)여성이며 방탕한 여성으로 분류된다. 이런 유형의 남성은
(좋은) 여성과 결혼
하고 (나쁜) 여성과 외도한다. 이런 유형의 남성과 결흔한
헤스티아 여성은 성감을 느끼지 못한 채 성생활을 계속한다. 그
이유는 성욕을 갖고 성적인 반응을 하는 아내를 이 남성은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결혼 생활의 많은 경우가 바로 이러한 헤르메스 남편과
헤스티아 아내의 결합을 보여주고 있다. 바깥 세계에서 바쁘게
사업에 몰두하는 남편, 그리고 항상 따뜻한 가정을 유지해 나가고
있는 아내는 전형적인 예이다. 이러한 결합은 양쪽 모두에게
유익하기도 하다. 각자는 서로가 하는 일에 대해서 만족해 한다.
그리고 서로에 대한 만족감은 상대의 일을 간접적으로 도와주는
결과를 낳는다. 남편은 집안일에 신경쓰지 않아도 되게 해주는
아내에게 마와 하는데, 그것은 아내가 집안을 잘 꾸려가고 있고,
특히 남편을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을 위해서 하고 있으며, 그리고
가끔씩 집에서 휴식을 취할 때 언제나 따뜻하고 편안한 가정을
마련해 주기 때문이다. 남편은 아내의 가정적인 성향과 독림심의
조화를 좋아한다.
반면에 아내는 자기 마음대로 집안을 꾸려 나갈 수 있고 그걸
가능하게 해주는 남편의 경제적 지원을 고마와한다. 더구나
헤르메스 남편은 원래 언제나 진취적이고,누구의 조언도 받지 않고
사없을 확장하고,계약을 맺으며, 자신의 판단에 따라 결정하는
성격이기 때문에, 그는 헤라나 아테나와 같은 동반자로서의 아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는 사업상의 출장이나 파티에
아내를 동반하려 하지 않는데,그것은 바로 헤스티아 아내도 바라는
일이다.
그녀는 집에서 손님을 치르기를 더 원하는데, 손님 맞을 준비를
하기 위하여집안을 정돈하고, 음식을 준비하며, 남편이 앞에서
손님과 대화를 나누는 중에 자신은 뒤로 물러나 있기를 원한다.
그녀가 파티 준비를 위해 한 노력은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고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게 해준 그녀의 노력은 부각되지 않기가
쉽다. 헤스티아 여신처럼 헤스티아 아내도 비록 그녀가 핵심적인
일을 했어도 그것이 부각되지 않는 게 그녀의 운명인 것처럼
보인다.
9. 자식과의 관계
헤스티아 여성은 훌릉한 어머니가 될 수 있는데,특히 자신 안에
데미테르의 성향을 약간이라도 지니고 있을 경우에는 그러하다.
헤스티아가 자기 내부에 침잠할 때, 아이들에게는 어머니가 거리감
있게 느껴지고 어머니가 사랑을 표현하지 않는다고 생각될 수
있다. 그러나 대개의 경우 혜스티아 어머니는 아이들에게 관심을
갖고 돌봐주는 편이다. 헤스티아 어머니는 자석들에게 욕심을 내지
않기 때문에 아이들이 있는 그대로의 자기 모습을 피어나갈 수
있다. 아이들을 보살퍼는 것을 당연한 자신의 일로 생각하고
있으며, 따뜻하고 안전한 가정 분위기를 만들어 낸다. 그렇기
때문에 헤스티아의 자녀들은 가출을 한다거나 반항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만일 헤스티아의 자녀들 중, 후에 정신질환을 겪는
환자가 나온다면, 그것은 어머니와의 갈등에 따른 문제 때운은
아니다.
그러나 아이들이 사회생활을 하면서 경쟁적인 상황이나 미묘한
상황에 놓여있을 때, 헤스티아 어머니는 많은 도움이 되지 못한다.
또한 자식이 야심을 가지고 사회적 성공을 향하여 나아갈 때도
혜스티아 어머니는 도움을 주지 못한다.
10. 헤스티아 여성의 중년
중년의 나이에 이르러 대개의 헤스티아 여성의 삶은 안정을
이루게 된다. 결혼을 한 상태라면 자신의 역할에 만족하는 '주부의
모습을 하고 있을 것이다. 결혼을 하지 않은 상태라면 올드 미스나
사감 선생 같은 모습을 하고 있기 쉬운데, 그 이유는 노처녀라는
사실을 개의치 않으며 다른 여성처럼 남성을 유혹하기 위하여
치장하지를 않기 때문이다. 만일 그녀가 사무직 여성이거나
수도원에 살고 있다면, 그려는 조용히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어서 그 기관의 가구처럼 반드시 필요하지만 눈에 띄지는 않는
모습을 하고 있기 쉽다.
중년에 이르러 헤스티아 여성은 공식적으로 종교활동을
시작하며, 수도원에 가거나,이름을 바꾸고,종교적인 생활에
전념하는 모습으로 전환될 수 있다. 그녀에게는 이런 변모는
당연한 귀결로써,평상시의 습성이 전심전력하는 모습으로 심화된
것일 뿐이다. 그러나 주위 사람들에게는 이런 변모가 전혀 예기치
못한 것일 수 있는데, 말없는 헤스티아가 자신의 삶의 이런 중요한
부분을 결코 떠벌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11. 헤스티아 여성의 말년
항상 (지혜로운 할머니)의 모습을 지니고 있는 헤스티아 여성은
노년의 삶을 우아하게 맞이하게 된다. 그녀는 홀로 살 준비가 되어
있으며, 아마도 일생 동안 이미 그렇게 해왔을 것이다. 혹은
노처녀 고모라는 원형의 역할에 맞게, 친척들의 요구로 그들을
도우며 샅고 있을지도 모른다.
전통적인 여성에게 있어서 일생 중 가장 큰 두 번의 감정적
위기는 자식들이 커서 품안을 떠났을 때와 남편이 죽었을 때일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헤스티아 여성의 경우,그들이 아내이며
어머니지만,아내나 어머니 역할에 대한 마음속으로부터의 욕구는
없다. 따라서 어머니의 역할이나 아내의 역할을 더 이상할 수 없게
되었다고 하여 데미테르나 헤라 여성처럼 우울증에 빠지지는
않는다. 헤스티아 여성에게 힘든 일은 바깥세상과 어울려 살아가는
일이다. 만일 헤스티아 여성이 이혼을 하거나 남편이 죽어서
경제적 해결을 위하여 돈을 벌어야 할 경우가 있다면, 본질적으로
그녀는 준비가 안된 상태이며, 경험이 있다하더라도 사회생활에서
헤스티아 여성이 성공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그녀는 점잖지만
가난한 집단에 속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노년의 헤스티아 여성은 정부의 연금에 의존해서 근근히 살아갈
가능성이 크다. 그링지만 적어도 정신적으로는 빈곤하지 않다.
그녀는 말년을 흘로 보내면서, 지나온 생에 대한 원망이나 후회
없이 그리고 다가을 죽음에 채한 공포 없이 살아간다.
IV. 심리적인 어려움들
헤스티아는 내면의 지혜를 지녔지만 그 대신 자신의 이미지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헤스티아가 정신병을 앓을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사실에 대해 놀랄 바가 못된다. 헤스티아 여신은 다른
신이나 인간과 사랑에 빠진 일이 없는데, 이러한 초연함은 대개
보통의 여성에게 외로움과 소외된 듯한 느낌을 주게 마련이다.
그러나 헤스티아 여성에게 있어서의 문제점은 이런 외로움이
아니라 바로 헤스티아 여신에게서도 찾아볼 수 있는 자신의 이미지
창출의 부족에 있다. 올림푸스산의 신들 중에서 오직 헤스티아만이
인간의 모습으로 의인화되지 않았었다. 그녀는 자신의 모습이 없는
것이다. 그리고 그녀는 사랑의 모함이나 신들 간의 갈등에도
휘말리지 않았다. 헤스티아는 그런 면에서 자기 주장을 펼 수 있는
기술과 연습이 부족하다.
1. 나는 헤스티아인가?
헤스티아처럼 산다는 것은 조용히,눈에 띄지 않게, 없는 듯이
지내면서도 사실상 집안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대부분의 여성은 이런 식의 삶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알고 있다. 쪽
그들의 노동은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고 그들의 기분이 어떤지는
관심의 대상이 되지 않는 것이다. 헤스티아 여성은 자기 주장이
강하지 못하고 무시당한다고 느껴질 때도 그것을 표현하지 못한다.
집안을 말끔히 정돈하면서 얻었던 마음의 평화와 안정은 식구나
다른이들이 집안을 어질러 놓자마자 사팔져 버린다. 집안을
아늑하게 하는 헤스티아의 노력이 별 효과가 없다고 느껴질 때,
헤스티아는 완전히 지쳐 버리게 된다.
감정적으로 초연한 헤스티아의 성향을 지닌 여성은 자신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못한다. 혜스티아 여성은 자신의
사랑을 간접적으로 표현하며 주로 행동으로서 다른이에 대한
자신의 관심을 보여준다. (깊은 물은 조용히 흐른다)는 속담이
속깊은 마음을 가지고 있는 헤스티아의 성격을 잘 표현해 준다.
그러나 헤스티아 여성은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지를 않기 때문에,
그녀에게 매우 소중한 사람들도 자신이 그런 인물이라는 것을
모르기가 쉽다. 그렇게 하여 그녀가 마음 깊이 아끼는 사람들이
그녀의 마음을 알지 못하고 떠날 때, 혼자 남은 헤스티아는 그녀가
가치를 두는 고요함이 외로웅으로 변하여 있음을 보게 된다. 같은
맥락에서 혜스티아 여성의 사랑을 얻기를 원하는 사람이 정작
그녀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어도 확신하지 못하는 안타까운 경우가
생긴다. 그녀의 따뜻한 사랑은 말이나 포옹으로 표현되지 않는
이상,초연해 보이고 상대방에게 향해 있는 것이 아닌 일반적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헤스티아적인 것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혜스티아 여성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법을 배워서 그녀가
사랑하는 사람이 그것을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헤스티아에 대한 과소평가
혜스티아 여성이 수도원 생활이나 결혼을 통해 평생을 바칠 것을
약속했을때 그 제도들 안에서 헤스티아 여성의 마음은 자란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의 보호가 없을 경우 헤스티아 여성은 결정적인
약점을 갖제 된다. 그녀는 자신이 마치 갑옷이 빠진 거북이 같다는
생각이 들고,쓸데없는 경주에서 이기기를 강요당하는 느낌을
받는다. 헤스티아는 본래 사회생활에서 야심을 가지고 성공하려고
하거나 사교적인 성격이 아니다. 그녀의 삶의 의미는 세상에 어떤
족적을 남기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그런 일에는 관심도 가지지
않는다. 헤스티아의 이런 태도는 사회에서 눈에 보이는 성공에
따라 사람을 평가하려는 사람들의 눈에는 우습게 보이고
과소평가될 수도 있다.
사람들의 과소평가는 헤스티아 여성의 자존심에 나쁜 영향을
끼친다. 한편 헤스티아 여성이 다른 사람들의 기준을 자기
자신에게 적용하여 행동하려고 할 때, 그녀 자신 적성에 안 맞고
뭔가 삐걱거린다는 느낌을 갖게 될 것이다.
V. 성숙해지기
헤스티아 여성의 문제는 그녀가 가정이나 수도원에서 나와
사회생활을 하려할 때 시작된다. 내성적인 그녀가 경쟁적이며
빠릿빠릿한 사람들과 접촉하게 되면서, 그녀는 자신의 잠재된 다른
성격을 개발시키지 못하는 한, 계속 제자리를 못 찾고 있다는
느낌을 갖게 될 것이다.
1. 사회생활에 어울리는 모습을 개발할 것
(모습)이라는 말은 한때 가면을 뜻하는 말이었는데, 무대 위에서
가면을 쓰고 있으면 그 자체가 배우의 역할을 설명해 주는
것이었다. 응의 심리학에 따르면,모습이란 한 인간이 세상에
보여주는 적응의 가면이다. 연기를 잘하는 모습의 개인은 마치
옷을 많이 지니고 있는 여성이 때와 장소와 신분, 나이에 맞게
옷을 갈아입는 것과 같다. 어떻게 행동하고 말하며 사람들과
사귀어야 하는가 하는 것들은 모두 (모습)을 연출하는 데 필요한
요소들이다.
헤스티아 여성은 본래 등장인물의 관심들, 즉 사람들의 동정과
그들에게 어떻게 하면 좋은 인상을 줄 수 있는가 하는 것들에는
관심이 없다. 그러나 그녀가 다시 수도원으로 돌아가지 않는
이상,그녀는 사람들과 사귀어야 하고, 이야기를 나누며,
사람들로부터 관찰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 점은
경쟁적인 문화에 살고 있는 우리 모두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
헤스티아 여성은 이런 기술을 갖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배워야
한다. 그러나 이 배우는 과정은 고통스럽기 쉽다.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에 갈 때, 그녀는 어색하고, 겸연쩍으며, 부끄럽고,
편하지가 않다. 그녀는 자신이 알맞은 등장인물이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마치 옷을 걸치지 않은 느낌이다. 이런 고통은 그녀가
꾸는 악몽에서도 나타나는데, 꿈속에서 그녀는 나체이거나 반쯤만
옷을 입은 것으로 나온다. 때때로 꿈속의 비유와 걸맞게, 다른
사람 같았으면 덮어두었을 것도 그녀 자신 너무 솔직하고 자신을
드러냄으로써 사람들이 그녀의 비밀을 다 알아버리게 한다.
면접시험을 보거나 남의 평가를 받아야 할 경우, 헤스티아
여성은 자신이 연출해야 할 모습에 대해서 신중히 생각해야 한다.
이것은 이력서에 기울이는 정성만큼(이력서가 서류상의
등장인물이라고 할 때) 정성을 들여야 하는 문제이다. 사람들을
만날 때마다 헤스티아 여성은 자신이 어떤 모습을 연출야 하는지
구체적인 모습을 상정해 놓을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양한 모습들을 의도적으로 시도해 본 후 자신에게 어울리는
모습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2. 적극적이 될 것: 아르테미스, 아테나, 혹은 남성적 요소를
길러냄으로써
<모습> 말고도 헤스티아 여성에게 필요한 것은 적극성이다.
의도적으로 적극적인 기질을 귀움으로써 사람들과 사귀며
사회생활을하는 데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헤스티아 여신은 권력
싸움에 휘말린 적이 없고 황금의 사과를 따기 위해 경쟁한 적도
없다. 헤스티아 여신은 연애를 한 적이 없으며, 올림푸스산에서
벗어났으며, 트로이 전쟁의 배후에 있지도 않았고, 자신이
선호하는 인간을 위하여 수호신이 된 적도, 혹은 자신의 분노의
대상으로 인간을 벌한 적도 없다. 그러나 헤스티아 여성은
혜스티아 여신이 아니다. 그녀는 사람들 사이에 둘러싸여 있으며
집안에만 머물러 있을 수는 없다. 하지만 그녀 안에 다른 원형이
함께 있어서 적극적인 기질을 갖고 있지 않는 한 그녀는 경험이
부족한 인물일 수밖에 없다. 아르테미스와 아테나 원형이 그녀의
부족한 측면을 도와줄수 있으며, 그녀의 성격 중 남성적인 부분,
즉 남성적인 여성성(에니머스)의 개
발이 그녀를 도와줄 수 있다.
헤스티아 여성이 경쟁적인 활동이나 여름 캠프, 옥외 운동에
참여해 왔다면, 그리고 학교에서 우등생이라면 아르테미스나
아테나 성향은 이미 그녀 안에서 개발돼 왔을 것이다. 기본적으로
헤스티아 유형인 소녀는 이미 성장하면서 자신이 사람들과 어울려
살아야 하며 외향적인 기질을 개발시켜야 함을 느꼈을 것이다.
그리고 그런 과정에서 다른 원형들을 개발시켰을 것이다. 그
결과로 그녀는 자신의 성격에 아르테미스나 아테나의 성향도
지니게 된다.
헤스티아 여성은 그녀의 경험세계가 어떻든 간에 자신의
본질로서 여성적이고, 내성적이고 조용한 헤스티아의 모습은
변하지 않는다고 느낄 것이다. 대신, 경쟁적인 사회생활을
지속하면서 그녀는 남성적 태도(에니머스)를 개발시킨다.훌륭히
개발된 에니머스는 헤스티아 안에 있는 남성이 그녀가 적극적이고
공격적일 필요가 있을 때 그녀 대신 말해주는 것과 같다. 그러나
이 남성이 아무리 자기 역할을 잘한다 해도 그녀는 자신이 이
남성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헤스티아 여성이 자신 안의 남성성에 대해 갖는 태도는 혜스티아
여신이 헤르메스신과 맺는 관계의 모습과 유사하다. 그리스
신화에서 헤스티아 여신은 집안의 중심에 위치한 불길인 반면,
헤르메스는 집 밖에서 받쳐주는 기등이었다. 헤르메스는
여행자들의 수호신이었다. 헤스티아 여신과 헤르메스신이 자신의
모습인 여성은 헤스티아를 통해 자신의 내면의 모습을 만들어
가며, 혜르메스를 통해 사회생활을 효과적으로 하는 법을 배운다.
자신 안의 헤르메스적 남성성이 사회생활을 중재해 주고 있다고
느끼는 여성은 자신이 남성적 성향을 지니고 있음을 알며, 세파를
헤쳐나가는 데 있어 자신의 남성적 성향을 이용하여 분명하고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줄 수 있게 된다. 또한 그녀의 남성성은
그녀의 여성적 사생활을 보호해 줌으로써 그녀가 불필요한 방해를
받지 않아도 되도록 지켜준다. 헤르메스적 남성성을 통하여 그녀는
효과적으로 경쟁사회에서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남성성이 여성적 적극성(아테나와 아르테미스)을 보여주기
위하여 사용될 때는 별로 효율을 발휘하지 못한다. 예를 들면
그녀가 전화를 받았을 때, 기다렸던 친구 전화가 아니고 소비자
의식조사를 물어보는 강압적인 세일즈맨의 목소리일 때, 혹은
반상회에서 봉사활동을 하자고 강요할 때,그녀의 남성성은 전혀
효과를 보지 못하고 그녀는 어잴 줄을 모르게 된다.
시인이며 극작가이고 여권운동가이며 <<여성과 자연 Woman and
Nature>>의 저자인 수잔 그리핀 SusanGriffin은
헤르메스-헤스티아의 동맹인 그녀의 완전히 다른 두 모습을 잘
설명한다고 생각한다. 집안에 있을 때 그녀는 부드러운 여성으로서
부억에서 음식을 만들며 집안을 아늑하게 만든다. 그러나 이런
모습의 그리핀이 공적인 영역에서는 매우 날카롭고 분명하며
머리회전이 빠른, 정치적으로 능숙한 모습으로 변한다.
3. 자기 중심 지키기: 헤스티아에 충실함
아폴로와 포세이돈은 둘 다 헤스티아를 탐하려 하였다. 그러나
헤스티아는 그들의 욕망에 굴하는 대신 영원히 처녀로 남겠다고
결심하였다. 아폴로와 포세이돈을 거부함으로써 자신을 지키는
헤스티아의 상징적 의미는 바로 지성과 감성의 두 힘이 헤스티아를
자기 중심으로부터 끌어내는 데 실패했음을 뜻한다.
헤스티아는 자신의 생에 의미를 주는 정신적 근원이 되는 자아를
지니고 있다. 헤스티아의 이러한 중심성은 일단 그녀가 아폴로에게
굴복한다면 무의미하게 된다. 아폴로는 태양의 신으로서 로고스와
지성을 지닌, 논리와 이성을 중시하는 신이다. 만일 아폴로가
여성에게 그녀의 헤스티아적 처녀성을 포기하도록 설득한다면,
그것은 그녀 내부의 직감적인 느낌과 경험을 과학적 검증의 분석
아래 두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그녀가 말로 표현할 수는 얼지만
분명히 느끼는 것은 의미가 없게 된다. 지혜로운 여성으로서
그녀가 알고 있는 것들은 분명한 자료가 없는 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남성적)인 과학적 경험주의가 영적인 경험의 세계에까지
침범할 때 그리고 (입증)하라고 요구할 때, 이러한 태도는 대개
여성의 본래의 모습과 의미를 오염시킨다.
반대로 만일 헤스티아 여성이 포세이돈에 의해 이끌린다면,
그녀는 바다의 신에게 압도당하는 것이 된다. 포세이돈은 넘치는
감정에 함몰될 위험성을 지니고 있으며 무의식의 세계에 놓여 있는
거대한 감정들을 터뜨릴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감정의
범람에 위협을 느낄 때, 그녀는 대개 거대한 파도에 덮쳐지는 꿈을
꾸곤 한다. 그리고 실제 생활에서는 감정적으로 충전된 생활로
인해 그녀는 자기 중심을 잃게 될 것이다. 만일 감정의 격랑으로
인해 그녀가 우울증에 빠지게 된다면, 그것은 결국 포세이돈의
눈물 많은 열정이 헤스티아의 중심에 타오르고 있는 불길을
꺼버리는 결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아폴로나 포세이돈의 위협을 받을 때, 혜스티아 여성은 홀로
있으면서 자신의 중심을 찾을 필요가 있다. 고요함 속에서 그려는
다시 한번 자신의 중심을향해 갈 수 있다
제7장
상처받기 쉬운 여신들 셋
헤라, 데미테르, 페르세포네
상처받기 쉬운 여신들 셋은 다음과 같다. 결혼의 수호신인
헤라,곡식의 수호신인 데미테르, 소녀 혹은 지하세계의 여왕으로
알려진 페르세포네가 그들이다. 이 세 여신들은 각기 전통적
여성상으로 알려진 아내, 어머니, 딸의 모습을 의인화한 것이다.
이들은 관계지향적인 여신들로서, 자신의 의미를 상대방과의
관계의 성공에서 찾는다. 이들은 소속을 필요로 하는 여성의
욕구를 잘 보여주고 있다.
신화에서 이들 여신들은 남신들에게 강간당하고, 버림받으며,
억압받고 굴욕적인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온다. 각기는 상대방과의
관계가 파경에 이르거나 배신을 당했을 때 가장 고통을 받았다.
이들은 심한 무기력감을 느끼는데, 그 반응의 양식은 각기 달랐다.
헤라는 심한 분노와 질투로, 데미테르와 페르세포네는 우울증으로
나타났다. 그 양식은 정신질환적 증세와 유사한 것이다. 이러한
여신 원형을 지니고 있는 여성들도 또한 상처받기 쉽다. 헤라와
데미테르, 페르세포네에 대한 지식을 통하여 여성들은 사람들과의
관계를 필요로 하는 자신의 기질에 대해서, 그리고 그 관계를
상실했을 때 자신들의 예상할 수 있는 반응에 대해서 통찰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헤라, 데미테르 혹은 페르세포네가 지배적인 원형일 때,
여성들을 가장 강력하게 끄는 힘은 성취욕이나 자율성, 혹은
새로운 경험세계가 아니라 사람들의 관계이다. 관심의 방향은
사람들에게 있지, 사회적 목표의 달성이나 마음의 평화에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여신들을 원형으로 하는 여성들은 사람들에게
관심이 많고 그들의 반응에 민감하다. 관계를 맺고 있는 상대의
반응이 그녀들을 자극하는 촉진제가 되는 것이다. 남편이(헤라),
아이가(데미테르), 의지할 사람(페르세포네)이 있어야 하는 그녀들
자신의 욕구에 의해서,그리고 상대방의 관심과 사랑과 칭찬이라는
대가를 통해서 그녀들은 의미를 찾는다. 이들에게는 전통적인
여성상을 구현하는 일이 개인적으로도 의미 있는 일이 된다.
1. 의식의 특징: 사방으로 퍼진 불빛
이 세 여신들은 각기 특징적인 의식의 모습을 보여준다.
상처받기 쉬운 여신들의 특징은 그들의 의식이 분산되었다는 데
있다. 응 식의 정신분석가인 아이
린 클레몽 Ireneclaremonr은 분산된 의식을 (항상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고, 모든 생명체에 대한 자각,그리고 관계를 맺을
준비가 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 하였다. 이런 의식의 특징은 남녀
모두에게 있어 관계지향적인 성향을 보여주는 것이다.
거실을 밝혀주는 램프의 은은한 불빛은 빛이 닿는 곳마다
부드럽게 감싸주는데 그 모습은 세 여신의 성격과 유사하다.
그것은 일상적인 것에 대한 통찰력으로 감정의 미묘한 차이를 느낄
수 있고, 상황의 독특한 분위기를 감지하며, 앞에서 표현되는 것
뿐 아니라 뒤에서 나는 소리에도 귀기울이는 모습이다. 분산된
의식을 통하여 부모는 아이가 얘기 끝에 훌쩍거리는 소리에
귀기울일 수 있고, 아내는 남편이 집안으로 들어설 때 기분이 상해
있는지 회사일에 시달리고 있는지(남편 자신이 알기도 전에) 알 수
있다. 이렇게 수용적이고 분산된 의식은 상황을 총체적으로
파악하는 반면, 아르테미스, 아테나, 헤스티아의 집중적인 의식은
관심을 갖는 한 가지 요소에만 초점을 맞추고 나머지 것들은
무시한다.
내가 겨우 기저귀를 멘 아이 둘을 데리고 있을 때,내 태도는
자연히 분산된 의식의 상태로 바러면서 아이들로 향하게 됨을
알았다. 내가 아이들과 같이 있을 때, 내 마음은 거의 항상
아이들에게 향해 있으며, 수용적인 자세를 갖추면서, 정신을
집중하기 어려웠다. 내가 이런 태도를 바꾸고 아이들이 아닌
다른일에 의도적으로 집중하려고 할 때는 아이들이 반드시 나를
방해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예를 들어 아이들이 다른 방에서 서로 조용히 놀고 있고, 나는
부엌에 싱크대를 닦거나, 옷장을 정리하거나 신문을 읽는 것과
같은 가벼운 일로 바쁠 때는 별로 방해받지 않고 일을 계속할 수
있다. 그러나 내가 아이들이 조용한 틈을 타서 학술지를 읽거나
집중해서 공부하려고 하면, 몇 분 지나지 않아 아이들은 꼭 내
방으로 들어와서 일을 하지 못하게 된다. 마치 아이들은 신호기가
달려 있어서 분산되어 있던 내 의식이 집중하는 상태로 바라는
것을 곧 알아채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들 정도다. 계속 방해를
받아가면서도 정신을 집중하려는 일은 피곤하고 좌절감만 가중시킬
뿐이다. 결국 집중된 의식 상태를 포기하게 되고 내 마음은
아이들로 향하게 된다.
이런 상황에 부딪칠 때 여러분도 나처럼 실험을 해볼 수 있을
것이다. 유치원 아이가 기분이 좋아서 혼자 놀고 있는 조용한
시간에 별로 집중력이 필요하지 않는 일로 바빠 보라. 그런 다음
시간을 한번 보고 분산된 의식을 집중된 의
식으로 바러서 다른 일을 해보라. 그리고 얼마 동안 아이의 방해를
받지 않고
일할 수 있는지 보라.
자신의 인생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여성이 자신에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다른 일에 몰두할 때 보이는 거부 반응은
비단 아이에게만 나타나는 현상은 아니다. 내 여환자 한 명은 그
같은 경우들을 수없이 이야기했다. 예를 들어 관계지향적인 여성이
대학원에 다시 진학하였을 때, 그녀가 가족과의 (그들이 남편이든
아이이든) 관계에서 겪는 마찰은 그녀가 공부하는 것을 가족이
방해하 일에서 비롯된다. 그리고 그녀 자신도 공부에 집중하기가
어려움을 느끼는데, 그것은 가족들에게 수용적인 태도를 갖게 하는
분산된 의식구조에 익숙해 있기 때문이다.
아내가 성공적으로 집중하여 일할 수 있을 때에는 남편은 마치
그 일이 자신에게서 아내를 빼앗아 가는 경쟁자인 양 아내의 일에
반감을 가질 수 있다. 남편의 반감은 그 동안 당연한 것으로
여겼던 아내의 세심함이 없지는 것에 대한 것이다. 남편은 헤라나
데미테르의 모습을 더 이상 보이지 않는 아내에게 불만을 갖게
되는데,아내는 아마도 남편에게 전처럼 대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것은 마치 은은한 빛이 꺼져서, 남편이 뭔가 잘못되었다는
느낌으로 불안하고 초조해 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리고 남편이
아무 이유 없이 아내의 일을 중단시켰을 경우 상황은 더욱
나빠지는데 그것은 집중하는 것을 방해받을
때의 일반적인 반응이 신경질이기 때문이다. 내가 알고 있는 모든
부부들은(아내의 학업이나 사회활동을 적극 지원하는 남편과
남편을 진정으로 사랑하고 소중하게 여기는 아내) 그들이 불화의
가능성이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 서로에게 유익하다는 것을 안다.
아내가 분산된 의식 형태에서 집중된 의식 형태로 변하는 것을
자신에 대한 무관심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한, 남편의 근거 없는
방해와
그에 따른 아내의 분노와 분개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고 부부간의
긴장도 풀어질 것이다.
2. 연약함, 희생, 그리고 산만한 의식
연약한 여신들은 고통을 당해왔다. 헤라는 남편의 정절을
원했지만 남편 제우스는 끊임없이 바람을 피면서 헤라에게
굴욕감을 주었다. 딸에 대한 데미테르의 사랑은 페르세포네가
지하세계로 납치되어 돌아오지 못했을 때 당한 고통만큼이나
좌절을 겪었다. 데미테르와 페르세포네는 둘 다 77간을 당했다.
고통을 당하면서도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이 세 연약한 여신들은
인간세계의 여성들처럼 정신질환의 증세를 나타냈다.
내적으로는 이 연약한 여신들을 닳고 의식의 형태는 분산된
여성이 바로 희생자가 되기 쉽다. 반면에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고
자신의 영역을 정하는 여신(아르테미스)이나 혹은 문제에 직면했을
때 정신을 집중하여 전략을 세움으로써 문제를 극복해 나가는
여신(아테나)의 경우는 처녀이면서 연약하지 않는 여신들이다.
이런 여신을 닮은 여성은 마찬가지로 회생자가 될 가능성이 적다.
회생자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여성은 집중력 있고 자신 있어
보일 필요가 있다. 걸을 때는 바삐 갈 곳이 있어 보이듯이 걸어야
하며, 멍하니 정처없이 걷는것은 문제를 자초하는 것이 된다.
수용적이고 따뜻해 보이는 여성이 가족과 가정을 따뜻하게
만들지만, 그런 태도를 사회에서도 지속하면 예기치 않은 환란을
당할 수 있다. 흘로 서서 누구를 기다리고 있거나 레스토랑이나
호텔 로비에서 혼자 앉아 있을 때는 남성들이 다가오게 되는데
이들은 혼자임이 분명한 여성에게는 다가가서 말을 걸 권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때 그녀가 친절히 대답하면 남성들은 그녀의
친절한 태도는 곧 그녀가 성관계를 맺을 의사가 있음을 말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그녀는 예기치 않은 성희롱을 당하게
되거나 완강히 거부할 경우에는 상대방을 노하게 하기도 한다. 두
가지 점이 이런 불상사를 낳게 하였는데, 첫째는 여성의
부드러움을 성적인 접근을 허락하는 것이라고 여긴 남성의
오해이고 둘째는 혼자 있는 여성은 언제나 접근이 가능한
여성이라고 여기는 것이다. 또 다른 요소는 여성은 소유물이라고
여기는 사회의 관습에 있다. 바로 이런 관습이 남성의 호위를
받으며 걸어가는 여성에 대해서는 평을 하거나 쳐다보지도 않는
대신, 혼자 있는 여성에게는 언제나
접근이 가능하다고 생각하게 한다.
데미테르나 페르세포네와 같은 여성이면서 자신이 보호받고 있지
못하다고 여기는 여성은 대개 불안한 꿈을 꾼다. 꿈 속에서 로르는
남성이 집안이나 방안으로 침입해 들어오거나 공격적인 남성이
몰래 숨어서 자신을 엿보거나 뒤를 따라오곤 한다. 때로는 꿈 속에
나오는 이 무서운 남성은 안면이 있는 사람이기도 하다. 평소에
자신을 비난하던 사람, 화를 내거나 때릴 듯이 위협을 하던 사람이
꿈에 나온다. 이 여성이 어린 시절에 보호받지 못했거나 학대
받았었다면, 꿈 속에서 그녀를 위협하는 인물은 어린 시절의 인물
그대로이며 장소도 어린 시절 살던 곳이 나온다.
관계지향적이며 연약한 여신을 원형으로 한 여성들이 모두
이렇게 무서운 꿈을 꾸는 것은 아니다. 여신들의 일생이 다양한
굴곡을 거쳤듯이, 여신들을 닮은여성들도 일생 중에 안전하게
보호받고 있다고 느끼는 시절이 있기 마련이다.
그리고 이 당시의 꿈은 대개 즐거운 것이기 마련이다. 그러나
몇몇여성은 이렇게 행복한 시절에도 악몽을 꾸곤 하는데 그것은
그들의 연약함을 상징하는 것이다. 어떤 종류의 꿈이든, 이
여성들이 꾸는 꿈의 특징은 꿈의 내용이 사람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장소는 건물 안이라는 사실이다. 그리고 꿈의 줄거리는현재의
관계뿐 아니라 과거의 연애 경험도 회상할 수 있는 것들로서
상징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3. 존재와 행위의 형식
신화에 따르면 세 명의 연약한 여신은 각기 행복하고 충족된
시절을 보댄 적이 있고, 그리고는 희생당하고 고통받으면서
정신적으로 시달리는 기간이 지난 후, 회복과 평정을 찾는 기간이
있다. 이 각 기간은 아마도 모든 여성이 일생중에 경험할 것인데
단지 각 기간이 짧은지 긴지의 차이만이 있을 뿐이다.
자신이 헤라나 데미테르 혹은 페르세포네와 같다고 생각되는
여성은 자신과 여신들을 비교하면서 자신의 장점과 단점, 취약점
등에 대해서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 즉 자신의 문제점을
알고 고통을 끽해갈 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어 헤라 여성은 조급히
서둘러서 결혼하지 않음으로써 고통을 피할 수 있다. 즉 결혼하기
전에 상대방의 성격과 자신에 대한 상대방의 사랑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을 정도의 성숙이 필요한데, 그 이유는 헤라 여성의 운명은
그녀의 남편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데미테르
여성은 언제 아이를 낳을 것인지에 대해 신중할 필요가 있다. 그녀
안에 있는 강력한 모성 본능이 상황에 관계 없이 아이를 낳고
싶어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페르세포네 여성은 대학에 진학하거나
취직을 했을 경우 집에서 독립하는 게 더 나을 것이다. 그렇게해서
페르세포네 여성은 엄마의 착한 딸을 넘어선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4. 연약한 여신을 극복하기
연약한 여신들은 성취욕을 지니지 않았지만 이 여신들을
원형으로 하는 여성들은 여신들의 취약점을 극복할 수 있다.
여성들은 자신 안에 아테나나 아르테미스 성향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고, 혹은 경쟁적인 사회생활의 경험을 통하여 그녀의 남성적
요소를 개발할 수 있다. 혹은 헤스티아의 정신적인 평화와 사랑의
여신인 아프로디테의 감각적인 면을 개발해 내기도 한다.
앞으로의 세 단원은 헤라, 데미테르, 페르세포네의 특징과
그들에 대한 신화를 기초로 한 것이다. 각 단원을 통해서 여신들의
특징을 그려 나갈 터인데, 그것은 여신들을 닳은 여성의 삶이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보여주는 것이 될 것이며, 또한 그 여성과
관계가 있는 남편, 부모, 친구, 연인, 그리고 아이들은 어떤영향을
받는지를 보여줄 것이다.
결혼하고 싶거나 아이를 낳고 싶은 마음, 혹은 한 남성이
나타나서 인생을 바러주었으면 하고 기대한 적이 있는 여성이면
(사실 이런 마음은. 거의 로든 여성이 느껴본 것이리라) 자신이 이
여신들과 유사한 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제8장
헤라: 결혼의 수호신
신실한 아내
1 . 헤라 여신
품위 있고 당당하고 아름다운 헤라! 로마인들이 쥬노라고 부른
결혼의 수호신이다. 헤라는 올림푸스 신들의 왕이며 하늘과 땅을
지배한 제우스(쥬피터)의 아내였다. 헤라라는 이름은 (위대한
여성)을 뜻하는 것으로 영웅의 여성어이다. 그리스의 시인들은
그녀를 (소의 눈을 가진 이)라고 표현했는데 그것은 그녀의 크고
아름다운 눈을 찬미하기 위해서였다. 헤라를 상징하는 것들로는소,
은하수,백합,그리고 헤라의 경계심을 뜻하는 공작새의 무지개빛
깃털에 있는 등근 무의가 있다. 신성한 소는 우리를 살지우게 하는
위대한 여신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오젓동안 사용되어 왔다.
은하수는 그리스어로 어머리의
젖을 뜻하는 (갈라 에서 유래하는데, 하늘의 여왕인 위대한 여신의
가슴에서 흘러나오는 젖이라는 믿음을 반영하고 있다. 그 젖이
지상으로 떨어져서 백합이뤘는데, 체내수정이 가능한 여성의
생식기가 있다고 믿은 그리스 시대 이전의 생각을 상징하는
것이다. 헤라를 상징하는 것들은 (그리고 제우스와의 갈등은) 한때
그녀가 위대한 여신으로서 제우스보다 앞서 섬김을 받았던 시절을
말해주고 있다. 그리스 신화를 보면 헤라는 두 가지 상반된 면을
드러내고 있는데, 하나는 결혼의 수호신으로서 의식에 따라
엄숙하게 섬김을 받는 여신으로, 그리고 다른 하나는 호머가
표현한 것같이 싸우기를 좋아하고, 원한이 가득하고 질투심 많은
심술꾼으로 훼손된 모습이다.
1. 계보와 신화
헤라는 리아와 크로노스의 자식으로 태어났다. 헤라는 다른 네
명의 형제와 마찬가지로 태어나자마자 아버지인 크로노스에게 먹혀
버렸다. 크로노스의 배안에서 감금되어 있다가 다시 세상에 나왔을
때 헤라는 이미 소녀가 되어 있었다. 헤라는 그 후 두 명의
자연신에 의해 길러졌는데, 그들은 나이든 양부모와 같았다.
헤라는 성장하여 아름다운 여신이 되었다. 헤라의 모습은
제우스의 눈에 들게 되었는데, 그때는 이미 제우스가 크로노스와
타이탄들을 제압하고 최고의 신이 되었을 때이다. (제우스가
헤라와 남매간이라는 것에 의아해 할 필요는 없다. 올림푸스의
신들은 특히 연인 관계를 맺는 데에 있어서는 그들 나름의 규칙이
있다. )헤라에게 접근하기 위하여 제우스는 비에 젖어 애처로운
작은 새로 변하였고,헤라는 그 새를 보고 불쌍한 마음이 들었다.
헤라는 그 새를 들어 가슴에 품었다. 그러자 제우스는 변장을 풀고
자신의 모습으로 돌아와서는 그녀를 강간하려 하였다. 제우스의
계획은 실패하였는데, 그것은 헤라가 결혼을 약속하지 않으면
관계를 맺을 수 없다고 하였기 때문이다. 그들은 결혼 뒤 삼백
년에 걸친 신혼여행을 했다고 전해진다.
신혼여행이 끝났을 때, 그것은 글자 그대로 신혼이 끝남을 뜻한
것이었다. 제우스는 총각 시절의 방탕한 생활로 돌아갔다.
(제우스가 헤라와 결혼하기 전 이미여섯 명의 동거인이 있었고 그
사이에 자녀도 있었다. ) 제우스는 수없이 외토를 하면서 아내인
헤라의 복수심과 질투심을 자극하였다. 헤라의 분노는 남편에게
향하지 않고 상대 여성들에게,제우스가 낳은 자식에게,혹은 아무
상관없는 구경꾼에게 쏟아졌다. (사실상 상대 여성들도 제우스가
유혹하고 강간하고 속인 여성들이었다. )
헤라의 분노에 관한 이야기는 상당히 많다. 제우스가 에지나를
강간하려고 섬으로 데려갔을 때, 헤라는 괴물 같은 공룡을
풀어놓아 수많은 사람들을 죽게 만들었다. 그리고 제우스의 소생인
디오니수스가 태어났을 때는 그의 양부모를 미치게 만들어
디오니수스를 없애려 하였다.
칼리스토도 제우스와 헤라의 싸움에 운 나쁘게 걸려든 경우이다.
제우스는 사냥의 수호신인 아르테미스로 변신하여 칼리스토를
속이고 그녀를 유혹하려 하였다. 헤라는 이 사건에 분노하여
칼리스토를 곰으로 바꾼 다음, 칼리스토 아들이 어머니인지 모르고
옴을 죽이게 하였다. 그러나 제우스가 이들 모자를 하늘로
올려보내 큰 곰좌와 작은 곰좌가 되게 하였다.
헤라는 제우스의 끝없는 외도에 굴욕감을 느졌다. 제우슥는
헤라가 신성시하는 그들의 결혼을 모욕했으며 더구나 다른
여성과의 사이에 난 자식을 더 총애함으로써 그녀를 비탄에 빠지게
했다. 더구나 이런 굴욕감을 가중시킨 것은 제우스가 자생으로
지혜의 수호신인 아테나를 낳은 일이다. 이로써 제우스는 아이를
낳는 일마저도 아내의 도움이 필요없음을 과시한 것이다.
헤라에게는 자식이 몇 있다. 제우스가 흔자 힘으로 아테나를
낳은 것에 자극 받아 헤라도 흔자 아들을 낳기로 결심하였다.
그리하여 대장간의 수호신인 헤트파이스투스를 임신하였다. 그러나
아이를 출산하였을 때 매력적인 아테나와는 달리 기형아임을 알게
되었다. 헤라는 기형아인 헤파이스투스를 올림푸스산에서
쫓아내었다.
또 다른 설에 따르면 헤라가 잔인한 괴물인 티파온을 흘로
낳았다고 되어 있다. 그리고 전쟁의 신인 아레스는 헤라와
제우스의 아들이었는데, 전쟁 중에 목이 잘리게 되면서 아버지인
제우스의 경멸을 받게 된다. 헤라는 또 별 특징이 없는 딸을 둘
두었다. 연회에서 술을 따르는 소녀인 히비와 출산의 수호신인
일리티리아가 그들이다. (일리티리아는 하르테미스와 함께 출산의
수호신이어서, 진 통 중에 있는 여성이 "아르테미스 일리티리아!"
하고 외치곤 한다.)
헤라는 자신이 굴욕을 당할 때마다 반드시 행동으로 보복을
취하곤 했다. 그러나 분노와 복수심이 그녀의 유일한 반웅은
아니었다. 때때로 그녀는 침묵을 택하기도 했다. 신화를 보면
헤라가 깊은 어둠으로 자신을 감싸고 제우스와 다른 올림푸스의
신들로부터 벗어나서 바다와 지구 끝에서 서성이는 모습이 나온다.
신화 중의 하나는 헤라가 다시 행복한 소녀시절을 보냈던 산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그린다. 헤라가 다시 올림푸스산으로 돌아을
기미가 없자 제우스는 헤라의 질투심을 자극하기 위해서 어떤
지방의 공주와 결흔한다고 공표를 하였다. 그리고는 공주의 조각과
거짓 결혼식을 하는 것처럼 꾸몄다. 제우스의 이런 애교스러운
행동이 헤라의 마음을 움직여 결국 제우스를 용서하고
올림푸스산으로 다시 돌아오게 된다.
비록 그리스의 신화가 헤라를 굴욕적이고 복수심이 가득한
여신으로 그렸지만 그와는 대조적으로 헤라는 신으로서는 크게
숭배받았다.
의식을 통하여 헤라는 세 개의 별명을 얻었고,각 별명에 따라
일년에 세 번 예배를 받았다. 헤라는 봄에는 헤라
파르테노스(Parthenos 처녀 헤라)로 숭배받았고, 여름과,가을에는
헤라 텔레이아(Teleia: 완벽한 여성 헤라)로, 겨울에는 헤라
쉐라(Chefa 미망인 헤라)로 숭배받았다.
헤라의 이러한 세 가지 모습은 여성의 일생의 주기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봄에 나타나는 헤라의 모습은 목욕을 하는
처녀를 상징하고, 여름에는 결혼식을 통해 완성된 여성의 모습을
드러낸다. 겨울에는 제우스와의 다툼과 별거가 강조되면서,
미망인으로서의 헤라의 모습이 그려지고 이 시기에 그녀는 모습을
감춘다.
IV. 원형으로서의 헤라
결혼의 수호여신인 헤라는 숭배받으면서 동시에 욕을 먹기도
하고, 존경받으면서 동시에 수모를 당하였다. 헤라는 다른 어느
여신들보다도 장점과 단점을 분명히 보여주는 여신이었다. 이 점은
원형으로서의 헤라에게도 그대로 드러나는 모습으로서, 여성의
성격에서 보여지는 쾌락과 고통을 향한 강렬한 추진력을 말한다.
1. 아내
헤라 원형은 무엇보다도 아내가 되고 싶은 여성의 욕구를
대표한다. 헤라 원형을 강렬하게 지니고 있는 여성은 남편이 없을
경우 근본적으로 자신이 불완전하다고 느낀다. 그녀는 결혼을 하고
싶은 본능을 갖고 있고, 그에 따라 움직인다. 남편을 만나지
못했을 때의 헤라 여성은 아이를 낳고 싶은 욕구를 강하게 가진
여성이 아이를 낳지 못할 때 느끼는 절망감과 같은 정도의 깊은
절망감을 느낀다.
정신과 의사로서 나는 자신의 일생 중 자신에게 의미 있는
남성을 만나지 못한 헤라 여성이 느끼는 고통에 대해 잘 알고
있다. 많은 여성들이 이러한 자신의 개인적인 고통을 나에게
토로하였다. 한 여성 변호사는 흐느끼면서, "나는 서른아흡인데
아직 결혼을 못했어요. 너무나 창피해요" 하고 말하였다. 그리고
아주 매력 있는 간호사인 서른두살의 여성은 한 번 이혼한 경력이
있는데 다음과 같이 음울하게 말했다. "나는 내 가슴 속에 커다란
구멍이 뚫려 있는 것 같고 ,결코 아물지 않는 상처가 있는 것
같아요. 정말 외로움을 느낍니다. 나는 데이트를 많이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내가 만나는 어떤 남자도 나와 데이트를
7이상의 관계로 발전되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
남편이 있기를 열망하는 여성이 깊은 열애에 빠졌을 때, 아내가
되고 싶은 11라 원형이 일으키는 대부분의 욕구는 충족된다.
그렇지만 그녀는 아직 결혼 자체에 대한 강한 욕구를 갖고 있다.
그녀는 결혼이 보장하는 특권과, 사회적 인정과 존경이 필요하며,
아무개의 아내 Mrs. Somebody라는 지칭을 받고 싶어 한다. 그녀는
단순히 동거하는 방식은 원하지 않는다. 지금처럼 동거가 흠이
아닌 시대에도 말이다. 그녀는 외부로부터의 인정을 원하는 것이다
그녀는 커다란 교회에서 결혼식을 올리는 일이 르노(Reno,
역주-미국 네바다주 서부의 도시, 이혼 도시로 유명하다)나 시청에
가서 간단한 절차로 끝내 버리는 일보다 훨씬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헤라가 원형인 신부는 결혼식 날 자신이 여신과 같다고 느낄
것이다. 그녀에게 있어 결혼식을 기다리는 것은 완성과 충족으로의
기대를 말하는 것으로서 그녀를 행복감에 가득차게 한다. 이러한
모습이 헤라 원형으로 나는 신부의 모습이다. 레이건 대통령의
영부인인 낸시 레이건씨는 아내의 원형을 구현하였다. 레이건
여사는 자신의 일생에 있어서 로날드 레이건의 아내인 것이 가장
중요한 것임을 분명히 하였다. 그녀가 자신의 결혼의 중요성을
이야기할 때, 그녀는 행복한 결혼 생활의 헤라를 구현하고 있는
모든 여성을 대변하여 말하는 것이다. 적어도 내 경우는, 로니를
만나기까지는 정말로 살아 있는 것이 아니었어요. 아휴, 저도
알아요. 제 생각이 요즘 시대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걸요. 요즘
여성은 완전히 자립적이어서 아마 남편은 주변에 편리한 사람으로
있는 정도일지 모르지요 그러나 나는 내 느낌을 어쩔 수 없어요,
로니는 내 행복의 근원이예요. 그가 없다면, 나는 비참해지고
인생의 방향 감각을 잃을 거예요.
우리 사회는 아주 최근까지도 낸시 레이건의 견해를 반영하는
화를 지녔었다. 결흔하는 것이 여성의 가장 중요한 일로
생각되었고,지금도 한편으로는 교육과 여성의 사회활동이 중시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여성이 (결혼해서 안정해야) 하는 문화적 기대의
압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헤라 원형은
사회로부터 강력한 지원을 받는다. 더구나 (노아의 방주) 식의
짝짓기가 팽배하고 있어서 사람들은 양말이나 신발처럼 짝을 져서
오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규범 안에서, 미혼 여성은
마치 노아의 방주를 놓친 듯한 느낌이 들게 된다. 그리하여
헤라식으로 살지 않을 경우의 부정적 결과와 헤라식으로 살 때의
사회로부터의 인정 때문에 결국 헤라 원형은 강화되게 마련이다.
헤라가 단지 가부장적 문화(여성은 힘있는 남성에 의해 선택되지
않는 한 평가절 하되는 문화)의 산물만은 아니라는 증거는 수많은
레즈비언 여성에게서 비슷한 동기를 찾아볼 수 있다는 데서
발견된다. 많은 레즈비얼 여성들이 짝을 찾고 싶어하며, 상대가
정조를 지키기를 바라며, 짝을 통하여 충속감을 느낄 것이라는
기대, 그리고 짝을 이루었음을 외부로부터 인정받을 수 있는
결혼치르
고 싶어한다. 더 확실한 것은 헤라를 구현하는 레즈비언 여성이
가족의 기대나 문화적 압력에 굴하지 않는다는 것인데, 가족의
기대나 문화적 압력은 레즈비언 관계를 지지하기보다는 비난하기
때문이다.
2. 언약을 지키는 능력
헤라 원형은 인연을 맺고, 그 관계에 충실하며, 남편과 함께
세상의 난관을 헤치고 나갈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해 준다. 헤라가
마음의 동력인 여성은 조건부의 언약을 하는 것이 아니다. 일단
결흔을 하였으면, (기쁠 때나 슬플 때나)결혼을 지속한다.
헤라 원형이 없을 때,여성은 단편적인 관계들의 연속에 놓이게
된다. 어려움이 닥치거나 초기의 사랑의 매력이 사라졌을 때
지금의 관계는 곧 끝나버리고 다른 관계로 넘어가곤 한다. 그녀는
결혼을 안했을지 모르며 결혼 안한 상태에 대해서 부족함을 느끼지
않는다. 혹은 그녀도 커다란 교회에서 성대한 결혼식을 올리는
등의 모든 과정을 거쳤을 수 있다. 그러나 그녀는 핵심적인 면에서
헤라 여성처럼,자신이 결흔한 남성과 연결되어 있지 않다.
여성이 헤라 원형 없이 결혼할 때, 그것은 무언가 빠진
결흔이게된다. 이 말은 바로 내 환자가 사용한 말인데,그녀는
마흔다섯 살의 나이로 사진작가인데, 남편과의 깊은 연대감이
부족한 여성이었다. "나는 남편을 좋아해요. 그리고 그동안 나는
좋은 아내였을고 생각해요. 그러나 나는 혼자 사는 것이 나에게는
더 어울꼴는 삶이었을 거라는 생각을 자주 하지요.내가 주변에
있는데도 여자들이 남편에게 꼬리를 칠 때, 남편은 그 여자들을
더욱 부추기는데, 그건 나를
위해 일부러 그러는 거예요. 나는 화를 내지 않기 때문에 남편은
그런 광경을 통해 내가 질투심을 느껴 화를 내축를 바라는 거지요.
내 생각에 남편은 자신이 나에게 꼭 필요한 인물이 아니라는 걸
알고 있는 것 같아요. 그건 사실이지요. 나는 본래 헌신적인
아내상이 아니예요. 그렇다고 내가 아내로서의 행동에 어긋난 적은
얼지만요." 이들 부부 모두에게 슬픈 일이지만, 결혼생활 이십
년이 넘게,그녀에게는 헤라가 활성화된 원형이 아니었다.
3, 신성한 결혼
결혼의 세 가지 중요한 의미 중 두 가지는 짝을 이루고 싶은
내면의 욕구와 부부로서의 인정을 사회로부터 받으려는 외적
욕구의 충족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세번째의 의미가 (신성한
결혼)을 통하여 완성을 이루려는 것이다. 종교적 의식으로
치르어지는 결혼식이 바로 이런 점을 강조하고 있다. 신의 은총을
통한 영혼의 결합이라는 결혼의 의미 부여는 현대판 헤라의
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헤라 원형의 종교적인 면에 대한 나의 시각은 사실상 내 직접
경험으로부터 나왔다. 나는 온건한 개신교 집안에서 자랐다.
우리집의 종교적 성향은 일상적인 것으로서 신비스러움이나 종교적
의식을 강조하는 쪽이 전혀 아니었다. 영성체 의식에 사용되는
것이 웨일즈산 포도주스 정도였으니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막상 결혼식을 샌프란시스코의 그레이스 대성당에서 치르게
되었을때 나는 예상치 못했을 정도로 깊은 감동을 받았다. 나는
신성하고 권위 있는 의식에 참여하는 기분이었다. 나는 어떤
일상적인 것이 아닌 초월적인 것을 경험한 듯했다. 혼인 서약을
했을 때는 성스러운 예배에 참여하는 듯한 기분이었다.
꿈 속에서 이런 신성한 결혼을 하게 될 때에도 마찬가지로
우리의 감정은 강렬함을 느끼게 된다. 꿈에서 기억되는 것은
압도되는 느낌이다. 사람들은 꿈 속에서 자신의 신성한 배우자와
연결되었을 때의 느낌을 전기에 감전된 것으로 비유한다. 이 꿈은
여성성과 남성성을 결합했을 때의 심리상태를 상징하는 것으로서
완성을 나타낸다. 그녀가 꿈 속에서 배우자에게 안길 때에 그녀는
애정, 축복,그리고 합치라는 다양한 감정적 혼합을 경험하게 된다.
이런 꿈은 그녀에게 표현할 수 없는,신비롭고 성스러운 감정적인
효과를 낳는다. 꿈에서 깨어났을 때 그녀는 감동에 횝싸이며, "꿈
속에서지만 너무나 생생한 느낌이었어요. 결코 그 느낌을 잊지
못할 거예요.그가 나를 안았을 때 행복했지요. 그것은 신비로운
결합이었어요. 설명할 수가 없군요. 전기에 닿은 듯 짜릿하면서
동시에 완전한 평화로움이 있었지요. 이 꿈은 내 인생에서 중요한
사건입니다. "
이것은 신성한 결혼이 주는 가장 순수한 형태의 경험이다.
그녀는 이 꿈에서 완벽한 헤라,충족된 헤라의 모습을 경험한
것이다. 이런 꿈은 결혼하고 싶다거나 짝을 찾고 싶은 욕망을
잠재우는 효과를 낳는다.
4. 쫓겨난 여인: 헤라의 부정적인 모습
헤라 여신은 제우스의 방탕함에 대해 제우스에게 직접 분노를
터뜨리지 않았다. 남편에게 거부당하고 무시당함으로써 겪게 되는
그녀의 고통은 모두 제우스가 관계를 맺은 여성들이나 그 사이에
난 자식들에게 쏟아졌다. 헤라 원형은 남편의 잘못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가시키는데 그 이유는 헤라 원형이 남편에게
감정적으로 의존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헤라 여성은 자신의
고통과 손실을 상대방에게 보복함으로써 자신의 분노를 표현한다.
(이것은 데미테르나 페르세포네가 우울증에 걸림으로써 소극적으로
자신의 분노를 표현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 나는 분석을 통해서
헤라 여성이 행하는 보복은 심리적인 기술로서 그녀 자신에게
무력감보다는 자신감을 준다는 것을 알았다.
진 헤리스 Jean Harris씨는 쫓겨난 헤라의 현대판 모습이다.
사립학교의 자존심 센 여교장이었던 그녀는 자신이 오랫동안
사귀어 온, 다이어트 약을 개발시킨 것으로 유명한 타노버
Turnover 박사를 살해한 혐의로 기소되었다. 타노버 박사가 젊은
여자를 좋아한다는 것을 알았을 때, 더구나 그 여자가 자신보다
집안이나 학벌이 훨씬 못한 여자라는 것을 알았을 때 헤리스씨는
질투심으로 끓어올랐다. 타노버 박사의 애인에게 향한 헤리스의
생생한 증오심은 헤녀가 타노버 박사를 살해하기 바로 전에 그에게
쓴 긴 편지에서 잘 드러난다. 당신은 내 인생에서 가장 의미 있는
일이었으며,가장 중요한 사람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사실은 변하지
않을 겁니다. 당신은 나를 버리겠다고 위협함으로써 나를 완전히
조종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당신도 알다시피 나는 당신 없이는
살 수 없기 때문에 그것은 아주 효과적인 위협이 아었습니다.
그래서 나는 당신이 그 여자와 사랑을 하는 시간에 집에서 혼자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그 여자는 거의 완전히 나를 파괴했습니다.
나는 공공연히 창피를 당하고 또 당했습니다.
그녀 자신의 사회적 지위와 업적에도 불구하고, 헤리스 씨는
타노버 박사 없이는 자신은 무의미한 존재라고 생각한 것이다.
헤리스는 타노버 박사의 죽음은 자신과는 무관한 사고사였음을
확고부동하게 주장했다. 제우스의 방탕함이 우스의 탓이라고
주장한 적이 없는 헤라를 생각해 볼 때, 헤리스씨의 무죄라는
주장은 사실일 수 있다. 왜냐하면 헤리스 씨는 타노버 박사 없는
삶은 상상할 수 없기 때문이다.
5. 헤라를 개발시키기
몇몇 여성은 삼십대 초반이 되었을 때 자신이 좀더 헤라 같따질
필요가 있음을 실감하게 된다. 그때쯤, 그녀들은 이미 여러 사람을
사귄 경험이 있거나, 자신의 경력을 쌓는 일에 열중해서 결흔을
미루어 둔 상태이기 쉽다. 지금까지 그녀들은 아프로디테처럼 이
사람에서 저 사람으로 옮겨 가거나, 페르세포네처럼 연애하기를
꺼리거나, 아르테미스나 아테나처럼 목적을 달성하는 일에 열중
하거나 하면서 살아왔다. 혹은 다른 여신들의 영향력 아래 남편을
고르는 일이 과소평가되고 그 안에서 헤라의 역할이 줄어들었을
수도 있다.
결혼을 하려는 욕구가 강하지 않을 때는 그것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 전제로서 한 남성과 꾸준한 관계를 맺을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으며, 관계를 지속시키기 위하여 노력하고,그런
기회가 실제로 있어야 한다. 만일 자신이 사랑하는 남성이 자신을
독점하고 싶어한다면 그녀는 그 남성과 자신의 지금까지의 삶의
방식 중에서 글일해야 한다. 즉, 미혼의 자유로움이나 독립심 강한
아르테미스의 기질에서 헤라의 기질로 전환하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의도적으로 헤라와 같은 아내가 되려는 결심을 통해서
우리는 자신 속의 헤라 원형을 강화시킬 수 있다.
결혼은 하지 않고 계속 연애 관계만을 유지하기를 바라는 남성과
지금 사귀고 있다면,그녀는 그런 유형의 남성에 대해서, 그리고 그
남성의 행동 방식에 대해서 객관적으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한편으로 그녀는 전통적인 사고 방식을 고집하는 보수적인
남성에 대해서 자신이 평소에 어떻게 행동했나를 반성해 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바로 그런 보수적인 남성이 결혼하여 가정을
꾸리고 싶어하는 남성이며, 그리고 그녀는 그런 남성을 편견에
차서 보고있을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자신의 이상형이 가정을
갖고 싶어하는 남성으로 바뀔 수 있을 때,그때 아내의 자리에 있고
싶은 헤라의 욕구는 충족될 수 있을것이다.
현대판 헤라 여성은 쉽게 판별할 수 있다. 환한 얼굴을 하고
신부 대기실로 걸어가고 있는 신부는 자신의 완성을 예감하는
행복한 헤라의 모습이다. 한편 남편이 외도를 하고 있는 것을
알아채고 상대방 여성에곤 분노를 폭발하는 배반당한 아내에게서
거센 헤라의 모습을 본다. 헤라 여성은 수많은 여성들을 통해
구현되는 모습인데, 그것은 우선 결혼할 때까지 순결을 지키고,
결혼 후 수십 년 동안 충실한 아내의 자리를 지키다가 말년에 홀로
되었을 때 사회복지기금에 의존하면서 생활을 유지해 나가는
방식이다.
헤라 여성은 남편을 자신의 삶의 중심으로 삼는 것에서 기쁨을
느낀다. 남편은 언제나 모든 것의 우선이다. 헤라 여성의 자식들은
어머니의 삶의 구조를 잘 알고 있다. 가장 좋은 것은 언제나
아버지의 몫이다. 아버지의 기분을 헤아린 다음 다른 사람에게
관심을 기울인다.
헤라 여성은 양처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사람들도 그런
그녀를 두고 결혼생활을 충실히 한다고 말한다. 대부분의 여성이
헤라 원형을 자신의 여러성향 중의 하나로 갖고 있다. 겉으로는
그들은 헤라 여성으로 보이지 않는다. 그렇지만 헤라 원형을 알게
되면서 그녀들은 자신에게서 헤라의 모습이 있음을 인정한다.
1. 유년 시절
네다섯살이 되었을 때의 어린 헤라는 소꼽놀이를 하면서, "너가
아빠해, 회사다녀오세요" 하며 남자 친구에게 문을 가리키는
흥내를 내곤 한다. 그리고 어른처럼 흉내를 내면서 밥상 위에
흙으로 만든 음식을 준비하곤 한다. 하루 중 헤라의 전성기는
저녁을 차려놓고 남편이 퇴근하여 저녁상 앞에 앉을 때이기
때문이다. (반면에 어린 데미테르는 엄마 흥내를 내는 것이 가장
요한 일이다. 하루종일 어린 데미테르는 인형을 유모차에 태우고
다니거나 옷을 갈아입히고 재우고 먹이고 하는 놀이를 한다).
그러나 여성성 감성성이 세분,심화되는 여섯 내지 일곱 살부터는
각기는 자기의 동료집단이 생기는데, 대부분의 여자애들은 이때
남자애들을 (징그럽다)고 생각하며 남자애들이 자기들의 소꼽놀이
근처에 접근도 못하게 한다. 가끔 심지어 국민학교 일학년의
경우에도 남자 친구 여자 친구가 생기는 경우도있지만, 대개의
경우는 헤라의 모습이 다시 활성화되는 시기는 한참 뒤가 된다.
2, 헤라의 부모
헤라 여신의 부모는 크로노스와 리아였다. 크로노스는 자식들
중에 자신을 전복시킬 아이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걱정 때문에
자신의 자식들을 먹어버린 소원한 관계의 아버지였으며, 리아는
그런'아버지로부터 자식들을 보호하지 못한 나약한 어머니였다.
크로노스와 리아는 가부장적 결혼의 부정적으로 과장된 모습을 잘
보여준다. 즉 아버지는 집안의 군주이며 심지어 자식들로부터의
경쟁도 용납하지 못하며 아내가 잔신만의 관심세계를 갖는 것을
금하는 모습이다. 이때 아내가 저항하는 모습은 소극적인 것으로
주로 남편을 속임으로써 비밀을 유지하는 방법이다. 헤라 여신은
크로노스가 삼켜버린 자식들 중에서 유일하게 부모를 가진
자식이다. 크로노스가 자식들을 다시 토해낸 후, 헤라 여신은
자연신을 양부모로 맞게 되고 목가적인 분위기에서 자라게 된다.
이 두 부류의 부모는 결혼의 두 가지 양식이라고도
하겠는데,대부분의 헤라 여성의 부모의 모습이다. 별로 행복하지
못한 가정에서 크는 자식들이 대부분 결혼에 대해 부정적이고
비관적인 견해를 갖고 있는 반면에, 젊은 헤라는 이상적인 형태의
결혼을 꿈꾸고, 바로 그런 결흔을 통해 불행한 가정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다고 믿는다. 다른 한편, 행복한 가정에서 큰 헤라는
자신의 부모에게서 이상적인 결혼 생활의 모습을 보고 자신의 결혼
생활의 이상형으로 삼는다.
3. 사춘기와 청년기의 헤라
사춘기의 헤라는 만일 깊이 사귀는 남자 친구가 있다면 가장
만족한 시간을 보내게 된다. 헤라 소녀는 남자 친구의 반지를
목걸이로 해서 걸고 다니며, 성대한 결혼식을 하는 상상을
하며,공책 위에 (누구누구 부인) 하는 이름을 쓰면서 즐거워 한다.
남자 친구가 있다는 사실은 헤라 소녀의 정체성 형성에
결정적으로 중요한 일이다. 자신의 남자 친구가 누구냐 하는
문제는 중요하다. 만일 그녀가 특수층 자녀들이 다러는 사립학교에
다니고 있다면 남자 친구가 공부를 잘하는가, 부잣집 아들인가,
아니면 특수 클럽 회원인가 하는 것들이 중요한 기준이 된다.
평범한 공립학교에 다니는 헤라 소녀에게는 그 기준의 내용이 다를
수 있지만 기본 패턴은 같다. 헤라 소녀는 높은 신분의 젊은이와
사귀고 싶어하며 그 젊은이를 통해서 감정적인 안정을 찾을 수
있기를 바란다. 일단 한 학생과 깊게 사귀게 되어 커플이 되면,
그때부터는 미팅도 주선하고 파티도 연다. 그렇지만 이때는 이미
아직 짝을 찾지 못한 친구들에 대한 우월감을 동반하고 있다. 이런
패턴은 대학에 가서도 그리고 그 후로도 계속된다.
몇몇 헤라 여성은 가능한 한 빨리 집안살림을 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재학시 혹은 졸업하자마자 결흔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여고시절의 로맨스는 깨어지기 마련이며, 이 첫사랑의 경험은 젊은
헤라 여성에게 심각한 감정적 상처를 남기곤 한다.
헤라 여성은 대학을 남편감을 찾을 수 있는 시간과 장소로 본다.
만일 그녀가 능력 있고 똑똑하다면 대학에서 능력을 발휘하겠지만,
그녀가 공부를 계속하리라고 기대한다면 단지 실망만을 안을
뿐이다. 왜냐하면 헤라 여성에게서 교육은 그 자체로 중요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교육은 단지 그녀의 사회적 배경으로 작용할
뿐이다.
결혼을 목표로 대학에 왔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도 신랑감이
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을 때,헤라 여성은 초조하게 된다. 1950년경
내가 대학에 다닐 때, 아직 사귀는 남자가 없는 삼학년 헤라
학생들이 눈에 띄게 초조해 했던 것을 기억하고 있다. 더구나
사학년이 되어도 약혼자가 없을 때는 어쩌면 노처녀가 될지도
모른다는 절망감에 사로잡힌 모습을 보였다. 눈치없는 친척들이
"언제 결혼할 거야?"고 물을 때, 그것은 엄청나게 고통스러운
것으로 느껴진다. 왜냐하면 결혼 안한 헤라 여성은 마음 속 깊이
공허함을 느끼며 인생의 의미를 못찾고 있는데, 그런 질문은
그녀의 고통을 증폭시키기 때문이다.
4. 직업
헤라 여성에게 있어 일은 대학과 마찬가지로 부차적인 것이다.
그녀가 어떤 대학을 나왔건, 직업은 무엇이며 경력이 어떻든,
직위가 무엇이든, 헤라가 자신의 중요 원형일 때 직장은 자신이
하는 일이지 자기 자신은 아니다.
헤라 여성은 뛰어난 능력으로 자신이 맡은 일을 반듯하게 하며,
사람들로부터 인정을 받고 빠른 승진을 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아직 결혼을 하지 않은 상태라면, 이런 모든 것이 그녀에게는
하찮은 것으로 보인다. 그녀 자신에게 의미있는 잣대로 재어보면,
그녀는 사회적인 성취도에도 불구하고 인생에 실패한 것이다.
직장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는 헤라 여성은 대개 다른
원형들을 함께 지니고 있기가 쉽다. 단지 헤라가 가장 주도적인
원형이기 때문에, 그녀는 자신이 직장에서 하는 일에 깊은 의미를
주지 않을 뿐이다. 그런 그녀가 결혼을 하게되면, 그녀는
자연스럽게 자기보다는 남편의 사회적 출세를 우선으로 여길
것이며 자신의 출세를 위해 사용되어져야 하는 시간과 기회를
남편을 위해 사용 할 것이다. 겉으로 보면 그녀는 직장을 가진
직업인이다. 그러나 그녀의 진장장은 결혼 생활이다.
현대와 같이 부부가 같이 벌어야만 생활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결혼을 하고도 직장을 계속 나가는 여성이 증대하는 시기에
있어서, 대개의 일하는 아내들은 헤라 여성이기가 쉽다. 헤라
여성의 태도는 "남편이 가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따라가겠습니다"이다. 그녀에게 남편과 주말부부가 되는은 상상할
수 없다. 또 자기 일도 남편 일 만큼이나 중요하다는 주장은 할
생각을 못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른 여신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5. 다른 여성과의 관계: 열등한 그룹
헤라 여성은 여자 친구와의 우정을 대단하게 생각하지 않으며,
그렇기 때문에 대개 친한 친구가 없다. 그녀는 남편과 같이 있기를
더 좋아하며 남편과 같이 일하기를 원한다. 만일 헤라 여성이 친한
친구가 있고 그 우정을 지속시키고 있다면 그건 다른 여신이
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녀가 아직 미혼이라면,헤라 여성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일은
확실한 남성을 만나는 일이다. 그녀는 친구와 같이 어울려서 여러
모임에 나가볼 텐데 그 이유는 혼자 나가기가 어색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단 한 남성과 데이트를 시작하게 되면, 그녀는
친구들과의 만남을 뜸하게 갖게 되고 결국에는 소원한 관계로
끝나게 된다.
그것은 일종의 사회적 관습인데, 한 남성과 데이트를 시작하면서
여자 친구들과의 약속을 취소하는 일 등은 헤라 여성에게는
자연스러운 것이다. 그리고 일단 결혼을 하게 되면 처녀적의
친구관계는 완전히 끊기게 된다.
결혼한 헤라 여성은 다른 결혼한 여성들과 사귀기 시작하는데,
상대방은 언제나 (누구누구의 아내)로 인식된다. 헤라 여성에게
있어 미혼의 여성은 남편의 관심을 끌지도 모를 요주의 경계
인물이거나, (사귀는 남자도 없는) 여성으로 멸시의 대상이거나의
둘 중의 하나일 뿐이다. 결혼 후, 그녀는 대부분의 사회생활을
(누구누구의 아내)로서 해낸다. 기혼의 헤라 여성이 다른 여성들과
같이 무슨 일을 한다면, 그것은 남편의 직업이나 남편의 사교와
관계된 것이기마련이다. 여성 보조 토임들이 대부분 이런 경향을
떤 것이다. 그런 모임에서는 남편의 직장에서의 직위에 따라
여성들의 등급도 매겨지쵸 마련이다. 그런 모임에서 회장을 뽑을
때,헤라 여성들은 후보의 남편의 .지위를 재보고 결정한다.
다른 여성과의 사귐이 남편 친구의 부인이기 때문에 이루어질
때, 그 관계의 내용은 우정이 아니라 일종의 동맹관계이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헤라 여성은 수년간 사귀어 온 친구라도,그녀가
이혼하거나 남편이 죽게 되면 쉽게 관계를 끊는다. 헤라 여성들은
같은 이유로 서로간에도 쉽게 관계를 끊는데 그런 와중에서 그들은
여자는 남편 없이는 아무것도 아니라는 신념을 강화시키게 된다.
남편을 잃은 후 더 이상 모임에 속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고
남편을 잃은 헤라 여성들이 분노와 상한 자존심으로 새로운
인간관계의 패턴을 시작하면서 새로운 모습으로 변하는 경우도
자주 있다.
6. 남성들과의 관계: 완성으로 향한 기대감
그리스 신전에서 헤라 여신을 경배할 때, 제우스와 헤라의
결혼식이 재현되는데, 이때 제우스는 (제우스 텔레오스), 즉
(제우스, 완성시키는이)라고 불려진다. 현대판 헤라 여성은 남편이
자신을 완성시킬 것이라는 헤라식 기대감을 가지고 있다.
헤라 여성은 능력 있고 성공한 남성에게 매력을 느끼는데, (능력
있고 성공한) 것의 기준은 자신이 속한 가족과 계급의 영향에 따른
것이다. 가난한 화가, 섬세한 시인, 천재적인 학자들은 헤라
여성에게 매력적인 남성이 아니다. 또한 헤라 여성은 정치적
신념이나 자신의 예술을 위하여 고통받는 남성에게 전혀 매력을
느끼지 못한다.
그러나 가끔씩 헤라 여성은 제우스가 헤라 여신의 환심을 산
바로 그 방식에 넘어갈 때가 있다. 제우스는 헤라 여신에게
접근하기 위해 가냘픈 새로 변하여 헤라의 품에 안긴 후 신 중의
신인 자신의 본모습을 드리내었다. 헤라 여성은
따뜻한 애정을 필요로 하는 나약한 면과 사회적으로 권력을 잡고
있는 거울의 모습을 동시에 지닌 남성에 매료되어 결흔하는
경우가 흔히 있다. 사회적으로 크게 성공한 남성들 중의 많은
경우가 제우스처럼 감정이 어린아이같이 미숙하기 쉬우며, 이것이
그 남성의 사회적 권력과 결합될 때 헤라 여성에게는 매력적인
남성으로 부각된다. 그 남성은 친한 친구가 없으며, 다른이들이
개인적으로 겪고 있는 슬픔에 대해 무감각하며, 진정한 공감의
능력이 부족하기가 쉽다.
그 남성의 감정적인 유약함이 결국 한 여성과 깊은 관계를
맺기보다는 여러 여성들을 다양하게 편렵하는 것을 좋아하는
성향을 낳으며,그럼으로써 끊임없이 바람을 피는 결과를 낳고,
헤라 여성은 바로 그 점을 참을 수 없어하는 순환을 이룬다. 그는
아마도 사업차 외국 출장을 나갔을 때 하룻밤 즐기는 일에 재미를
들인 사업가일 수도 있다. 그는 처음 보는 여자와 성교를 하는
일에 흥분과 정복욕의 충족을 느끼며, 아내가 모르기만 하면
아내가 이 일로 고통을 받을 까닭이 없다고 생각한다. 그는 자신이
바람피는 일에 대해 잔소리를 듣거나 싸우게 되는 것을 질색으로
여긴다. 결국 헤라 부인은 이 일로 잔소리도 하지 않고 싸우지도
않게 된다.
헤라 여성이 제우스처럼 바람꾼이며 거짓말장이인 남성과
결혼했을 때, 놀랍게도 그녀는 남편의 변명을 곧이곧대로 믿는데,
이 점은 헤라 여성의 특징이랄수 있다. 헤라 여성은 남편으로부터
확신을 받고 싶어하지만 그 믿음은 곧 상처로 끝나버리는 과정을
반복한다. 대부분의 헤라 여성이 이런 심리적 고통을 당하는
이유는 그녀들이 사람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 결핍되어
있기 때문이거나 상대방의 행동 유형을 일반화시킬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사람들을 판단할 때, 그녀는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것만 보지 가능성과 잠재력은 고려하지 못한다. (마치
집을 사려고 보러 다닐 때, 지금 현재의 집값과 상태만을
고려하고, 수리를 하면 어떻게 될지, 그리고 주변상황이 바뀌면
집값이 어떻게 변할지 등을 고려하지 않는 것과 같다. ) 결국 헤라
여성이 겪는 실망감과 고통은
완성을 향한 헤라식 기대감과 현실과의 괴리에서 나온 것인데, 그
차이가 크면 클수록 고통과 실망감은 더욱 커질 것이다.
7. 성생활
헤라 여성은 성과 결혼을 동일시한다. 그렇기 때문에 결혼이나
약혼을 할 때까지 순결을 유지하고 있기가 쉽다. 그녀는 결혼 전에
전혀 성경험이 없기 때문에, 남편을 통해서 성감을 개발시키게
된다. 그러나 남편을 통해 성감이 개발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그녀는 정기적으로 남편과 성관계를 가질텐데 그 이유는 그것이
아내의 역할이라고 마음 깊이 믿고 있기 때문이다. 의무적으로
성교를 한다는 생각은 아마도 헤라 여성이 가장 먼저 생각해낸
것이리라.
헤라 여성이 결흔 초에 성감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흔히 있다.
이 상황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할지는 그녀에게 아프로디테
원형이 결흔생활 속에서 활성화되느냐에 달려 있다.
8. 결혼
헤라 여성은 결흔식을 일생 중 가장 의미 있는 일로 생각한다.
그날 그녀는 새로운 이름을 얻는다. (그녀는 결코 자기 이름을
그냥 갖고 있지 않으며,그건 처녀적 이름이라고 생각한다. )
그녀는 이제 아내가 된 것이다. 그리고 그건 그녀가 기억할 수
있는 아주 옛날부터 느껴왔던 욕망이 충족되는 것을 뜻한다.
미국의 중산충 안에서 수많은 헤라 여성을 만날 수 있다.
전형적인 미국의 중산층 부부는 주말과 휴가를 함께 보낸다.
남편은 규칙적으로 일터에 나가고 저녁 전에 집으로 돌아온다.
남편은 가까운 친구 몇몇이 있으며 그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곤
한다. 남편은 아내를 존중하고, 아내가 아내 역할을 잘 해주리라고
믿으며, 평생을 함께 할 결혼을 했다고 생각한다. 규칙적이고
일상적인 삶,함께 보내는 휴식 시간, 그리고 각자가 맡은 역할을
충실히 해내는 것 등이 결혼생활을 안정되게 만들고,헤라 여성에게
만족감을 준다.
남편의 회사 생활은 헤라 여성에게는 적합한 삶의 방식이다.
그녀는 남편이 회사에서 승진의 사닥다리를 오르기 위해 잦은
이동을 하는 것을 개의치 않는다. 남편과의 일치감이 가장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그 외의 다른 사람과의 관계는 그녀에게 큰
의미가 없는 것이기 때문에, 남편의 직장을 위해 이사를 다니는
일은 힘든 일이 아니다. 그와는 대조적으로, 긴밀한 친구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여성은 남편의 직업 때문에 자주 이사하게 될 때
심한 외로움과 갈등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이 점은 자기가 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자주 이사를 함으로써 일의 연결을
갖기 어려운 여성에게도 마찬가지다.
헤라 여성에게 있어 행복의 조건은 남편이 그녀에게
헌신적이며,결흔생활을 중요하게 생각하고,그녀의 아내 역할에
대해 고마워 하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헤라 여성이 성공한
남성에게 매력을 느낀다는 데 있다. 우선 성공한 남성을 대개
그들이 일과 결혼했다는 이야기를 들을 정도로 일에 몰두하고 일을
우선으로 했기 때문에 성공할 수 있었다. 그런 성공한 남성과
결혼한 헤라 아내는 원하던 아내가 되었고 남편이 바람을 피우는
것도 아닌데 행복하지 못한 자 신을 종종 발견하게 된다. 남편이
결혼 생활을 중요시하지 않을 때, 결혼은 헤라 아내에게
만족스러운 것이 되지 못한다.
현대판 제우스 남편은 대개 결혼을 자신의 사회적 이미지의
일부로 이용한다. 그는 적어도 자신과 같은 정도이거나 더 나은
신분의 여성와 결흔하며 필요할 때는 언제 어느 곳이든지 아내를
대동할 수 있는 여성을 정한라. 이런 결혼은 제우스 남편에게는
실리적인 결합이지만 헤라 아내에게는 파국적인 결과를 낳는다.
만일 헤라 아내가 다른 원형의 지배도 강력하게 받고 있다면,
형식뿐이고 내용은 없는 위와 같은 결혼도 용납할 수 있을는지
모른다. 그러나 순수한 헤라 여성은 남편이 결혼생활에 무관심한
것에 상처받는다. 남편은 대개 다른 것들에 정신을 빼앗기는데
그것은 사업상의 거래나 정치적 동맹 등과 같이 권력과 연관된
것이며, 아내가 끼어들지 못하게 한다. 그 결과로 그녀의 마음은
텅비게 된다.
이런 공허함을 달래기 위해 헤라 여성은 사회활동에 맹렬히
참가하는데 그럼으로써 완벽한 부부라는 대외적 이미지를 구축해
나간다. 대개 사회 저명인사 부부의 경우가 여기에 해당되는데
오페라의 첫회 공연을 나란히 관람한다든지, 77원의 자선 무도회에
함께 참석하는 방식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그러나 공식석상의
다정함이 사석에서도 지속되는 것은 아니다. 물론 그런 계산된
결혼이 특정 집단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그것은 모든 계층의
사람들에게서 볼 수있는 것이다.
그러나 결혼생활이 불만족스러움에도 불구하고 헤라 여성은
결단코 이혼을 고려하지 않으려 한다. 굴욕적인 취급을 참아냈던
헤라 여신처럼 헤라 여성도 그런 상황을 참아낸다. 그녀는 마음 속
깊이 자신은 결혼한 여자라고 다짐하고 있다. 만일 이혼을 하게
된다 꼰더라도, 이흔은 결코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그녀의 생각은
변하지 않는다.
만일 남편이 다른 여자가 생겨서 아내와 이혼을 원할 경우, 헤라
여성은 마음으로부터 남편 말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다. 그녀에게
있어 결흔은 일생 중 가장 깊은 체험이었으며, 다음 속 깊이
자신이 아내라는 생각을 포기하지 않는다. 심지어 이혼을 하고 난
후에도, 헤라 여성은 자신이 아직도 아내라고 여기며, 자신이
이혼녀임을 상기하게 될 때마다 괴로워하곤 한다. 헤라 여성의
이런 반응은 본인도 괴롭겠지만 주변 사람에게도 고통을 주는
것이다.
이혼을 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지 못해서 정신질환을 일으켜
치료를 받아야 하는 헤라 여성은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실제로 내
병원에서도 헤라 여성의 특성 때문에 괴로움을 당하는 환자들을
많이 보아왔다. 한 예로, 이흔을 한 헤라 여성을 들 수 있는데
분노와 고통으로 매우 불안정한 상태인 그녀는 아직도 자신을
합법적인 아내라고 여기고 있었다. 그리고 헤라 여성과 이혼한 한
남편의 경우는 매일같이 전화를 걸어오는 전부인에게 시달리고
있었다. 혹은 새부인이 괴로움을 당하기도 하는데 전부인이 아직도
남편의 이름을 사용하고 있고, 자신들의 생활에 끼어듦으로써
혼란스러운 경우였다.
9. 자식과의 관계
헤라 여성이 아이를 갖는 이유는 그것이 아내의 의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녀에게 데미테르의 성향도 함께 있지 않는
한, 헤라 여성에게는 모성애적 본능이 부족하다. 또한
아르테미스나 아테나 성향이 자신에게 있지 않는 한 아이들과 함께
일을 하면서 지내는 것에도 즐거움을 느끼지 못한다.
헤라 여성에게 자식은 있지만 엄마 자식간의 강한 유대감이 없을
때, 아이들은 엄마가 엄마 노릇을 못하는 이유를 자기들을
사랑하고 보호할 뜻이 없기 때문이라고 여기게 된다. 그녀가
전업주부여서 아이들과 같이 있는 시간이 많다.
하더라도, 아이들이 엄마에게서 친밀감을 느끼지 못하고 엄마의
버림을 받았다고 생각하는 데는 변함이 없다.
만약에 남편과 자식간에 이해가 상충하여 선택을 해야 할 경우가
생긴다면, 헤라 여성은 남편의 이익을 위하여 자식을 희생하는
방향을 택할 것이다. 나는 환자들 중에서 전형적인 가부장적
가정에서 자란 여성들을 만나곤 하는데, 그녀들에게 아버지는
집안의 왕 같은 존재였다. 그런 경우 엄마는 대개 부드럽고 자신을
지지해 주는 편이지만, 아버지와의 갈등 관계에 놓일 때는 결코
중재 역할을 하지 못했다. 아버지가 아무리 폭군과 같다 하더라도,
아버지가 아무리 당신 마음대로 행동한다 하더라도, 자식들은 결코
엄마의 도움을 받지 못하고 흘로 아버지와 대항해 나갔다.
처음 치료를 시작할 때 환자들은 자신의 불우했던 어린 시절이
아버지와의 갈등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지금이라도
아버지와 시시비비를 가려야 한다고 생각하며, 아버지가 과거에
자식에게 얼마나 못할 짓을 했는지 인정하게 필,가능하다면 사과도
받아내려고 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지금까지 생각지 못 했던
엄마의 역할이 부각된다.
내 환자 중의 하나는 30대 후반의 전문직 직업
여성이었는데,사춘기를 보내서 끊임없이 아버지와 싸움을 했었다.
"아버지는 내가 하는 일이면 무엇이든 했다고 하는 적이 없었죠.
아버지는 내가 하는 일은 모두 엉뚱하거나 내가 낼 수 없으리라고
여겼죠 한마디로 아버지는 나를 무시한 거지요 아버지는 7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들을 비웃었고, 내가 귀중히 간직하던 것을
버리기도 했어요." 이제 그녀는 아버지가 자신을 인정해 주기를
바랐다. 그녀는 이제 박사학위도 받았고 전문직에 종사하기
때문이다. 또 그녀는 아버지 때문에 전에 자신이 얼마나 괴로운
시간을 보냈는가를 아버지가 알기를 원했다.
어느 날,그 환자는 부모님에게 전화를 했다. 부모님은
언제나처럼 함께 계셨다. 그리고 항상 그랬듯이 어머니는 다른
방에서 전화를 들고 아버지와의 대화를 듣고 계셨다. 그녀는
아버지에게 중요한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는 말과 함께 자신이 말을
끝낼 때까지 끝까지 들어달라고 말했다. 그녀는 흥분하지 않고
차근히 과거에 아버지 때문에 자신이 겪었던 일들을 이야기해
나갔다. 놀랍게도 7'땍지는 끝까지 딸의 말을 중단시키지 않고
들었다. 그런데 다른 전화로 대화를 듣고 있던 어머니가 딸의 말을
중단시켰다. "네가 아버지한테 그런 식으로 말할 자격이 없다!"
어머니의 태도에서 딸은 비로소 지금까지 간과해 왔던, 집안에서의
어머니의 역할에 대해 깨닫기 시작했다.
어머니의 태도는 전형적인 헤라의 모습이었다. 어머니에게
중요한 것은 아버지였다. 어떻게 감히 자식이 아버지에게 대들 수
있는가! 아버지는 절대군주인 제우스인 것이다. 어떻게 감히
자식이 아버지의 기분을 상하게 할 수가 있는가! 아버지는 헤라의
따뜻한 가슴이 필요한 작은 새였던 제우스처럼 상처받기 쉬운
심약한 분인 것이다.
10. 헤라 여성의 중년
중년의 헤라 여성의 행복은 그녀가 결혼을 했는지, 그리고
누구와 결혼했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시험적으로 지위와 명성을
획득한 남편, 그리고 자신의 내조를 고마워 하는 남편을 둔 헤라
여성의 중년은 가히 인생의 절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와는
대조적으로 아직도 미혼이거나, 이혼을 했거나, 남편을 잃은 헤라
여성의 삶은 비참하다.
많은 경우, 중년의 시절에 결혼의 위기를 맞게 되는데, 헤라
여성은 보통 위기를 잘 넘기지 못한다. 결혼생활에 문제가 있을
때, 헤라 여성은 질투심과 분노에 싸여서 상황을 더 악화시키기
때문이다. 결흔 후 처음으로 남편에게 다른 여자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헤라 여성은 지금까지 전혀 알지 못 했던
복수심에 싸인다. 자신이 생각하기에도 놀라울 정도의 추잡한
반응을 보이는데
그것은 결국 결혼생활을 더욱 위태롭게 만듦으로써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것을 위태롭게 만드는 결과를 낳는다.
11. 헤라 여성의 노년
처녀 시절의 헤라를 거쳐 부인으로서의 헤라를 지나 말년에 흘로
되었을 때, 이 시기가 헤라 여성에게는 가장 어려운 시기이다.
여성의 평균수명이 남성보다 긴 현대에 있어서 말년에 남편 없이
흘로 지내야 하는 여성은 수백만에 달할 것이다. 그런데 헤라
여성에게 있어 과부가 된다는 것은 단지 남편을 잃었다는 뜻만은
아닐. 그녀는 아내 역할도 함께 잃은 것이고 그것은 다시 말하면
삶의 의미조차 잃었다는 뜻이 된다. 그녀는 자신을 보잘것없게
여긴다.
남편의 죽음 앞에서, 헤라 여성은 상심이 지나쳐 심각한
우울증과 불안감, 그리고 외로움을 겪게 된다. 이런 반응은 헤라
여성이 지금까지 살아온 삶의 방식, 즉 남편 중심으로 살아온 삶의
결과다. 헤라 여성은 일반적으로 자식들과 가깝지가 않은데, 그건
항상 남편을 우선으로 하는 생활을 해왔기 때문이다. 그녀에게는
또 가까운 친구가 있는 경우도 드물다. 언제나 누구누구의
부인으로서 사회생활을 해왔기 때문이다. 그리고 앞에서도
말했지만, 그녀는 지금까지 가깝게 지내왔던 모임에서 스스로
떨어져 나가게 되는데, 그건 그녀 자신이 미혼 여성에게 해왔던
방식이었다.
이제 그녀가 노년을 행복하게 보낼 수 있는 조건은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든지 아니면 자신 안에 다른 원형이 있어서 새로운
생활을 할 수 있든지의 두 가지뿐이라고 할 수 있다. 헤라 여성
중에는 남편을 사별한 충격에서 결코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노년을 남편과 함께 보내면서 금혼식을 치르는 헤라 여성은
행운의 여성이다. 그녀는 가히 축복 받았다고 할 수 있다.
자신에게 의미를 주는 삶인 헤라 원형을 충실히 살아낼 수 있었던
것이다.
헤라 원형은 수많은 여성들의 삶에 영향을 끼친다. 다른 어떤
원형도 헤라 원형만큼 우리에게 인생의 충족감을 주지는 못한다.
그러나 그 결점에 있어서도 헤라 원형만큼 치명적인 원형도 없다.
그렇기 때문에 헤라 여성이 헤라 원형의 결점들을 이해하고 잘
대처해 나갈 필요가 있는데, 그것은 헤라 원형은 대단한 힘을
발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1. 나는 헤라 여성인가?
여성이 헤라처럼 살아간다는 것은 그녀가 자신의 삶에서 아내의
역할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할 때를 말한다. 이때, 아내 역할이
인생의 의미와 만족감을 줄 것인지 아니면 고통과 분노심만 남길
것지는 결혼생활의 경제적 수준과 남편
의 충실성에 달려 있다.
아내가 되고 싶은 그녀의 본능적 욕구가 충족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녀가 가장 관심을 갖는 일은 결혼 상대자를 만나는
것이다. 결혼 상대자가 없는 헤라 여성은 비참하다. 아직 사커는
사람이 없는 상태의 헤라 여성은 다른 여성과 다를 바 없는 생활을
한다. 다른 여성처럼 학교나 직장에 다니면서 친구들과 이곳
저곳을 기웃거려 보기도 한다. 그러나 이런 생활을 계속하는
중에도 남편감을 찾으려는 노력과 기대는 계속된다.
일단 결혼을 하게 되면, 헤라 여성의 삶은 남편을 중심으로
짜여지며, 제한된 생활을 하게 되기가 쉽다. 만일 남편이 아극도
공부 중이어서 그녀가 경제적으로 원조해야 할 경우, 그녀는
직장생활을 할 것이다. 그러나 남편이 그녀가 집
안에 있기를 원한다면, 그녀는 기꺼이 직장을 그만두거나 다니던
학교를 중단한다. 만일 그녀가 직장생활을 계속하고 있는
중이라면, 남편이 전근을 가게될 때, 기꺼이 직장을 포기하고
따라간다. 결혼 전에 사귀던 친구들과는 멀어지고 남편을 알기 전
관심을 가지던 자신의 취미도 버린다.
헤라 여성과 결혼하는 남성은 그녀가 더 이상 결혼 전의 그녀
같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녀가 아내 역할에만 자신을
국한시키기 전에는 다양한 관심
을 가진 여성이었다. 심지어 아내와의 성 관계도 결혼 전이 훨씬
좋았을지 모른다. 헤라 아내가 성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키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 바로 결혼 첫 날밤부터 태도가 바뀔 수 있다.
헤라 여성이 결혼할 때 다른 원형들의 영향력은 극도로 감소된다.
헤라 여성은 또한 결혼을 통해 꽃피게 된다. 기대로 설레이던
신부가 행복한 새댁으로 변한다. 더욱이 남편이 헤라를 사랑할
때의 헌신적인 제우스와 같다
면, 그녀의 결혼은 그녀의 삶에 있어서 가장 의미 있는 중심이
된다. 비록 아내역할이 가장 우선적인 것이지만, 그녀는 다른
원형들도 활성화시키곤 한다.
헤라 여성이 결혼 후 그녀의 삶을 아내 역할에만 국한시킬지의
여부는 그녀가 지니고 있는 헤라 원형이 얼마나 강력하냐에 따라
다르다. 또한 결혼 전에 그녀가 자신의 다른 면을 얼마나 개발시켜
놨는지도 중요한, 헤라를 극복하도록 남편이 격려해 주느냐의
문제도 중요한 요소이다. 아내가 남편의 뜻에 따라 살기를 원하는
소유욕 강하고 질투심 많은 남편은 아내의 헤라 성향을 강화시키며
결국에는 아내가 헤라 외에 다른 원형은 갖지 못하는 결과를 낳게
한
다.
2. 실망으로 끝난 기대감
자신이 헤라라고 생각하는 여성들의 대부분은 결혼을 통하여
남편과 자신이 변화될 수 있다고 믿는다. 그 믿음의 근저에는
남편이 자신을 완성시켜 줄 제우스라고 여기는 무의식이 놓여
있다. 신혼의 헤라 여성은 분명한 이유 없이
남편에게 깊이 실망하는 경우가 있는데, 마치 남편이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는 듯한 태도이다. 그러나 사실 남편은 어떤
약속을 한 적이 없다. 단지 아내가(완성시켜 주는) 제우스를
남편에게 투영시켰을 뿐이다.
많은 헤라 여성이 이상적인 남편상을 자신의 남편에게
투영시키고는 남편이 그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할 때 화를 내고
비판적이 된다. 그런 여성은 심하게 잔소리를 하면서 남편을
변화시키려 한다. 다른 유형의 여성은 사귀는 남성이 어떤
사람인지를 분명히 파악하며, 결혼이 그 사람을 변화시킬 수
없다는 것을 알고, 헤어질 수 있는 여성이다.
3. 원형과 문화의 영향력 사이에서
헤라 여성은 원형의 욕구에 따라 결혼을 하고 싶어 하지만 일단
결혼하면 문적인 영향력 때문에 벗어나기가 어렵다. 헤라 원형은
베티 프리단이 명령했지 여성의 신비니, 혹은 (대리만족)이니 하여
사회로부터 지지를 받아왔다.
라 원형과 가부장적 문화는 둘 다 우리가 동화에서 보아온
"그리고 그들은 원히 행복하게 살았습니다"를 암시적으로 약속하고
있다. 일단 결혼을 하라면 여성은 다른 어느 여성보다도 강하게
좋든 싫든 남편과 묶여 있다고 생각다. 그 결혼이 잘못된 것임이
드러날 때도, 헤라 여성은 가부장적 문화의 지를 받으며 이혼은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 남편이 알코올 중독이거나 아내타를
일삼는 사람일 때도, 헤라 여성은 신앙으로, 혹은 가족들의
싹추김에 의하면서 남편과의 유대를 지속시킨다.
4. 억압하는 여성인가 아니면 억압을 당하는 여성인가?
헤라 여성의 영향력을 살펴보고 나면, 헤라 원형은 다른
여성들을 억압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해진다. 미혼의 헤라 여성은
자신이 미완성품이거나 인생의 실패작이라고 여긴다. 혹은 자신은
불행한 결혼을 하게 될 거라고 간주한다. 불행한 결혼생활을 하는
헤라 여성은 이흔할 생각은 없고 그 대신 변모되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그녀는 남편이 자신의 기대만큼 따라주지 못할 때 자신이
비참하다고 생각하며 끊임없이 남편에게 잔소리와 불만을 퍼붓는
여성으로 변한다. 혹은 남편이 바람을 피고 있거나 그렇다고
상상함으로써 질투심과 분노로 얼룩진 아내로 변하기도 한다.
아니면 극도로 불행한 결혼생활을 하면서도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에 놓여 있을 수도 있다.
헤라 여신은 데미테르 여신을 제외한 (데미테르 여신이 받은
고통은 종류가 다른 것이다) 다른 어느 여신보다 고통을 받았다.
그러나 한편 헤라 여신은 자신의 고통을 삭이지 않고 상대땅에게
복수를 함으로써 여신들 중 가장 파괴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현대
헤라 여성의 억압은 남을 비난하는 것에서부터 드러내 놓고 해롭게
하는 것까지 다양하다.
헤라 여성은 언제나 다른 여성들을 평가하며 그녀들이 자신의
기준에 미달한 다고 생각할 때는 그들과 그들의 자식들과의 관계를
끊는다. 이런 헤라 여성중에는 사교 모임을 이끄는 여성이 많다.
헤라 여성은 특히 아프로디테 여성에 대해 경계심을 늦추지
않는다. 가능하다면 어떻게 해서든지 사교 모임이 있을때,
매력적인 미혼 여성이나 이혼녀를 배제하려고 애쓰는데, 그런
여성들은 남편의 관심을 끌 수 있고, 따라서 위협적인 존재가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헤라 여성의 평가 방식은 이렇게 개인적으로
위협석인 여성에게만 국한되지 않는다. 한 예로, 헤라 여성은
강간을 당한 여성이나 사회사업단체의 도움에 의존하는 미혼모들에
대해 동정적이기보다는 비판적이다. 헤라 여성에게 있어서 진실로
인정할 수 있는 여성의 모습은 성공한 남성의 아내가 되는 것
하나뿐이다.
내 자신 오랜 세월 여성주의자라고 생각해 왔지만, 남편과 함께
어느 모임에 참석했을 때 내가 그곳에서 만난 여성을 판단하는
방식을 보고, 나에게도 무의식적인 헤라 유형이 있음을 깨달았다.
나는 주로 부부중심으로 금야기를 나뒀으며, 혼자 모임에 참석한
여성과는 의도적으로 이야꾸를 나누기를 피했는데, 그려들은 내가
남편과 함께가 아니고 혼자 모임에 참석했다면 즐겁게 이야기를
나눌 사람들이었다. 내 자신에게서 이런 부정적인 헤라의 모습을
발견했을 때, 나는 비여성주의적인 나의 모습에 실망했다. 동시에
그 동안 헤라 여성에 대해서 느꼈던 우월감도 사라지게 되었다. 그
사건 이후 나는 누구와 시간을 보내야 할지에 대해 개방적이
되었다. 그리고 그 동안 내가 경멸해 오던 헤라 여성의 태도인
(누구누구의 부인)이라는 인식이 나에게도 있음을 인정한 후로는
남을 평가하는 태도를 버리게 되었다.
5. 메디아 증상
(메디아 증상)이라는 용어는 배반당하고 버림받았다고 느끼는
헤라 여성의 분노와 극도의 복수심을 표현하는 말이다. 메디아
신화는 마음을 다하여 한 남성에게 전념할 수 있는 헤라 여성의
능력과 동시에 그녀의 노력을 남편이 전혀 인정해 주지 않을 때
복수를 할 수 있는 능력 둘 다를 가리킨다.
그리스 신화를 보면 메디아라는 여성이 등장하는데, 그녀는
남편이 자신을 버린 것에 대한 복수로 자식들을 죽인다. 그녀는
헤라의 파괴적인 면을 가진 여성의 한 사례가 된다.
메디아는 콜키스의 공주였다. 롤키스에는 황금양털이 있었는데,
그 황금양털은 제이슨과 알고너츠가 서로 가지려고 하는
물건이었다. 양털은 철통같이 보호되었기 때문에, 그걸 홈치려면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하였다. 제이슨의 수호신인 헤라와 아테나는
아프로디테에게 부탁하여 메디아가 제이슨과 사랑에 빠지도록
함으로써 제이슨이 황금양털을 훔칠 수 있게 하였다. 제이슨은
메디아에
게 도와줄 것을 사정하고, 그녀와 결혼을 약속했으며, (죽음이
둘을 갈라놓을때까지) 함께 하겠다고 멍세하였다. 그래서 제이슨에
대한 열정과 신뢰로 메디아는 제이슨이 황금양털을 훔칠 수 있게
도와 주었다. 그렇게 하기 위하여 메아는 아버지와 조국을
배반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오빠를 죽게 하였다.
제이슨과 메디아는 코린트에 정착하여 두 아들을 낳고 살았다.
이방인인 메디아의 위치는 지금으로 치면 동거인에 불과한
것이었다. 그러자 기회주의자인 제이슨은 코린트의 공주인
글러스와 결혼할 기회를 잡았다. 결혼의 전제 조건은 메디아와 두
아들을 추방하는 것이었다.
제이슨의 배반에 치를 떨면서, 더구나 그를 위해 자신이 치뤘던
모든 희생과 조국을 배반한 죄의 대가가 조롱거리밖에는 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은 메디아는 살의를 품게 된다. 먼저 메디아는
글러스에게 독약이 묻은 옷을 선물한다. 글러스가 그 옷을 입자,
네이팜에 닿은 것과 같은 효과를 낳아, 글러스의 살은 타들어
갔다. 다음에 메디아는 자식들을 생각해 보았다. 자식에 대한
사랑과 남편에 대한 복수심 사이에서 고민하다가, 그녀는 제이슨에
대한 복수심과 자존심으로 아이들을 죽이게 된다.
메디아의 행동은 소름끼치는 것이었지만, 그녀 자신 제이슨에
대한 억제할 수 없는 사랑의 희생자였음이 분명하다. 남편에게
배반당하고 내쫓길 때에 대부분의 여성은 심한 우울증에
사로잡히거나 죽고 싶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메디아는
적극적으로 복수를 계획했고 실행했다. 제이슨은 메디아의 삶의
중심이었다. 메디아의 행동 모두는 제이슨을 사랑하고 제이슨을
잃어버린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제이슨의 아내가 되고 싶은 욕망이
메디아를 미치게 하고 외골로 빠지게 하였다. 너무도 강렬한
헤라의 본능이 메디아를 병들게 했으며 결국에는 그녀를 망치게
했다.
다행히도 메디아의 신화가 현실에 그대로 드러나는 예는
드물지만, 그 비유적인 차원에서는 흔하게 보여지고 있다.
메디아의 경우처럼, 한 여성이 헤라와 아프로디테의 영향력을 통해
한 남성을 사랑하게 된다면, 그에 대한 정열과 그
와 결혼하고 싶은 마음에 눈이 멀게 된다. 그녀는 필요하다면
가족을 버리고 가출 해서라도 그와 결혼하려고 한다. 많은
여성들이 메디아의 결우처럼 영원히 사랑하겠다는 그의 맹세를
믿고 그를 위해서 엄청난 희생을 감수하였다. 그러나 결과는
방탕하고 야심 많은 제이슨에 의해 이용당한 후, 버려지는 것이
었다.
부부가 메디아와 제이슨의 경우와 같은 상황에 놓였을 때,
아내는 메디아처럼 글자 그대로 상대방 여자를 태워서 조각내
버리지는 않겠지만, 그에 버금가는 정신적인 고통을 시도하고
꿈꾼다. 예를 들어서 (메디아) 아내는 상대방 여성을
중상모략함으로써 사회적으로 매장시키려 한다든지, 아니면 글자
그대로 그녀를 해치려 한다.
그리고 메디아와 제이슨의 신화처럼, 남편에 대한 그녀의
증오심이 자식에 대한 애정과 자식에게 가장 중요한 게
무엇이겠는가에 대한 고려보다 크다면, 아마도 그녀는 자식들과
남편과의 관계도 파멸시킬 것이다. 남편이 아이들을 보러 오는
날마다 소동을 벌임으로써, 남편이 아이들을 방문하기를 포기하게
만들 것이다.
놀랍게도 가장 파괴적인 헤라의 모습을 보인 메디아조차 남편
제이슨을 죽이지는 않았다. 버림받은 헤라는 자신을 굴욕스럽게
만든 남편을 해치기보다는 다른 사람을 해친다. 그녀는 특히
자식들에게 상처를 입힌다.
V. 성숙해지는 길
헤라의 영향력을 인정하고 헤라의 감정을 이해함으로써 헤라의
성숙은 시작된다. 많은 여성들이 과거에 자신이 사귀었던
남성들과의 관계를 기억할 때에, 자신이 결혼을 하려고 너무
서둘렀다는 것을 알게 된다. 만일 헤라 성향이 지배적이고 그럴
기회만 주어졌다면, 그 띠성은 고등학교 때 사귄 남학생과 그대로
결혼을 하거나, 여름방학 때 해변가에서 잠시 사귄 남성과, 아니면
잘 알지도 못하는 어떤 남성과도 결혼하려 했을 것이다.
여성이 헤라의 지배를 받을 때, 그녀는 자신에게 결혼 신청을
가장 먼저 하는 남성에게, 현재 자신에게 무엇이 가장 중요한 건지
생각할 겨를도 없이 결혼 승낙을 할 가능성이 높다. 그녀는
신랑감에 대해 자세히 알 때까지 결혼을 미루는 것이 좋다. 그는
어떤 성격의 사람인가? 성숙한 감정을 가졌는가? 가정을 이를
준비가 되어 있는가? 아내에게 충실한 것이 그에게도 중요한
문제인가? 한 인간으로서의 그에 대한 나의 느낌은 무엇인가?
우리는 서로 어울리는가? 이런 질문들에 정직하게 답할 수 있는
것이 헤라 여성의 미래의 행복을 보장하는 데 결정적이다. 일단
결흔을 하면, 헤라 여성은 남편의 성격과 남편의 애정에 의해
빛어진다. 남편이 헤라 아내의 모습을 만든다. 완성된 여성인
헤라인가 아니면 환멸로 가득찬 사나운 여성인 헤라인가를.
1. 헤라의 한계를 넘어서
행복한 결혼생활이 헤라 여성의 삶에 의미를 주는 원천인 반면에
아내 역할만 한정하는 삶은 후일 남편이 죽거나 이혼을 하면서 더
이상 아내 역할을 게 될 때, 그녀가 새로운 삶에 적응하면서
성숙해 나가기 어렵게 만든다. 써는 아마도 무의식적으로 남편이
선택한 친구들과 사귀고 남편이 선택한 일을 따라할 것이다.
그리고 남편이 그녀의 삶을 결정할 것이다. 그러나 그녀가 사기
자신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그 동안 자신의 다른 면들을 무시해
왔다는 것을 깨달을 때, 그녀는 결혼생활 뿐 아니라 자신의 삶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전통적인 결혼생활에서는 남편과 아내는 각기 전체의 반을
차지한다. 남편과 아내는 각기 문화가 정해주는 역할을 맡아
나간다. 이런 역할 분화는 개인 자체로 완성된 삶을 살기 어렵게
만든다. 여성은 문화가 (남성적)이라고 정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피해야 한다. 헤라 여성이 바로 이런 전통적인 여성상을 실현한다.
수학을 못하고 자동차 구조를 전혀 모르는 것, 계약서를 체결해야
하는일을 할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모르는 것 등에 대해
일말의 자부심을 느낄 정도이다. 왜냐하면 이런 것들은 남편이 다
알아서 해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회가 주어져도 헤라
여성은 남성과 경쟁하려 들지 않는다. 그러나 헤라 여성은
습관적인 태도에서 벗어나서 자신의 결혼생활에 대해 반성해 볼
수있다. 그러면 그녀는 자신이 기껏해야 제한된 삶을 살고, 최악의
경우는 자기 파괴적인 역할만을 배당받았다는 것을 악 수 있다.
이런 의식이 헤라를 거부하고 헤라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첫번째 단계이다. 아내 역할에 안주하기를 거부하기 위해서는
의식적으로 끊임없이 다른 원형을 활성화시키도록 노력해야 한다.
2. 성숙하게 만드는 결혼
불안한 헤라 여성은 질투심에 사로잡히기 슁다. 아주 작은
자극에도, 그녀는 남편이 바람피었을지도 모른다고 의심하고,
모임에서 남편이 자기에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것에 대해 창피해
한다. 그녀의 해석에 대해 남편이 인정하지 않을 경우, 그녀는
남편을 비난하면서 따돌리거나, 아니면 자신이 남편에게 얼마나
의존하고 있는지를 알게 함으로써 남편이 자신에게 좀더 섬세한
배려를 하게 한다. 그러면 결혼생활은 그녀의 불안대로 점점
불행해지든지, 아니면 부부는 서로 더욱 가깝게 되면서
성숙해진다.
한 예로, 헤라 아내의 남편은 자기가 어디 있는지 알고 싶어하는
아내에게 화를 내고 말을 안하는 대신, 더 자상해져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남편이 그런 방향으로 변한다면, 남편에 대한
헤라 아내의 신뢰감은 커갈 것이다. 한 남편은 이렇게 말했다.
"이제 나는 아내에게 언제 회사에서 돌아오는지를 말해줍니다.
만일 약속이 생기면 아내가 별의별 상상을 다하면서 괴로워하게
내버려 두는 대신 전화를 해줌으로써 아내가 안심하게 합니다.
"헤라 아내는 끊임없이 누구를 믿어야 할지를 정해야 한다. 남편을
믿을 것인가 아니면 자신의 직감을 믿을 것인가를. 성숙하기
위해서, 그녀는 헤라를 억누르고 남편에게 충분한 격려와 충실함을
보여줘야 한다.
3. 분노와 고통을 창조적인 일로 바꾸기: 헤파이스투스의 해결방법
헤라 여성이 불행한 결혼생활을 할 때, 그래서 고통받는
헤라에서 벗어나야만 할 때, 한 가지 해결방법을 헤라의 아들이며
대장간의 수호신인 헤파이스투스의 신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헤파이스투스는 잠재적이지만 강한 내면을 갖고 있는데, 헤라
여신에게도 그런 점이 있지만 의도적으로 부정해 왔었다. (헤라는
다른 아들인 전쟁의 신 아레스를 더 좋아했다. 그 어머니에 그
아들이라고, 전쟁터에서 아레스의 걷잡을 수 없는 분노는 앙심을
품은 헤라를 닳았다.)
헤파이스투스는, 로마인에게는 벌칸으로 알려져 있는데, 자신의
철공소를 화산 안에 간직하였다. 그것은 헤파이스투스가 화산과
같은 분노를 간직한 채, 그것을 무기와 예술 작품을 만들 수 있는
창조적인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다는 것을 상징하는 것이다.
남편에게 내쫓긴 헤라 여성은 분노로 자기 자신을 소모하든지
아니면 분노를 간직한 채 다른 대안을 생각해 보든지 선택해야
한다. 자기 성찰을 통해서 자신이 분노와 질투심으로 정신적인
불구가 되어가고 있음을 깨닫는다면 그녀는 자신의 분노를
작품으로 승화시킬 수 있다. 그녀는 글자 그대로 헤파이스투스를
따라서 공예가가 될 수 있다. (헤파이스투스의 아내는
아프로디테였는데 그녀는 끊임없이 바람을 피웠다. ) 그녀는
진흙을 빛어 만든 것을 가마에 구어내는 과정에서 자신을
변화시키게 되는데, 그것은 감정의 불길로 자을 소모하고 파괴하는
대신 공예가로 변신하는 것을 비유하는 것이다. 아니면 그녀는
자신의 강렬한 감정을 그림이나 글로 승화시킬 수 있다. 어떤
종류의 일이든, 정신적이든, 육체적이든, 그것에 몰두함으로써
분노를 삭일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분노를 삭이는
일은 분노를 그대로 방치하여 결국은 자신을 파괴하게
내버려 두는 일보다 훨씬 건강한 것이다.
4.화해의 가능성에 대해서: 현실과 꿈 사이
남편이 자신의 곁을 떠났을 때,그 사실을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사실을 헤라 여성은 알 필요가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전형적인
헤라 여성의 반응은 현실을 받아들이지 않고,신화의 줄거리에서의
제우스처럼, 남편이 자신을 잊지 못하고 있으며 다시 돌아을
것이라고 믿는 것이다. 그러나 헤라 여성은 증거를 무시할 수
없으며,그것을 부정하기보다는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다시
재결합을 할 거 라는 기대를 완전히 버려야, 그녀는 신음하고,
극복하고,다시 그녀의 인생을 시작하는 과정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많은 헤라 여성들이 남편이 다른 여성에게 가버렸어도 결국에는
자신에게 돌아을 것이라고 믿고 있다. 헤라 여신은 신화에서는
제우스와의 재결합이 있었다. 그러나 그 결합은 헤라가 제우스를
떠난 후에 일어난 일이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제우스는 헤라가
떠나버린 후, 헤라가 머물고 있는 산으로 가서, 여자모습을 하고
있는 동상과 결혼식을 올렸다. 헤라는 이 모습에 감격했고 곧
재결합을 하였다.
이 이야기는 몇 가지 중요한 심리적인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먼저, 재결합이 있기 전에 헤라는 제우스를 포기하였다. 그녀는
제우스가 변할 거라는 기대를 버렸고, 피해망상증에 사로잡힌
헤라의 역할도 더 이상 지속하지 않았다. 반면에 제우스는
헤라야말로 자신에게 중요한 존재라는 것을 깨달았고 이 뜻을
헤라에게 전했다. 아마도 그때서야 헤라는 마음을 바꿔을 것이다.
이제 헤라는 제우스에게 다른 어느 여성도 영원한 동반자는 되지
못한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제우스의 연애 사건은 동상의
경우처럼 상징적인 것이었지, 중요한 관계로 지속된 것은
아니었다.
현실 세계에서도 신화의 해피 엔딩과 같은 경우가 있긴 하지만,
그건 드문일이다. 별거 생활이 남편의 마음을 변화시키기는커녕
다른 여성과의 관계가 더욱 깊어지고 아내왁 떨어져 있는 것을
다행으로 여기게 되는 것이 더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그녀가 현실에 대해 주의깊게 판단해야 한다는 것이 자명해진다.
그런 후에야 그녀는 몹시 슬퍼한 후 새로운 인생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5. 새로 태어난 나
한 주기를 끝내고 새로운 주기를 시작할 수 있는 가능성은 헤라
신화에서만 보이는 독특한 현상이다. 앞에서도 얘기했듯이, 헤라
여신를 봄에는 처녀 여신으로 숭배받았고, 여름과 가을에는 완성된
여성으로, 그리고 매 겨울에는 과부로서 예식이 치르어졌다.
그리고 봄이 돌아오면 헤라 여신은 다시 처녀가 되어 새로운
주기를 시작하였다. 헤라 원형의 이런 가능성을 이해한다면,
불행한 이혼생활을 하는 여성은 공허함과 학대와 외도에
시달리기보다는 관계를 청산함으로써 감정적으로 과부가 될 수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그러면 이제 그녀는 신화에서의 헤라처럼
새로 시작할 수 있으며, 이번 경우에는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새로 한 결흔에서는, 아내가 되고 싶은 욕구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충족될 수 있을 것이다.
아내가 되고 싶었고 아내 역할을 통해서 완성된 삶을 살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가진 여성은 헤라의 주기를 내면적으로
경험했을 수 있다. 한 예로 남편을 잃은 할머니가 괌 속에서
월경을 하는 꿈을 꾸었다. 그런데 할머니는 이미 십년 전 폐경기를
맞았었다. 꿈은 할머니의 심리 상태를 정확히 표현한 것이다.
완전함을 느끼며, 새로운 인생을 시작하면서, 할머니는 다시 한번
심리적으로 처녀가 된 것이다.
제9장
데미테르: 곡식의 수호신
-양육자, 그리고 어 머니
1 . 데미테르 여신
곡식의 수호신인 데미테르는 풍성한 수확을 관장한다. 로마
신화에서는 이여신을 시어리즈 ceres라고 불렀는데, 그 말에서
오늘날 곡물이란 말이 유래되었다. 그녀는 호머의 데미테르 찬가에
의하면 "아름다운 머리카락과‥‥‥황금검을 가진 기품 있는
여신"으로 묘사된다. 1)그녀는 금발에 푸른 옷을 입은 아름다운
여인으로 또는 (조각물에서 가장 흔한) 품위 있게 앉아 있는
모습으로 그려졌다.
데미테르란 이름의 일부인 미테르 meter는 엄마를 뜻하는 것처럼
보이나 그 앞의 접두어인 '드 de-'는 무엇을 뜻하는지 명확하지
않다. 그녀는 어머니 여신으로서 특히 곡식의 어머니로서 그리고
처녀인 페르세포네의 어머니로서 숭배 되었다.
데미테르의 전기는 헤라의 전기와 마찬가지로 무시무시하게
시작된다. 그녀는 리아와 크로노스 사이에서 태어난 두번째
어린이로 크로노스가 두번째로 삼킨 아이였다. 그리고 데미테르는
남동생인 제우스의 네번째 배우자였다. 데미테르는 또 일곱번째
아이이자 막내인 헤라보다 먼저 태어났다. 제우스와 데미테르의
결합으로 그들의 외동딸인 페르세포네가 태어났는데, 신화에
의하면 데미테르는 이 페르세포네하고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었다.
호머의 긴 서사시 데미테르 찬가에 아름답게 그려져 있는
데미테르와 페르세포네의 이야기는 페르세포네가 데미테르의
형제인 지하세계의 신 하데즈에 의해서 납치된 것에 대해서
데미테르가 어떻게 행동했는가 하는 것을 중심으로 서술되고 있다.
바로 이 신화가 고대 그리스에서 이천년 이상 가장 성스럽고
중요한 종교의식이었던 엘리우시스 제전의 근간이 되었다. 이
제전은 서기 오세기경 고트족 엘리우시스에 있는 성전을
파괴할까지 계속되었다.
1. 페르세포네의 유괴
페르세포네는 들판에서 친구들과 함께 꽃을 따 모으고 있었다.
그녀가 굉장히 아름다운 수선화를 발견하고 그것을 따려고 가까이
다가줏을 때 땅이 그녀앞에서 갈라졌다. 땅 속 깊은 곳에서
하데즈가 검은 말들이 이끄는 황금마차를 타고 나타나 그녀를
붙잡아 다시 땅 속으로 사라져 버렸다. 페르세포네는 몸부림을
치며 제우스에게 도와달라고 소리를 질렀으나 아무런 도움도
없었다.
데미테르는 메아리가 되어서 들려오는 페르세포네의 절규를 듣고
급히 그녀를 찾으러 나섰다. 그녀는 납치된 딸을 찾기 위해서 구일
낮과 구일 밤을 모든땅과 바다를 샅샅이 뒤졌다. 그녀는 먹거나
자거나 목욕할 새도 없이 필사적으로 딸을 찾아 헤맸다.
또 다른 신화에 의하면 데미테르가 납치된 딸을 찾으려고 헛되이
돌아다닐때 그녀를 따라다니던 바다의 신인 포세이돈이 그녀를
발견하고는 그녀에게 혹심을 품었다. 데미테르는 그를 피하기
위해서 한 마리의 암말로 변하여 말떼속에 숨었으나 포세이돈은
이에 속지 않고 자신도 숫말로 변하여 초원에서 그녀를
강간하였다.
십일째 되는 새벽, 데미테르는 달의 여신인 헤커트를 만났는데
그녀는 데미테르에게 태양신인 헬리오스를 만나러 같이 가자고
제안했다. 헬리오스는 그들에게 페르세포네가 하데즈에 의해서
납치되어 원치 않는 신부가 되기 위해 지하세계에 감금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었다. 또한 헬리오스는 하데즈가 페르세포네를
납치하여 강간한 것에 대해서 제우스로부터 벌을 받았다는 것까지
알려주었다. 그는 데미테르에게 이미 일어난 일을 받아들이고 더
이상 통해 하지 말라고 충고하였다. 결국 하데즈 정도면 그렇게
못난 사위는 아니지 않느냐는 것이 었다.
데미테르는 헬리오스의 충고를 거부하였다. 그녀는 비통에
잠겼음은 물론 제우스에 대해 심한 분노와 배신감을 느꼈다.
데미테르는 올림푸스산에서 떠나노파로 가장하고 도시와 농촌을
떠돌아 다녔다. 하루는 그녀가 엘리우시스에도착해서 우물가에
앉아 있었는데 엘리우시스의 통치자인 셀리우스의 딸들이 그녀를
발견하였다. 그녀에게서 풍겨나오는 품위와 아름다움에 이끌려
그들은 그녀에게 다가갔다. 데미테르가 보모 자리를 찾는다고
이야기하자 이 딸들은
데미테르를 그녀들의 어머니인 메타니라에게 데려 갔는데,
그들에게는 뒤늦게 태어나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어린 형제
데모폰이 있었기 때문이다.
데미테르의 보살핌을 받으면서 데모폰은 마치 신과 같이 자랐다.
데미테르는 남몰래 데모폰에게 신의 음식을 먹이고 그를 불에
그을려 불멸의 생명을 주려고 하였으나 마침 그때 어머니인
메타니라가 들어와서 두려움세 놀라 소리를 지르고 말았다.
데미테르는 분노하여 메타니라의 어리석음을 푸짖고 그녀의 정체를
나타냈다. 그녀 자신이 데미테르임을 밝히자 이 여신은 그 형태와
크기가 변하면서 본래의 성스러운 아름다움을 드러냈다. 그녀의
황금 머리카락은 어
깨까지 치렁치렁 늘어졌으며 그녀가 내뿜는 향기와 빛이 집안을
가득 채웠다.
이제 데미테르는 그녀를 위하여 신전을 지을 것을 명령하였다.
그녀는 신전 안에 자리잡고 앉아 오로지 납치된 딸 생각에 비탄에
잠겨 꼼짝도 하지 않은채 은혜를 베푸는 일도 마다하였다. 그
때문에 아무것도 땅에서 자랄 수가 없었고, 어떠한 생명도 태어날
수가 없었다. 가뭄이 인류를 멸망시키려는 듯이 위협하였고
올림피아신들을 위해서 바칠 제물들과 희생양들도 모자라게
되었다.
드디어 제우스가 나섰다. 그는 처음에는 사자인 아이리스를
데미테르에게 보내 회유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데미테르가 꿈쩍도
하지 않자 모든 올림피아의 신들이 번갈아 그녀에게 와서 선물을
바치면서 경외하였다. 데미테르는 전혀 화를 풀지 않고,
페르세포네가 자기에게 돌아을 때까지 절대로 올림푸스산에 한
발자국도 내디더지 않을 것이며 어떤 것도 자라게 하지 않을
것임을 명확히 했다.
마침내 제우스가 데미테르의 청을 들어주었다. 제우스는
데미테르가 직접 그녀의 딸을 보고 화를 풀게 하기 위해서 사자의
신인 헤르메스를 하데즈에게 보내어 페르세포네를 데려오도록
명령했다. 헤르메스는 지하세계로 내려가서 풀이 죽은
페르세포네가 하데즈 옆에 앉아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가도 좋다는 이야기를 듣자 페르세포네는 기뻐서 깡총깡총
뛰면서 헤르메스와 동행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하데즈는 그들을
보내주기 전에, 우선 그녀에게 달콤한 석류씨를 주면서 먹도록
하였다.
마차는 재빠르게 지하세계를 빠져나와 지상의 세계로 와서
데미테르가 기다리고 있는 신전 앞에 도착하였다. 데미테르는 이
일행을 보자 두 팔을 벌리고 마중하러 뛰어나와 그녀와 똑같이 둑
팔을 벌리고 기쁨에 어쩔 줄 모르는 딸을 얼싸안았다. 그리고
데미테르는 걱정스럽게 혹시 페르세포네가 지하세계에서 무엇을
먹지 않았는지 물어보았다. 만약 그녀가 아무것도 먹지 않았더라면
페르세포네는 완전히 엄마 곁으로 되돌아올 수가 있었을 터이다.
그러나 그녀가 석류씨를 먹었기 때문에 페르세포네는 일 년 중
삼분의 이는 어머니인 데미테르와 함께 보내고 그 나머지는
지하세계에서 하데즈와 함께 보내야만 되었다.
어머니와 딸이 다시 재회한 후 데미테르는 출산력을 되살려 주고
땅에서 곡식이 자랄 수 있도록 해주었다. 그리고 그녀는
엘리우시슨 제전을 마련하였다. 이는 전수자를 밝히는 것이
금지되어 있는 거대한 종교의식이었다. 이 의식을 통하여 사람들은
삶을 기쁘게 받아들이고 또한 죽음을 두려움 없이 받아들이게
된다.
ll. 데미테르 원형
데미테르는 모성 원형으로서 모성 본능을 나타낸다. 이 모성
본능은 임신을 통해서, 혹은 육체적, 심리적, 영적으로 남들을
보살핌으로써 충족된다. 이 강력한 본능은 한 여성의 운명을
좌지우지할 수도 있고 그 여성의 주변 사람들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으며 그녀의 보살핌이 거부되거나 좌절될 경우
우울증에 빠질 수도 있다.
1. 어머니
어머니 원형은 올림푸스산에서는 데미테르로서 상징되는데
그녀의 가장 중요한 역할들은 페르세포네의 어7l니 역할, (곡식의
여신으로서) 식량과 영적 음식(엘리우시스 제전)의 제공자의
역할이다. 물론 다른 여신들 (헤라와 아프로디테) 역시
어머니였었으나 데미테르에게는 딸과의 관계가 가장 소중했다.
또한 그녀는 모든 여신 중에서 가장 모성적인 여신이었다.
데미테르 원형이 강한 여성은 어머니가 되기를 갈망한다. 일단
어머니가 되면 어머니 노릇에 대단히 만족해 한다. 데미테르
원형이 극도로 강한 여성은 어머니가 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며, 이 목표가 그녀의 일생을 지배한다. 서양 미술에서 가장
흔히 마돈나와 어린이로 표현되는 모자상이 그녀의 내적욕구와
상응하며 그녀를 감동시킨다.
어머니 원형은 여성에게 남들을 보살피고 너그럽게 배풀고자
하는 욕구가 생기게 하며 그런 역할들에 만족하게 한다. 이러한
데미테르 원형이 지닌 보살피고자 하는 특성은 반드시 어머니가
되지 않더라도 남을 돕는 직업을 통해서-선생님, 간호원, 카운셀러
등 남을 돕는 것이 역할의 일부인 직업들이면 어떤 관계로이든
상대방을 보살핌으로써 표출되기도 한다. 이 원형은 진따 어머니가
되는 것만을 뜻하지는 않는다.
2. 모성 본능
생물학적인 차원에서 데미테르는 어머니의 본능-수태하고 아이를
갖고자 하는 본능-을 나타내는데 어떤 여성들은 이에 별 의미를
두지 않는다.
데미테르 원형은 여성으로 하여금 임신하고 싶은 욕구를
충동질한다. 어떤 여성들은 이러한 욕구가 어느 정도 강한지
스스로 자각하고 이를 충족시킬시기를 선택하기도 한다. 그러나
데미테르 원형이 무의식적으로 발동된 여성들의 경우 그녀들은
원치 않는 임신을 하게 된다.
원치 않는 임신을 했다는 것을 알고난 뒤에 일어나는 일은 그
여성 내부에 이 원형이 얼마나 강한지 그 의도를 보여준다. 낙태가
가장 적합하고 책임 있는 행동의 선택일 때 반데미테르형 여성은
낙태하기로 작정하고 그런 다음에는 안도감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그 뒤로 다시는 원치 않는 임신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인다. 이와는 반대로 데미테르 원형이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여성에게 있어서는, 낙태는 최대의 관심사지만 그녀는 도저히
그것을 받아 들일 수 없게 된다. 낙태는 그녀 마음 속 깊이 숨어
있는, 아이를 갖고 싶은 욕망과 상충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그녀는 낙태보다는 아이를 낳게 되며 그녀 일생 전체를 바꾸게
된다.
만약 그녀가 낙태를 결심한다 하더라도 그녀는 낙태를
전후하여그리고 낙태하는 과정에서 심한 갈등과 심리적인 고통을
느긴다. 그리고 그녀는 안도감보다는 슬픔을 느끼거나, 안도감과
슬픔이 범벅이 된 감정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심한 감정적인
고통을 겪은 뒤이므로, 이런 여성은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실제로는 그 반대가
사실인 경우가 많다. 그녀는 임신, 감정의 소용돌이, 낙태, 그리고
우울증의 순환을 계속 겪게 되는데 이는 임신하고 싶은 욕망이
좌절◎으로써 더욱 강해졌기 때문이다.
데미테르의 모성 본능은 육체적으로 어머니가 되거나 자기
자식을 보살피는 건에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런 여성에게
있어서는, 자신의 자식들이 커버린 후에도 대리 부모가 되거나
보모 노룻을 하는 것이 자신의 모성애를 표현하는 길이 된다.
데미테르 여신 자신도 데모폰을 보살피면서 이란 역할을
수행했었다. 뛰어난 대리 어머니로서 알려졌던 산디에고의 에밀리
애플게이트 EmilieApplegare란 여성은 이러한 데미테르 유형의
측면을 잘 나타내준다. 그녀는 영양 상태가 너무 나빠서 과연
살아남을 수 있을까 의문이 드는 멕시코의 어린이들을 집으로
데리고 와서 돌보았는데 그 애들은 아들 셋 세 입양한 딸
하나로이루어진 가족의 일원이 되었다. 그녀는 (마마 세군다) 측,
양모로 불렸다. 여러인종의 지체장애아들을 입양하였던 사람으로
더 많이 유명한 드볼트 DeBolrs뿐아니라 애플게이트도 모성 본능이
풍부해서 아이들을 기르고 양육하는 능력이 뛰어난 여성으로
전형적인 데미테르 속성을 지니고 있다.
3. 음식 보급자
다른 사람들에게 음식을 해먹이는 것이 데미테르 여성이 가지는
또 다른 만족이다. 이런 여성들은 자기 자식들한테 음식을
해먹이는 것에 대해서 굉장한 만족감을 느긴다. 그녀는 가족과
손님들에게 풍성한 식탁을 차려주는 데서 기쁨을 느낀다. 그리고
그들이 그녀가 만든 음식을 맛있게 먹으면 그녀는 자신이 좋은
어머니가 된 듯한 흐뭇한 기분에 빠져든다 (만약 아테나
여성이라면 그녀는 자신이 주방장이 된 듯한 느낌을 받을 것이다).
만약 그녀가 사무실에서 일을 한다면 그녀는 다른 사람들에게
커피를 대접하는 것을 즐긴다. (아르테미스 여성은 이와는
정반대로 이러한 일을 자존심 깍이는 일로 생각하며 상대편 남자가
똑같이 하지 않을 경우는 절대 그렇게 하기를 거부할 것이다. )
곡식의 여신으로서 데미테르는 인류에게 농작물을 키우는 능력을
주었으며 자연의 풍성한 수확을 관장한다. 마찬가지로 자신들의
먹을 거리를 직접 키우고, 빵을 굽고, 과일 통조림을 만들고
그들의 수확물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려고 시골로 이사하는
여성들은 데미테르의 모성 본능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4. 강하고 지속적인 모성 본능
지속적인 모성애는 또 다른 데미테르 특성이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어머니들은 자식들의 안녕이 관계될 때 포기하는 법이 없다.
장애아동을 위한 여러가지 특수교육 프로그램들은 바로 이러한
데미테르 특성을 가진 어머니들이 자기 자식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얻기 위해 싸됐기에 가능했다. 그리고 주 경찰에 의해서 납치된
행방불명의 아들 딸들을 가진 아르헨티나의 어머니들이 바로
이러한 데미테르의 끈질긴 특성을 보여준다. <5월 광장의 어머니들
Madres la plaza>이라고 불리웠던 그들은, 자식들을 잃어버린 것에
대해서 결코 포기할 수 없었으며 위험을 무릅쓰고 끈질기게 독재에
항거했다. 고집셈, 인내, 그리고 참을성이 데미테르의 특성인데
이러한 특성은 제우스가 연민어린 마음으로 시인했듯이 경우에
따라서는 강한 남성이나 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5. 아낌없이 베푸는 어머니
신화에 의하면 데미테르는 가장 인심 좋은 여신이었다. 데미테르
여신은 인류에게 농경과 풍성한 수확을 주었으며 데모폰을 길렀고,
(그를 불멸의 인간으로 만들 수도 있었다) 또한 엘리우시스 제전을
만들어 냈다. 이러한 붕족함의 표현들을 데미테르 특성을 지닌
여성에게서 모두 볼 수 있다. 어떤 이들은 음식과 육체적인
보살핌을 베풀며, 어떤 이들은 정서적이고 심리적인 안정감을
마련해 주고,또 어떤 사람들은 영적인 위안을 준다. 많은 유명한
여성 종교 지도자들은 이러한 데미테르 특성을 갖고 있으며
그녀들의 추종자들로부터 위대한 모성본능을 가진 위인들로
드높임을 받아왔다. 노벨평화상을 받은 켈커타의 마더테레사 수녀
Masher Teresa가 그러했으며, 크리스천 사이언스라는 종교를
창시한 메리 베이커 에디 Mary Bake, Eddy가 그러했으며, 인도에서
(어머니)로 추앙을 받은 오로빈도 아슈람 Au,obindo Ashram의 영적
지도자 또한 그러했다.
이러한 세 가지 차원의 베품은 바로 데미테르 여성이 자식들에게
베푸는 특성들과 상웅한다. 첫째로 그녀의 자식들은 자신들의
신체적 요구를 해결하는 것을 어머니에게 의존한다. 다음으로
그들은 심리적인 지지와 이해를 그들의 어머니에게서 갈구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들은 실망과 좌절을 딛고 일어서야 하거나
또는 인생의 의미를 찾고자 할 때 자신들의 어머니에게 의존한다.
6.비탄에 빠진 어머니: 의기소침하기 쉬운 특성
만약에 데미테르 원형이 강한 여성이 이를 충족시킬 수 없을
때에는 그녀는 빈 등지의 공허함에서 오는 고통을 겪게 된다.
아이를 갖고 싶은 여인이 석녀일 수도 있고 혹은 자식이 죽거나
집을 떠났을 수도 있다. 혹은 그녀는 대리모라는 일자리를
그만두고 나서 그녀의 고객이나 학생들을 그리워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었을 때 데미테르 여성은 책임자에게 분노하거나 화를
터뜨리기보다는 좌절에 푹 빠지는 경향을 보인다. 그녀는
비통해하며 인생에서 아무런 의미도 찾지 못하고 공허함을 느끼게
된다.
일리노이대학 사회학 교수인 폴린 바트 박사 Dr. Pauline Bart는
<포트노이 어머니의 불평 Mother Portnoy'scomplainl>씨라는
제목으로, 절망에 빠진 데미테르 여성에 대한 글을 썼다. 바트
박사는 40세에서 59세 측이에 처음으로 병원에 입원한 오백 명이
넘는 여성들에 관한 기록들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그녀는 가장
열성적이고 헌신적인 어머니들이 자신의 역할을 잃어버렸을 때
가장 크게 좌절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병에 걸리기 전에 이런 여성들은 자신을 희생한 (슈퍼 어머니
super-mother)들이었다. 이들 좌절에 빠진 여성들의 고백을
살펴보면 그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무언가를 베풀 때 얼마나
감정적으로 몰두했으며,자극들이 그들 곁을 떠날때 얼마나
공허함을 느끼게 되는가가 잘 드러나 있다. 한 여성은 말하기를
어머니로서 당신은 당연하게도 당신 딸이 집을 떠나는 것을 굉장히
싫어했습니다. 그 일 자체가 공허함이었던 것입니다." 다른 한
여성은 말하기를 "나는 그
야말로 정력적인 여성이었습니다. 나는 큰집을 갖고 있었고,
가족이 있었죠. 딸이 내게 어머니는 모든 것을 베풀어 주신 정도가
아니에요. 그 이상을 해주셨어요" 하고 말했습니다. " 일생에서
가장 자부심을 느끼는 것이 무엇이냐고 물어보았을 때 이 모든
여성들은 자식들이라고 대답했다. 자식 이외에 그들 자신의
업적이라고 말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어머니의 역할을 잃었을
때 그들은 인생의 의미를 잃어버리게 되는 것이다.
자식들이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독립을 하여서 좌절하고
화내고 실망하였던 한 늙은 중년부인은 따라서 절망하는
데미테르가 되고 만 것이다. 그녀는 상실감에 사로잡혀 있었으며
모든 흥미를 잃이버리고 말았다. 그녀의 정신적인 성장은 멈추고
만 것이다. 데미테르 원형의 비통해하는 측면에 사로잡힌
이런환자는 비슷한 유형의 고통을 받고 있는 다른 환자들과
대동소이한 반응을 보인다. 이와 같이 우울증에 걸린 환자들은
그들의 얼굴 표정이나 앉고 서는 방식, 걷고 한숨 쉬고 그들의
고통을 호소하는 방식, 그리고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방어적이
되게 하고 죄책감을 느끼게 하고 분노하게 하고 또한 도저히 손
쓸수 없게끔 느끼게 만드는 데 있어서 비슷한 증상들을 보인다.
7. 파피적인 어머니
비통해 하는 데미테르가 자신의 역할을 하지 않았을 때 아무것도
자라날 수 껐고 가뭄이 인류를 멸망시키려는 듯이 위협하였다.
마찬가지로 데미테르의 길적인 측면은 다른 사람이 필요로 하는
것을 주지 않음으로써 드러난다. 기와는 반대로 헤라와
아르데미스라면 그들의 분노를 능동적으로 파괴하는 행위에서 뜰할
것이다. ) 출산 직후의 산모가 심한 우울증에 빠져서 자신의
직분을 다하 않는다면 그녀의 새생명을 위험하게 할 수 있다.
응급실 의료진이나 소아과 기사라면 이러한 아이를 보고 (성장
중지)라는 진단을 내릴 것이다. 그 아이는 전혀 몸무게도 늘지
않고 멍한 상태에 있으며 여위어 간다. 어머니가 아이에게 필요한
영양을 충분히 주지 않고 감정적이고 육체적인 접촉도 거존할 때
(성장중지)를 가져올 수 있다.
자신의 어린 자녀들과 며칠씩, 혹은 그 이상 말하지 않고
지내거나 아이를 혼자 떼어놓는 어머니들은 이런 식의 단절로
자녀들에게 심리적인 상처를 입힌다. 이러한 어머니들은 대개
자신들이 심한 우울증에 걸려 있으며 적개심에 불타 있기 쉽다.
이러한 단절이라는 극단적인 유형보다 훨씬 흔한 유형은
데미테르 유형의 어머니들이 자신의 자식들이 커감에 따라
독립성을 키워가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 어머니의 우울증이 눈에 잘 띄지는 않지만 (자식이 자존심을
키워가는 데 필요한) 허락을 해주지 않는다는 것 또한 그녀의
우울증과 관련이 있는 것이다. 그녀는 자식들이 점차 자율적으로
커나가는 데서 정서적 상실감을 느낀다. 그녀는 점차 자기가 덜
필요한 존재라고 느끼게 되고 거부받고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 그
결과 우울증에 걸리게 되고 분노하게 된다.
8. 데미테르를 활성화하기
자식을 가질까 말까를 심각하게 고려하기 시작하는 여성들은
깨닫지도 못하는 사이에 자신 내부에 있는 데미테르를
활성화시키고 있는 것이며 이 원형이 더욱 능동적으로 자신의
마음을 차지하게끔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들이 선택을 놓고
심각하게 고려하기 시작하게 되면, 전에는 눈에 띄지도 않던
임산부들이 더 자주 눈에 들어오며 어린 아기들이 더 자주 눈에
띄고 자식을 가진 사람들을 더 자주 찾게 되고 어린이들에게
주의를 기울이게 된다. (이 모든 활동들은 데미테르 여성에게
자연스러운 것이다. ) 여성들은 자기 자신이 임신을 해서 아이
가지는 것을 상상함으로써 데미테르를 활성화시킨다. 그들은
임신한 여성을 보면서, 아기를 안으면서,어린아이들에게 모든
관심을 쏟으면서 자신들 내부에 있는 데미테르 원형을 일깨우는
것이다. 모성 본능의 힘을 테스트해 보려는 노력 자체가 데미테르
원형을 쉽사리 활성화시킬 수 있는가 하는 관건이 된다. 어떤
여성은 특정한 아이에 대해 더 모성애를 느끼려곤 할 수도 있고
아니면 특정한 아이의 사랑을 받고 싶어할 수도 있다. 그 아이는
그 여성의 내부에 있는 모성 본능을 자극하는 것이다. 아이에 대한
감정 때문에 그녀는 좀더 참을성이 늘어나거나 아니면 아이의
행동에 보다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게 된다. 그리고 그녀가 점차
모성적이 되고 그렇게 되도록 행동하게 되면서 데미테르 원형은
그녀 내부에서 점차 성숙하게 된다.
111. 데미테르 여성
데미테르 여성은 무엇보다도 우선 모성적이다. 그녀는 사람들과
관계에 있어서 보살펴 주기를 좋아하고 지지해 주고 헌신적이며
너그럽다. 그녀는 종종 그녀의 눈에 띄는 필요를 전부 충족시켜
주는 여인이 되기도 한다. 모든 음식, 심리적인 재정적인 혹은
감정적인 보살핌을 마다하지 않는 풍족한 여인으로 행동한다.
데미테르 여성은 대지의 여신의 기운을 갖고 있다. 그녀는
확고부동하면서도 의존적이다. 어떤 이들은 그녀를 실천력과
따뜻함을 모두 지니고서 필요한 일이라면 무엇이든지 다하려고
하는 (대지에 발을 딛고 서 있는) 이로 묘사하기도 한다. 그녀는
대개 관대하며 외향적이고 이타적이며 다른 이들이 그녀를 가리켜
고집불통이라고 할 만큼 개개인에 대해 그리고 원칙에 충실한
사람이다. 그녀는 신념이 강하여 자신에게 중요한 일이나 사람이
관여되어 있을 경우 그녀의 결심을 바꾸게 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1.소녀 시절의 데미테르
<엄마놀이> 하기를 좋아해서 인형을 팔에 안고 얼르는 아이들은
분명히 데미테르의 싹을 지니고 있는 소녀들이다. <어린 헤라라면
바비인형을 더 선호할 것이며, 만약 어린 아테나라면 유리상자에
잘 보관된 역사적인 인형들을 모으는 것을 더 가할 것이다.>
또한 어린 데미테르는 진짜 아이를 안아 보기를 좋아하고,
아홉살이나 열살 되면 벌써 이웃의 아이들을 돌보아 주기를
좋아한다.
2. 데미테르의 부모
데미테르 여성들이 부모와 맺는 관계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데미테르신이 그녀의 부모들파 가졌던 관계를 살펴보면 된다.
데미테르 여신은 리아 딸이었으며 지아의 손녀딸이었다. 지아는
태초에 대지의 여신으로서 그녀로 부터 모든 생명이 탄생하였고
심지어 그려의 남편이 된 하늘의 신 우라누스도 그녀에게서
나왔다. 리아는 올림푸스산의 1세대 신들의 어머니로 가장 잘 알려
있으나 땅의 여신으로도 알려져 있다.
데미테르는 곡식의 여신으로서 다산에 관련해 온 다른 여신들과
그 계보를 같이한다. 데미테르는 또한 그녀의 어머니, 할머니와 또
다른 많은 공통점을 지고 있다. 한 예로 이 세 여신은 남편들이
자신의 자식들을 괴롭힐 때 고통을 받았다. 지아의 남편은
자식들이 태어났을 때 그 자식들을 그녀의 몸 속에 묻어버렸다.
리아의 남편은 갓 태어난 어린아이들을 삼켜버렸다. 그리고
데미테르의 남편은 딸이 지하세계로 납치되어 가는 것을 묵인했다.
이들 세 아버지들은 모두 부성애가 없음을 드러내 보였다.
삼대에 걸쳐서 이 어머니들은 고통을 받았다. 남편들보다 약한
자로서 그들은 남편들이 자식들을 해치는 것을 말릴 수가 없었다.
그러나 그들은 이러한 부당한 대우를 받아들이지 않고 그들의
자식들이 풀려날 때까지 저항했다. 가장 중요한 관계는 어머니와
자식 간의 관계였던 것이다.
실제 상황에 있어서도 모성적인 여성이 부성적이지 않은 남자와
결혼을 하게되면 데미테르 신화와 비슷한 상황이 일어난다. 이런
상황하에서 데미테르의 딸은 어머니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아버지와는 무관한 채 자라게 된다. 아버지의 태도는 자식들에
대해서 무판심하거나 경쟁적이 되거나 미워하거나 심지어는 만약
그 남편이 자녀들을 아내의 사랑을 얻어내기 위한 경쟁자로
여긴다면-신체적인 위협을 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집에서는 어린
데미테르의 자존심이 고통을 받게 되며 그녀는 희생되고 있는 느낌
속에서 자라게 된다.
아니면 데미테르 딸은 그녀가 지닌 모성적인 자질을 성숙하지
못하고 경쟁적이지 못한 부모들의 역할과 맞바꾸게 된다. 그리하여
그녀는 철이 들자마자 그녀의 부모들을 보살피거나, 아니면 그녀의
나이 어린 형제들에게 대리부모 노릇을 한다.
이와는 반대로 만약 어린 데미테르가 인자하고 자애로운 아버지
밑에서 크게 되면 그녀는 아버지의 보호하에 자신도 좋은 부모가
되어야겠다는 바람을 가지고 크게 된다. 그녀는 남자를 긍정적인
시각으로 보게 되며 남편의 존재에 대하여 긍정적인 기대를 갖게
된다. 희생자가 되기 쉬운 원형적 특성은 그녀의 어린 시절의 경험
때문에 강화되지 않는다.
3. 사춘기와 청년기의 데미테르
사춘기에 접어들면 원형적인 모성 본능이 호르몬을 최고의
상태로 끌어올리기 때문에 그녀의 아기를 갖는 것이 생물학적으로
가능하게 된다. 그러면 몇몇 데미테르 소녀들은 임신을 갈망하게
된다.
만약 인생에 따로 추구하는 목표가 없고 부로에 의해서 별로
살핌을 받지도 못하고 자란 소녀가 강압적인 성관계 후에 임신을
하게 된다면 그녀는 어린아이를 갖게 된 것을 환영할지도 모른다.
미혼모를 위한 집에 있던 임신한 열네살짜리 소녀는 "내 또래의
다른 소녀들이 자전거나 그밖의 것을 원할 때 나는 늘 아이를 원해
왔다. 임신해서 기쁘다"고 말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데미테르 소녀들은 임신을 하지 않는다. 짝을
찾고자 하는 헤라의 깊은 갈망이나 사랑에 대한 아프로디테의
열망이 없기 때문에 데미테르는 일찍 성관계를 갖고자 하는 욕망이
별로 없다.
많은 데미테르 여성들은 일찍 결혼한다. 노동자 계급의
가정에서는 고등학교를 졸업하자마자 결혼을 권유받게 된다.
이러한 권유는 고등교육이나 직장을 갖기보다는 가정을 갖기
원하는 데미테르의 특성과 맞아떨어진다.
만약 젊은 데미테르 여성이 결흔을 해서 가정을 갖지 않는다면
그녀는 직장을 가지거나 대학에 진차한다. 대학에서 그녀는 주로
남을 돕는 직업을 갖는데 필요한 과목들을 택하는 성향이 있다.
데미테르 여성은 야심적이거나, 지적이거나, 학점에 욕심이 많지는
않으나 좋은 성적을 유지하는데 이는 그녀가 밝은 성격이고 수업에
관심을 쏟기 때문이다. 헤라 여성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지위는
데미테르 여성에게는 별로 중요한 것이 못된다. 데미테르 여성은
지위고하를 가리지 않고, 인종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친구들을
가질 것이며, 지체부자유아인 학생들을 도와주며 잘 적응하지
못하는 친구들을 도와줄 것이다.
4. 직업
데미테르 여성들이 갖는 모성적인 특성은 그녀로 하여금 남을
보살피거나 도와주는 직업을 택하게 한다. 그녀는 교사나
사회사업가 간호사 같은 (전통적으로 여성적인) 직업으로 알려진
직없을 택하게 된다. 병을 낫게 하거나 성장할수 있게 사람들을
돕는 직업은 데미테르 여성에게 만족감을 준다. 임상 심리학자,
물리 치료사, 사회복귀 치료사 혹은 소아과 의사가 되는 여성들은
직업을 선택하면서 데민테르 특성을 표현한 것이다. 유아원이나
국민학교, 병원 혹은 양로원에 자원봉사하는 많은 여성들 또한
데미테르 특성을 자신들의 일에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어떤 데미테르 여성들은 모성적인 힘을 필요로 하는 조직에서
핵심적인 인물이 된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그들은 헌신적으로
일한다. 그녀는 그러한 조직을 만들어 내고 추신을 바쳐
일하며,초기의 성공을 개인적으로 책임진다.
이와 같이 리더십을 발휘하여 조직을 창설하고 운영하는
데미테르 여성은 카운셀링을 찾기가 쉬운데, 몇 가지 이유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즉, 조직이 너무나 많은 시간을 그녀에게서
빼앗아 가기 때문에 조직 외에 다른 일을 할 시간이 전혀 없을 수
있다. 만약 그녀가 헤라의 성향도 가지고 있다면 배우자를 만나고
아이를 갖고 싶어하는 개인적인 욕망이 충족되지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조직 내에서 그녀가 관리하고 있는 사람들과 마찰을
일으킬 수도 있는데, 왜냐하면 그녀는 자신을 권위주의적이면서도
한편 대모 노릇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한 예로
무능력한 피고용인을 다루거나 해고하는 일은 그녀에게 상당히
어려운 일인데, 왜냐하면 그녀는 그 사람에게 대해 미안하게
생각하고 그를 고통스럽게 한 일에 죄책감을 느끼기 때문이다.
게다가 피고용인들은 관리자가 남자였다면 애당초 갖지도 않을
개인적인 기대를 그녀에게 품게 되고
그녀가 개인적인 배려를 하지 않을 때마다 그녀를 미워하고
그녀에대해서 분노하게 된다.
5. 다른 여성과의 관계
데미테르 여성은 남자나 업적을 놓고 다른 여자와 경쟁을 하지
않는다. 만약 다른 여성을 부러워하거나 질투를 한다면 그것은
어린애 때문일 것이다. 아이가 없는 데미테르 여성은 어머니가 된
자기 또래 여성에 비해서 자신이 못났다고 생각한다. 만약 그녀가
아이를 못 낳는 여자라면 그녀는 다른 여성들이 임신을 하는 것에
대해서, 특히 그들이 인공유산을 하는 것에 대해서 몹시 괴로 움을
느긴다. 인생의 노년기에 접어들어서 만약 성장한 자녀들이 멀리
떨어져 살거나 아니면 심리적인 거리감을 느낄 때, 그녀는
자식들과 자주 접촉하는 딴 어머니들을 부러워하게 된다. 혹은
노년기에 있어서 부러움이 다른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손자들에 대한 부러움이 바로 그것이다.
데미테르 여성은 여성주의나 여성운동에 대해 상반된 감정을
가진다. 많은 데미테르 여성은 여성운동가들이 어머니의 역할을
비하한다는 이유로 싫어한다. 데미테르 여성들은 전업주부이기를
원하는데 지금으로서는 바깥일을 해야한다는 데 대해 부담감을
느끼고 있다. 다른 한편 데미테르 여성은 여성운동에서 다루고
있는 여러 주제에 강력히 호응하고 있는데 예를 들자면 어린이를
폭력과 부당한 대우로부터 보호한다거나 폭행당하는 아내들을 위한
쉽터 마련 등을 지지 한다.
데미테르 여성은 보통 다른 데미테르 여성과 굳건한 우정관계를
유지한다. 이러한 우정은 그들이 어머니가 되었을 때 맺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녀들은 서로 의지하고 도움을 주고받는 데 있어서,
남편들보다는 오히려 이러한 여성 친구들에게 더 의존한다. 예를
들자면, 한 여성은 이렇게 말했다. "내가 병원에 입원하고 있을 때
내 친구가 아이들을 돌보아 주었으며 매일밤 내 남편의 저녁을
차려주었다. 두 주 동안 그녀는 자신의 네 자녀와 나의 다섯
아이들 그리고 세명의 어른을 위한 저녁을 차려주었다. 나 역시
그녀가 어려움에 처해 있었을때 똑같이 해주었었다." 데미테르
여성은 자신이 집을 비우게 되었을 경우 남편보다는 오히려 여자
친구에게 가족을 돌보아 줄 것을 기대한다.
가족 내에서 어머니와 딸들이 모두 데미테르 여성이면 이들은
여러 대에 걸쳐서 매우 친밀한 관계를 유지한다. 이러한 가족들은
모계 중심적인 성향을 강하게 나타낸다. 그리고 이러한 가정
내에서 여성들은 남편들보다 친척들 일에 대해서 훨씬 자세하게
알고 있다.
데미테르 어머니-딸 유형은 친구들 간에도 재현될 수 있다. 두
친구 중 하
나가 데미테르처럼 모성적이라면 다른 하나는 페르세포네처럼
경험이 없고 마
음이 연약한 면을 보이는 관계를 갖게 되는 것이다. 혹은 둘 다
데미테르 여성 으로서 페르세포네의 특성도 지니고 있다면 그들은
번갈아가면서 어머니 역할도 하고,또 어떤 때는 둘 다 데미테르가
되어서 그들 생활의 모든 자세한 부분까지 서로 나누고 그들의
기쁨과 어려움을 함께 의논한다. 아니면 그들은 동시에 발랄하고
킥킥대는 어린 페르세포네일 수도 있다.
동성연애중인 여성들이 때때로 데미테르-페르세포네 유형에
들어맞는다. 데미테르 여성의 안녕은 더 젊거나 덜 성숙한
연인과의 독점적인 관계에 의존하고 있다. 연인과 함께 있어야만
데미테르 여성은 자신이 온전하고 생산적인 것처럼 느긴다.
그녀에게 여신과도 같은, 이 젊은 애인과 함께 있음으로 해서,
데미테르 여성은 일할 수 있고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데미테르 여성이 자신의 연인을 잃을까봐 두려워한다면
그녀는 자신의 페르세포네 애인을 점점 더 소유하려 들 것이다.
그녀는 더욱 의존적이 되며 애인을 독점하려고 하는데 이것이
종국에 가서는 둘의 관계를 해치기도 한다.
그러나 페르세포네 여성은 젊고 특성이 아직 분명하지 않은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녀의 모든 것은 아직 불분명하고 충분히
발달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녀는 여성적이고 감수성이 예민한
여성으로서 그녀의 성적 선호도는 그녀의 다른 모든 부분과
마찬가지로 순응적이다. 예를 들자면, 그녀가 동성연애에 빠져
있더라도 다른 남자에게 이끌릴 수 있다. 만약 페르세포네 여성이
이성간의 사랑에 눈을 떠서 데미테르 애인을 버리고 떠나간다면
데미테르 여성은 마치 신화 그 자체가 재현된 것처럼 괴로워할
것이다. 뜻하지도 않게 그려의 페르세포네가 하데즈에 의해서
납치된 것이다. 이는 그녀에게 도저히 메을 수 없는 손실인
것이다.
6. 남성과의 관계
모성적인 여성에게서 애정을 느끼는 남자에게 데미테르 여성은
매력적이다. 데미테르 성향이 강한 여성은 자신이 선택을 하지
않는다. 그녀는 단지 남자의 요구에 반응할 뿐이며 심지어는
그녀가 그 남자에 대해 미안한 감정을 느끼기 때문에 그 남자와
함께 있는 경우도 있다. 데미테르 여성은 남성에 대해서 별로 큰
기대를 하피 않는다. 그들은 종종 "남자란 어린애와 같다"고
생각한다.
데미테르 여성에게 흔한 남녀관계는 어머니 같은 여성과 아들
같은 연인이다. 이러한 어머니와 아들 같은 연인 관계는 비록
남자가 연하일 수도 있으나 반드시 나이 차이를 뜻하지는 않는다.
보통 그 남자는 재능 있고 예민한 남성으로서 남들이 자신을
인정해 주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다른 사람들 또한 그의
무책임함을 그냥 지나치지 않음에 비해서,그녀는 그를 인정해 주고
그의 무책임함을 눈감아 준다. 그는 덜 성숙된 자아도취에 빠진
소년으로 자신이 그저
한 사람의 남성이라고 생각하기보다는 특별한 존재라고 생각한다.
그녀는 그의 이러한 자아상에 동의하며 다른 사람이 보기에는
이기적이고 사려질지 못한 그의 그녀에 대한 태도를 계속 눈감아
준다.
그녀로서는 이 세상이 그에게 친절하지 못한 것이다. 그녀와
마찬가지로 세상도 그를 예외로 대접해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의
사려깊지 못함은 가끔 그녀를 화나게 하고 상처받게 하나 그가
말로서 그녀가 얼마나 소중한지 모른다거나 그녀만이 유일하게
자기를 생각해 주는 사람이라고 속삭이면, 그녀는 모든 것을
용서하고 만다.
마치 굉장히 잘생긴 아들을 둔 어머니가 '어쩌면 내가 이렇게
신과 같이 근사한 아들을 낳게 되었을까' 하고 신통해하는 것처럼
데미테르 여성의 연인에 대한 어머니 노릇은 그의 외모가 굉장히
미남이거나 아니면 그가 특별한 재능을 지녔기 때문이기도 하다.
한 데미테르 여성은 나에게 이렇게 말했다. "그 남자는 마치
미켈란젤로의 다비드상처럼 보였어요. 나는 그를 돌보는 것에서
기쁨을 느꼈습니다. 나는 그를 버릇없게 만들었지요."그녀는 이
이야기를 후회스 럽기보다는 자랑스럽게 말했다.
데미테르 여성은 모성적인 자질과 거절하지 못하는 특성으로
인해 반사회적인 인물에게 이용당하기 일쑤인데 이러한 유형의
남자가 데미테르 여성과관계를 갖는 것을 우리는 종종 본다.
데미테르와 반사회인의 관계는 외관상으로 볼 때는 헌신적인
어머니와 아들 연인 관계와 유사하다. 그리고 실제로 겹쳐지는
부분도 있다. 그러나 아들 연인은 최소한 사랑을 바치고 충성하고
후회할 줄도 안다. 반사회인은 그렇지 못한데 이것이 결정적인
차이가 된다. 반사회인은 그가 필요로 하는 것은 무조건
받아들여져야 한다는 가정 위에서 행동한다. 그는 감정적으로
가까와지거나 고마워할 줄 모른다. 그의 태도는 은연중에 네가
최근에 나에게 해준 것이 무엇이냐' 하는 의구심을 드러낸다. 그는
과거 자신의 이기적인 행동은 물론이고 데미테르 여성이 과거에
그에게 베풀었던 친절이나 희생을 기억하지 못한다. 그는 그저
자신이 필요한 것만을 부풀린다. 그리고 바로 그러한 필요성이
너그러운 데미테르 여성의 반응을 불러일으킨다. 이러한
반사회인과의 관계는 수년간 데미테르 여성의 마음을 사로잡고
그녀를 빈털털이로 만들어 버린다.
또 하나의 전형적인 데미테르의 배우자는 <늙은 아버지와 결혼한
소녀> 같은 여자와 결혼하고 싶어하는 남자다. 어린 오이디푸스
같이, 그는 자기가 사오세의 어린 소년이었을 때 자신의 어머니와
결혼하기를 원했던 것처럼 그 소망을 계속 지니고 있다. 어른이
되어서도 자신에게 좋은 어머니 노릇을 해줄 모성적인 여성을
찾는다. 그는 그녀가 아이를 잘 키우며 정감 있고 책임감 있으며
자신을 돌보아주기를 바란다. 즉, 자신의 음식을 장만해 주고 그의
옷을 사주고 매란져 주고 그가 필요로 할 때 의사를 찾거나 치과에
가게 하고 또 그가 사회생활을 잘할 수 있도록 계획을 짜주기를
바란다.
데미테르 특성에 이끌리는 모든 유형의 남성 중에서 가정적인
남자가 유일하게 성숙하고 너그러운 남성이다. 그는 가정을 이루고
싶은 강렬한 소망을 지니고 있으며 데미테르 여성을 그와 함께
자신의 꿈을 나눌 수 있는 상대자로 본다. 이러한 남성은
자식들에게 좋은 아버지일 뿐 아니라 아내 또한 잘 보살핀다. 만약
누가 데미테르 여성의 거절을 못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그녀를
곤경에 빠뜨리게 되면 그는 그녀가 자신을 지킬 수 있도록 돕는다.
가정적인 남성은 또한 그녀에게 아이를 갖게 해서 그녀 자신이
충족감을 느끼도록 도와준다. 다른 세 유형의 남성들은 아이를
갖는다는 생각에 위협을 느껴서 만약 그녀가 임신을 하게 된다면
유산하라고 강요할 것이다. 유산하라는 강요는 모성애에 위기를
느끼게 한다. 그녀는 애인을 버리거나 아니면 어머니 노릇을
포기해야 한다. 이러한 선택은 그녀에게 마치 두 자식 중에 한
명을 희생시켜야 하는, 도저히 불가능한 선택을 강요당하는
어머니의 심정이 되게 한다.
7. 성생활
데미테르가 가장 지배적인 원형인 여성에게 성은 그다지 중요한
것이 못된다. 데미테르는 보통 강렬한 성욕을 지니고 있지 않다.
그녀는 따뜻하고 사랑스러우며 여성적인 사람으로 섹시한
여성이라기보다는 (안아주고 싶은) 귀여운 여성이다. 대다수의
데미테르 여성은 성에 대하여 청교도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
그들에게 성이란 자식을 낳기 위한 것이지 즐거움을 위한 것이
아니다. 종종 데미테르 여성은 부부관계를 아내로서 남편의 필요를
채워주는 일로 여긴
다. 그리고 많은 데미테르 여성은 (죄스러운) 비밀을 간직하고
있는데, 그들에게 가장 육감적인 몸짓은 남편과 사랑을 나눌 때가
아니라 자신의 자식들에게 젖을 먹일 때인 것이다.
8. 결혼
헤라 여성과는 달리 데미테르 여성에게는 결혼 그 자◎가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대부분의 데미테르 여성은 주로 아이를 갖기 위해
결혼을 하려고 한다. 그녀 내부에 아프로디테나 헤라 원형이 있지
않는 한, 데미테르 여성은 결혼을 아이를 갖는 데 필요한 단계이자
가장 적합한 상태로 본다.
9. 자식과의 관계
데미테르 여성은 생물학상의 어머니가 되고 싶은 강한 욕구를
느긴다. 그녀는 자신의 아이를 낳아서 기르고 싶어한다. 그녀는
또한 좋은 대리모, 양어머니, 계모가 될 수 있으나 그녀 자신의
아이를 낳을 수 없을 경우 그녀의 간절한 소원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므로 자신을 쓸모없는 사람이라고 느끼게 된다.<이와는
반대로 아르테미스나 아테나 여성이라면 자식이 있는 남성과
결혼을 함으로
써 쉽게 가정을 이를 것이다. )
데미테르 여성은 한결같이 자신을 좋은 어머니로 생각하는데,
그들의 최고 관심사는 늘 자식이다. 자식에게 데미테르 여성은
굉장히 좋은 어머니가 될 수도 있고 형편없는 어머니가 될 수도
있다.
다 큰 자식들이 그녀를 좋아하지 않을 경우 데미테르 여성은
크게 상처받고 혼란을 겪는다. 다른 어머니들은 자기 자식들의
사랑을 받고 감사를 받는데 어째서 자신은 이렇게 부당한 대우를
받아야 하는지 이해하지 못한다. 그녀는 또한 자기 자신이
자녀들에게 어려움을 안겨줄 수도 있다는 것을 도저히 납득하지
못한다. 그녀는 오로지 자신의 좋은 의도만 생각할 뿐 자식을 망칠
수 있는 부정적인 요소는 의식하지 않는다.
데미테르 어머니가 자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또한
그들에게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느냐는 그녀가 (자식이
유괴되기 전)의 데미테르냐 아니면 (유괴된 후)의 데미테르냐에
달려 있다. 페르세포네가 유괴되기 전에
데미테르는 모든 것이 잘되리라고 믿고 자신의 역할을 잘
수행했다. 그러나 페르세포네가 유괴된 뒤 데미테르는 좌절하고
분노했다. 그녀는 올림푸스산을 떠나서 자신이 해야 할 바를 전혀
하지 않았다.
유괴 전의 상태는 실생활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형패를 떤다.
자식들이 다 커서 떠난 빈 등지에서, 마치 삶의 의미를 <유괴
당한> 것처럼 느끼는 여성의 경우 유괴 전의 상태는 이십오년간
지속된 서로 아껴주고 친밀한 가족적인 삶이었다. 그녀가 보기에는
유괴자인 하데즈와 같은 남자와 살기 위해서 자신에게 대드는 딸을
가진 여성에게 유괴 전의 단계는 그녀의 딸이 자신의 분신처럼
느껴지고 같은 가치관과 희망을 공유하고 있다고 여기던 단계이다.
어떤 데미테르 어머니들은 뭔가 좋지 못한 일이 자식들에게 생길
것이라는 불길한 생각을 떨쳐버리지 못한다. 이들은 마치 자식이
태어난 순간부터 유괴 당하기를 기다리고 있는 사람처럼 행동한다.
그들은 끊임없이 자식의 독립심을 제한하고 다른 사람과 관계를
갖는 것을 말리려 든다. 그들을 이런 식으로 행동하게끔 하는
것에는 바로 자식을 잃을까 하는 두려움이 들어 있다.
상황에 따라 데미테르의 부정적인 성향이 강화되는 수도 있다.
한 여성은 자신이 딸을 낳은 후 육년 동안은 행복했다고 회상한다.
세상은 안전하며 어머니 노릇을 하는 것은 그야말로 만족스럽고
즐거운 일이었다. 그러던 어느날 갑자기 마치 지하세계에서
하데즈가 뚫고 나온 것과 같은 일이 일어났다. 하루는 그녀가 딸을
맡겨놓고 외출을 하였다. 그런데 그 딸이 이웃집에 놀러갔다가
성폭행을 당한 것이다. 그 후로 아이는 두려움에 떨고 악몽을 꾸게
되었고 세상의 모든 남자들,심지어는 아버지마저 두려워하게
되었다.
이 어머니는 자기가 그 자리에 있었더라면 그 일을 막을 수
있었을 거라는 이유로 분노하고 슬퍼하고 죄책감에 시달렸다. 그
일이 있기 전에는 그녀는 편견 없이 자신감 있고 자유롭게 딸을
길러왔다. 그러나 그 일이 있고 나서 그녀는 죄책감과 책임감을
느끼고 뭔가 나쁜 일이 또 일어날까봐 걱정하며 자신에 대해
회의하기 시작했다. 그녀는 점차 아이를 과도하게 통제하고
보호하게 되었다. 아이를 기르는 즐거움과 자발성, 안전한 세상에
살고 있다는 느낌,그리고그녀의 자아감을 잃고 말았다.
데미테르 어머니는 자식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모든
사건에 대해서 자신이 죄책감을 느낀다. 완벽한 어머니가 되어야
한다는 비현실적인 기대를 더 이상 자신에게 하지 않게 되기까지
그녀는 자신이 모든 것을 알고 있고 전인적이며 심지어 앞으로
일어날 일까지 내다보면서 자식을 고통으로부터 보호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자식을 보호해야 한다는 생각 때문에 데미테르 여성은 과보호를
하기 쉽다. 그녀는 자식의 모든 행동을 하나하나 지켜보고
감시하고 위험한 모든 물건을 치워버린다. 결과적으로 그 아이는
다른 사람들이나 자신의 문제를 다를 때 어머니에게 의존하게
된다.
통제적인 데미테르 어머니 밑에서 자란 자녀들은 종종 심리적인
탯줄이 아직 끊어지지 않은 채 영원히 그녀에게 밀착되어 있다.
어머니의 성격에 지배되면서 그 자식들은 어른이 된 후에도
어머니의 착한 딸이나 아들로 남아 있는다. 어떤 자식들은 영원히
결흔하지 않는다. 결혼을 한 경우에도 그들은 어머니와 더 강한
유대를 지닌다. 예를 들자면 데미테르의 아들은 늘 어머니 편을
들고 아내의 소망은 별것이 아닌 것으로 무시해 버린다. 혹은
데미테르의 딸은 남편과 긴 휴가 여행을 가기를 거부한다.
왜냐하면 그녀는 어머니를 그렇게 오랫동안 떠날 수 없기
때문이다.
자신의 생활을 영위하기 위하여 데미테르 어머니의 자식들
중에는 집을 떠나 지리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곳에 가서
살기도 한다. 그들은 어머니가 무의식적으로 자신들로 하여금
신세를 지고 있다거나 떳떳지 못하다거나 의지하고 있다고 느끼게
만들려고 할 경우 그렇게 한다.
데미테르 여성의 또 다른 부정적인 어머니상은 자식들에게
'안돼!' 하고 말하지 못하는 어머니이다. 이런 어머니는 자기를
버리고 모든 것을 다 바쳐서 자식에게 헌신하는 어머니라
생각하면서 주고 또 준다. 이런 데미테르 어머니는 자식들이 아주
어릴 때부터 그들이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다 갖도록 해준다.
만약 그것이 그녀가 살 수 없을 정도로 비싼 것이라면 무리를
해서라도 그것을 사거나 아니면 사주지 못한 데 대해 죄책감을
느낀다. 더군다나 그녀는 자식들 행동에 한계를 지우지 못한다.
유아기 때부터 아이들의 모든 욕구를 들어줌으로써 그들의
이기심을 부추긴다. 결과적으로 그녀의 자식들은 뭐든지 특혜를
바라고 순응하기 어려운 사람들로 자라게 된다. 그들은 학교에서
문제를 일으키고 직장에서도 말썽을 일으키게 된다. 모든 것을
해주는 좋은 어머니가 되고자 했던 의도가 정반대의 결과를 낳을
수 있는 것이다.
10. 데미테르 여성의 중년
데미테르 여성에게 있어서 중년은 중요한 때이다. 만약 그녀에게
아직 자식이 없다면 그녀는 자신이 점차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아이를 영영 갖지 못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빠져든다.
결흔한 데미테르 여성은 별로 관심이 없는 남편을 상대로 아기
문제를 끄집어 내며 임신에 문제가 있는가 알아보려고 7센터를
찾게 된다. 양자를 맞아들이는 것을 고려하기도 한다. 그리고
결혼하지 않은 데미테르 여성은 미혼모가 되기도 한다.
자식이 있다 하더라도 데미테르 여성의 중년은 그녀의 인생에
있어서 여전히 중요한 시기다. 비록 그녀가,그녀의 남은 인생을
살아가면서 이와 중요성을 깨닫지 못한다 하더라도 말이다. 그녀의
자식들은 점차 커가고 그들이 한 단계 한 단계 독립해갈 때마다
이는 그녀가 자식을 놓아줄 수 있는가 하는 능력을 테스트하는
것이 된다. 그녀는 뒤늦게 아이를 갖고 싶은 욕망을 느낄 수도
있다. 중년의 위기를 느낀 한 여성이 내게 치료를 받으러 왔다.
자식들은 이제 학교에 다니고 사십의 나이로 그녀는 자신이
데미테르를 극복하기 위하여 학교로 돌아 가아 할 시간이었다.
그녀는 자신이 대학원에서 실패할까봐 두려워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그리고 또 다른 아이를 갖는 것만이 그녀가 대학원에
등록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유일한 구실이었다. 그녀는 점차
학으로서 실패할지 모른다는 두려움과 또 다른 아이를 갖고 싶은
욕망을 구별해낼 수 있어야 했다. 그리고 점차 학교에 가는 일에
마음을 집중시킬 수 있어야 했다. 결국 그녀는 대학원에 갔으며
그녀가 좋아하는 전공을 공부하여 이제는 훌륭한 선생이 되었다.
조직의 창시자는 조직이 점차 커져 다른 사람들이 그녀의 지위나
권력을 탐낼 때쯤 중년의 위기를 맞게 된다. 그녀가 아테나의
계략을 쓸 수 있어서 정치를 여간 잘하지 않는다면 야심에 찬
관리인들이 그녀가 만들어낸 조직을 강탈해 갈 수도 있다. 그렇게
되면 그녀는 분노하고 비탄에 빠진 데미테르가 된다. 비록 권력
싸움이 없었거나 혹은 위기를 잘 극복한다 해도 자신의 모성적인
힘을 일에 쏟아부은 모든 데미테르 여성에게는 개인적인 문제들이
부각된다. 이런 중년의 데미테르에게 있어서는 이제 그녀의
인생에서 미흡했던 점이 무엇여었나를 되돌아보고 자신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고려해야 할 때다.
11. 데미테르 여성의 노년
노년기의 데미테르 여성은 두 유형으로 나뉜다. 대다수의 데미테르
여성에게 있어서 노년생활은 만족스럼다. 그들은 늘 그래왔던
것처럼 활동적이고 바쁘다. 인생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고 그들의
깊은 지혜와 관대함이 다른 사람들에게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이들은 바로 남들을 속박하거나, 혹은 남이 자신을 이용하지
않도록 배운 데미테르 여성들이다. 그 대신 이 여성들은 독립성과
상호 신뢰를 고취시켜 왔다. 자식들, 손주들, 고객들, 학생들 혹은
환자들이 오랜
기간 동안 그녀를 사랑하고 존경해 왔다. 그녀는 마치 인류에게
풍족함을 베풀고 깊은 존경을 받아온 신화의 끝모습에 나오는
데미테르 여신과 비슷하다.
자신을 희생자라고 생각하는 데미테르 여성에게는 정대의 운명이
펼쳐진다. 불행의 근원은 보통 중년의 채워지지 못했던 기대들과
쌓여온 실망들에 놓여 있다. 배반당하고 분노하고 신음하는
데미테르가 자신의 신전에 앉아서 아무것도 자라지 못하게 했던
것처럼 이러한 여성들은 인생의 후반에 아무 일도 하지 않으며
점차 괴로움을 안고 늙어갈 뿐이다.
lV. 심리적인 문제점들
데미테르 여신은 매우 중요한 존재였다. 그녀가 기능을 멈추자
모든 생물이 성장하기를 멈추었으며 올림푸스의 신들은 그녀가
생식력을 회복시켜 주기를 빌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페르세포네가 납치당하는 것을 막을 수도 없었으며 딸을 즉시
되찾아을 수도 없었고 오직 자신이 희생자가 되어서 자신의 탄원이
무시된 채 우울증의 고통을 겪었다. 데미테르 여성들이 겪는
어려움들은 이와 비슷한 주제를 지닌다. 희생, 권력과 통제,
분노의 방출 그리고 우울증.
1. 나는 데미테르 여성인가?
자신을 데미테르와 동일시하는 여성은 한없이 배풀어 줄 수 있는
능력을 지닌 풍성하고 모성애 넘치는 여신처럼 행동한다. 자신의
주의나 도움을 필요로 할 때 그녀는 거절하지 못한다. 이러한
데미테르 특성 때문에 그녀는 실의에 찬 친구와 자신이 원하는
시간보다 오래 전화 통화를 하며 그녀가 원치 않을때도 집을
지키고 그녀 자신을 위해 써야 할 오후를 남을 돕기 위해서
보낸다. 데미테르 특성을 지닌 정신과 의사는 자신의 유일한 휴식
시간을 환자를 돌보는 데 써버리고 저녁에는 어김없이 긴 전화
통화로 휴식을 방해받고 치료비를 대로 받아내지도 못한다. 이와
같이 남을 생각해 주는 본능은 결국 그녀를 탈진시켜 피로와
무감각이라는 신경쇠약 증세로 몰아갈 수도 있다.
요청이 들어오는 대로 본능적으로 전부 수락한 데미테르 여성은
곧 자신이 능력 이상의 일을 떠맡게 되었음을 알게 된다. 비록
다른 사람이나 그녀 내부에 있는 데미테르가 그렇게 하도록 바란다
해도 그녀의 능력이 무한할 수는 없다. 그녀가 삶의 주체로서 살기
위해서는 되풀이하여 자신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데미테르처럼
본능적으로 모든 것을 떠맡기보다는 그녀는 언푸 어떻게 누구에게
자신을 줄 것인가를 선택해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 그녀는
그녀에게 무언가를 요구하는 사람, 또 그녀 내부에 있는 여신에게
'안돼'라고 말하는 것을 배워야 한다.
2. 모성 본능
만약 데미테르 원형이 활성화되어 있다면 그녀는 임신을
거부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모성애가 그녀의 내면적 욕구이므로
데미테르 여성은 은밀히 자신의 데미테르 원형과 결탁하여 언제가
그녀의 가임 기간인가를 고의적으로 잊어버리거나 혹은 피임을
소흘히 한다. 그러므로 그녀는 임신해서는 안될 상황에서도 임신을
하곤 하는 것이다.
데미테르 여성은 언제 누구의 아이를 가져야 할 것인가를 결정할
수 있어야한다. 그녀는 그녀 내부에 있는 데미테르가 그녀의
현실과 적절한 시기에 대해서 전혀 무심하다는 것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인생의 적절한 시기에 임신하기 위해서 그녀는 피임을
게을리하지 않음으로써 그녀 내부의 데미테르에 저항해야 한다.
거절할 줄 모르거나 과중한 책임과 돌보아야 할 아이들 때문에
과로하여 분노를 드러내는 데미테르 여성에게 흔히 나타나는
증상은 피로, 두통, 생리통, 궤양, 고혈압, 요통 등이다. 이러한
증상이 간접적으로 말하는 바는 '나는 너무나 과로하고 있으며
지쳐 있으며 힘이 들어요. 제발 나에게 더 이상 일을 하라고 하지
말아요'이다. 이것은 또한 그녀가 적절히 자신을 방어하지 못해서
그녀의 화를 억누르고 데미테르의 특성이 자신에게 가져온 상황을
미워하면서 생긴 아주 저급하고 고질적인 우울증을 드러낸
것이기도 하다.
3. 의존심을 부추기는 성향
데미테르 여성의 타고난 어머니 노릇은 자식이 늘 그녀를 필요로
하게끔 만들거나 자식이 눈에 띄지 않으면 걱정을 함으로써
잘못을저지를 수 있다. 그녀는 자식의 의존심을 부추기고 자식을
그녀의 앞치마끈에 붙들어 매놓는다.
그녀는 다른 인간 판계에 있어서도 비슷하게 행동한다. 예를 들면
그녀는 애인을 의존적인 아이처럼 취급하고 친구를 돌보아줄
필요가 효는 어린이처럼 다룬다.
이런 여성은 '어머니가 뭐든지 제일 잘 알아' 하는 식으로
자신이 꼭 있어야함을 강조하거나 '널 위해서 내가 그 일을
해줄께' 하는 식으로 과도하게 통제함으로써 다른 사람을
어린애처럼 만든다. 이러한 성향은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편안하지
못하고 부적절하다는 느낌을 갖게 한다. 예를 들면 부엌에서
그녀는 딸에게 요리를 해보라고 권유한다. 그러나 그녀는 세밀하게
옆에서 감독을 하면서 항상 자신이 마지막 손질을 한다. 딸이
무엇을 하든 어머니는 '그녀에게 그걸로는 충분치가 못하다'
내지는 '제대로 일을 하려면 넌 내가 필요하다'라는 식으로
메시지를 전하고 있는 것이다. 직장에서도 상황은 비슷하다.
그녀는 일이 제대로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가장 잘
아는 감독관이요 편집자요 지도자이다. 그리하여 상대편의
독창성이나 자신감은 짓눌리게 되고 그녀가 해야 할 업무는 점차
늘어난다.
만약 누가 그녀를 필요로 하면 열성적인 데미테르 여성은
안심한다. 만약 그들이 점차 독립해서 경쟁력을 갖게 되면 그녀는
위협을 느낀다. 그녀의 환심을 사고 관심과 보살핌을 받기
위해서는 계속 의존적인 역할을 하고 있어야 한다.
데미테르 여성이 의존심을 부추기느냐 아니면 그와는 반대로
다른 사람이 성장하고 성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가는 그녀 자신이
풍족하다는 느낌을 가지고 있는가 아니면 빈곤함을 느끼고
있는가에 달려 있다. 만약 그녀가 누군가를 잃어버릴까봐
두려워하거나 자식이 믿음직스럽지 못할 때는 소유하려 하고
통제하고 제한하게 된다. 이러한 불안감이 그녀를 자식 주위를
맴돌면서 숨막히게 하는 어머니로 만든다.
내 환자였던 한 젊은 어머니는 딸이 아주 갓난아이였을 때부터
딸이 성장하도록 내버려 두기가 어렴다는 사실을 알았다. 첫싸움은
이유식을 먹일 때 나타났다. 그녀는 모유를 먹이면서 딸과 가지는
독점적인 관계를 즐기고 있었다. 이유식을 먹일 시기가 왔을
때,그녀의 남편은 딸에게 숟가락으로 이유식을 먹이고 싶어했는데
이것이 아버지와 딸이 유대를 갖게 되는 첫단계이다. 그녀 내부의
소유욕이 강한 어머니 기질은 될 수 있는 한 그 시기를 늦춰고
싶어했긴하지만 다행히도 이타적인 이 어머니는 이유식을 먹여야
할 시기이고 아이를 남편과 좀더 공유할 때라는 것을 알았다.
다행스럽게도 아이에게 최선을 다하려는 그녀의 마음이 탈출구를
마련해 주었다. 그렇긴 하지만 그려는 일시적으나 나마 현실에
대해서 비통해 하고 신음하는 데미테르를 자신의 내부에서 느꼈던
것이다.
소유욕이 강한 데미테르 여성은 다른 사람을 의존적인 상태로
두고 자신의 앞치마끈에 묶어 놓고자 하는 욕구를 떨쳐버릴 때
성장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호 의존성은 상호 신뢰와
사랑으로 발전할 수 있는 것이다.
4. 수동적인 공격 행위
거절할 줄 모르는 데미테르 여성은 곧 과중한 업무를 떠맡게
된다. 그녀는 고갈되고 무감각해지며 증오하거나 분노하게 된다.
그녀의 성격상 거절을 해야함에도 불구하고 허락했듯이, 자신이
착취되고 있다고 느낄 때에도 그녀는 그것을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는다. 분노를 표출하거나 상황을 바꾸기를 주장하기보다는
데미테르 여성은 자신이 덜 관대하다고 스스로를 나무라면서 더욱
열심히 일하여 모든 것을 끝내려고 한다.
만약 그녀가 자신의 진실한 감정을 억누르고 그것이 넘쳐나게
되버리면 그녀는 수동적인 공격 행위를 하기 시작한다. 그녀는
조금격 그녀답지 않은 행동을 보이기 시작하고 이웃이 사다 달라고
부탁한 물건을 잊어버리거나 제출 날짜를 잊어버리거나 중요한
약속에 늦거나 한다. 이런 식으로 그녀는 그녀에게 기대되어진
업무를 줄이고 불성실함으로써 무의식적으로 자신의 적대감을
나타내고 간접적으로 그녀의 분노를 표현하고 그녀의 독립성을
강조한다. 그러나 애초에 안된다고 거절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
훨씬 나은 방법이 될 것이다. 왜냐하면 수동적인 공격 행위는
그녀를 덜 경쟁적으로 보이게 하고 죄책감을 느끼게 하기
때문이다.
의도하는 바가 있을 때는 똑같은 행위라도 상당히 다르게
나타난다. 타인의 부탁을 직선적으로 거절하고 그 이유를 말해주는
것은 명확한 의사표현이다. 반면 수동적인 공격 행위는 적대적인
행위가 포함된 간접적이고 복합적인 의사표현이다. 만약 상대방이
당신이 필요로 하는 바에 주의를 기울이는 사람이라면 명확한
의사표현으로 충분하다. 상대편이 당신을 착취하려 하고 당신을
이용하여 무언가를 얻으려 한다면 행동으로 의사표현을 할 수밖에
없다. 제우스는 데미테르 여신이 파업을 할 때까지 그녀의 소원을
들어주지 않았다.
데미테르가 곡식의 여신 역할을 거부할 때까지 제우스는 그녀의
고통에 조금도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그녀가 지상의 모든 것의
성장을 멈추게 하고 모든 것을 메말라 죽게 하자 더 이상 신들을
위한 제사가 없어지게 되고 그제서야 그는 관심을 보인다. 비로소
제우스는 헤르메스를 지하세계로 보내어 페르세포네를 데려오게
한다. 데미테르 여성이 억눌려 있던 자신의 욕구를 일단 자각하고
다른 사람들이 그 욕구를 무시한 것에 대해 분노하게 되면 그녀는
다음과 같은 데미테르의 예를 고려할 수 있다. 핵심적인
고용인으로서 봉급에 비해 과다한 업무에 시달려온 사람은 그녀가
마땅히 받아야 할 임금 인상이 이루어질 때까지 일을 하지
않겠노라고 선언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바를 얻을 수 있다.
5. 우울증: 텅 빈 등지와 공허함
데미테르 여성이 어머니 노릇을 하던 대인관계를 잃게 되면
그녀는 대인관계를 잃어버리고 그 사람을 그리워할 뿐 아니라
그녀에게 힘을 주고 자신이 소중하고 의미 있는 사람이라는 확신을
심어주던 어머니 역할마저 잃어버리게 된다. 그녀에게 남은 것은
빈 등지와 공허한 느낌뿐이다.
<빈 등지 우울증>이란 말은 그들의 인생을 오로지 아이들을
기르기 위해서 그리고 그들을 멀리 떠나 보내기 위해서 바쳤던
여성들의 반응을 묘사하는 것이다. 사랑에 빠졌었던 데미테르
여성이나 몇 년간 사업에 헌신적으로 봉사했다가 그것이
실패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가로채인 여성 또한 똑같이 반응할 수
있다. 이러한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그녀는 자신이 강탈을 당하고
쓸모 없어진 것처럼 느끼게 된다.
이러한 부정적인 원형이 극에 달하게 되면 우울증에 걸린
데미테르 여성은 전혀 구실을 할 수 없게 되고 정신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을 지경이 된다. 그녀는 페르세포네를 찾아서
온 땅 위를 하염없이 찾아 헤매이는 비통에 찬 여신마냥 된
것이다. 데미테르처럼 그녀는 먹지도 자지도 목욕을 하지도
않는다. 그녀는 쉴새없이 웅직이며 왔다갔다 하거나 손을
흔들어대고 괴로웠하고
우울증에 빠져 고통스러워 한다. 아니면 엘리우시스에서의
데미테르처럼 움츠꼴 들어서 꼼짝도 않고 대꾸도 하지 않으면서
하염없이 앉아 있기도 한다. 그녀에게 있어서 이 세상은 아무
의미도 없으며 모든 것이 쓸모없고 버려진 것으로 보인다. 그녀의
무미건조한 생활에는 푸르름도 없으며 성장도 없다. 이러한 반응은
정도가 심한 냉담한 우울증이다. 안절부절 못하거나 아니면
무덤덤한 반 응을 보이는 우울증의 근저에는 적개심이 깔려 있다.
그녀는 삶의 의미를 잃어 버린 것에 분노하고 있는 것이다.
괴로움에 빠진 데미테르가 병원에 입원을 하게 되면 물론 그녀는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그러나 그녀가 자신이 빈 등지
우울증에 걸리기 쉽다는 것을 알았더라면 그리고 정신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네 가지 방법을 취했더라면 그녀의 반응은 훨씬 덜
심각할 수 있었을 것이다. 분노를 마음 속에 차곡차곡
접어두기보다는 표현할 줄 아는 법을 배웠더라면 우울증은 훨씬
줄어들 수 있다. 안된다고 거절하는 법을 배우는 것도 오랜 기간
동안 인정받지 못하고 시달려서 완전히 피폐해지고 우울해지는
것을 피하는 데 도움이 된다. 어느 정도 방치하여 저절로 성장하게
내버려 두도록 하는 법을 배우는 것 또한 아이들 (혹은 그녀의
아랫사람, 동료 혹은 고객들)이 그녀를 싫어해서 관계를 깨고 떠날
때 느끼는 통렬한 고통을 면하게 해줄 수 있다. 마지막으로 그녀
내면에 있는 다른 원형들을 개발함으로써 어머니 노릇 외의 또
다른 관심사를 가질 수 있다.
V. 성숙해지는 길
데미테르 여성-거절하지 못하는 특성을 포함하여-자신들이 지닌
모성적 특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이 남들에 대해
갖는 부정적인 감정과 행동은 잘 보지 못한다. 바로 이러한 캄정과
행동이 가장 변화를 요하는 곳이므로, 그녀가 자신의 전체적인
것을 볼 수 있을 때까지는 데미테르 여성의 정신적 성숙은
일어나기 어렵다. 데미테르 여성은 좋은 의도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이 -그들 자신을 좋은 어머니로 평가할 필요와 합하여 -그들의
부정적인 측면을 보는 통찰력을 수용하지 못하게 방해한다. 이런
여성은 종종매우 방어적이다. 그들은 비판을 받으면, 자신들의
좋은 의도(나는 단지 돕고 싶어했을 뿐이어요)를 설명하거나
아니면 그들이 하는 많은 긍정적이고 너그러운 행동들을
나열하면서 비판에 맞선다.
데미테르 여성이 자신을 선하고 너그러운 어머니로 동일시하기
때문에 거절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과 마찬가지로, 그녀는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들에 대해 분노를 품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다. 같은 이유로 그녀는 자신이 수동적인 공격
행위를 하고 있다거나 과도하게 통제하거나 의존심을 부추길 수
있다는 것을 부인한다. 그러나 그녀는 자신의 가치를 인정해 주지
않는 데 대해 실망하고 있음을 알고 있으며 우울한 느낌에 빠져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만약 그녀가 이러한 측면들을 점검할 뜻이
있다면 그녀는 점차적으로 부정적인 데미테르 특성들을 의식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점들을 인정하는 것이 가장 어려운
과제이다. 그녀의 행동을 바꾸는 것은 그보다는 오히려 쉬운
일이다.
1. 그녀 자신을 위한 좋은 어머니가 되기
데미테르 여성은 자기가 다른 사람들에게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데미테르였던 것처럼 그녀 자신을 위한 데미테르를 (고용할)
필요가 있다. 또 다른 일을 책임지란 요청을 받았을 때 그녀가
남들에게 즉각적으로 제공했던 보살핌을 자신에게 사용하는 법을
배을 필요가 있다. 그녀는 자신에게 "이것이 진정으로 네가 지금
하고 싶은 일이냐?" 그리고 "충분한 시간과 힘이 있는가?" 하고
물을 줄 알아야 한다. 만약 그려가 잘못 취급받아 왔다면 그녀는
자신에게 "너는 더 좋은 대우를 받을 가치가 있다"고 확신시키고
그들에게 가서 자신이 필요로 하는 바를 말하라고 용기를 부추겨야
한다.
2. 데미테르를 넘어서서 뻗어나하기
데미테르 여성이 그녀 인생에서 데미테르 관계 외의 다른 관계를
위한 공간을 의식적으로 만들어 놓지 않는다면 그녀는 (오직
데미테르)라는 한 유형에만 갇히게 된다. 만약 그녀가 결혼하여
애가 있는 여성이라면 아이들 없이 남편과 외출하려는 노력을
하는가? 그녀가 자신만의 시간을 따로 떼어놓고 조깅을 하거나
명상하거나 그림을 그리거나 악기를 연주하는 시간을 보내는가?
아니면 전형적인 데미테르처럼 그녀 자신을 위한 시간은 전혀
없는가? 만약 그려가 전문직에 있는 데미테르 여성이라면 그녀의
모든 힘은 일에 바쳐진다. 그녀는 간호학교나 전문인을 위한
강좌를 이끌면서 그녀의 모든 시간과 정열을 다 바치고 밤 늦게
탈진한 채 집으로 돌아온다. 전문직의 데미테르 여성은 다섯
아이를 가진 데미테르 여성과 똑같이 매 순간 데미테르이고자 하는
의지에 저항해야 한다. 만약 그녀가 데미테르를 넘어서 뻗어나가지
않는다면, 그녀를 더 이상필요로 하지 않는 때가 와서, 자신이
결국은 소모품이었음을 알게 될 때, 빈 둥지 우울증에 걸릴
가능성은 높아진다.
3. 우울증에서 회복하기
슬픔에 젖어 우울한 데미테르 여성은 중대한 상실로 고통받는다.
상실은 어떤 것이든 그녀에게 큰 가치가 있는 것으로-관계, 역할,
직장, 혹은 이상 그녀의 인생에 의미를 두고 있던 것이지만 이제는
없어져 버린 것이다. 그리고 모든 여신의 신화에서와 마찬가지로
그 여성이 어떤 국면에서 온궁에 처해 있을 수도 있고
신화에서처럼 이를 벗어나 성장할 수도 있다. 우울증에 빠진
데미테르 여성 가운데 결코 회복하지 못하는 이도 있다. 그들은
허전해하고 괴로워하고 삭막한 채 남아 있다. 그러나 회복과
성장은 가능한 일이다. 신화 그 자체도 두 개의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로 페르세포네가 납치된 것을 알고 나서
데미테르는 올림푸스산을 떠나 지구를 방황한다. 엘리우시스에서,
의기소침하고 슬퍼하는 여신은 가족으로 환영받고 데모폰의 유모가
된다. 그녀는 그에게 신의 음과 음료를 먹이며 키웠으며 그의
어머니 메타니라가 방해하지 않았다면 그에게 불멸의 생명을
주었을 것이다. 따라서 그녀는 누군가를 대신 사랑하고
보살핌으로써 그녀의 상실을 극복했다. 다른 관계를 시도해 보는
것이 슬픔에 빠진 데미테르 여성이 회복하여 다시 기능할 수 있는
한 방법이 된다.
둘째로 페르세포네와의 재결합이 데미테르를 회복시켰다.
슬퍼하던 어머니는 영원한 처녀 딸과 재결합해서는 더 이상
슬퍼하지 않고 다시 곡식과 과실의 여신으로 일하기 시작하여
지구상의 생식력을 회복시켜 주고 작물이 성장하도록 하였다.
은유적으로 말한다면 이것은 우울증의 끝을 뜻한다. 젊음의
원형이 되돌아온 것이다.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나는지는 종종
신비스러워 보인다. 그것은 비탄과 분노 뒤에 나타난다. 시간이
흘러가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는 새로운 감정이 싹튼다. 아마도 그
여성은 파란 하늘이 얼마나 아름다운가를 알아채는 듯하다. 아니면
그녀는 다른 사람의 사랑에 감동받는다. 아니면 그녀는 오랫동안
방치뤘던 과제를 완수하려는 욕망을 갖게 된다. 감정적으로
이것들은 봄의 신호다. 생명이 소생하는 최초의 신호 직후에 그
여성은 자아를 되찾고 다시 한번 생명력과 너그러움에 가득 차서
그녀가 잃어버렸던 자신과 재결합하는 것이다.
단순한 회복 이상의 것이 가능하다. 데미테르 여성은 고통의
기간이 지난 후보다 현명해지고 영적인 이해를 가지고 새로이
나타날 수 있다. 내적인 경험으로서 데미테르와 페르세포네의
신화는 고통을 통해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러면 데미테르 여신과 마찬가지로 데미테르 여성은 인간의
계절적인 변화가 존재한다는 것을 받아들이게 된다. 그녀는 자연을
반영하는 땅의 지혜를 얻게 된다. 이런 여성은 봄이 지나면 겨울이
오고 다양한 인간 경험이 유형을 지니고 연결된다는 것을 깨닫고
어떤 일이 일어나더라도 살 수 있다는 것을 배운다.
제10장
페르세포네: 처녀이자 지하세계의 여왕
-감수성이 예민한 여성이자 어머니의 딸
1 . 페르세포네 여신
로마인들이 프로세르피나 Proserpina 흑은 (코라 Cor◎라고
부르는 페르세포네 여신은 데미테르 찬가를 통해 너무나도 잘
알려져 있다. 이 찬가는 하데즈가 페르세포네를 유괴하는 것을
그린 노래였다. 그녀는 두 가지 면에서 숭배되었는데,하나는 처녀
또는 (코어 Kore)(젊은 처녀를 뜻함)로서 다른 하나는 지하의
여왕으로서 숭배를 받았다. (코어)는 날씬하고 아름다운 껄은
여신으로서 풍작의 상징들-석류, 곡식, 옥수수, 그리고 그녀를
유혹한 수선화 등-과관련되어 있다. 지하의 여왕 페르세포네는
성숙한 여신으로서, 죽은 영흔들을 다스리고 지하세계를 방문하는
산 사람들을 안내하며 자신이 원하는 것을 혼자 힘으로 찾아낸다.
페르세포네는 올림푸스의 열두 신들에 속하지는 않았지만, 기원
전 이천 년 동안 그리스를 지배해 온 종교인 엘리우시스 제전의
중심 인물이었다. 엘리우시스 제전에서 그리스인들은 페르세포네가
해마다 지하세계로부터 돌아오는 예식을 치름으로써 죽은 뒤에
다시 살아나는 것을 경험하곤 하였다.
1. 계보와 신화
페르세포네는 데미테르와 제우스의 외동딸이었다. 그리스
신화에서는 그녀의 수태 상황에 관해 이상하리만치 별 언급이
없다.
데미테르와 페르세포네 신화는 아주 발랄한 소녀인 페르세포네가
친구들과 함께 벌판에서 꽃을 따면서 놀고 있는 장면에서
시작된다. 그때 하데즈가 땅틈으로 갑자기 전차를 타고 나타나서
소리 지르는 이 처녀를 납치해서는 억지로 자신의 신부로 만들기
위해서 지하세계로 데리고 갔다. 데미테르는 이러한 사실을 도저히
납득할 수 없었으며 올림푸스산을 떠나서 페르세포네가 돌아오기를
바라며 계속 그녀를 찾아 헤매었다. 그리고 마침내는 제우스
신에게 자신
의 바람을 배려해 주도록 압력을 넣었다.
그래서 제우스는 페르세포네를 데려오기 위해서 사자의 신인
헤르메스를 파견했다. 헤르메스는 지하의 땅에 도착해서 수심에 찬
페르세포네를 찾아냈다. 그러나 그녀의 수심은 헤르메스가 자기를
구하기 위해 왔으며 하데즈가 자기를 보내 주리라는 것을 알고는
기쁨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그녀가 그를 떠나기 전에 하데즈는
그녀에게 석류씨 몇 알을 주면서 먹게 하였다. 그리고 나서 그녀는
재빨리 헤르메스와 함께 전차를 타고 데미테르에게로 돌아왔다.
재회한 모녀는 서로 얼싸안으며 기뻐했다. 그리고 난 뒤
데미테르는 딸에게 혹시 지하에서 윌 먹지 않았는지를 걱정스럽게
물어보았다. 페르세포네는 하데즈가 강압적으로 먹였기 때문에
석류씨를 몇 개 먹었다고 대답했다. (이는 사실이 아니었다. )
데미테르는 그 이야기를 받아들였고 그래서 할수없이 주기적인
패턴이 뒤따르게 되었다. 만약 페르세포네가 아무것도 먹지
않았다면 그녀는 완전히 데미테르에게로 되돌아을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석류씨를 먹었기 때문에 그녀는 일년의 삼분의
일을 지하에서 하데즈와 함께 보내야 하고 나머지 삼분의 이는
데미테르와 함께 보내게 되었다.
나중에 페르세포네는 지하세계의 여왕이 되었다. 그리스
신화에서 남녀 영웅이 지하세계에 내려가게 되면 페르세포네는
그들을 맞이하고 안내하느라 늘 그곳에 있었다. 그녀를 보지 못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페르세포네-데미테르 신화에는 그녀가 일년
중에 삼분의 일을 엄마와 함께 지낸다고 되어 있지만 한번도
(어머니에게 가 있음)이라는 메모가 문앞에 붙어 있은 적이 없다.
모딧세이에서 영웅 오디세우스(율리시즈)는 지하세계로 여행을
가는데 거기에서 페르세포네는 그에게 전설적인 명성을 가진
여자들의 영흔들을 보여준다. 싸이괴와 에로스의 신화에서,
싸이키가 마지막으로 해낸 일은 상자 하나를 갖고 지하세계로
내려가서 페르세포네로 하여금 거기에다 아프로디테가 쓸
미용연고를 담게 하는 것이었다. 헤라클레스의 열두 가지 일거리
중의 마지막 일 역시 그를 페르세포네에게로 보내는 것이었다.
헤라클레스는 페르세포네의 허가를 받아 켈베로스를 빌렸는데
켈베로스는 머리가 셋 달린,지옥을 지키는 무시무시한 개로, 그는
이 개를 사로잡아 가죽끈으로 매어두었다.
페르세포네는 아도니우스를 놓고 아프로디테와 서로 싸웠는데
아도니우스는 아주 아름다운 청년으로 이 두 여신의 사랑을 동시에
받았다. 아프로디테는 아도니우스를 벽장에 숨긴 다음,그를
보호하기 위해 지하세계의 페르세포네에게 보냈다. 그러나 벽장
문을 열자, 지하의 여왕 역시 이 청년의 아름다움에 반해서 그를
아프로디테에게 돌려주지 않았다. 마치 데미테르와 하데즈가
자신을 놓고 그랬던 것처럼 페르세포네는 이제 아도니우스를 놓고
또다른 아주 힘센 신과 싸우게 된 것이다. 결국 이 싸움은
제우스에게 상정되었는데 그는 아도니우스가 일년 중의 삼분의
일은 페르세포네와,또 삼분의 일은 아프로디테와 보내고,나머지
삼분의 일은 그 자신을 위해서 쓰도록 내버려둘 것을 명령하였다.
ll. 페르세포네 원형
아주 강한 본능적인 감정이 연결된 원형 유형을 나타내는 헤라나
데미테르와는 달리, 페르세포네는 성격 유형으로 볼 때 그렇게
충동적인 느낌을 자아내지는 않는다. 만약 페르세포네가 성격
구조를 제공한다면, 그것은 능동적이지 않고, 남들에 의해서
수동적으로 움직이는 여성상을 나타낸다. 공손한 행동거지와
수동적인 태도가 바로 그것이다. 처녀로서의 페르세포네는
여성으로 하여금 영원히 젊어 보이게 한다.
여신으로서의 페르세포네는 두 가지 측면을 지니는데 하나는
(코어)이며 다른 하나는 지하의 여왕이다. 이러한 이중성은 역시
두 개의 원형 유형으로 드러난다. 이러한 유형의 여성은 이 두
측면 중 하나의 영향을 받거나 한 유형에서 다른 유형으로
자라거나 아니면, 그녀의 영흔에는 (코어)와 여왕의 측면이 둘 다
들어가 있을 수 있다.
1. (코어) -처녀 원형
(코어)는 (이름 없는 처녀)로 아직 자기가 누구인지 또 자기의
욕망이나 힘이 어디에 있는지 잘 모르는 젊은 처녀를 나타낸다.
대부분의 젊은 여성은 그들이 결혼하거나 혹을 직업을 갖기로
마음먹기 이전에 이러한 (코어)의 시절을 거친다. 어떤 여성들은
일들 대부분의 시간을 처려로 보낸다. 이런 타입의 여성들은
실제로는 어떤 관계를 맺고 있거나 직업을 갖고 있거나 아니면
대학이나 대학원에 다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관계나 직장
또는 교육적인 목표에 얽매이지 않는다. 그네들이 무엇을 하고
있든지 간에 그 일은 현실로 다가오지 않는다. 그들은 영원한
젊은이 같은 태도를 지니며 이 다음에 커서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또는 무엇이 되고 싱은지에 대해서 마음을 정하지 못하고
어떤 것, 혹은 누군가가 나타나서 자신들의 인생을 바꾸어 주기를
기다린다.
2. 어머니의 딸
페르세포네와 데미테르는 아주 평범한 모녀 유형을 나타내는데
그 유형에서 딸은 엄마와 너무나 가까와서 독립적인 자아의식을
개발하지 못한다. 이러한 관계를 잘 드러내는 말은 "엄마가 가장
잘 안다"는 것이다.
페르세포네 딸은 엄마를 기쁘게 하고 싶어한다. 이러한 바람은
그녀로 하여금(좋은 딸)이 되고 싶어하는 동기를 불러일으킨다.
즉, 순종적이고 겸손하며 주의깊고, 때로는 위험할 수도 있는 여러
경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거나 차단시킨다. 이러한 유형은
(엄마거위 노래)에 잘 나타나 있다.
"엄마, 수영하러 가도 되요?"
"그래, 내 귀여운 딸아.
옷은 꼭 나무에 걸려무나.
하지만 물 근처에는 얼씬도 하지 말거라."
어머니는 강하고 독립적인 듯 보이지만, 이런 모습이 실은
가짜인 경우가 종종 있다. 그녀는 딸을 가까이 두기 위해 딸의
의존심을 더욱 부추긴다. 아니면 그녀는 딸이 자신의 분신이
되었으면 하고 바란다. 딸을 통해서 그녀는 대리인의 삶을 살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관계를 보여주는 흔한 예의 하나는 메니저인
어머니와 여배우인 딸이다.
때때로 아버지는 지배적이고 강제적인 부모로서 의존적인 딸을
기른다. 아버지의 지나치게 간섭하는 태도는 실제로는 감정적으로
딸에 너무나 밀착되어 있는 것을 속이려는 방패수단일 수도 있다.
이러한 가족 역학 이외에도 우리가 살고 있는 문화는 소녀들로
하여금 여성스러움을 수동적이고 의존적인 행동과 동일시하도록
교육시킨다. 그들은 마치 왕자가 오기를 기다리는 (신데렐라)나
혹은 자기를 깨워 주기를 기다리는 (잠자는 숲속의 미녀)와 같이
행동하도록 부추김을 받는다. 수동성과 의존성은 아주 많은
여성들이 안고 있는 핵심적인 문제이다. 왜냐하면 환경이 이러한
유형을 더욱 강화시켜서 다른 유형의 성격들은 전혀 발달할 수
없기 때문이다.
3. 에니마(ANIMA) 여성
저명한 응 Jung식 분석가인 엠 에스더 하딩 M.Esther Harding은
자신의 책 여자의 길 The Way of All Wome쓱에서 남자를 위하여
모든 것을 다 바치는 타입의 여성을 묘사하면서 글머리를 시작하고
있다.
이러한 유형은 (에니마 여성)이라고 불리우는데 그들은 "자신을
남자의 뜻에 맞추고 그의 눈에 들기 위해 자신을 치장하고, 그를
유혹하려 하고, 그를 즐겁게 하고 싶어한다. " 그녀는
"주인공으로서 어떠한 삶을 살아야 할까에 대해 아직 스스로
깨닫지 못하고 있다. " 그녀는 "일반적으로 자아가 별로 발달되어
있지 않다. 자신에 대해서나 자신이 지니고 있는 동기에 대해
분석하지 않는다. 그녀는 그저 단순히 존재할 따름이다. 대체로
그녀는 자기 주장을 하지 않는다.
하딩은 이러한 에니마 여성은 남성의 무의식적인 여성상을 쉽게
투영받아서 쉽게 그러한 여성상에 무의식적으로 자신을 맞추어
간다고 말한다. "그녀는 마치 자신의 의지와는 전혀 상관없이
자동으로 돌아가는 다면체 수정과 같다. 이렇게 처음엔 한 면이,그
다음엔 다른 한 면이 항상 보이게 되며. 그 보이는 면은 언제나
보는 사람와 에니마를 가장 잘 드러낸다.
페르세포네 여성의 타고난 감수성은 바로 그녀를 굉장히 순응성
있게 만든다. 만약 그녀에게 중요한 어떤 사람이 어떠한
자아상이나 기대를 그녀에게 비추면 그녀는 처음부터 이에
저항하지 않는다. 마치 카멜레온과 같이 무엇이든 다른 사람이
자신에게 기대하는 대로 노력하는 형이다. 바로 이러한 자질이
그녀로 하여금 에니마 여성이 되도록 만드는 것이다. 그녀는
무의식중에 남자가 원하는 대로 자신을 맞추어 간다. 어떤
남자와는 컨트리 클컬에 아주 걸맞는 테니스 팬이 되며 또 다른
남자와는 고속도로를 달려나가는 오토바이 뒷자리에 앉은 여성이
된다. 그녀는 제삼의 남자에게 또 다른 유형이 될 수도 있는데
아주 순진무구한 처녀가 되는 것이다.
4. 유아적인 여성
유괴되기 전의 페르세포네는 유아적인 여성으로서 자신의 성적인
매력이나 아름다움에 대해서 알지 못한다. 이러한 관능미와
천진함의 원형적인 결합이 미국 문화를 지배하고 있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여성이란 성적 유희의 대상으로서 플레이보이 잡지에
누드로 포즈를 취하고 있는 이웃집 소녀 같은 상이다. 예를 들면
영화 <프리티 베이비 pretty Baby>에서 브룩 실즈 Booke shields는
전형적인 유아적 여성의 역을 맡았다. 그녀는 처녀이면서
사랑스러운 열두살짜리의 소녀로서 갈보집에서 가장 높은 값을
부르는 사람에게 자신의 처녀성을 파는 것이다. 이러한 이미지는
그녀의 다음 영화 7푸른 산호초 Blue Lagoo꼭와 <끝없는 사랑
Endless Love>, 그리고 캘빈 클라인 청바지 광고에서 계속된다.
동시에 언론매체는 그녀의 경력과 생활을 엄격하게 통제하는
어머니를 가진, 보호받고 순종적인 페르세포네 딸로 그리고 있다.
페르세포네 여성은 반드시 나이가 어려야 할 필요도 없고 또
자신이 육감적이거나 섹시한 여성인 것을 자각하지 못하도록
성적으로 미경험자이어야 할 필요도 없다. 그녀가 심리적으로
(코어)이기만 한다면 그녀의 관능은 깨어 있지 않다. 그녀가
남자들이 자신을 좋아하는 것을 좋아한다고 해도 그녀는 정열을
지니고 있지 않으며 아마 오르가즘을 느끼지도 못할 것이다.
이상적인 여성 타입으로서의 페르세포네는 일본이 미국보다 더욱
심하다. 일본에서 여성은 조용하고 예절 바르고 겸손해야 한다.
그녀는 직접적으로 거절해서는 결코 안된다는 것을 알게 되고,딴
사람들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음으로써 조화를 깨는 일은 피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자란다. 가장 이상적인 일본 여성은 우아하게
존재하나 항상 됫전에 있으며 남자의 요구에 즉각적으로 부응하며
외견상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이는 여성상이다.
5. 지하세계의 안내자
페르세포네가 지하세계를 처음 경험한 것은 유괴의
피해자로서였지만 나중에 그녀는 지하세계의 여왕이 되어서 그곳을
방문하는 다른 사람들을 안내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페르세포네
원형의 이러한 측면은 신화에 따르면 경험과 성장의 결과로서
발전하게 된다.
상징적으로 볼 때, 이러한 지하세계란 심리의 깊은 면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 개인의 무의식으로서 개개인의
기억과 느낌이 묻혀 있는 곳, 집단적인 무의식으로서 어떠한
자아상이나 유형, 본능 혹은 감정들이 원형차되어 있고,모든
인류에 의해서 공유되는 것을 말한다. 만약 이러한 영역들이
분석된다면 지하세계란 꿈 속에 재현되기도 한다. 꿈꾸는 사람은
어쩌면 지하에 있을지도 모른다. 때때로 많은 방과 복도를 가진
미궁과 같은 곳에 있을도 모른다. 혹은, 그녀는 자신이 지하세계나
아니면 깊은 동굴 속에 있음을 예견한다. 그 속에서 그녀는 사람,
사물 혹은 동물들과 마주치는데 그녀 자신이
)1러한 영역을 두려워하느냐 안 하느냐에 따라서, 그러한 것들을
무서워하고 두려워하거나 혹은 흥미를 갖거나 한다.
지하세계의 여왕이자 안내자로서의 페르세포네는 자아에 기초한
(현실) 세계 실재와 심리 세계의 원형적인 무의식 세계 사이를
오가는 능력을 나타내기 한다. 페르세포네 원형이 활성화될 때 이
여성은 두 차원의 세계를 중재할 있고, 그녀의 인격 속에 이 둘을
통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녀는 또한 이러 칸 꿈이나 환상 속에서
이러한 지하세계를 방문하는 다른 사람들에게 안내자가 되기도
하고,혹은 이러한 현실에서 유괴되어 현실과 연관을 잃은 사람들을
도와주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나는 너에게 장미 정원을 결코 약속하지 않았다 I Never
Pormised You a Rose Garde의 저자 한나 그린 Hannah Green은
그녀의 자전적인 소설에서 자신을 현실로부터 유리시키고 상상의
세계에 가두어 둔 열여섯 살난 정신분열증 환자였던 소녀가 어떻게
병이 들고, 병원에 보내졌으며, 또 어떻게 회복되었는가에 대해서
쓰고 있다. 그녀는 티것을 쓰기 위해서 자신의 경험을 생생하게
돌려 보아야 했다. 처음에 'Yr왕국'이라는 것이 그녀의
피난처였다. 즉 환상의 세계로서 자신의 비밀 달력과 언어와
인물들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이 지하세계는 아주
무시무시한 현실로 되어버렸다. 그녀는 그 안에 갇혀 거기를 떠날
수 없었다. "그녀는 윤곽 외에는 아무 것도 볼 수 없었고, 회색의
연속이었으며 마치 그림처럼 부피가 없는 평면적인 세계가 되었다.
그녀는 유괴된 페르세포네였던 것이다.
한때 정신병 환자였던 차람은 페르세포네처럼, 다른 사람이
지하세계를 빠져나갈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한나 그린의 책
7나는 너에게 장미 정원을 결코 약속하지 않았다 실비아 플레드
Sylvia Plath의 소설 종소리 The BelIJa른와 그녀의 시, 그리고
도리 프레빈 Doree Previn의 노래 등은 이러한 어두움에
빨려들어간 또 다른 사람들을 도와 그들이 현실 감각을 깨우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들은 병원에 입원한 적이 있는 정신병
환자들로서 회복 후에 그들의 좌절과 미칠 것만 같았던 심정들을
글로 옳겼다. 나는 몇 명의 우수한 정신병 치료사들을 알고 있는데
이 여성들 역시 젊었을 때 정신병으로 병원에 입원한 적이 있는
사람들이었다. 그들 역시 얼마 동안 이러한 무의식의 요소들에
완전히 포로가 되어 있었으며 일상적인 현실 감각을 잊고 있었다.
바로 이러한 그들의 직접적인 무의식과 어두움의 경험, 그리고
그것의 극복이 그들로 하여
금 특별히 다른 사람을 돕는 데 유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람들은 자신이 그러한 세계에 빠져들었던 과정을 알고 있다.
마지막으로 어떤 사람은 (코어)에게 잡혔던 경험이 없이도 안
자로서의 페르세포네를 안다. 많은 정신과 의사들은 환자들의
상상에서 나타나는 꿈들과 여러 이미지를 가지고 작업을 한다.
그들은 비록 무의식의 세계에 사로잡혀 보지는 않았지만 무의식에
대해서 대단히 감수성이 예민하다. 그들은 본능적으로 그것에
대해서 알며 지하세계의 영역에 대해 익숙하다. 쓸 내자로서의
페르세포네는 그 사람의 심리상태의 일부로서 자신이 마주치는
상징적인 언어, 의식,광기, 전망 또는 황흘하고 신비한 경험을
친숙하게 느끼도록 해주는 책임을 지고있는 원형 이다.
6. 봄의 상징
(코어)로서의 페르세포네나 (이름 없는 처녀)는 많은 여성들로
하여금 젊고 모든 것이 아직 불확실하지만 가능성이 넘쳤던 시절을
생각나게 한다. 다른 원형이 활성화되어서 그녀를 인생의 다른
단계로 이끌어 가기 전에 누군가 또는 그 무엇이 나타나 자신의
인생을 바러 주기를 기다렸던 때가 바로 이 시절인 것이다. 여자의
일생을 계절별로 본다면 페르세포네 유형은 봄에 해당한다. 추수
뒤의 농한기와 삭막한 겨울이 지나고 나면 따뜻한 기운이 감돌고
밝은 햇살이 비추고,푸르른 초목이 자라는 봄이 오는 것과
마찬가지로 페르세포네 유형은 상실과 좌절의 시간이 지난 후에
다시 여성 안에서 활성화된다. 각 시기마다 페르세포네 원형은
여자 심리상태에서 표면화되며 이 시기에 그녀는 다시 한번 새로운
영향력과 변화를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페르세포네 원형은 젊음, 생동감 그리고 새로이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뜻한다. 페르세포네 원형을 가지고 있는 여성은 변화에
민감하며 일생 동안 젊은 영혼을 갖는다.
7. 페르세포네 원형의 개발
페르세포네 원형이 지니고 있는 이해심은 많은 여성이 개발하면
좋을 자질이다. 이것은 특히 아테나나 아르테미스 여성들에게
필요한 자질인데, 그들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명확히 알고
단호하게 행동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언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가 불명확하다거나 어떤 것이 최우선 순위인가
확실하지 알을 때는 아무런 행동도 하지 않는다. 이럴 경우 이들은
상황이 범하거나 자신들의 감정이 명확해질 때까지 기다릴 수 있는
페르세포네의 능력을 개발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또 (때로는 극단적이기까지 한) 개방적이고 융통성 있는
페르세포네의 능력은 데미테르나 헤라 여성이 또한 개발할 필요가
있는 자질들이다. 특히 그들이(헤라처럼) 자신의 기대나
(데미테르처럼) 자신이 가장 잘 안다고 하는 확신에 사로잡혀 있을
경우에 이러한 자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자질을 개발하기 위한 첫번째 단계는 수용적인 태도에
대해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는 일이다. 다른 사람을 받아들이는
태도는 의식적으로 개발될 수가 있는데 다른 사람들이 말하고자
하는 것을 귀담아 듣고 그들의 입장에 서서 사물을 보려고
노력하며 비판적인 판단을 내리는 것을 삼가는 것이다.
자신의 심리상태에 대한 수용적인 태도 역시 개발될 수 있다.
첫번째 필요한 단계는 스스로에 대해 보다 친절해지는 것이다.
특히 자신이 쓸모없는 존재라고 느낄 때 필요하다. 많은 여성들은
이러한 느낌을 갖는 시기가 단지 일시적인 것이며 영원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고난 뒤에야,그러한 쓸모없는 존재라는 느낌이
다시 황동적이고 창조적인 자신으로 돌아가는 치유과정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꿈을 분석하는 것은 때때로 효과가 있다. 아침마다 자신이 꾼
꿈을 회상해서 적어 보도록 하는 것은 그 이미지들을 생생하게
유지하도록 해준다. 자신이 꾼 꿈을 기억해 내고 그것에 대해서
생각해 봄으로써 그 꿈이 의미하는 바에 대한 통찰력이 길러지게
된다. 많은 사람들은 영감(표린)을 포착해 보려고 노력하고,
마음에 즉흥적으로 떠오르는 이미지들을 수용하는 것을 배울 때
영감 또한 개
발될 수 있는 것이다.
llV. 페르세포네 여성
페르세포네 여성은 젊은이다운 기질을 가지고 있다. 그녀는
실제로도 나이보다 젊게 보일 수 있고,성격상 어딘가 소녀다운
데가 있다. 즉, (연약한 나를 보살펴 주세요) 하는 요소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요소는 그녀의 중년 너머까지 지속되기도 한다.
나는 페르세포네 여성들은 버들가지와 같은 것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그녀는 자신이 처한 상황에, 혹은 자기보다 강한
성격의소유자들에게 쉽게 순응한다. 그녀는 바람이 부는 대로
이쪽으로 갔다가 저쪽으로 갔다가 하는데 바람이 약해지면 그녀가
자신을 바꾸기로 마음먹지 않는한 언제 그랬냐는 듯이 제자리로
돌아간다.
1. 어린 시절의 페르세포네
전형적인 페르세포네 어린이는 때때로 마치 인형처럼 예쁘게
핑크빛 레이스가 달린 드레스를 차려 입은, 말이 없고 나서지 않는
(착한 어린 소녀)다. 그녀는 행실이 좋은 어진아이로서 다른
사람을 즐겁게 해주려 하고 들은 대로 하며 그리고 그녀를 위해
골라준 옷을 입는다.
지나치게 과잉 보호적인 엄마는 딸이 아주 어릴적부터 마치
감독과 보호가 필요한 깨어지기 쉬운 인형처럼 취급함으로써
주의깊고 순응적인 페르세포네의 정향을 강화시킨다. 이런 유형의
엄마는 어린 딸이 아장아장 첫걸음마를 시작할 때,그것에 대해서
기쁨을 느끼기보다는 넘어져서 다칠까봐 더 걱정한다. 그리하여
새로운 것을 시작한다는 것은 뭔가 위험하고 걱정스러운 일이라는
암시를 계속 딸에게 보낸다. 딸이 혼자 힘으로 뭔가를 하려고 할
때 그녀는 "엄마에게 먼저 물어보아야 하지 알니" 하고. 꾸짖는데,
이 말의 진정한 의미는 "내가 도와줄 때까지 기다려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비록 말로 표현되지는 않았지만 그
상황이 딸에게 주는 교훈은 계속 의존적인 채로 남아 있으라는
것이다.
페르세포네 어린이는 내성적인 아이가 될 확률이 높은데, 우전
관찰을 해보고 뒤늦게 참가하기 때문에 천성적으로 조심성 많은
아이로 보인다. 외향적인 아이들이 우선 시도해 보고 경험을
해보는 반면, 이런 유형의 아이들은 어떤일이 일어나고 있고
거기에 어떤 규칙이 적용되는가를 알 때까지 옆에서 지켜 보기를
좋아한다. 그녀는 실제로 참가하기로 결정하기 전에 자신이 뭔가
하는것을 머리 속으로 미리 상상해 보아야 한다. 그러나 그녀의
엄마는 때때로 이
러한 내향성을 우유부단으로 잘못 해석한다. 따라서 외향적이고
나쁜 의도가 없는 엄마는 딸이 마음을 정하기 전에 뭔가를 하도록
강요함으로써 어린 페르세포네 딸이 실제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찾을 시간을 주지 않게 된다. 빨리 마음을 결정하도록
압력을 받은 딸은 엄마를 즐겁게 할 결정을 빨리 내리게 되면서
수동적인 것이 차라리 낫다는 것을 점차 배우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주위에서 도움을 준다면 이 어린 페르세포네는
자신이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알게 되는, 그녀 내면의 방법을
신뢰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 그녀는 점적으로 내면의 수용적인
태도를 신뢰하게 되고 그녀 나름의 방식으로, 또 자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만큼의 시간을 들여서 스스로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자신을 갖게 된다. 그녀의 선호도는 주관적으로 결정되며
그것은 그녀에게 아주 합당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그러한 것이 왜 응은가를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가 없는데 그
이유는 그녀의 감각이 내면에서 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2. 페르세포네의 부모
페르세포네 딸은 종종 데미테르-페르세포네 관계에서 보이는
전형적인 (엄마의 귀여운 딸)이다. 이런 타입의 어·머니들은 종종
딸을 자신의 자존심을 북돋워 주거나 혹은 깍아내리는 분신처럼
취급한다. 이런 유형은 종종 어머니와 딸의 심리가 겹쳐지는
상태를 낳게 한다. 어머니가 딸애의 파티나 댄싱 또는 피아노 레슨
심지어는 친구까지 골라 준다. 그리고 그녀는 자신이 어릴 때에
원했거나,가지지 못했던 것을 딸에게 해주려고 한다. 그리고
그녀의 딸이 그것과는 다른 욕구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을
상상도 하지 못하는 것이다.
페르세포네 딸은 어머니가 원하는 것이 바로 자기가 원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며 이와 상충되는 일은 별로 하지 않는다. 성격상
그녀는 수용적이고 얌전하며 딴 사람을 즐겁게 해주고 싶어한다.
(이와는 반대로 어린 아르테미스나 아테나형 아이들은 두 살만
되어도 입고 싶지 않은 옷을 입으라고 할 때, 또는 자기가
하고자하는 일에서 주의를 돌려 놓으려고 할 때 분명하게
"싫어"하고 말한다.)
성취지향적인 아테나 어머니는 만약 이런 페르세포네형 딸을
갖게 되면 내가 어쩌다 이런 딸을 갖게 되었을까 하는 의문을 품게
된다. 그녀는 한 순간 아이의 어머니가 된 것을 기뻐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곧 자신의 딸이 우유부단한 데다가 마음을 잘
표현하지 못하는 것에 좌절감을 느낀다. 아르테미스 어머니 의
좌절은 또 다른 것이다. 아르테미스 어머니는 딸의 주관적인
감정을 보다 잘 수용할 수 있다. 그러나 그녀는 딸이 의지가
박약하다고 화를 내게 된다. 그녀는 딸에게 "좀더 꿋꿋할 수
없겠니?" 하고 짜증을 내게 된다. 아르테미스와 아테나 어머니들은
페르세포네 딸들에게 어머니들이 소중하다고 자각하는 자질들을
개발시켜 줄 수도 있지만 아니면 뭔가 부적합 하다픈 느낌을
심어줄 수도 있다.
많은 페르세포네 딸들은 아버지와 친밀한 관계를 갖지 못한다.
어떤 아버지들은 데미테르 어머니들이 딸과의 관계를 독점하고
싶어하기 때문에 관계를 가질 기회를 잃기도 한다. 또는 그가
보수적인 남편일 경우 그는 결코 아기의 기저귀를 갈아주는 따위의
일은 하지 않는다는 자부심을 갖고 있으며 딸을 기르는 것은
전적으로 어머니에게 맡기고 자신은 전혀 관여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들을 키우는 데는 굉장히 관심을 보인다.
페르세포네 딸들에게 가장 이상적인 부로는 딸이 내면적으로
자신에게 중요한 것이 무엇인가를 깨달아 가는 과정을 존중해 주고
그녀가 내린 결론을 믿어주는 부모일 것이다. 이러한 부모들은
그녀에게 다양한 경험의 기회를 제공해 주지만 그러한 기회들을
강요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부모들은 주로 그들 스스로가 내향성을
소중히 할 줄 아는 부모들이다.
3. 사춘기와 청년기
어린 페르세포네가 고등학교 시절에 겪는 경험은 보통은 어렸을
적 생활의 연장선상에 있다. 만약, (엄마가 가장 잘 안다)는 식의
관계 속에서 그녀가 자라왔다면 어머니가 자신과 함께 쇼핑을 하고
옷을 골라주고 친구를 선택하거나 관심사를 선택하거나 혹은
새로운 데이트 상대를 만나는 것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딸의
경험을 통해서 다양한 삶을 살면서 어머니는 딸의 데이트, 과외
활동등에 대해서 자세하게 듣고 싶어하고, 딸이 어머니에게 모든
것을 고백하고, 심지어는 비밀까지 공유하기를 기대한다.
그러나 청소년들은 어느 정도의 비밀과 사생활을 가질 필요가
있다. 성장의 이 단계에서 지나치게 간섭이 심한 부모들은
자식들이 독자적인 자아정체의식을 기르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모든 것을 공유함으로써 청소년기의 딸은 어머니가 그녀 자신의
경험이어야 할 것에 영향을 미치도록 내버려 두게 된다. 어머니의
걱정이나 의견 혹은 가치가 그녀의 지각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중류나 상류 계층의 페르세포네 여성들은 주로 대학에 가게
되는데 그것은 그녀와 같은 계충이나 배경을 가진 젊은 여성들이
가지않으면 안되는 곳이 바로 대학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들에게 있어서 대학이란, 페르세포네 딸들과의 친구들이 뛰노는
풀밭에 해당될 뿐이다. 교육이란 것은 이러한 유형의 소녀들에게는
그저 지나가는 과정일 뿐 미래의 직업이나 경출을 위한 준비과정은
아니다. 그녀는 그저 숙제나 과제물을 빨리빨리 해치우기만을
원한다. 왜냐하면 그녀는 쉽게 싫증을 내거나 자신감이 없기
때문이다. 이런 유형의 여성들은 몇 가지 유형의 전공과목을
선택해 본다. 만약 그녀가 한 가지 전공과목에 매달릴 수 있게
된다면, 그것은 자신이 적극적으로 선택해서 그렇게 된 것이
아니고, 우연히 혹은 가장 쉬운 길을 택하다 보니까 그렇게 되는
수가 종종 있다.
4. 직업
페르세포네 여성은 계속 (전공 학생)으로 남거나 아니면 직장을
갖게 된다. 그것이 고등학교 후이건 혹은 대학교이건 그녀는 여러
직장을 갖는 경향을 보인다. 그리고 주로 친구들이나 가족이 있는
곳으로 마음이 쏠리기 쉽다. 그녀는 언젠가는 자신이 흥미있어 할
직장을 가지리라는 기대 속에 이 직장 저 직장으로 옮겨 다닌다.
아니면 그녀는 과제를 시간 안에 해내지 못하거나 너무나 일을
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해고되기도 한다.
페르세포네 여성은 동기유발이나 지속성 혹은 감독을 필요로
하지 않는 직장에서 능력을 발휘한다. 그녀는 상관을 기쁘게
해주고 싶을 때 일을 아주 잘한다. 그러나 상관은 그녀에게
금방금방 해치워야 하는 구체적인 과제를 맡긴다. 장기간에 걸쳐서
해야 할 과제가 주어질 경우 페르세포네는 꾸물거리고 질질끈다.
그녀는 마치 누군가가 그 과제로부터 자신을 구해줄 것을 기대하는
것처럼 아니면 이 세상의 모든 시간이 자기 것인양 행동한다. 이
두 가지가 다 사실이 아닌 것이 될 무렵이면,즉 과제물을 제출해야
될 시간이 왔을 때 그녀는 전혀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기껏
해봤자 그녀는 밤을 새워서 막바지에 당일치기로 일을 끝내고
만다.
비록 (코어)를 닮은 여성에게 있어서 일은 결코 중요하지
않지만, 만약에 그녀가 지하세계의 여왕과 같은 상태로 성숙한다면
상황은 상당히 달라진다.그렇게 되면 그녀는 창조적이고,
심리적이며 영적인 분야에 관여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면
예술가라든가 시인, 정신과 의사 또는 무당이 되는 것이다.
어떤일을 하든간에 그러한 일들은 매우 개인적이며 비정통적인
것이다. 그녀는 아주 개인적인 방법으로 일을 하게 되는데 그것은
대개 학위가 없어도 할 수 있는 일들이다.
5. 다른 여성과의 관계
젊은 페르세포네 유형의 여성은 그녀와 비슷한 다른 여성들과
친하게 지낸다. 그녀는 종종 고등학교나 대학교의 여학생 클럽에
속해 있는데, 자신만의 시간을 갖기보다는 다른 여자 친구들과
어울려서 새로운 상황을 자꾸만 찾아나서길 좋아한다.
만약 그녀가 예쁘다면, 그녀는 자신이 여성스럽지 않다고
생각하는 다른 여자 친구들에게 매력적이다. 다른 여자 친구들은
자신이 못 가진 여성스러움을 지닌 이러한 페르세포네 여성을 아주
특별한 친구라고 생각하게 된다. 만약에 그녀가 일생을 통해서
계속 귀중하고 깨질듯 말듯 아주 소중하게 다루어야 할 존재처럼
취급받아 왔다면 그녀는 그러한 대접을 아주 당연한 듯이
받아들이게 된다. 그녀의 가장 친한 친구는 종종 그녀보다 강한
개성을 지닌 여자 친구이다. 페르세포네 여성은 자신의 동료들이나
혹은 조금 나이 많은 여성들과의 관계에 있어서 어머니와 같은
모성적인 반응을 보이는데 상대 여성들은 그녀를 좋아하고
그녀에게 그러한 것을 기대한다.
6. (소녀를 선호하는) 남성들과의 관계
남성과의 관계에 있어서 페르세포네 유형의 여성은 어린이 같은
여성으로 자기 주장이 없고 불확실해 매사가 발랄하다. 그녀는
모든 여신 중에서 가장 불분명하고 위협적이지 않은 페르세포네
(코어)의 유형에 해당한다. 그녀가 만약"그래 뭐든지 네가 원하는
대로 하자" 하고 말한다면 그것은 그녀의 진심이다.
세 유형의 남자들이 페르세포네 여성들에게
이끌리는데,첫째는,그녀처림 젊고 경험이 없는 남자; 둘째는,
그녀의 순진함과 연약함에 이끌린 (강인한 남자); 셋째는,
(성숙한) 여인에게 불편함을 느끼는 남자이다.
우리가 첫사랑이라고 일컫는 것이 첫번째 유형에 해당한다. 이는
고등학교나 대학교에서의 관계로서 젊은 남성과 여성은 이성으로서
대등한 관계로 탄생하게 된다.
두번째 유형은 전형적인 (좋은 집안의 정숙한 소녀)인
페르세포네와 강인하고 세상 물정에 밝은 남자와의 관계로
유형지어진다. 이러한 남자들은 보호받는 특권계충의 여성, 즉
그와는 모든 것이 반대인 여성에게 매력을 느낀다. 그녀는 이와는
반대로 그의 개인적인 매력 또 성적인 느낌, 그리고 지배적인
성격에 매력을 느낀다.
세번째 유형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서 성숙한 여성과는
불편함을 느끼는 유형의 남성을 포함하게 된다. 좀 과장하자면
아버지 같은 남성과 딸 같은 여성과의 관계가 이러한 유형의
전형적인 예가 된다. 이 남성은 상대편 여성에 비해서 나이도 많고
경험도 많고 키도 크고 강하고 또 똑똑한 반면, 여자는 어리고
경험이 없고 작고 연약하고 교육도 적게 받고 덜 지적인 것으로
그려진다. 이러한 유형에 가장 잘 맞는 것은 바로 어린
페르세포네다. 더군다나 페르세포네는 많은 남성들이 어머니에게서
받는 이미지(즉, 강인하거나 혹은 즐겁게 해주지 못하는
여성)하고는 거리가 멀다. 그리고 바로 이러한 점이 어떤 남성들이
페르세포네 여성들을 좋아하는 이유이다. 페르세포네 여성과 함께
남성은 자신이 힘이 세고 지배적인 남성처럼 느낄 수가 있으며
그의 권위나 생각들이 도전받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그는 또한
그가 순수할 수 있고, 경험이 없을 수도 있으며 또한 경쟁적이지
않을 수도 있고 비판받지 않아도 된다고 느낀다.
남성과의 관계를 갖는 것이 페르세포네 여성에게는 지배적인
어머니와 떨어질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이때 그녀는
페르세포네가 볼모가 되었던 것과 같은 과정을 겪게 된다. 연인과
어머니의 세력 다툼에서 소유의 대상으로 되는것이다. 그녀는
어머니가 착실하고 좋은 젊은이라고 생각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유형의 남성과 사랑에 빠진다. 그녀는 때때로 다른 계층의 남자
혹은 다른 인종의 남자를 고르기도 한다. 어머니는 그녀가 선택한
남자의 사람 됨됨이에 대해 불만이 많다. "그 남자는 아주
불친절하고 무례하구나." 혹은 "아주 형편 없는 사람이구나. 늘
딴소리만 하고 있거든" 하는 식이다. 그 남자는 딸을 보살핌이
필요한 공주처럼 대하지 않은 최초의 남자일 것이며 딸이 그런
행동을 할 경우에 그 남자는 그것을 참지 못하고 말 것이다.
그녀의 어머니는 설득함을 느끼게 된다. 그녀는 고분고분한 딸에게
영향력을 미칠 수 있으리라고 확신하면서 딸의 선택에 대해 갖은
비난을 다한다. 어머니는 이 남자의 성격이나 개성 혹은 배경에
대해서 한탄을 하고 때로는 딸의 판단능력 혹은 가치관에 대해
서조차 의문을 제기한다. 때때로 어머니는 이 남자가 자신의 적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실제로 어허니에게
저항할 수 있는 이러한 능력이야말로 페르세포네 딸이 그러한
남성에게 매력을 느끼게 되는 이유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이제 페르세포네 딸은 난생 처음으로 어머니와 대적하게 되고
어머니가 갖고 있는 착한 딸의 기준에서 벗어나게 된다. 그려의
어머니나 가족은 그녀가 그남자를 만나는 것을 금지할 수도 있다.
그렇게 되면 그녀는 공개적으로 그러한 결정에 대해서
싸우기보다는, 우선은 안 만나겠다고 대답을 해놓고는 몰래 그를
만나러 나간다. 혹은 그녀는 그 남자의 좋은 점들을 들어서
어머니를 설득해 보려고 노력한다.
어느 정도의 밀고 당기는 식의 갈등이 지난 뒤에 이 남자는 보통
그녀에게 어머니를 직접 만나게 해달라고 하거나 아니면
어머니로부터 인정받기를 포기하려고 한다. 그는 그녀에게 같이
살거나 결흔하거나, 함께 이곳을 떠나거나 아니면 어머니와의
관계를 끊자고 요구하게 된다. 연인과 어머니 사이에 끼어서
그녀는 다시 얌전한 딸로 어머니에게 되돌아갈 수도 있고 아니면
드디어 어머니와의 관계를 끊고 남자에제로 돌아서게 되기도 한다.
만약 그녀가 정말로 어머니에게서 벗어난다면 드디어 독자적이고
스스로 모든 것을 결정하는 한 인간으로서의 삶을 시작하게 된다.
그녀가 이렇게 하는것은 지배적인 어머니와 지배적인 남편을
맞바꾸는 위험을 안고 있기는 하다. 그렇지만, 보통은 일단
어머니에게서 떨어져 나오면 그녀는 변화하게 되고 예전처럼 남이
시키는 대로 행동하는 인간으로 남아 있지는 않게 된다.
어머니와의 재결합은 훨씬 뒤에 있게 되는데, 그것은 그녀가
자신의 감정적인 독립을얻은 이후이다.
7. 성생활
처녀로서의 페르세포네 여성은 마치 잠자는 숲속의 미녀나
백설공주와 마찬가지이다. 즉, 자신의 성욕에 대해서 전혀 알지
못하며 어떠한 왕자님이 나타나서 그러한 자신의 욕망을 일깨워
주기를 기다리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많은 페르세포네 여성들은
결국은 성욕에 눈뜨게 된다. 그들은 자신이 정열적이고 황홀경을
느낄 줄 아는 여성임을 알게 되는데, 이러한 깨달음이 그들의
자아상에 앙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전에는 그들이 마치 다 큰
여성인 척하는 어린 소녀들 같다고 느꼈다. (이러한 페르세포네
유형은 이 장의 뒤에 좀더 자세하게 논술하겠다.)
8. 결혼
결혼이란 페르세포네 여성들에게는 가끔 그저 그렇게 일어나는
일이다. 그녀는 어떤 남자가 자신과 결혼하고 싶어하고 결혼
승락을 하는 경우 납치되는 것 처럼 결혼하게 된다. 만약 그녀가
전형적인 페르세포네라면 그녀는 자신이 결혼을 원하는지 어떤지를
확신할 수가 없다. 그녀는 남자의 주장과 확신에 쉽쓸려 버리고,
또한 결흔이란 누구나 다 하는 것이라는 문화적인 가정에 영향을
받아서 결혼을 해버린다. 본능상 페르세포네 여성은 전통적으로
여성적인 특성 들을 지닌다. 그들은 보다 강력한 사람의 뜻을
따르며 능동적이고 경쟁적이고 추진력이 있기보다는 수동적이다.
남성들이 그녀들을 선택하지 그 반대의 경우 는 일어 나지 않는다.
.일단 결혼을 하면 페르세포네 여성들은 페르세포네 신화에
상응하는 과정을 겪게 된다. 그래서 원치 않는 신부나 볼모가
되어서 어머니와 남편 사이에서 고민하게 된다. 또한 헤라,
데미테르, 아프로디테 원형이 결혼으로 활성화되었을 때, 영원한
소녀 내지는 처녀였던 그녀가 유부녀, 어머니 그리고 성적인
여성이 되는 원치 않는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 사건이 될 수도
있다.
새로 결혼 남편은 페르세포네 아내와의 힘겨운 과정을 이렇게
묘사했다. 는 비록 내가 그녀와 사랑에 빠져서 결혼을 하고자
했음에도 불구하고 내가 한 모든 일들이 그녀의 일생을 망치기
위한 것이었던 양 나를 취급합니다. 지난 주에 나는 은행에서
서류를 받아야 할 필요가 있었는데, 그날 시간이 너무 없어서
그녀에게 그 일을 해주도록 부탁했죠. 그랬더니 그녀는 내가 마치
자기를 하인처럼 부려먹는다고 비난했습니다. 부부관계를 갖는
것도 꼭 내가 먼저 시작해야만 합니다. 그리고 그녀는 마치 내가
강간이라도 하는 것같이 받아들입니다. " 그는 그들 사이에
일어나고 있는 일들 때문에 혼란스럽고 화가 나고 좌절감을 느끼게
된다. 그는 그녀가 자신을 마치 무감각하고 난폭한 짐승처럼
취급한다고 느낀다. 그녀가 마치 포로로 잡힌 페르세포네처럼
행동하고 그는 그녀를 잡아서 감옥에 가둔 납치유괴범 하데즈처럼
되어버리기 때문에 그남성은 상처받고 무능력하게 된다.
원치 않는 신부가 된 페르세포네 여성은 자신의 결혼에
충실하기가 어렵다. 결혼은 했으되 마음은 딴 곳에 가 있는 경우가
많다. 한 여성은 말하기를 "나는룸 메이트와 함께 사는 거예요.
그리고 이것은 아주 지루한 일이랍니다. 그 남성은 내가 꿈꾸어
왔던 꿈 속의 남자가 아니었어요. 그런데도 그는 내게 모든것을
요구합니다. 집과 가족,그리고 나에게 의존을 해요. 그래서 나는
그러겠노라고 대답은 했어요"라고 말한다. 이러한 페르세포네
여성은 그녀의 남편과 완전한 일심동체를 이루지 못한다.
감정적으로 그녀는 오직 자신의 시간 중 일부만을 결혼생활에
소요하고 나머지 시간에는 다른 남성불 대해 꿈꾸면서 보낸다.
9. 자식들과의 관계
페르세포네 여성은 아이를 갖더라도 데미테르 원형이 그녀
내부에서 활성화되지 않는 한 자신이 진정한 어머니라고 느끼지
않을 것이다. 그녀는 여전히 딸로 머물러 있고 싶고 자신의
어머니가 (진짜 어머니)이고 자신은 그저 엄마 노릇을 해보는
것쯤으로 생각한다. 할머니가 되어 손자 손녀를 돌보는 간섭하기
좋아하는 어머니는 페르세포네 딸로 하여금 어머니 자격이 없다고
느끼게 하고 어렵게 한다. 그녀는 이런 식으로 말한다. "넌 이렇게
연약한 애를 어떻게다루는지 잘 모를 거야, 내가 하는 것을 봐라"
또는, "내가 이 애를 볼테니 넌좀 쉬어라" 아니면 "너는 아기한테
우유를 충분히 주지 않고 있구나, 병을 바러야 할 때다." 이런
충고들은 딸로 하여금 점차 자신감을 잃게 만든다.
페르세포네 어머니를 가진 애들은 어머니에게 여러 가지 반응을
보인다. 만약에 딸이 더 강한 의지와 분명한 생각들을 갖고 있다면
어머니가 자식들에게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말하기보다는
오히려 자식들이 어머니에게 이렇게 해야 한다고 말을 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딸이 점차 커감에 따라, 어떨 때는 열두 살이 채
되기도 전에 페르세포네 어머니와 역할을 바꾸어 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딸들이 커서 어른이 되어 자신들의 어린 시절을
뒤돌아보면서 하는 얘기가 "나는 어머니가 없었어, 내가 오히려
어머니였어"라는 식이다. 만약에 어머니와 딸이 둘 다
페르세포네형이라면 둘은 굉장히 닳게 된다. 특히 그들이 함께
산다면 둘은 서로 굉장히 의존적으로 된다. 그리고 세월이 감에
따라서 그들은 마치 떼놓을래야 떼놀 수 없는 자매처럼 보이게
된다.
씩씩한 아들을 둔 페르세포네 어머니는 자신이 아들에 의해서
질질 끌려 다니는 느낌을 가진다. 심지어는 유아기 때부터 이 어린
아들이 어머니를 두렵게하는 수가 있는데, 왜냐하면 그러한 어린
아들은 고집이 세고 화를 내서 마치 힘센 남성의 어린 유형처럼
페르세포네 어머니에게 비춰지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페르세포네
여성은 관계를 유지하는 데 힘을 사용한다는 것은 전혀 생각해
보지도 못했기 때문에 그녀는 아이에게 (누가 윗사람인가)를
보여주지 못한다. 그녀는 아들의 욕구에 손을 들어버리며 한계를
정하는 데 실패하고 자신이 무능력하고 희생당했다고 느낀다.
아니면 그녀는 사태를 전환시킬 수 있는 간접인 방법을 찾기도
한다. 아들에게 더 나은 분위기를 만들어 주거나 마음을
고쳐먹도록 아들을 구슬리거나 주의를 딴 데로 돌리든가 아니면
완전히 동요가 되거나 당황해서 어린 아들이 죄의식을 느끼거나
부끄러워 하도록 만든다.
페르세포네 어머니가 자식들을 사랑하며 자신과는 전혀 다른
독립적인 기질을 갖고 있는 것에 대해서 탄복하고 자식들한테
간섭을 하지 않는다면 이러한 자식들은 잘 자란다. 페르세포네
어머니는 자식들의 상상력을 잘 키워줄 수 있고 자기 자신의 한
부분을 공유함으로써 자식들과 사이좋게 지낼 능력도 있다.
페르세포네 어머니 자신이 (코어)로서의 페르세포네를 벗어나
성숙할 수 있다면 그러한 어머니들은 창조력의 원천으로서
내면세계의 가치를 자식들에게 가르쳐줄 수 있는 것이다.
10. 중년
비록 (코어)로서의 페르세포네 원형은 영원한 젊음으로 남지만
인간 페르세포네는 점차 나이를 먹게 된다. 젊음을 잃게 되면서
그녀는 얼굴에 생기는 주름때문에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현실적인
장애들이 점차 명확해지면서 그녀는 가능성으로 꿈꾸어 왔던
것들이 점차 자신에게서 멀어져 간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중년의
우울증은 이러한 현실이 그녀에게 명확해졌을 때 일어난다.
만약에 그녀가 계속 자산을 처녀로 생각한다면 그녀는 현실을
부정하려 들것이다. 그녀는 젊음이라는 환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성형수술도 받을 것이다. 그리고 머리 스타일이나 옷은 훨씬 젊은
여성들에게나 맞을 듯한 것들을 취하게 된다. 그녀의 행동은
걷잡을 수 없게 되고 귀엽게 보이려고 애쓰게 된다. 그리고 세월이
감에 따라서 그녀의 행동은 더욱더 우스팡스럽게 된다. 이런
여성의 경우 좌절은 결코 표면화되지 않는다.
그녀가 중년에 들어와서 더 이상 자신을 (코어)로서의
페르세포네로 자각하지 않는다면-왜냐하면 그녀는 뭔가 자신을
변화시키는 소속감을 느꼈거나 경험을 겪었기 때문에-그녀는
좌절을 겪지 않고 지나갈 수도 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좌절이
그녀의 인생에서 전환점이 될 것이다. 이 전환점은 그녀에게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고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을 수도
있다. 즉, 인생에 패배당한 채 계속 좌절된 상태로 인생을 살 수도
있고, 아니면 이러한 좌절이 그녀의 한없이 이어져온 청소년기를
끝내고 성숙의 시작을 가져다줄 수도 있다.
11. 노년
페르세포네 여성이 인생을 살아가면서 (코어)에서 지하세계의
여왕으로 성숙해 갈 수 있다면 77세의 나이에 혹은 그보다 더
나이가 들어서 그녀는 삶과 죽음이 지닌 의미를 잘 아는
노인으로서 살아갈 수 있다. 그녀는 신비스럽거나 혹은 영적인
경험을 했고, 늙어서 죽는다는 것에 대한 공포를 쫓아낼 수 있는
깊은 영적인 세계에 발을 들여놓게 된다. 만약 그녀가 성숙하고
소속감을 가지고 다른 측면을 개발해 낼 수 있었다면, 그리고도
아직 (코어)로서의 페르세포
네와 연관을 갖고 있다면 그녀는 마음으로나마 영원히 청춘인
상태로 머무를 수 있다.
어떤 여성이 페르세포네 유형으로 인생을 시작했으나 청년기
혹은 중년기에 헤라, 데미테르, 혹은 아프로디테 유형이
활성화되는 단계를 겪었다면 노년에 이 여성에게서 페르세포네
유형을 찾아보기는 거의 힘들게 된다. 아니면 가장 나쁜 경우는
페르세포네 유형의 여성이 결코 좌절에서 회복하지 못한 채 인생의
실패를 겪고 현실로부터 움츠러들어서 자신의 내면세계미 갇혀
지내는 것이다.
IV. 심리적인 문제점들
페르세포네 여신은 하데즈에 의해서 납치되어 강간당하고 또
한동안 무능력하게 사로잡혀서 원치 않는 신부로 지내기 전까지는
아주 천진난만한 딸이었다. 비록 어머니의 노력으로
자유로와지기는 하였지만 그녀는 몇 알의 석류 씨앗을 먹었기
때문에 일년 중의 일정 기간 동안은 어머니인 데미테르와 함께
지낼 수 있었지만 그 나머지 시간은 하데즈와 같이 지내야만 했다.
그녀가 지하세계의 여왕이자 안내자가 된 후에야 비로소 자신의
인생을 살게 된다. 이렇게 신화의 서로 다른 단계는 실제 인생의
각 단계와 서로 상응한다. 마치 여신처럼 페르세포네 여성은
이러한 단계를 통해서 점진적으로 발전하게 되며 각각의 일들이
일어날 때마다 점차 성숙하게 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여성들은
또한 어느 한 단계에 사로잡혀 있을 수도 있다.
헤라나 데미테르 원형이 강력한 본능으로 작용해 어떨 때는
여성이 성숙하기 위해서 이러한 본능들이 억눌러져야 하는 것과는
반대로 페르세포네 원형은 여성으로 하여감 수동적이고
고분고분하게끔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페르세포네 여성은 쉽게
남들의 지배를 받는다. 일곱 여신 가운데서 가장 형체가 약하고
불분명한 여신으로서 페르세포네는 방향 감각이 없고 추진력이
없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그러나 이 모든 여신 중에서 그녀는
성장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길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1. 나는 페르세포네 (코어)인가?
(코어)로서 산다는 것은 아무에게도 어떤 것에도 얽매이지 않는
영원한 처녀임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뭔가 결정적인 선택을 한다는
것은 다른 가능성을 배제하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이런 여성은
자신의 마음을 결정하는 데 시간이 굉장히 많이 있는 것으로
느끼기때문에 무엇인가 그녀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이 나타날
때까지 기다리려고 한다. 그녀는 웬디와 피터팬 그리고 길 잃은
소년들이 사는 신비의 나라에 산다. 만약 그녀가 성숙하고 싶다면
그녀는 현실세계로 되돌아와야 한다. 웬디는 물론 이런 결정을
하였다. 그녀는 피터에게 안녕을 고한 뒤, 창문을 통해서 자기가
떠났던 어린이 방으로 돌아간 후 자신이 성숙해졌다는 것을 알게
된다. 페르세포네 유형의 여성들에 있어서 이러한 관문은 바로
심리적인 것이다.
성장하기 위해서 페르세포네 여성들은 스스로 무엇엔가 소속감을
가지고 그것에 맞춰서 살아가는 것을 배워야 한다. 그녀는 무슨
일이든 응낙을 하고 자기가 하기로 한 것을 실행하는 데 어려움을
느긴다. 시간 내에 과제물을 제출하거나 학교를 끝마치거나 결혼을
하거나 애를 키우거나 직장을 유지하는 것은 인생을 놀이로
생각하는 사람에게는 어려운 일이다. 성장하기 위해서 그녀는
자신의 우유부단, 수동성, 그리고 타성적인 습관과 싸워 이겨야
한다. 그녀는 자신의 마음을 확고히 정하고 비록 그것이 즐겁지
않더라도 자신의 결정에 따라서 열심히 일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삼사십대 정도에, 자신이 영원히 젊은이라는 페르세포네 여성의
환상을 깨고 현실이 비집고 들어온다. 그녀는 뭐가 잘못되어 가고
있다는 것을 감지한다. 생체 리듬에 의해서 그녀는 아기를
갖기에도 늦은 나이가 되어 버린다. 그녀는 그녀의 직장이
장래성이 없음을 깨닫게 되거나 혹은 거울을 보았을 때 자신이
늙어가고 있다는 것을 보게 된다. 주위를 둘러보게 되면 그녀는
친구들이 다성숙해서 그녀만을 내버려 두고 저 앞으로 가고 있음을
보게 된다. 즉, 친구들은 남편과 가족을 지키며 확고한 직장
생활의 경험들을 쌓아가고 있는 것이다. 그 친구들이 해놓은
일들은 다른 사람들에게도 중요한 일들이었고 그들은 뭔가
명확하게 그러나 보이지 않는 방법으로 페르세포네 여성과는
굉장히 다른 삶을 산 것이다. 왜냐하면 인생이 이 친구들에게
영향을 미쳐서 뭔가 표적을 남겼기 때문이다.
만약 여성이 (코어)로서의 페르세포네의 태도를 취하고 있다면
그녀는 결코 결혼을 하지 않거나 혹은 결혼을 하고서도 그것이
자신이 지켜야 할 어떤 실제적인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녀는 결혼을 영원한 처녀성의 관점에서 보는데 말하자면
그녀에게 있어서 결흔은 죽음이므로 실제적인 결혼에 대해서
저항을 한다. 페르세포네의 관점에서 봤을 때 결혼이란 죽음의
사신인 하데즈에 의한 납치일 뿐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혼관과
남편관은 헤라의 결혼관과 상당히 다르다. 헤라 여성은 결혼에
대해서 긍정적인 기대를 갖고 있으므로 상대방 남성에 대해서 잘
알아야 하고 잘못된 결혼을 피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즉,
결혼생활이 만족스럽지 않다면 그녀는 환상에서 즉시 깨어난다.
이와는 정반대로 페르세포네 여성에게 결혼이란 항상 납치와
죽음을 뜻하는 것으로서 그것에 대항해서 싸우거나 저주해야 할
것으로 여기는데, 그녀는 이 우매한 가
치관에 저항하여 싸워야만 한다.
2.페르세포네의 함정 .성격상의 결함
페르세포네가 어머니인 데미테르와 다시 만났을 때 어머니의 첫
질문은 "너 지하에서 아무것도 먹지 않았느냐?"였다. 페르세포네는
"몇 개의 석류씨를 먹었다"고 대답하고는 하데즈가 강제로 먹였기
때문에 할수없이 먹었다고 거짓말을 한다. 페르세포네는 어머니가
자신에게 갖고 있는 기대에 어긋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이런
거짓말을 한 것이다. 비록 그녀는 자신의 운명에 대해서 아무런
힘이 없고 따라서 책임을 질 수 없는 듯한 인상을 풍기지만
실제로는 자신의 운명을 결정하는 것이다. 씨를 삼킴으로써
페르세포네는 일정 시간을 하데즈와 같이 보내는 것을 보장받게
된다.
간접적인 방법의 사용, 거짓말, 그리고 조작이 페르세포네
여성의 잠재적인 성격상의 문제들인 것이다. 자신을 무능하게
느끼면서 또 자신보다 힘센 사람에게 의존하면서 그들은 점차
자기가 원하는 것을 간접적으로 취득하는 것을 배우게 된다.
그들은 기회가 오기를 기다리거나 혹은 아첨을 하기도 한다.
그들은 진실의 일부분만을 얘기하거나 혹은 상대방과 직접적으로
대면하기보다는 거짓말로 그 자리를 모면하려고 한다.
보통 페르세포네 여성은 분노를 피하고자 한다. 그들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에게 화를 내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그들은
자신들이 생각하기에 더욱 강력한 사람들의 관용이나 성의에
기대고자 한다. 그러므로 그들은 종종 그들의 어머니, 아버지,
남편, 고용주, 그리고 선생님을 마치 총애를 받을 필요가 있는
보호자처럼 대우한다.
어떤 페르세포네 여성에게 자기애(렴펀론)가 또 다른 함정이
된다. 그들은 지나칠 정도로 자기 자신에게 집착해서 다른 삶과
관계를 맺을 능력을 잃어버리게 된다. 그들의 생각은 자신에 대한
관심으로 가득차 버린다. "내가 어떻게 보
일까? 나는 충분히 위가 있을까? 아니면 내가 말하는 것이
지적으로 들릴까?"그리고는 그들의 모든 에너지를 화장을 하고
옷을 입는 데에 써버린다. 이런 이성들은 몇 시간씩 거울 앞에서
보낸다. 상대방이란 오직 자기 자신의 영상을 비춰볼 수 있는
것밖에 아무것도 아니다.
3.지하세계: 심리적인 병적 상태
신화에서 페르세포네는 지하세계에 포로로 있는 동안 먹지도
쉬도 않는 슬픈 처녀였다. 이 단계는 어떤 페르세포네의 여성이
겪어 나아가야 할 심리적인 병적 상태와 유사하다.
페르세포네 여성은 자신을 옭아매고 있는 사람이 자신을
지배하고 한계를 정할 때면 쉽게 우울증을 겪는다. 자신을 잘
규정하지 못하는 성격이므로 그녀는 상황을 바꾸기 위해서 자기
자신을 표현하거나 능동적으로 대처하기보다는 자신의 내면세계의
분노나 무관심을 차곡차곡 쌓아 놓는다. (분노가 내면으로 향한다.
말하자면, 이것이 억압의 상태이고, 발전하면 우울증이 된다.)
소외감, 부적절함
그리고 자아비판이 그녀의 우울증을 더욱 심화시킨다.
페르세포네 여성이 우울증에 걸리는 것은 극적이지 않고 점차
퇴색되어 가는 듯한 우울증이다. 그녀의 개성은 점차 움츠러들며
수동성은 점점 더 증대되며, 감정은 거의 느낄 수 없을 정도가
된다. 그녀는 가냘프고 허약해 보인다. 마치 페르세포네가 처음
지하세계에 납치되었을 때처럼 그녀는 먹지도 않고 말도 하지
않는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육체적으로 또 정신적으론 몹시
허약해진다. 의기소침해진 페르세포네를 지켜보는 것은 마치 꽃이
시들어 가는 것을 보고 있는 것과 같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우울해진 데미테르 여성들은 크게 확대되어
보이며 주위의 모든 사람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우울증에
빠지기 전에 그녀는 아주 활기차고 중심적인 인물이었다. 그러므로
그녀가 우울해지면 행동에 극적인 변화가 온다. 반면 페르세포네
여성이 우울해지면 그저 점차 시들해지는 유형을 보인다. 더군다나
우울증에 걸린 데미테르는 주위에 있는 모든 사람으로 하여금
죄의식을 느끼게 하고 무능하게 느끼게 하며 그녀가 퍼붓는 비난에
대해서 분노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우울증에 걸린 페르세포네는
주위 사람들의 감정을 전혀 흐트러뜨리지 않는다. 그와는 달리
주위 사람들은 그녀로부터 단절된 것처럼 느낀다. 페르세포네 유형
여성들 자신이 바로 죄의식을 느끼고 비난받아야 한다 생각하고
스스로를 무능하게 여긴다. 그리고 때때로 그녀는 자신이 말한 것,
생각한 것 혹은 행한 것에 대해서 불필요할 정도로 죄의식을
느끼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우울증에 걸린 데미테르는 집 전체를
소용돌이 속으로 빠뜨리는 반면 우울증에 걸린 페르세포네는
조용히 됫방으로 사라져 버린다.
어떤 페르세포네 여성들은 내면의 영상들,묵상 그리고 환상의
세계 즉, 자신들만이 들어갈 수 있는 그늘진 세계로 퇴각해
버린다. 어떤 여성은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간섭이 심한 어머니나
폭력적인 아버지로부터 도피해서 자신의 내면 세계에 빠져 지내게
된다. 내 페르세포네 환자는 이렇게 말하곤 했다. "나는 거실
한구석에 나만의 특별한 장소가 있어요. 거기에는 나만의 나무가
있는데 그 나뭇가지가 거의 땅에 드리워서 나를 숨겨줄 수가
있지요. 그리로 나는 숨으러 가지요. 나는 바로 그곳에서
어린아이가 되어 백일몽을 꿈꾸면서 다른 사람의 역할을 해보며 몇
시간씩을 보내는데 그것이 진짜 나입니다."
때때로 그녀는 내면세계에 집착해서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끊고
지내기도 하고, 또 현실세계가 너무 어렵거나 과도한 요구를
한다고 느낄 때마다 그리로 퇴각하게 된다. 그러나 어느 순간엔가
은신처처럼 느껴지던 곳이 감옥으로 변할 수도 있다. 마치 테네시
월리암스 Tenessee Williams의 희곡 유리성의 로라 The Glass
Menageri겐처럼 페르세포네 여성은 상상의 세계에 잡서 일상적인
현실의 세계로 돌아초지 못할 수도 있다.
현실로부터 점차 움츠러들면서 어떤 페르세포네 여성들은
정신병에 빠지는 듯하다. 그들은 상징적인 심상과 자신만이 알고
있는 은유의 세계로 져들고 자신에 대해서 왜곡된 시각을 갖게
된다. 때때로 정신병은 .이런 여성돈로 하여금 자신의 삶을
제한하고 있던 한계와 본질을 깨고 나을 수 있는 길을 마련해 주는
변신의 기회로 작용하기도 한다. 일시적으로 정신병자가 됨으로써
그들은 보다 폭 넓은 감정을 느낄 수 있게 되며 자신의 보다 깊은
내면세계를 알게 된다.
그러나 정신병에 걸리는 것은 지하세계에 영원히 감금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마치 세익스피어의 희곡 <햄릿>에 나오는
초필리아처럼 어떤 페르세포네 여성들은 현실이 너무 고통스러울
때에는 정신병 속에 계속 안주하면서 실제로 무엇이 일어나는가에
대해서 회피하려고 한다. 그러나, 많은 경우 심리요법의 도움을
받아서 정신병 치유를 받게 되며, 성장하게 되고 자신에 대해
확신을 갖게 되면,독립심을 얻는다.
페르세포네가 지하세계로부터 구출된 후 헤커트가 그녀의
변함없는 친구였다. 천지와 하계를 다스리는 여신인 헤커트는
귀신과 악마, 마술과 마법의 초자연 세계를 다스린다. 정신병에서
벗어난 페르세포네 여성은 사건들의 상징적 의미를 감지하는
능력을 갖게 된다. 만약 그녀가 병원에서 회복되어서 현실세계로
되돌아 온다면 그녀는 좀더 다른 차원의 세계에 대해 알게 되는데,
이것은 헤커트를 친구로 가지는 것으로서 상징된다.
V. 성장하는 길
진정한 공약을 하기 위해서는 페르세포네 유형의 여성은 자신의
내면에 있는(코어)와 싸워 이기지 않으면 안된다. 그녀는 결혼을
하기로 결심을 해야 하며 마음 속으로 부정하지 알고 진정으로
결혼에 충실하겠노라고 다짐을 해야 한다. 그녀가 진정으로 그렇게
한다면 결흔은 점차적으로 그녀를 영원한 소녀로부터 성숙한
여성으로 변화시키게 된다. 그녀가 직업 쪽을 택한다면 그녀의
개인적인 성장을 위해서 또한 성공하기 위해서 그녀는 확실하게
책임감을 갖고 그 직업에 계속 머물러 있을 필요가 있다.
그녀가 인생을 직시하고 자기 자신을 스스로 돌보게 되면,
페르세포네 여성은 (코어)로서의 페르세포네를 극복하고 성장하게
된다. 많은 특권을 지녔던 딸들에게 있어서 이러한 최초의
독립심은 그들이 이혼을 한 후에 생겨난다. 그때까지는 그들은
그들의 유형에 기대되는 그대로 행동을 한다. 그들은 보호받은
딸들로서 적합한 젊은이들과 결혼을 한다. 그들이 이혼을 하는
이유 중의 하나는 결혼을 포로가 되는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들은 결혼에 의해서 성장하지 못한다. 그 대신 그들은 이혼을 그
다음 관례로 생각하게 된다. 그들이 누군가를 위해서 무엇을
하거나 누군가를 비난하거나 할 상대를 잃어버렸을때 페르세포네
여성은 성장할 수 있게 된다. 그들이 물이 새는 수도꼭지나
은행잔고를 돌보거나 생계를 위해서 돈을 빌어야 할 때가 되었을
때 비로소 이러한 필요들이 그들에게 스승의 역할을 한다.
페르세포네 여성은 그들에게 내재해 있는 원형에 따라 (이 책
전반을 통해 논의된 것처럼) 다른 여신 원형을 활성화시키거나
아니면 그녀 내면에 남성적 요소를 발전시킴으로써 (아프로디테
장에서 설명될 것임) 몇 가지 다른 방향으로 성숙하게 된다.
1. 정열적이고 관능적인 여성이 되는 것
페르세포네 여성은 성관계를 가질 때 강간을 당했다고 느끼거나
아니면 그저 순응하는,성적으로 둔감한 여성일 수 있다. 이러한
여성들은 그저 이런 식으로 말한다. "첫주가 지나고 난 뒤 나는
그가 나와 관계를 하는 것에 대해서 굉장히 화가 나 있다는 것을
알았어요.", "나는 그때 사실은 요리법에 대해서 생각하고
있었어요.", 아니면 "나는 정말 두통이 왔어요." 아니면, "나는
정말 섹스를 싫어
해요." 그러나 그녀는 관능적이고 섹시한 여성으로 바필 수도
있다. 나는 내 치료를 받았던 여성들이나 혹은 나와 그 문제에
관해 상담을 했던 남성들의 아내에게 이러한 변화가 정말
일어났다는 얘기를 여러번 들었다.
사실 페르세포네 여성이 성에 눈뜨는 것은 페르세포네 신화와
일치한다. 일단 페르세포네가 지하세계의 여왕이 되자 그녀는
사랑과 미의 여신인 아프로디테와 관련을 갖게 된다. 페르세포네는
어떤 면에서 본다면 지하세계의 아프로디테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페르세포네는 보다 내면화된 성욕, 혹은 잠복된
성욕을 의미한다. 신화에 의하면 아도니우스는 아프로디테와
페르세포네에게서 동시에 사랑을 받았다. 그리고 이 두 여신은
석류를 상징으로 모셨다.
더군다나,페르세포네가 하데즈가 준 석류씨를 받았다는 것은
그녀가 자발적으로 그에게 돌아가기로 결정한 것을 의미한다.
그녀는 포로가 아니라 하데즈의 아내이자 지하세계의 여왕이 된
것이다. 실생활에 있어서는 몇 년의 결혼생활이 지난 후에
페르세포네 아내들은 자신들이 이기적이고 억압적인 남편의
포로로서 괴로운 결혼생활을 하고 있다는 느낌을 떨쳐 버릴 수
있게 된다. 자신의 남편이 민감하고 멋있고 완벽하지 않은 남자인
것을 깨닫고 자신을 사랑하고 있다는 것에 감사하게 된 연후에야
그녀는 다른 감정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녀의 인식이 바펀
후에서야 남편은 결혼생활 중 처음으로 그녀가 자기와 함께 하며
자기를 사랑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느끼기 시작한다. 이렇듯 서로
믿고 존중하는 새로운 관계에 들어서서야 그녀는 처음으로
오르가즘을 느끼게 되고 남편을 납치자인 하데즈가 아니라 정열을
일깨우는 디오니수스로 보게 된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디오니수스가 가진, 사람을 흥분시키는 정신이 여성을 성적인
황흘경으로 몰아넣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디오니수스는 그리스
여성들에 의해서 산 위에서 숭배되었는데,그리스 여성들은
정기적으로 그들의 전통적인 점잖은 역할과 가정을 떠나서 이러한
종교적인 주신제에 참가하였다. 디오니수스는 이런 여성들을
열정적인 이미지로 변화시킨다. 그리고, 전통과 신화는 하데즈와
디오니수스를 함께 연관시킨다. 디오니수스는 하데즈가 없는 기간
동안페르세포네의 집에서 잠을 자는 걸로 되어 있다. 철학자인
헤라클리토스(Hera-coitus)는 말하기를 "하데즈와
디오니수스,-여자들이 이 신들한테 미치고 열광하는데-사실은 이
둘은 하나이며 동일 인물이다"라고......
현대에 있어서 페르세포네 여성은 이러한 디오니수스에 상응하는
인물을 갖기도 한다. 한 여성은 말하기를 "나는 남편과 헤어진 후
내 결혼생활에 없었던 것을 찾기 위해 밖으로 나돌아다녔어요."
커피숍에서 그녀는 한 남성을 만나게 되는데, 두 사람은 연인이
된다. 그는 매우 관능적이며 그녀가 성에 흥미를 느끼도록
도와준다.
2.신비한 종교적 경험을 할 수 있는 능력의 발견
페르세포네 여신이 헤커트와 디오니수스에게 갖는 원형적인
친화력은 페르세포네 여성들이 어째서 극적인 경험을 하는 사제와
같은 자질을 갖게 되는가를 굴해주는 단서가 된다. 그들은 의식에
도취되어서 자신들이 신의 영감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기독교에서는 이러한 유형의 사람들은 신의 영감을 받아서 신의
목소리를 전달하는 사람들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오늘날 영적인
춤을 통해서 여신의 영을 활성화시키는 여신 숭배가 다시
살아나면서는 낮에는 전형적인 페르세포네였다가 밤에는
신비스러운 헤커트나 디오니수스의 미네드(그리스신화에서
열성적으로 신을 섬기는 여자: 역자 주)가 되는 여성들도 있다.
3. 영매나 무당의 능력을 개발하는 것
사신들과 대화하기 위해서 지하세계를 방문하는 인간을 안내하는
안내자로서 페르세포네는 은유적으로 보았을 때, 강령회를 열어서
죽은 영혼들이 자신들을 통해 얘기하도록 해주는 영매와 비슷한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뭐든지 받아들이고 자신의 주관이
뚜켠지 않으며 산만한 그녀의 성격은 쉽게 영을 받아들이도록
한다. 무당의 능력을 개발하기 위해서 페르세포네 여성은 자신을
(코어)와 동일시하는 과정을 겪어야 한다. 즉,
페르세포네-헤커트의 요소를 개발해야 하는데, 이는 지하세계의
자기 집에 있을 때에는 신비스러운 것을 무서워하지 않고 또
그녀가 위험한 교차로에 처했을 때, 현명하게 어느 길이 안전한
길인가를 찾아내는 능력을 뜻한다.
4. 지하세계의 안내자가 되는 것
일단 페르세포네 여성이 자신의 깊은 내면세계에 내려가서 깊은
원형의 내면 세계를 겪어보고 경험을 다시 음미하기 위해서
되돌아오는 것을 무서워하지 않게 되면 그녀는 일상의 세계와
비일상적인 세계를 왔다갔다하며 존재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 그녀는 아주 두렵거나 무시무시하고 괴로운 경험들, 영상,
환각 혹은 영적인 교류를 했던 것이다. 그러므로 만약 그녀가 배운
것을 전달할 수 있다면 그녀는 다른 사람을 위한 안내자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내가 정신과 레지던트였을 때 (레니 Renee라는 정신
분열증에 걸린 소녀의 자전적인 소설이 나에게 정신분열증에
걸렸을 때의 주관적인 경험을 생생하게 전달해 주었다. 그리고
지하 내면세계에 떨어졌다가 되돌아온 페르세포네 여성은 임상
심리요법학자가 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그녀는 다른 사람들을
자신의 깊은 내면세계로 연결시켜서 그들이 거기서 발견한 것의
상징적인 의미와 이해를 도와줄 수 있는 안내자가 되는 것이다.
제11장
창조하는 여신
1. 아프로디테
나는 사랑과 미의 여신인 아프로디테를 그녀만을 위해 마련된
창조하는 여신이란 유형으로 분류하였는데 이는 그녀만이 지니고
있는 놀랍고 신비스러운 변화의 능력 때문이다. 그리스 신화에서
아프로디테는 숨막힐 듯한 모습을 하고서(세 명의 처녀 여신들을
제외한) 모든 인간과 신들이 사랑에 빠져 새 생명을 잉태할 수
있도록 하는 여신이었다. 아프로디테는 피그말리온을 위해서
동상을 살아 있는 여인으로 만들어 주었다. (이와는 반대로
아테나는 사람을 돌로 바꾸어 버렸다.) 그녀는 시와 설득력 있는
연설에 영감을 주며 사랑이 지닌 창조적이고 변화시키는 힘을
상징한다.
비록 아프로디테 역시 처녀 여신들과 상처받기 쉬운 여신들이
가지는 특성들을 어느 정도 공유하고 있으나 그녀는 이 두 그룹에
속하지 않는다. 비록 아프로디테는 아르테미스나, 아테나 그리고
헤스티아처럼 자신을 즐겁게 하는일을 하는 특성을 지녔으나 가장
관능적인 밀애를 가졌던 여신이었기 때문에 결코 처녀 여신이라고
할 수는 없다. 또한 그녀는 헤라나 데미테르 그리고
페르세포네처럼 남신들과 관계를 가져서 아이들을 낳기도 했으나
결코 장처받기 쉬운 여신도 아니었다. 그들과는 달리 아프로디테는
결코 희생되지도않았으며 그로 인해 고통받지도 않았다. 관계를
가짐에 있어서 욕망은 항상 상호적이었고 그녀는 결코 남성의 원치
않는 정열의 희생자가 아니었다. 처녀 여신들에게 중요한
타인으로부터의 독립이나 상처받기 쉬운 여신들의 특성인 타인과의
영원한 관계보다도 사랑의 경험을 갖는 것이 아프로디테
여신에게는 더 소중한 것이었다.
창조하는 여신으로서 아프로디테는 이들 두 그룹의 여신들과
유사점을 갖고 있지만 그들과 본질적으로 다른 여신이었다.
아프로디테에게 있어서 관계를 갖는다는 것은 중요한 것이었으나
상처받기 쉬운 여신들처럼 일생을 통한 언약은 아니었다.
아프로디테는 관계를 가져 새 생명을 탄생시키려 애ㅆ다. 이
원형은 육체적인 접촉을 통해서 아니면 창조적인 과정을 통해서
표현될 수 있다. 그녀가 추구하는 바는 처녀 여신들이 추구하는
바와는 달랐으나 자신에게 의미 있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에서는 같다. 누구도 그녀가 추구하는 목표로부터 그녀를
떼어놓을 수 없다. 그녀가 가치를 두는 것은 순전히 주관적인
것이며 성취나 객관적 평가로 잴 수 없는 것이다. 역설적이게도
아프로디테는 겉으로 보기에 그녀와는 가장 다른, 조용하고
내성적인 헤스티아와 가장 비슷하다.
그 누구도 아프로디테가 자신의 미로써 유혹하면 저항할 수
없었다. 둘은 자석처럼 서로 이끌려서 화학반응을 일으킨다.
그리고 그들은 모든 것을 제쳐두고 하나가 되기를 원한다. 그들은
좀더 가까와져서 함께 자고 서로를 알고자하는 강렬한 열망을
느낀다. 이러한 욕망은 순전히 육체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의
추진력은 보다 깊은, 심리적이거나 영적인 것에 있다. 성교는
의사소통 혹은 친교와 동일한 말이며 이의 성취는 완벽 혹은
완성을 향한 본능을 뜻하며결합은 서로 하나가 되는 것을 말하고
서로를 안다는 것은 진정으로 서로 이해한다는 것이다. 상대방을
알고 싶어하고 자신을 알리고자 하는 욕망이 바로 아프로디테가
굴들어낸 것이다. 이러한 욕망이 육체적인 친밀을 뜻한다면 잉태와
새 생명이 이에 뒤따른다. 이러한 결합이 영적이거나 심리적인
것을 뜻한다면 심리적이고 감정적이고 영적인 영역에서 성장이
이루어진다.
아프로디테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낭만적이거나 육체적인
것에 그치지 않는다. 정신적인 사랑, 영적인 연결, 깊은 우정,
신뢰감, 그리고 감정이 입적인 이해 모두 사랑의 표현이다.
누군가에게 조언을 하고, 상담을 하고, 부모노룻을 하고,
지도하고,가르치고,편집하고,심리치료와 분석을 할 때, 일어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성장을 경험하거나, 자신의 비전이
지지되거나, 잠재력이 개발되거나 창조적인 영감이 떠오른다면
바로 아프로디테가 영향을 미치기때문이다.
1. (무대 조명) 같은 의식
아프로디테가 지니고 있는 의식은 특이하다. 처녀 여신들이
가지고 있는 것은 집중된 의식 focused consciousness으로서 이
원형은 여성으로 하여금 자신들에게 중요한 것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처받기 쉬운 여신들의 수용성은 산만한 의식 Aphrodite
consciousness과 동일하다. 아프로디테 의식은 독특한 의식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나는 아프로디테 의식 Aphrodite
consciousness끼라고 부르겠다. 아프로디테 의식은 집중되어
있으면서도 또한 수용적이다. 이러한 의식은 자신이 의도하는 바를
받아들이기도 하면서 또한 동시에 그것의 영향을 받는다.
아프로디테 의식은 상처받기 쉬운 여신들이 지닌 산만한
의식다는 더 집중 되고 강렬하다. 그러나, 이 의식은 처녀
여신들이 가지고 있는 집중된 의식보다는 더 수용적이혀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의식은 마치 거실에 걸어놓은
램프처럼 토든 것을 부드럽게 비춰주는 것도 아니며 그렇다고
스포트 라이트나 레이저빔처럼 한곳을 강렬하게 비추는 것도
아니다. 나는 아프로디테 의식이 마치 극장의 무대를 비추는 빛과
같다고 생각한다. 우리의 경험은 이러한 극장 불빛에
비추어짐으로써 그 의미가 강화되고 극화되고 확대된다. 우리는
보고 들은 것을 받아들이고, 그에 반응한다. 이 특수 조명은
우리가 공감할 수 있도록 마음을 움직여 주고 장면이나 대사에
감명받도록 해주고 우리가 보고 들은 것에 대한 반응으로서 우리의
느낌, 감명 혹은 기억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반면 무대 위에 있는
사람들은 관객이 보내오는 일치감에 힘이 나고 흥이 오르는
것이다.
무대 조명에 비추어진 것들은 우리의 주의를 끈다. 우리는
아무런 어려움 없이 우리가 보는 것에 주의를 이끌리며 그리고
편안하게 집중하게 된다. 황금빛의 아프로디테 의식에 비추어진
것은 무엇이든지 환상적으로 변한다. 사람의 얼굴이나 성격,
우주의 본질에 대한 생각, 혹은 도자기의 투명함과 형태 등.
어떤 사람, 장소, 생각 혹은 대상을 상대로 사랑에 빠져본
사람은 아프로디테 의식에 의해 집중하고 받아들인다. 그러나
아프로디테 의식을 가진 사람이 모두 사랑에 빠진 것은 아니다.
마치 상대방이 매혹적이고 아름다와서 (사랑에 빠진
것처럼)·상대방을 대하는 아프로디테의 방법은 아프로디테 원형을
내면화한 여성의 특성이다. 그리고 이는 사람을 좋아하고 그들에게
오로지 온 정성을 쏟는 많은 여성(남성)들이 정보를 연결하고
수집하는 자연스런 한 방법이다.
이런 여성은 마치 포도주 감식가가 흥미를 돋구는 새 포도주의
특성에 주목하고 주의를 기울이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사람을
받아들인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포도주광이 새로운
포도주를 알게 되었을 때의 기쁨을 상상하면 된다. 그녀는
포도주잔을 불빛에 쳐들고 포도주의 색깔과 선명함을 주의깊게
살펴본다. 그녀는 향내를 맡아본 후 포도주의 특성과 부드러움을
알아보기 위해 한 모금 마셔본다. 그리고는 삼켜진 뒤에 맛까지도
음미하는 것이다. 그러나 포도주에 대한 그녀의 사랑스런 주의와
관심이 어느 특정한 포도주만을 특별하게 생각하고 가치를 두고
즐기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이는 잘못이다.
바로 이 잘못이 아프로터테 의식을 가진 여성에게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이종종 저지르는 실수이다. 그녀가 능동적으로 주의를 끌고,
(단순히 평가하거나 비판적인 태도를 취하기보다는) 사랑스럽고
동의하는 태도로 반응을 보이기 때문에 그들은 매혹되고 관심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그것은 단순히 그녀의 방식으로서 무엇이든지
그녀의 관심을 끄는 것에 대해 잠깐 동안 관여하는 것뿐인데
결과적으로 상대편은 그녀에게 유혹될 수 있다. 그리고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데도 그녀의 태도가 마치 그녀가 황흘해하고 사랑을
느끼고 있다는 잘못된 판단을 일으키게 한다.
2.아프로디테 의식, 창조력 그리고 의사소통
나는 내가 하고 있는 심리치료가 (집중된 의식)이나 (산만한
의식)으로 설명
될 수 없다는 것을 알면서부터 내가 아프로디테 의식을 갖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예술가와 작가의 글을 비교했을 때 나는
창조적인 작업에서는 제3의 방식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이를
나는 아프로디테 의식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심리치료에서 나는 몇 가지 과정이 동시에 행해짐에 주목하였다.
나는 모든 주의와 동정을 기울여 환자가 하는 이야기를 듣고 있다.
그와 동시에 내 마음은 테가 듣는 것을 연결하면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그 사람에 대하여 이미 알고 있는 것이 마음 속에
떠오른다. 아마도 과거의 꿈, 가족에 대한 지식, 예전에 일어났던
사건, 혹은 그의 인생과 관련이 있는 현재 일어나고 있는 사건들
등이다. 때로는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기도 하고 그 일을 대변할
메타포가 생각나기도 한다. 아니면 그 대상이나 혹은 표현 방법에
대하여 나 자신의 감정적인 반응을 갖기도 한다. 상대편에게
열중하는 것이 일종의 자극이 되어서 대개 마음은 굉장히 활발하게
그러나 수용적인 태도로 작용하고 있다.
분석하는 동안 내가 다루는 것은 마치 하나의 커다란 모자이크의
일부 같은것으로 중요한 세세한 사항이 훨씬 크게 부각되고 그
사람에 대한 완전한 그림이 부분적으로만 완성된 것과 같다.
그리고 그 속에서 나 역시 그와 서로 주고받는 관계가 된다. 만약
우리가 전환적인 작업을 하고 있다면 우리 모두를 감동시킬 만큼
강력한 감정이 우리 사이에 생긴다. 융이 말한 것처럼 정신분석은
양쪽 모두의 성격을 포함한다. 의사와 환자의 의식적인 태도와
추의식적인 요소 모두가 양쪽 모두 깊이 영향을 받는 이 과정에
관여하는 것이다. 두 인격이 만나는 것은 마치 두 종류의 서로
다른 화학 물질을 섞는 것과 같아서 어떠한 협력이라도
이루어지기만 하면 둘 다 변화하게 된다.
정신치료를 하면서 나는-변화와 성장을 가져다 주는
상호작웅적이고 수용적인 아프로디테 의식 말고도-어느 정도
적당하게 감정적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점차
깨닫게 되었다. 내가 환자와 너무 가깝거나 동일시하게 되면 나는
필수불가결한 객관성을 결여하게 된다. 내가 환자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서 애정을 갖지 못한다면 나는 중요한 감정적인 연결을 잃게
되는데 이것 없이는 보다 근본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데 필요한
힘을 충분히 얻을 수 없다. 처녀 여신들처럼 상처받지 않으면서도
상처받기 쉬운여신들처럼 몰두할 수 있는 자질을 가진
아프로디테에게 걸맞게 아프로디테 의식은 이 두 특성을 다 가지고
있다.
아프로디테 의식은 흘로 외로이 하는 일들을 포함하여 모든
창조적인 작업에 나타난다. 이 경우 관계는 사람과 일 사이에
이루어지며 여기로부터 뭔가 새로운 것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화폭을 앞에 놓고 그림을 그리려 하는 화가를 살펴보자. 몰두된
교감이 나타난다. 화가는 물감과 붓이 가져다 주는 창조적인
사건에 반응하거나 그것을 받아들인다. 그녀는 대담한 필치와
의미와 색깔로 활달하게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다. 그리고는 화폭에
무엇이 나타났는가를 보는것이다. 그것은 상호작용이다. 자발적
행위와 기술이 섞인다. 그것은 미술가와 화폭 간의 상호작용이다.
그리고는 이전에는 존재하지 알았던 어떤 것이 창조되는 것이다.
더군다나 그녀가 그림의 세밀한 부분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을
때에도 전체그림이 그녀의 의식 속에 들어 있다. 때때로 그녀는 한
발짝 뒤로 물러서서 그녀가 창조하는 데 너무나 주관적으로
열중하고 있는 것을 객관적으로 바라본다. 그녀는 몰두하고 옅중해
있으면서 또한 어느 정도는 객관적이고 자신을 떼어놓고 본다.
의사소통이 잘 되고 창조작업이 잘 이루어지는 과정에는
상호작용이 있다. 예를 들면 대화는 진부하고 의미 없고
고통스러운 것일 수도 있고 아니면 마치 아름다운 음악처럼
자발적이고 감동적이고 멋진 예술 같은 것일 수도 있다. 이때
영혼은 음악과 함께 비행하며 한 순간에는 광시곡처럼 하늘 높이
날아올랐다가 그 다음 순간에는 가슴 깊숙이 심금을 울리는
것이다. 상호작용은 형태에 있어서는 자발적이지만 그 내용은 무게
있고 감동적이기도 한다. 대화를 나눌때 각자는 상대편의 대화에
불꽃이 튀듯 반응하면서 흥분과 발견의 기쁨을 느낀다. 그들은
함께 아프로디테 의식을 경험하는데 이것이 대화를 나누거나
창조적인 일을 해내는 데 필요한 힘의 장 또는 배경을 마련해
준다. 어떻게 음악이 전개될지 아니면 어떻게 대화가 전개되어
나갈지는 계획된 것도 아니고 처음에는 알 수도 없다. 마치
새생명이 태어나는 것처럼 발견하는 것이 창조성과 상호작용의
핵심적인 요소이다.
아프로디테 의식이 나타날 때는 항상 힘이 생긴다. 연인들은
건강으로 빛나며 힘이 넘쳐 흐른다. 생각과 느낌을 자극하는 열떤
대화가 이루어진다. 두 사람이 진실로 만날 때 이 두 사람은
상대편으로부터 힘을 받으며 대화 내용과는 상관없이 전보다 더
활력을 느끼게 된다. 그런데 정신치료에서는 이 대화 내용이 매우
고통스런 주제일 수도 있다. 작업은 죽쳐져 있기보다는 굉장히
활동적이다. 함께 있는 상대방에 몰두해서, 혹은 우리가 하는 것에
몰두해서 시간이 흐르는 것을 잊어버린다. 이 특성이 바로
아프로디테가 혜스티아와 나누어 가진 것이다.
.3. 꿈을 키워주는 사람들(VIS10N CARRIERS)
꿈을 이루기 위해서는 우선 꿈을 지녀야 하며 이를 믿고 추진해
가야 한다. 때로는 자신에게 중요한 사람이 그 꿈의 실현이
가능하다고 믿어주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 사람이 바로 꿈을
키워주는 사람인데 이 사람의 믿음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남자의 계절 Seasons of a Man's Life에서 다니엘 레빈슨 Daniel
Levinson은 젊은 남자가 성인으로 입문하는 과도기에 (특별한
여성)이 갖는 기능을 묘사하였다. 레빈슨은 이 여성이 그의 꿈을
실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그녀는 그가 꿈을
구성화하고 실현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녀는 꿈을 공유하고 그
남자를 꿈의 주인공으로 믿어주고 축복해 주고 그와 함께하며
그리고 그의 포부를 꿈꾸고 희망을 지워줄 성역을 마련해 준다.
이 특별한 여성은 토니 울프 Toni Wolf가 묘사한 (창부 hetaira
woman) 이 말은 고대 그리스에서 교육받고 학식 있으면서 대개
자유인이었던 고급창부를 뜻하는 말에서 유래되었다)와 비슷하다.
그녀는 어떤 면에서는 일본의 게이샤와 비슷하다. 이런 여성이
남성과 갖는 관계는 관능적인 면과 동료의식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그녀는 그에게 영감을 주는 여인이거나 시인이 된다. 울프에
따르면 창부hetaira는 남성의 창조적인 면을 개발시키고 창조적인
일을 하도록 도와준다. 응 Jung식 분석가이자 옛날에 융의
환자였던 토니 울프는 그의 동료였으며 소문에 의하면 그의
연인이었다. 그녀 자신 또한 응의 특별한 여성이었으며 융이
이론체계를 확립하도록 영감을 불어넣어준 창부 hetaira
여성이었다.
어떤 여성은 자신을 특별한 여성으로 보아주는 여러 남자로부터
사랑을 받는 재능을 타고 났다. 그녀는 남성들의 잠재력을 볼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그들의 꿈을 믿어주고 그들이 꿈을 이루도록
북돋워 준다. 예를 들면 루 살로메 안드리아 Lou Salome Andreas는
릴케, 니체, 그리고 프로이드와 같이 유명하고 창조적이었던
남성들에게 특별한 여성이자, 시인, 동료, 그리고 성적
대상이었다.
남자와 마찬가지로 여성도 그들의 꿈이 가능하다고 믿어야 하며
누군가 다른사람이 성장하는 아프로디테 의식을 가지고 그들을
지켜보고 그들의 꿈을 지켜봐 주는 것이 필요하다. 사람들은 왜
여성 중에는 화가,요리사, 지휘자 혹은 철학자가 없는가에 대해서
생각해 보곤 한다. 그 이유 중의 하나로 여성에겐 꿈을 키워주는
사람이 없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여성들은 남성들을 위해서
꿈밭을 일구어 주었다. 그러나, 남성들은 일반적으로 여성들의
꿈을 잘 북돋워 주지 못하였다.
이런 결과를 낳게 된 책임은 어느 정도 여자의 상상력을
제한하고 기회를 억누른 전형화된 역할 분담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해 요소들은 점차 줄고 있으며 역할 모델들도 점차 늘고
있다.
4. 피그말리온 효과
내가 생각하기에 꿈을 키워주는 이들 즉, 심리요법사, 지도자,
선생님, 그리고 부모들이 그들 밑에서 다른 사람들이 자신들의
재능을 꽃피우고 발전시키게 하는 것은 심리학자 로버트 로젠탈
Robert Rosentha띠 피그말리온 Pygmalion 효과라고 이름 붙인 것을
불러내는 것이다. 5) 이 말은 상대편의 행동에 대해서 긍정적인
기대흘 할 때 얼마나 큰 힘을 발휘하는가를 묘사하는 단어다. 이
말은 자신이 조각한 완벽한 조각상과 사랑에 빠진 피그말리온의
이름을 따 만들어졌다. 그 조각은 아프로디테에 의하여
갈라티아라는 여인으로 환생한다. (조지 버나드 쇼우 George
Bernard Shaw의 연극 (피그말리온)에서도 헨리 히긴즈 HenryHins가
꽃 파는 처녀를 숙녀로 만들고 그리고는 그녀와 사랑에 빠진다. 이
연극이후에 (마이 페어 레이디 My Fair Lady)라는 브로드웨이
연극의 기초가 되었다.)
로젠탈은 학생들이 선생님의 기대가 높으면 높은 만큼, 또
낮으면 낮은 만큼, 그에 따라 행동하는 것을 보았다. 그는
빈민지역의 학생들이 학교에 오래 있을수록 성적이 더욱 나빠짐을
연구하였다. 이 학생들의 선생님들은 학생들의 학업 능력이
떨어진다고 믿는 향이 있었다. 로젠탈은 선생님의 기대와 학생들의
성적 중 어느 것이 원인이고 어느 것이 결과인가를 구별해 내위한
연구를 고안해 냈다. 그는 우리의 기대가 상대편에게 큰 영향력을
미친다는 결론을
내렸는데 이를 우리는 종종 잊어버린다.
내가 로젠탈의 연구를 읽었을 때 나는 내 환자였던 제인 Jane을
생각했다. 그녀는 스페인 가정의 자녀로서 학교 성적이 나빴다.
그녀는 전 선생님이 그녀가 명석하지 못하다고 하여 처음에는
사학년에 입학하였다. 그러나 그녀의 새 교사는 그녀를 다른
시각으로 보아서 제인이 보다 잘해줄 것으로 기대하고 이에도
전하도록 하였다. 새 선생님의 이와 같은 관심은 아흡살의 소녀를
반에서 일등을 하는 학생으로 만들었으며 반에서 발표도 잘하고
긍정적인 자아를 갖게 되었다. 수년 후 제인은 영감을 주는
선생님이 되어서 자기 반 학생들의 잠재력을 일깨우는 일을 하게
되었다.
아프로디테의 피그말리온 효과는 또한 그녀의 연금술과 관련되어
있다. 중세유럽에서 연금술은 납, 주석 따위를 금으로 바꾸기
위하여 여러 물질들을 섞는 물리적인 과정이었을 뿐 아니라
연금술사의 성격을 바꾸어 놓는 비법이 담긴 심리적인 노력이었다.
우리는 다른 사람에게 이끌려서 사랑에 빠질 때 아프로디테의
연금술을 경험한다. 우리는 그녀의 변화와 창조의 힘에 감동을
받았을때, 그리고 어떤 대상이 우리의 사랑에 물들어 있기 때문에
이를 아름답고 가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 우리의 능력에 감사할
때 또한 아프로디테의 연금술을 알게 된다. 모든 평범하고
개발되지 않은 것들이 일상생활의 일정한 물질들인데 이것이
아프로디테의 창조적이고 금술적인 영향을 받게 되면 황금으로
변하는 것이다. 마치 피그말리온의 갈라티아 동상이 사랑의 힘을
통해서 살아서 숨쉬는 여인으로 바뀐 것처럼......
제12장
아프로디테: 사랑과 미의 수호신
-창조적인 여성 그리고 연인
1 . 아프로디테 여신
로마인들이 비너스라고 불렀던 사랑파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는
모든 여신 중에 가장 아름다운 여신이다. 시인들은 그녀의 얼굴과
육체의 아름다움, 그녀와 황금빛 머리카락과 빛나는 두 눈,
부드러운 피부왁 아름다운 가슴에 대하여 노래하였다. 호머에
의하면 그녀는 잘 웃고, 아주 굉장히 매력적이었다. 그녀는 또한
조각가들이 즐겨 찾는 주제였는데 이들은 그녀의 우아하고
육감적인 육체를 드러낼 수 있게 옷을 벗은 상태나 옷을 조금 입은
상태로 조각하였다. 수많은 작품들 중에서 오직 로마인들의
복제품으로만 알려진 밀러의 비너스와 니도스의 아프로디테가 가장
유명하다.
그리스인들에게는 아름다움을 뜻하는 (황금빛)이라는 말이
아프로디테를 사하는 데 그리스인들이 가장 즐겨 썼던 수식어였다.
아프로디테의 저명한 연구가인 폴 프리드리히 Paul Friedrich에
따르면 황금과 꿀, 황금과 연설, 황금파 정액은 언어학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아프로디테의 출산과 언어 창조 능력을
상징화하는 것이다. 그녀는 서로 애무하며 사랑의 말을 주고받는
사랑의 새인 비둘기와, 아름다움과 짝지어 다니는 것으로 유명한
백조, 꽃 그 가운데서도 특히 전통적으로 연인들이 주고받는
선물로 알려진 장미, 그리고 달콤한 향기와 과일 특히 황금빛
사과와 관능적이고 열정적인 붉은 석류(이 상징물은 페르세포네와
환련퇴어 있음)와 연관되어 있다.
1. 계보와 신화
아프로디테의 신비스러운 탄생과 근원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헤시오드와 호머는 두 개의 상반된 이야기를 들려준다.
호머에 의하면 아프로디테는 평범하게 출생하였다. 그녀는
단지제우스와 바다 요정인 디온의 딸이었다.
헤시오드에 의하면 아프로디테는 폭력 행위의 결과로 태◎났다.
후에 타이탄의 지배자이자 일세대 올림피아신들의 아버지가 된
크로노스가 자기 아버지인 우라누스의 성기를 낫으로 잘라 바다에
던져 버렸다. 정자와 바다가 섞이면서 하얀 거품이 일고
아프로디테가 거기서 태어났는데 대양이 임신한 결과 완전히
성장한 여신으로서 나타난 것이다.
바다에서 탄생한 아프로디테의 이미지는 르네상스 시대의
보디리가 그린(비너스의 탄생)-때때로 (조개 위의 비너스)라고
불.·1기도 하는 그림-으로 영원하게 되었다. 그의 그림은 조개
위에 서 있는 우아하고 민감한 나상으로 장미꽃잎이 흩날리는
가운데 바람의 신에 의해 바닷가로 날려온 모습을 보여준다.
아프로디테가 처음 상륙한 섬은 시테라 혹은 사이프러스 섬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녀는 에로스(사랑)와 히메로스(욕망)의 신과
함께 신들의 집회에 안내되어 신으로 받아들여졌다.
많은 신들은 그녀의 아름다움에 넋을 잃고 그녀와 결혼하고
싶어했다. 남편이나 연인을 손수 선택하지 못했던 다른 여신들과는
달리 (페르세포네는 납치를 당했으며 헤라는 유혹을 당했고
데미테르는 강간을 당하였다) 아프로디테는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었다. 그녀는 장인의 신이자 대장간 불의 신인 헤파이스투스를
선택하였다. 따라서 헤라가 거부한 아들이 아프로디테의 남편이
되었는데 그녀
는 가끔 남편 몰래 다른 남자를 사귀곤 했다. 아프로디테와
헤파이스투스는 자식이 없었다. 그들의 결혼은 미와 기능의 결합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이로부터 예술이 탄생하는 것이다.
간통에 대해 말하자면 아프로디테는 2세대 올림피아 남신들과
관계들을 가졌다. 아버지 세대의 신들인 제우스, 포세이돈,
하데즈보다는 그들의 아들들과 관계를 가졌다. 아프로디테는
전쟁의 신인 아레스와 로맨틱하게 만났는데 그녀는 그와 오랫동안
관계를 가졌으며 자식을 몇 두었다. 그녀의 또 다른 연인은 신들의
사자인 헤르메스로 그는 영혼들을 지하세계로 안내하고, 여행자,
운동선수, 도둑, 그리고 사업가의 동행신이고, 의사소통의 신이고,
악기의 창조자이고 또한 올림푸스의 책략가였다.
아프로디테와 아레스는 세 명의 자식을 두었는데 딸은
하모니아(조화)였고 두 아들은 데이모스(공포)와 포고스(두려움)로
아버지를 따라 전쟁을 수행했다. 아프로디테와 아레스는 가장
억누를 수 없는 두 열정의 결합-즉, 사랑과 전쟁의 결합을
나타내는데 이 둘이 완벽한 균형을 이를 때 바로 하모니, 즉
조화를 이루어낼 수 있는 것이다.
아프로디테와 헤르메스 사이에 난 자식은 부모의 아름다움과
성적 특성을 다지닌, 두 사람의 이름을 딴 양성신인
헤르마포로디투스 Hermaphroditus였다. 상징으로서
헤르마포로디투스는 (남성과 여성에게 다 호기심을 느끼는)
앙성애자 bisexuality 혹은 자웅동체 androgyny(전통적으로
남성적이라고 여겨지는 자질들 혹은 여성적이라고 여겨지는
자질들을 한 사람이 다 갖고 있는 것을 말함)를 나타낸다.
또 다른 설명에 의하면 사랑의 신인 에로스는 아프로디테의 또
다른 아들이 한다. 아프로디테와 마찬가지로, 에로스의 계보의
시작과 그가 우주에 출현
한 시기에 대해서도 서로 상반된 이야기가 전해져 온다.
헤시오드에 의하면 에로스는 타이탄과 올림푸스 신들이 나타나기
전에 이미 나타난 창조의 주된 힘이었다. 에로스는 또한
아프로디테가 바다에서부터 나타날 때 동행한 신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나중의 신화는 그를 아프로디테의 아버지 없는 아들로
묘사한다. 그리스인들은 에로스를 주로 씩씩한 젊은이로 묘사해
왔으며 로마인들은 그를 아모르라고 불렀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태초의 원동력으로 묘사된 에로스의 신화는 점차 희미해 가고
오늘날에 와서는 큐피드로 알려진 기저귀를 차고 활과 화살을 든
어린이의 모습으로 남아 있게 되었다.
2. 아프로디테와 인간들
아프로디테와 인간의 관계는 그녀 신화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신화에서 그녀는 자신에게 도움을 청하며 기도하는
낭성에게 도움을 준다. 예를 들면 아프로디테는 히포메너스가
아틀란타와 경주하기 전날 밤 기도할 때 이에 응답했다. 그녀는
그에게 세개의 황금사과를 주고 이를 어떻게 사용하는가
가르쳐줌으로써 그의 목숨을 구하고 그가 사랑하는 아내를 얻도록
도와주었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아프로디테는 또한 사이프러스의 왕인
피그말리온의 시전설에 등장했다. 피그말리온은 자신의 이상적인
여성상을 상아로 새겼다. 그리고 그것을 쳐다보면 쳐다볼수록
자신이 만들어낸 조각과 사랑에 빠져들어 갔다. 아프로디테를 위한
제전에서 그는 자신이 만든 조각상과 같은 아내를 갖게 해달라고
기도하였다. 후에 그가 상아 조각에 키스를 하자 그 조각은 살아
있는 사람이 되었다. 그녀가 바로 그와 결혼을 한 갈라티아로서
아프로디테가 그의 기원에 응답해준 것이다.
사랑과 미의 여신은 또한 인간들과도 많은 염문을 뿌렸다. 예를
들어 아프로디테는 산비탈에서 황소를 붙잡고 있는 엔치시스를
보자 곧 그(호머의 묘사에 따르면 (신과 같은 몸매를 한) 인간)를
갖고 싶은 욕망에 붙잡혔다. 아름다운 처녀로 가장해서 그녀는
다정한 말로 그의 열정을 눈뜨게 하고 그를 유혹하였다.
뒤에 그가 깊이 잠들었을 때 그녀는 자신의 본래 모습을
드러내고 잠든 연인을 깨웠다. 그녀는 그에게 (후에 전설적인
로마의 창시자가 된) 아이니어스를 잉태했음을 알리고 자신이 그의
아들의 어머니임을 그 누구에게도 발설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엔치시스는 후에 너무나 술에 취하여 그만 그가
아프로디테와 불륜의 관계를 가졌다는 것을 발설하고 말았다. 그로
인하여 그는 벼락을
맞아 불구가 되었다.
또 하나의 유명한 아프로디테의 인간 연인은 미남이고 젊은
사냥꾼인 아도니우스였다. 아프로디테는 그의 생명을 염려하여
그에게 사나운 짐승을 피하라고 주의를 주었으나 사냥이 주는
스릴과 그의 대담무쌍함이 그녀의 충고보다 더 강력했다. 하루는
그가 사냥을 나갔는데 개들이 멧돼지를 보고 미친듯이 짖어댔다.
아도니우스는 창으로 그 짐승에게 상처를 입혔는데 상처의
고통으로 미쳐버린 이 짐승이 그에게 달려들어 그를 갈기갈기
찢어버렸다.
죽은 뒤 아도니우스는 일년 중 일정 기간 동안 지하세계에서
벗어나 아프로디테와 함께 지내도록 허락받았다. 아프로디테는
아도니우스를 페르세포네와 공유하였다. 이 죽음과 환생의 신비한
주기가 아도니우스 숭배의 기초가 되었다. 그가 해마다
아프로디테에게 되돌아 오는 것은 번식력이 되살아남을 상징한다.
아프로디테는 또한 여자들에게도 큰 영향을 끼쳤다. 미르라의
신화에서 보이는 것처럼 아프로디테의 명령에 따를 수밖에 없고
누구든 그녀가 정한 사람에게로 어쩔 도리 없이 이끌리는
인간으로서의 여성은 자신이 커다란 위험에 처해 있음을 보았을
것이다.
아프로디테를 섬기는 사제의 딸인 미르라는 자신의 친아버지와
열정적으로 사랑에 빠졌다. 여러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는데
아프로디테가 이 금단의 정열을 일으키게 한 데는 미르라의
어머니가 자기 딸이 아프로디테 여신보다 더 아름답다고 자랑했기
때문이라고도 하고 미르라가 아프로디테를 숭배하기를 게을리했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어찌줬든 미르라는 자신의 모습을 숨기고 밤에
몰래 아버지에게 접근하여 그의 정부가 된다. 저주받을 간통을
몇번 저지르고 뒤 아버지는 자기를 유혹했던 여인이 자기의
친딸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공포와 혐오감으로 가득 차서 그리고
그들이 함께 즐겼다는 것에 대해 딸을 벌채야 한다는 생각으로
그는 그녀를 죽이려 하였다. 그녀는 달아났고 거의 잡히려했을 때
신들에게 자기를 구해달라고 기도했다. 즉시 그녀의 기도가
받아들어졌고 그녀는 한 그루의 향기 나는 몰약나무로 바꾸어졌다.
페드라는 아프로디테의 또 다른 희생자였다. 그녀는 아르테미스
여신에게 자신을 바치고 독신 생활을 해온 미남 히폴리투스의
계모로서 불행한 운명을 태어났다. 아프로디테는 히폴리투스가
미의 여신인 자기와 자신에게 드리는 의식을 숭배하지 않는 것이
불쾌해서 페드라를 이용하였다. 아프로디테는 페드라 그녀의
의붓자식과 도저히 피할 수 없는 사랑에 빠지도록 하였다.
신화에 의하면 페드라는 열정에서 벗어나려고 애썼다. 그리고
자신의 죄스러운 욕망과 싸우다 못해 병에 걸리고 말았다. 마침내
그녀의 시녀가 페드라가 괴로워하는 원인을 알게 되었고 그녀를
대신하여 히폴리투스에게 접근하였다. 히폴리투스는 계모와 불륜의
관계를 가지라는 제의에 격노하고 분노하여 페드라에게 비난을
퍼부었다.
창피를 당한 페드라는 히폴리투스가 자신을 강간하려 했다는 짓
모함의 유서를 남기고 자살해 버렸다. 히폴리투스의 아버지
데시우스가 돌아와서 아내의 죽음과 유서를 발견하고는 바다의
신인 포세이돈에게 자신의 아들을 죽여줄 것을 부탁하였다.
히폴리투스가 해변길을 따라 마차를 몰고 있을 때 포세이돈은 큰
파도와 바다괴물을 보내어 그의 말을 겁주었다. 마차는
뒤집혀졌으며 히폴리투스는 죽음을 당하였다. 따라서 아프로디테는
페드라를 희생하는 것으로 복수를 하였던 것이다.
싸이키와 아틀란타는 아프로디테의 영향으로 변화된 여인들이다.
에로스와 싸이키의 신화에서 싸이키는 불행히도 너무나 아름다와서
사람들이 그녀를 제2의 아프로디테라 불렀다. 사람들은 신들에게
바쳐야 마땅할 경배와 숭배를 그녀에게 바쳤으며 이것이
아프로디테를 화나게 하였다. 신화에서 싸이키는 노여움을 사게 된
여신을 찾아 나선다.
아프로디테는 네 가지 숙제를 그녀에게 주었는데 그녀의
능력으로는 풀 수 없는 문제들이었다. 그러나 매번 뜻하지 않는
도움으로 싸이키는 성공할 수 있었다. 아프로디테는 과제를
줌으로써 변화의 동인으로 작용하였고 상처받기 쉬운 여신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인간 싸이키는 이를 통하여 성장하였다.
아프로디테는 또한 처녀 여신 아르테미스와 비교되었던 인간
아틀란타의 전설에서 역시 변화의 동인으로 작용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아틀란타는 경주에서 졌으나 아프로디테의 세 개의
황금 사과를 줍기로 결정함으로써 남편을 얻게 된다.
ll . 아프로디테 원형
아프로디테 원형은 여성의 사랑, 미,성욕, 관능의 즐거움을
관장한다. 연인의 영역은 많은 여성에게서 강력한 힘을 끌어낸다.
여성의 성격을 가진 강한. 힘으로서 아프로디테는 헤라와
데미테르와 마찬가지로 나머지 두 개의 강렬한 본능원형으로서
많은 것을 요구한다. 아프로디테는 여성으로 하여금 창조적인
기능과 생식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몰아친다.
1. 연인
자신을 사랑하는 이와 사랑에 빠지는 모든 여성은 그 순간
아프로디테 원형을 자신에게 내면화시킨 것이다. 평범한 인간에서
사랑의 여신으로 일시적으로 변화하여 그녀는 매력적이고
관능적이며 원형적인 연인이 된다.
아프로디테 원형이 가장 큰 여성은 쉽게 자주 사랑에 빠진다.
그녀는 무성영화 시대의 스타 클라라 보우 Clara Bow가 가졌던
성적 매력을 가지고 있다. 그녀는 자기만의 매력을 가지고 다른
사람들을 성에 눈뜨게 하는 관능의 장으로 끌어들인다. (전압)이
올라가고 둘은 서로 가까와지는 만큼 매력을 느끼고 흥분에 몸을
떨게 된다.
중세 기독교와 모슬렘 그리고 그외의 가부장제 문화에서처럼
여성의 관능과 성욕이 비하될 때 아프로디테 원형을 갖고 있는
여성은 창녀나 매춘부로 여겨졌다. 따라서 이 원형이 표현되면 그
여성은 도덕성의 기준으로 어려움에 처하게 된다. 아프로디테
여성은 추방을 당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청교도적인 뉴잉글랜드
지방을 무대로 한 나다니엘 호오손 NalhanieI Hawthone의 소설
주흥
글씨 TheScarletLette쓴에서 헤스터 프린은 그녀가 저지른 불륜
때문에 붉은 색으로 커다랗게 쓰인 A란 글자를 수놓은 옷을 입도록
강요당했다. 또한 여우 잉그리드 버그만은 이탈리아인 영화감독
로베르또 로셀리니와의 불륜관계와 연이은 결혼으로 대중의 비난을
받아 추방을 당하였다. 성서시대에 이러한 여성은 돌팔매질을
당하였으며 현대 이슬람교 나라에서는 아직까지도 죽음으로
그대가를 치른다.
2. 사랑에 빠지기
두 사람이 사랑에 빠지면 서로를 특별하게 또 (황금빛의
아프로디테를 보듯)대단하게 여기며 서로의 아름다움에 이끌리게
된다. 마력에 이끌려 서로를 찬탄하며 심취하게 된다. 상대방을
다른 사람에 비해서 특별하고 아름답게, 마치신처럼 여기게 된다.
그들 사이에 채워진 힘이 감정적으로 충전되며 관능적인(전기)가
방전되면서 결과적으로 상대방은 서로에게 자석처럼 이끌리게
된다. 그들 둘을 감싸고 있는 황금의 공간에는 감각적인 관능이
강화된다. 그들에게는 음악이 더 아름답게 들리며 향내가 더
분명해지고 연인의 감촉과 느낌이 강화된다.
만약 사랑에 빠진 사람이 상대편의 사랑을 얻지 못하게 되면
그녀는 잔인한 욕망과 이루어지지 못한 갈망에 사로잡힌다. 그녀는
끊임없이 사랑하는 사람에게 빨려들어 가며 계속해서 좌절하게
된다. 사랑이 답을 받았다면 그만큼 황홀했을 그 강도가 이제 그
대신 고통을 증폭시키는 것이다.
3. 아프로디테의 활성화
는아프로디테의 탄생 신화가 두 가지가 있는 것처럼, 이 원형이
살아나는 데에 두 가지 길이 있다.
첫번째 방법은 아프로디테가 갑자기 성숙하고 기막힌 모습으로
무의식의 바다에서 위풍당당하게 출현한 것처럼 극적으로 시작되는
것이다. 사랑하는 대상도 없이 갑자기 본능적인 반응으로 애욕을
느꼈다면 이는 상징적으로는 헤시오드가 묘사한 바다에서
아프로디테가 탄생하였다는 헤시오드 설화와 비슷하게 감정적인
친숙함과는 (동떨어진) 애욕이다.
심리치료 기간 중에 많은 여성이 기대 밖의 성적인 반응이 주는
압도될 듯한 느낌에 대하여 이야기하였다. "나는 내가 전혀 알지
못했던 욕망에 사로잡혔습니다. 황흘하면서도 두려운 느낌이었죠"
일단 아프로디테의 힘을 느끼게 되면 많은 젊은 여성은 자신이
성적인 접촉을 하고 싶어한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어떠한 일이
일어날 수 있는가를 알게 되어 접촉을 피하려는 여성들도 있다. 두
명의 여자 환자가 이 대조되는 반응의 예가 될 수 있다. 한 사람은
성욕을 더욱 추구하였다. "나는 단순히 데이트를 즐기는 척
했지만내가 진정으로 뭔했던 것은 성적인 부분이었어요." 다른
환자는 장벽을 치려고 했다. "나는 데이트 약속을 취소하고 공부에
매달렸어요. 그리고 여학교에 가겠다고 고집했어요. 나는 안전하게
결혼할 때까지 내 마음을 일종의 수도원에 가두어 놓으려고
했어요.결혼할 때까지는 유혹에 노출되지 않는 것이 나으리라
생각했지요." 이런 여성뜬 첫경험 후 일단 성의 맛을 알고
남성에게 성적으로 이끌리게 된다면 경험을 되풀이하고 싶은
강력한 욕망으로 깊은 남녀관계에 빠질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렇다면 그녀는 그 남자와 하나가 되기를, 그녀라는 개체가 서로
녹아드는 환회에 잠겨들 수 있는 쾌락의 절정에 이르도록 정열이
그녀를 성적 흥분의 도가니로 밀어넣어 주기를 바란다.
원형이 활성화되는 두번째 방법은 관계를 맺고 있는 도중에
일어닌다. 이는 호머가 묘사한 평범한 아프로디테의 탄생과 그 후
제우스와 바다 요정 디온의 딸로 성장하는 신화에 해당한다.
신뢰와 사랑이 점차 자라고 두려워하는 마음이 점차 사라지는 것은
아프로디테의 탄생을 점차 예고하고 드디어는 사랑을 나눌 때 첫
오르가즘을 느끼게 되면 육체적 접촉에 대한 새로운 욕망을 느끼게
된다. 결혼 전 두 명의 애인이 있었고 이 년 동안 결혼생활을 해온
유부녀가 처음으로 오르가즘을 느졌을 때 그녀는 이렇게 표현했다.
"그것은 마치 이제서야 내 육체가 성의 기교를 안 듯한
놀라움이었어요."
4. 생식 본능
아프로디테는 종족 보존의 본능을 나타낸다. 성욕과 정열에
관련된 원형으로서 아프로디테는 여성이 피임을 하지 않는 한
그녀를 생명을 담는 그릇으로 바꿀 수 있다.
데미테르의 영향을 받은 여성이 아이를 갖기 위해서 성교를 하는
것과는 달리 아프로디테의 영향을 받은 여성은 남성에 대한
갈망이나, 성적 혹은 낭만적인 경험을 하고 싶어하는 욕망의
결과로 아이를 갖게 된다. 아프로디테는 피임수단이 정열의 순간을
약화시키거나 성교의 첫 순간을 흐리게 하니까 이를 사용하지
말라고 속삭인다. 이 여신의 속삭임을 듣게 되면 원치 않는 임신을
하게 될 위험이 커진다.
생식 본능에 맞게 배란기에 아프로디테의 영향을 가장 잘 느끼는
여성이 있다. 배란기는 생리 14일 전의 기간으로 임신이 가능한
때이다. 이때가 그들이 가장 성적으로 민감하고 관능적인 꿈을
꾸는 때이며 성적 대상 없다면 성관계를 갖기를 가장 그리워하는
때이다.
5. 창조력
아프로디테는 엄청난 변화의 힘을 가지고 있다. 그녀를 통해서
매혹, 결합, 수태, 새 생명의 탄생이 흘러나온다. 이 과정이
순전히 남녀 사이의 육체적인 결합일 때 아기가 잉태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발생은 모든 창조적인 파정에서 똑같이
일어난다: 매혹, 결합, 잉태,그리고 새로운 탄생. 새 창조물은 두
개의 사상의 결합으로 마침내 새로운 이론이 탄생하는 것처럼
추상적인 것일 수도 있다.
창조적인 작업은 마치 연인과 함께 하는 것처럼 한 예술가가
새로운 존재를 탄생시키기 위하여 상대방과 상호작용하는 강렬하고
열정적인 몰두의 결과로 나타난다. 이 상대방은 그림, 무용,
음악,조각, 시, 소설, 새 이론, 혹은 새 발명품일 수도 있는데
어느 일정 기간 동안 이의 창조자들은 자신의 대상에 완전히
몰두하고 매혹되는 것이다. 창조력 또한 많은 사람에게는 육감적인
과정이다. 이는 접촉과 소리, 상상력, 움직임, 그리고 때로는
냄새와 맛을 지닌 육감적인 경험의 순간들인 것이다. 창조 활동에
열중한 예술가는 마치 연인처럼 때때로 자신의 감각이 고조되고
여러 지각 경로를 통해서 감흥을 받는다는 것을 느낀다. 그가
시각적인 영상, 말의 은율 혹은 율동을 창조하고 있을 때 복합적인
감흥이 서로 교감해서 새로운 것을 창조하도록 한다.
마치 연인으로서의 아프로디테가 단계적으로 많은 연애사건을
일으켰듯이 창조적인 힘으로서의 아프로디테는 하나의 집중적인
창작 활동이 끝나면 연달아 그 다음 일에 몰두되도록 한다. 하나의
프로젝트가 끝나면 또 다른 가능성이 나타나서 그녀를 사로잡는다.
창조적이면서도 낭만적인 아프로디테의 특성이 한 여성에게
동시에 나타날 때도 있다. 그러면 그녀는 깊은 남녀관계에
몰두하면서도 동시에 창조적인 일에 몰두하게 된다. 이런 여성은
마치 무용수 이사도라 던컨 1sadora Duncan과 작가 조르쥬 상드
George Sand처럼 자신을 매혹하는 파상과 사람을 무조건 추구하게
되며 파격적인 삶을 살게 된다.
6. 아프로디테를 살려내기
아프로디테는 관능적이거나 육감적인 경험에 가장 깊숙이
관여하고 있는 원형이다. 그러므로 예리한 지각이나 즉각적인
통찰력을 기르는 것은 아프로디테 원형을 부르는 것이다. 연인들은
자연스럽게 상대방의 취향, 체취, 그리고 아름다움에 맞추어진다.
음악과 촉감의 자극은 그들의 즐거움을 더해준다. 성 심리
치료사는 부부들로 하여금 목표에 연연해 하지 말고 순간순간의
감각을 즐기도록 지도한다.
죄의식과 단죄하는 태도가 사랑을 나누거나 예술품을 창조하는
기쁨에 장애요소가 된다. 이러한 장애요소는 사람들이 성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쾌락, 유희 그 밖에 다른 비생산적인 활동에 대해서
거부감을 느낄 때 생긴다. 많은 사람들은 사랑과 미의 추구를
기껏해야 부질없는 짓으로, 최악의 경우는 죄를 짓는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면 아르테미스와 아테나 원형은 아프로디테처럼
순간 순간의 즐거움을 추구하는 것을 가치 없는 것으로 단정해
놓고 오로지 목표를 추구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그리고
아프로디테는 헤라와 데미테르 원형이 우선순위를 두는
일부일처제와 어머니 역할에 위협이 된다. 따라서 이들은
아프로디테에 대하여 종종 비판적인 태도를 취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페르세포네가 헤스티아 원형 속으로 숨어버리게 되면
이런 여성들은 외부의 유혹에 대해서 더욱 무감각해지게 된다.
여성들이 아프로디테의 가치를 깨닫고 이를 개발시키려고 하면
우선 그들은 이 원형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상당한 심리적 변화를
겪게 된다. 그리고 그들은 아프로디테가 활성화되도록 시간과
기회를 마련해야 된다. 부부는 아이들없이 휴가를 가지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편안한 마음으로 즐기고 대화를 나누고 사랑을
나눌 장소가 필요하다. 또는 여성은 맛사지를 주고받는 법을 배울
필요가 있다. 아니면 그녀는 자신의 육체를 편안히 받아들이고
즐길 수 있는수단으로 배꼽춤을 배워도 좋다. 자신의 육체를
받아들이는 것이야말로 육체적인 사랑의 기쁨을 맛보는 데 선행
조건이 된다.
미술, 시, 무용, 음악 등에 대한 관심을 개발하는 것도 심미적인
면에서 이와 유사한 역할을 한다. 시각적, 청각적, 혹은 근육운동,
지각적인 경험에 완전히 빠져들 수 있는 능력을 개발시킬 수 있다.
일단 몰두하게 되면 그 사람과 심미안적인 매개 사이에 교감이
일어나며 그로부터 뭔가 새로운 것이 나타나게 된다.
lll. 아프로디테 여성
아프로디테가 아름다운 몸매와 황금◎ 머리카락을 가지고
알몸으로 바다에서부터 나타난 이래로 여우 진 할로우 Jean
Marlow, 라나 터너 Lana Turner, 마릴린 먼로 Marilyn Monroe 같은
섹시한 여성들은 사랑의 여신으로 간주되었다. 때때로 이런 여신
유형은그 모습이나 금머리칼 등 모든 면에서 같기도 하지만 보다
일반적으로 아프로디테 여성은 단지 외모보다는 성적 매력 때문에
잘 알려져 있다. 아프로디테 원형은 자석이나 전기처럼 개인적인
카리스마를지니고 이것이 육체적인 아름다움과 결부되어서 특정
여성을 아프로디테로 만든다.
아프로디테가 평범한 여성의 중요한 부분일 때 이 여성은 방
건너에 있는 남성을 끌어들이지는 못한다. 그러나 그녀에게 가까이
다가간 이들이라면 매력적이고 애교 있는 그녀를 발견한다.
아프로디테 자질을 지닌 많은 평범한 여성들이 그들이 지닌 사람
마음을 끄는 따뜻함과 자연스럽고 자신도 모르는 관능미로 다른
사람들을 매혹시킨다. 이들 (평범한 제인)들은 항상 주위에
남자들이 있는 듯하며, 그녀들보다 능력도 뛰어나고 객관적으로
보아도 더 아름다운 자매들은 전화 옆에 앉아서, 혹은 춤 신청을
받지 못하고 앉아서 "내가 갖고 있지 못하고 그녀가 갖고 있는
것은 무엇일까"하고 곤흑스러워 한다.
1. 어린 시절의 아프로디테
어린 시절의 아프로디테는 순진무구하고 시시덕거리기 잘하는
아이다. 그녀는 남자에게 반응하는 법을 알고 있거나 관심을
보이고 무의식적인 관능미를 갖고 있어서 어른들이 이령게 말하곤
한다. "그녀가 크면 봐, 남자께나 울릴 거야." 그녀는 주목받기를
좋아하고 예쁜 옷을 입고 딴 사람들이 자신을 떠들썩하게 환대해
주는 것을 좋아한다. 그녀는 수줍음을 잘 타지 않으며 그때부터
이미 관중을 매혹하는 즉흥적인 공연과 다른 주위를 끄는 행동들로
(작은 배우)라고 불리운다.
여덟살이나 아흡살이 되면 보통 아프로디테 소녀들은 성급하게
어른 흉내를 내고 몸치장을 하고 화장을 해보려고 한다. 그녀들은
또래의 남자애에게 흘딱 반하거나 매력적인 남자 가수나 록그룹의
광적인 십대팬이 되기도 한다. 어떤어린 아프로디테들은 (꼬마
요정)이 되어 자신들의 성적 매력을 조숙하게 깨닫고 나이 많은
남자들에게 장난기 어린 불장난을 하면서 신이 지닌 매력과 힘을
즐기면서 좋아한다.
2. 아프로디테의 부모
어떤 부모들은 자신의 예쁜 딸을 작은 아프로디테로 키운다.
이런 부모들은 딸의 매력을 강조하고 어른에게 뽀뽀하도록 하며
어린이 미인대회에 참가시키고 일반적으로 다른 모든 자질이나
능력은 젖혀놓고 딸의 여성적인 매력에만 주목한다.
그러나 딸이 사춘기가 되어 성에 눈뜨게 되면 부모는 전혀
다른반응을 보인다. 보통 파괴적인 행동이 나타났다. 부모는
처음에 딸이 성에 눈뜨도록 부추켜 놓고 이제 와서는 벌을 주려
한다. 이런 상황은 부모로 하여금 엿보는 취미를 가진 사람인
동시에 도덕군자가 되게 한다.
아버지들은 아프로디테 딸들의 점점 커가는 성적 관심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반응한다. 많은 경우 아버지는 딸이 점점
매력적으로 되어가는 것에 대하여 무심코 또는 무의식적으로 둘
사이의 감정적이고 육체적인 거리감을 만드는 귀찮고도 소란스런
갈등을 드러낸다. 딸들은 종종 이러한 소동에 동조하는 듯한데
이것이 양쪽으로 하여금 근친상간의 감정을 갖고 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도록 해준다. 어떤 아버지는 눈에 띄게 엄격해져
딸들이 데이트를 전혀 하지 못하게 하거나 아니면 간섭하고
통제하려 든다. 딸의 데이트를 일일이 감시하고 전화를 걸어오는
모든 남자 친구들을 호되게 야단친다. 그런가 하면 또 딸을
유혹하는 아버지들도 있다.
어머니들 또한 아프로디테 딸들에 대하여 다양한 반응을 보인다.
어떤 어머니는 엄격해지고 딸의 행동을 통제한다. 심지어는 딸이
그 또래 친구들이 흔히 하는 정도의 것을 하고 있을 때조차도
십대의 음악이나 옷 입는 스타일에 대하여 과민 반응을 보인다.
이런 어머니들은 자신들의 옷 입는 방식을 강요하는데 이는 보통
온몸을 다 감추고 덜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는 옷차림이며 많은
활동을 금하는 것이다. 그들은 딸의 남녀 친구 모두를 가로막거나
아니면 불쌍하게도 자신의 딸이나 아들을 (잠재적인 섹스광)처럼
취급한다.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어머니들도 아프로디테 딸들에
대해서 가둬 두려는 심리 상태를 갖게 될 수 있다.
참견하는 것은 아버지보다는 아프로디테 어머니에게 더 흔한
현상이다. 매력적인 딸을 지켜보려는 동기 말고도 어7l니는 딸을
통해서 자신의 삶을 살기 때문에 딸이 데이트를 어떻게 했는지
자세히 듣고싶어 한다. 이러한 엄마를 즐겁게 하기 위해서 딸은
소년들에게 인기가 있을 필요가 있다.
어떤 어머니는 딸이 아프로디테로 커가는 것에 대해 경쟁적으로
반응한다. 딸이 지닌 매력에 위협을 느끼고 그녀의 젊음에
질투하는 어머니는 딸을 과소평가하려 하며 기죽이는 비교를 하고
딸의 남자 친구들과 시시덕거리면서 여러가지 방법으로 딸이 점점
성숙해져 가는 것을 해꼬지한다. 동화 속에서 백설공의 계모는
계속 "거울아 거울아 누가 이 세상에서 제일 아름답니?" 하고
물었다. 이러한 동화 속의 인물이 바로 위협당하고 따라서
적대적이 된 경쟁적인 엄마를 대표한다.
가장 도움이 되는 부모는 아프로디테 특성을 강조하지도
과소평가하지도 않고 딸을 예쁜 물건처럼 취급하지도 않는다. 양
부모는 딸의 다른 장점들 예를 들자면 지능, 친절함,혹은 재능을
평가하는 것과 똑같은 방식으로 딸의 매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해
준다. 데이트를 하게 되었을 때 이런 부모들은 딸의 나이와
성숙도에 걸맞게 지도를 하는 동시에 한계를 그어준다. 남성들에게
매력이 있다는 것은 책망의 대상이 아니라 깨달을 필요가 있는
사실로 취급될 뿐이다.
3. 사춘기와 청년기
아프로디테 여성에게 있어서 사춘기와 청년기는 중요한
시간이다. 그녀는 내면에 있는 아프로디테적 욕망과 다른 사람이
보이는 반응 사이에 끼어 있기 십상이다. 이중 가치관 속에서 성에
관심이 팔린 젊은이처럼, 성 경험에 대해 강한 욕구를 갖고 있는
여고생은 그 결과를 고려하고 행동해야 한다. 만약 그녀가
욕망대로 행동한다면 추문, 퇴색된 자존심, 그리고 부정적인
자아상이 뒤따를 것이다. 그리고 모범생들은 그녀를 피하고 성
관계를 맺고 싶어하는 젊은이들이 그녀 주위를 배회하겠지만
그들도 그녀를 지속적으로 사귀거나 졸업 파티의 상대자로
생각하지는 않는다.
통제되지 못한 아프로디테 원형은 또 다른 문제들을 일으킨다.
원치 않는 임신이 그 예다. 그리고 활성화된 아프로디테는 성병에
옮을 위험이 있다. 그리고 심한 투약은 나중에 암을 유발할
가능성을 높인다.
내면에 강한 아프로디테를 지니고 있는 젊은 여성에게 이찰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를 가르쳐 주는 도움은 별로 주어지지
않는다. 대다수는 심각한 결과를 가져오는 성적 표현을 드러내는
것을 선택한다. 어떤 이들은 자신들의 성욕을 억누르는데 그들은
주로 강력한 종교적 압박감을 느끼는 이들로 못된 감정을 품고
있는 자신을 비난하면서 어찌되었든 죄책감을 느끼긴 하지만
말이다. 다른여성들은 지속적인 관계 속에서 성욕을 표현하는데 이
선택은 그녀 내부에 헤라가 강할 때는 잘 되어가지만, 결국은
조흔의 결과를 낳기 쉽다.
만약 아테나와 아프로디테를 둘 다 지니고 있는 젊은 여성이라면
그녀는 절제와 성욕을 적절히 사용하여 자신을 보호한다. 한
여성은 말하기를 "나는 내가 쉽게 사랑에 빠지고 성관계를 갖고
싶어하는 욕망이 있다는 것을 알았을 때 사랑에 빠지는 것을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았어요. 나는 어떤 남자와 관계를 갖든
피임 수단을 신중히 사용했으며 이 모든 일을 비밀로 했어요."
아프로더테 여성이 대학에 가게 된다면 사교 생활이 그녀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될 것이다. 그녀는 학구적인 면보다는
사회활동으로 유명한 대학을 선택한다.
그녀는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야 할 학문적인 성취나 직업에는
별로 관심을 갖지 않는다. 전문인이 되려는 그녀의 관심은 이를
이루기 위하여 거쳐야 할 길고 고된 준비기간을 생각할 때
수그러들고 만다. 그녀는 그 주제에 매혹되었을 경우에만 그 일에
몰두할 수 있는데 이는 주로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포함한
창조적인 분야일 경우가 많다. 예를 들자면 그녀는 연극을
전공하는 이로서 이 역할 저 역할을 해보게 된다. 그때마다 그녀는
자신의 역할에 빠져들어서 그녀 내부의 정열을 두드리게 되고
따라서 학교에서 가장 뛰어난 연극전공 학생이 되기도 한다.
4. 직업
아프로디테 여성을 감성적으로 끌어들이지 못하는 직업은 그녀의
홍미를 끌지 못한다. 다양성과 강렬함을 좋아하므로, 집안일이나
사무직 혹은 실험실의 작업처럼 반복적인 일은 그녀를 지루하게
한다. 오직 그녀가 완전히 창조적인 일에 몰두되었을 때에라야 그
일을 훌릉하게 해낼 것이다. 따라서 그려는 미술, 음악, 문학,
무용 , 연극 아니면 선생이나 임상심리학자, 편집자와 같이 특별히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직업들을 택한다. 결국 그녀는 자신의 일을
싫어해서그렇고 그런 직장을 갖고 있거나, 아니면 완전히 자신의
일을 사랑해서 모든시간과 정열을 쏟는다. 그녀는 대부분의 경우
보수는 많으나 덜 매력적인 직업보다는 자신에게 흥미 있는 직업을
선호한다. 그녀는 자신의 일에 매혹된 결과 성공을 쟁취하기도
하나 아테나나 아르테미스처럼 성공하기 위해서 일에 착수하지는
않는다.
5. 남성들과의 관계
아프로디테 여성은 자신에게 반드시 좋지만은 않은 남자들에게
이끌린다. 다른 여신 원형들이 영향력을 갖지 않는 한 이들의 남성
선택은 아프로디테 여신의 선택과 유사하다. 즉, 헤파이스투스,
아레스, 그리고 헤르메스처럼 창조적이고 복잡하고 분위기를
타거나 감정적인 남자를 선택한다. 이런 남성들은 높은 자리나
권위 있는 지위를 추구하지 않고 가장이 되거나 남편, 아버지가
되기를 원치 않는다.
내향적이고 집요한 혜파이스투스형은 억압된 분노를 가지고 이를
창조적인 일로 승화한다. 대장간의 신과 마찬가지로 그는 예술가인
동시에 감정적인 절름발이일 수도 있다. 부모와의 관계는
헤파이스투스처럼 나쁜 것일 수 있다. 그 역시 어머니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을 때에 어머니로부터 거부를 받았고 아버지와의
관계도 끊어진 상태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그는 여성과 애증의
관계를 가지는데 그 여성이 그에게 있어서는 매우 중요하면서도
동시에 믿지 못할 사람일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는 남성들과
친밀함을 느끼지 못하는데 그에게는 다른 남성들이 낯설게
느껴지며 그들보다 자신이 열등하다고 생각한다.
때때로 너무 내성적인 헤파이스투스형의 남성은 대인관계가
원만하지 못하여 잡담도 하기 어렵다. 따라서 다른 사람들은 그의
친구로 오래 남아 있지 못한다. 아프로디테 여성은 그 예외일 수
있다. 자신이 만나는 사람에게 전적으로 집중할 수 있는 그녀의
능력 덕분에 그녀는 그의 관심을 끌고 그가 매력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한다.
그녀에게 매력을 느끼고 매료당한 헤파이스투스 남성은 그의
성격대로 집요하게 반응하는데 그들 사이의 정열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그녀는 그의 강렬한 감정에 이끌려 그의 감정의
불꽃에 반응하는데 이는 다른 여성이 끼어들 여지를 주지 않는다.
그녀는 그의 깊은 에로틱한 특성을 감싸게 되는데 이러한 그의
특성은 내내 잠복해 있다가 분노와 함께 그의 작업으로 승화하게
된다. 그녀가 그의 정열을 일깨울 때 이 두 연인은 그의 감정이
솟아오름에 놀라게
된다. 만약 그가 장인이거나 예술가라면 그녀는 그가 만드는
아름다운 작품에 매혹되며 이것이 또한 그의 창조성에 영감을 주게
된다.
헤파이스투스와 사랑을 하는 것의 문제점들은 그가 숨기고 있는
감정의 종류에 따라 또 그의 심리적인 건강상태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다. 극단의 경우, 그는 휴화산-잠재적인 편집광일 수
있는데 그가 너무나 독자적이고 독재적이기 때문에 자신의 업적을
인정받지 못하는 고립주의자일 수도 있다. 게다가 아프로디테
여성이 다른 사람에게 매력을 주거나 느낀다면 그의 내면에 있는
분노, 열등감, 상실에 두려움이 불붙을 수 있다. 그가 진정으로
헤파이스투스와 같다면 그는 자신의 질투를 자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 헤파이스투스 남성 옆에 산다는 것은 마치
갇힌 화산 옆에서 언제 화산이 폭발하여 하늘높이 화산재가
날아오를까를 두려워하면서 사는 것과 마찬가지일 것이다.
매우 잘 지낼 수 있는 헤파이스투스와 아프로디테의 결합도
있다. 이 경우 헤파이스투스 남성은 내성적이고 창조적인 남성으로
주로 분노보다는 성격적으로 강렬하고 농도 깊은 다양한 종류의
감정을 느긴다. 그는 이러한 감정들을 그의 작업을 통해서 그리고
몇몇 중요한 인간관계에서 표현한다. 그는 그녀를 깊이 정열적으로
사랑하나 소유하려고 들지 않는다. 그의 강렬함이 그녀를
감정적으로 사로잡고 그의 성실함이 그녀가 필요로 하는 안정감을
그녀에게 부여한다.
아프로디테 여성에게 쉽게 이끌리는 또 다른 남성형은 헤라와
제우스의 아들이자 전쟁신인 아레스처럼 경박한 남성이다. 이런
타입 남성의 실제 인생 역사는 신화에 나오는 아레스의 가족관계와
상당히 비슷하다. 그는 아버지가 그들을 버리고 떠난 후 혹독한
어머니 밑에서 자라게 된다. 그는 감정적이고 정열적이며 뽐내는
남성으로 남성 우월주의 태도를 지닌다. 역할 모델을 제시하고
훈육을 시켜줄 진짜 아버지가 없는 상태에서 엄마와만 함께
자라왔기 때문에 그는 참을성이 없고 좌절을 잘 견뎌내지 못한다.
그는 책임 맡기를 좋아하나 어려운 상황에서 허등대기 때문에 좋은
지도자가 되기 어렵다.
아프로디테-아레스 결합은 화염물질을 섞어 놓은 것과 같다. 둘
다 즉흥적인 경향을 공유하고 있다. 둘 다 심각하게
생각하기보다는 감각적으로 간응한다. 그들은 지금 해치우고
나중에 생각하는 성격의 사람들인다. 그들이 함께 있을 때에는
항상 에로틱한 감정의 불꽃이 튀거나 아니면 감정이 첨예하게
대립한다. 따라서 그플은 사랑을 나누거나 아니면 전쟁 중에 있다.
이 결합은 잘 싸우고 즉시 화해하는 연인들의 다툼을 만들어 낸다.
아프로디테와 아레스는 지속적인 관계를 갖기에 적합한 대상들이
아니다. 감정적으로 불타오르는 것 말고도 그의 으쓱거리는 남성
우월주의는 종종 심각한 경제적인 상황을 낳게 한다. 그는
전략적으로 사고하거나 절약할 능력이 없다. 순간적인 기분으로
자신의 직업을 잃어버릴 말이나 행동을 한다. 게다가 만약 여성이
정숙하지 못한 아프로디테의 성향이나 아니면 적어도 시시딕거리기
좋아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면 그녀는 그의 남성 우월주의를
위협하게 피고 그의 소유욕을 자극하게 된다. 그러면 그는
난폭해지는데 그가 한번 폭발하는 날이면 폭력과 공포를 자아내게
된다.
그러나 이 모든 위험한 불장난에도 불구하고 참을성 있고
조화로운 관계를 맺어갈 가능성이 있는 아프로디테-아레스 커플도
있다. 이 경우 남성은 충동적이고 매우 감정적이고 호전적인
성격을 갖고 있으나 비교적 바람직한 가족상황에서 자랐기 때문에
적대적이지는 않다. 그리고 여성은 강한 헤라 원형을 지니고
있어서 그와 지속적인 관계를 발전시킬 수가 있다.
영원한 젊은이처럼 행동하는 남성은, 창조적인 잠재력을
지니면서도, 유치하고, 복잡하고, 주관적으로 집중하는 남성을
좋아하는 성향이 있는 아프로디테 여성들에게 매력적이다. 그들은
올림푸스 신들 중 가장 젊은, 사자신인 혜르메스를 닮았다. 그녀는
그의 말재주 특히 그것이 시적일 때는 근사하다고 생각하고 그가
금방 감정적이거나 사교적인 상하이동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지녔음에 매혹된다. 헤르메스 유형은 좀 느린 사람을 능처먹기를
좋아하는 책략가, 아니면 약간은 사기꾼 같은 사람일 수도 있다.
그는 잠재력이 풍부하며 비록 훈련되지 않고 카리스마적이고
일이나 여성에 대하여 성실하지 못하긴 하지만 아주 재능이 있다.
전형적으로 그는 그녀의 일생에 나타났다 사라졌다 한다. 그를
어디 안주시키려는 것은 마치 수은을 붙잡으려고 하는 것과 같다.
그는 항상 불확실하게 이야기하며 같이 살거나 결흔을 할 것처럼
거짓행세를 한다. 그러나 그녀는 결코 그의 말을 믿지 않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그는 결코 말대로 실행할 리가 없기 때문이다.
그와의 성관계는 예측할 수 없고 큰 대가를 치른다. 그는 결코
자라지 않는 장난기 있는 피터핀처럼 매력적이고 민감한 연인이다.
아프로디테-헤르메스 결합은 어떤 아프로디테 여성에게는 매우
잘 맞는데 이 둘은 다 즉흥적인 성향을 지니고 성실하지 못하다.
그러나 아프로디테와 헤라 원형이 둘 다 강한 여성이라면 이
결합은 그녀에게 복우 고통스러운 것이된다. 이런 여성은 그에게
깊은 정을 주게 되며 질투로 괴로워하게 된다. 그들사이의 성욕은
강렬하다. 그녀는 일부일처제의 사고방식을 가지고 결혼하기를
원하나 그가 왔다가 갈 수 있도록 모든 것을 알아서 처리해
주어야만 한다.
그러나 성숙한 헤르메스 남성은 일과 부부관계를 성실하게
지속시킬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그는 헤스티아 여성과
결혼할 수도 있다.) 그는 손에 잘 잡히지 않는 영원한
젊은이라기보다는 사업가나 전달자이다. 만약 그렇다면
아프로디테와 헤르메스 결합은 아주 좋은 것일 수 있다. 그들의
관계는 서로가 다른 사람과 시시덕거리거나 심지어는 불륜의
관계를 맺는다고 해도 지속될 수 있는데 이는 두 사람 다
질투하거나 소유욕이 강한 사람이 아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그들이 서로를 친구로 여기고 상대방의 스타일을 즐기기 때문에
관계는 더욱 굳건하다. 그녀는 그의 활발한 사회활동에 잘 맞추어
가는데 이것이 그녀 자신의 활동 스타일과 잘 맞는다. 그들은
서로에게 강렬하게 이끌렸다가도 그 다음 순간에는 독립적이
되는데 이것이 그들 둘 다에게 잘 맞는다.
6. 결혼
만약 아프로디테가 헤라를 포함한 몇 개의 강한 원형 중의
하나라면 아프로디테 원형은 관능과 정열로 결혼생활을 강화하고
생동감 있게 한다. 그러나 지속적인 일부일처제는 아프로디테
여성에게는 어려운 일이다. 다른 원형들이 아프로디테를 결혼 속에
포함시키는 데 영향력을 발휘하지 않는 한 아니면 특별히 잘 맞는
배우자를 만나지 않는 한 그녀는 일련의 관계를 맺게 된다. 예를
들자면 여우 엘리자베스 테일러는 현대판 아프로디테의 이미지를
갖고 있는데 그녀는 여러 번 결혼을 했다.
7.다른 여성과의 관계: 신뢰받지 못하는 숙녀
아프로디테 여성은 다른 여성들로부터 특히 헤라 여성들로부터
신뢰를 받지 못한다. 그녀가 남자에 대해서 가지는 위력에 대하여
의식을 안하면 안할수록 혹은 책임을 느끼지 않으면 않을수록
그녀는 더욱더 분열된다. 예를 들어 그녀가 파티에 가서 가장
근사한 남자와 강도 높고 낭만적인 대화를 나눈다고 치자. 그들이
서로 눈이 맞아 불꽃을 튀기고 남자가 그녀에게 점점 더 애정어린
반응을 보이게 되면 많은 여성들의 마음에는 질투와 부적합함
그리고 상실감이 솟아오르게 된다.
다른 여성들이 (특히 질투하거나 원한을 품은 헤라가)
그녀에게분노하면 아프로디테 여성은 가끔 충격을 받는다. 그녀는
다른 여성에 대해서 나쁜 마음을 품는 경우가 거의 없고
소유적이거나 질투를 하지 않기 때문에 그녀를 향한 적대감의
원인을 헤아리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아프로디테 여성에게는 여자 친구들-헤라 여성은 제외하고-과
그녀의 자발성과 매력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들 중
대다수는 그녀와 마찬가지로 아프로디테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
다른 여성들은 그녀와 동행하거나 아니면 그녀의 낭만적인
모험들을 대리 경험하면서 그녀의 수행원 역할을 하는 듯하다.
그러나 그녀의 우정은 친구들과 함께 잔 계획을 별 생각없이 다를
경우, 친구들이 그녀에 대해 인신 공격을 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만
지속된다.
동성연애자 아프로디테 여성은 이성연애자에 비해서 오직 그녀의
성적 선호도만이 다를 뿐이다. 그녀 역시 아프로디테 의식으로
관계에 임하며 자신이 만들어낸 연금술에 반응한다. 그녀는 관계에
푹 빠져버리고 사랑에 자주 빠지며 결과적으로 일련의 중요한
관계들을 맺게 된다. 인생에서 맛볼 수 있는 모든경험을 하기를
원하므로 그녀는 종종 남녀 모두와 성관계를 가진다. 남성이
기대하는 바대로 살아야 할 필요에 구속받지 않는 동성연애자
아프로디테는 아마도 그녀의 이성연애 상대자 이상으로
아프로디테의 연인을 골라 선택할 수 있는 특권을 행사한다.
동성연애자 사회가 제공하는 대안적인 생활방식은 인습에
얽매이지 않는 그녀의 인생철학과 잘 들어맞는다. 러스 포크 Ruth
Falk가 그녀의 책 <사랑하는
여인들 Women Lovie>서 제시했듯이 동성연애자 여성들은 때때로
다른 여성과의 관계를 통해서 자신들의 내부에 존재하는
아프로디테를 발견한다. 작가는 다른 여성의 아름다움을 보띤서
자신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다른 여성과 접촉하면서 자신이
접촉당하는 것처럼 느끼는 것에 대하여 묘사하였다. 그녀에 의하면
각각의 여성들은 상대방을 거울처럼 비춰주면서 자신의 여성적인
관능미를 발견하도록 해주는 것이다.
8. 자식과의 관계
아프로디테 여성은 자식들을 좋아하고 자식들도 그녀즐
사랑한다. 어린이는 어머니가 자신을 비판적이지 않고 사랑스런
눈으로 봐준다는 것을 감지한다. 그녀는 아이가 자신이 아름답다고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느낄 수 있게 해준다. 때때로 그녀는 아이가
특별하다고 느끼게 해줌으로써 자식이 자신감을 갖고 능력과
재능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녀는 자식과 함께 놀이를
즐길 수 있고, 아주 쉽게 믿음을 갖도록 할 수 있다. 그녀는
자식들이 바르게 행동하도록 하고 무엇이든지 그녀의 관심을 끄는
것에 대하여 애정어린 열정을 보임으로써 자식들을 격려한다.
이것은 어머니로서 아주 훌륭한 자질들이다. 아프로디테 여성의
자식들은 그녀가 데미테르 특성을 함께 지니고 있다면 그들의 개성
을 잘 살리고 키울 수 있다.
아프로디테 어머니는 자신을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자식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지만 만약 데미테르 원형을 결여하고 있다면
자식들의 심리적인 안정감과 지속정의 필요를 무시하고, 행동의
지속성이 없으며 이것이 자식들에게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그녀의 자식들은 한 순간 그녀의 전적인 관심을 받으면서
매우 기뻐했다가 다음 순간 그녀의 관심이 딴 데로 가버리면 매우
쓸쓸해 한다. 내 환자 중 한 사람은 아프로디테 어머니를 두었는데
그녀의 어머니는 오랜 기간 동안 그녀를 가정부와 함께 내버려
두곤 했다. 그녀는 밖에 나갔다가 집으로 돌아을 때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었는데 이에 대해 그녀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엄마는 집
밖으로 뛰어나와서 팔을 한껏 벌리고는 나를 받아 주었어요. 나는
이 세상에서 내 자신이 가장 소중한 사람처럼 느껴졌습니다."
그녀의 어머니는 (그녀에게 햇살을 가져다)준 것이다. 어머니가
집에 없어서 화를 냈거나 심지어 엄마가 돌아왔다는 소식을
심술궂게 접수한 것까지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일단
그녀가 어머니의 카리스마적인 아프로디테에 몸을 녹이기만 하면
모든 것은 용서되는 것이었다. 그녀는 자신의 능력에 회의하면서
성장했는데 이는 약간 예외적이다. 자신이 쓸모없다는 느낌과
우울증의 감정을 극복해야만 했다. 이러한 감정들은 엄마가 없었을
때 그녀가 지녔 감정들이 었다.
아프로디테 어머니가 지속적이지는 못하나 강렬한 관심을
아들에게 쏟을 때는 그 아들의 장래 여성과의 관계 그리고 그의
자존심과 우울증의 잠재성에 향을 미친다. 그녀는 그들 사이를
특별히 친근하게 만들고 아들이 지닌 남성 싹을 유혹하여 그를
그녀에게 이끌어 당겨놓고는 그녀의 관심을 딴 데로 돌려버린다.
그녀의 애정을 위한 경쟁, 때때로 새로운 남자 혹은 다른 매혹적인
이 그녀를 멀리 데려가 버리면 아들은 부당하고 유린되고
무능력하다는 느낌분노 때로는 수치심을 느끼게 된다. 아들은
개인적인 경쟁심을 느끼는데 어머니 일생에 나타나는 남자들과
계속해서 지는 경쟁으로 대부분의 딸들은 이런 느낌을 가질 필요가
없는 것이다. 어른이 되었을 때 그는 엄마에게서 느꼈던 강렬하고
특별한 관계를 갈구하게 되는데 이번에는 그가 주도권을 잡으려고
한 어릴적 어머니와의 경험에 기초하여 그는 여성의 정절을 믿지
못하고 그녀 애정을 지키지 못할 것으로 느낀다.
9. 중년
육체적인 매력이 아프로디테 여성의 인생에 기쁨을 주는 주요
근원이었다면 어쩔 수 없이 나이를 먹게 된다는 것은 그녀에게
있어서 끔찍한 현실이 된다. 일단 그녀가 자신의 미가 퇴색해
간다는 것을 자각하거나 걱정하게 되면 관심이 딴 데로 옮겨져
그녀가 상대방에게 완전히 몰두하기 어렵게 된다. 그녀는 육체적인
미보다도 아프로디테 특성이 사람들을 이끌어들이게 하는
매력이었다는 것을 모를 수 있다.
중년의 아프로디테 여성은 자신의 배우자 선택에 대해 불행해할
수도 있다. 그녀는 자신이 얼마나 자주 인습에 얽매이지 않고
부적합한 남자들에게 이끌렸었는가를 상기하게 된다. 이제 그녀는
안주하고 싶어하는데 이전의 그녀는 이 가능성을 일축해 버렸었다.
그러나 창조적인 일에 관여하고 있는 아프로디테 여성에게
있어서 중년은 그렇게 어렵지 않다. 이런 여성들은 자신의 정열을
아직 보유하고서 흥미 있는 창조 작업에 몰두한다. 이제 그들은
영감을 불어낼 더 많은 경험을 쌓고 더욱세련된 기술로 자신을
표현한다.
10. 아프로디테의 노년
어떤 아프로디테 여성들은 그들이 내면의 아름다움을 레뚫어보고
주목하는 대상을 상대로 항상 사랑에 빠질 수 있다. 그들은
우아하면서도 생명력을 지닌 채 늙어간다. 사람들에 대한 관심이나
창조적인 작업에 관여하는 것이 그들 인생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남아 있는다. 그들은 젊은이와 같은 태도를 지니고
의식하지 않은 채로 경험에서 경험으로 사람에서1사람으로 자신이
매혹되는 대상을 향해 옮겨 간다. 마음 속에 젊음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매력적이고 여러 연령충의 친구를
가진다. 예를 들자면 이모진커닝햄 ImogenenninBham은 구십대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흘륭한 사진작가로서 필름에 아름다움을 담는
작업을 계속했으며 그 결과 다른 사람들이 그녀의 모습을 사진에
담도록 하였던 것이다.
아프로디테를 강력한 원형으로 지니기는 쉽지 않다.
아프로디테의 본능적인 성욕을 따르는 여성은 한편으로는 성관계를
갖고 싶어하는 자신의 욕망과 다른사람에게 사랑의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성향에, 또 다른 한편으로는 만약 그녀가 본능에
따라 행동한다면 그녀를 난잡하게 보는 문화와 만약 그녀가 그렇게
하지 않더라도 주변에서 지분거리는 두 측면 사이에 처하게 된다.
1. 아프로디테와 동일시하기
아프로디테와 가장 비슷한 여성은 인생에 대한 관능적인 욕구와
화끈한 성격을 지닌 외향적인 여성이다. 그녀는 남성을 좋아하고
그녀의 매력으로 그들을 이끌어들이며 그들에게 관심을 보인다.
그녀의 매력은 관능적이다. 그녀는 그 남자로 하여금 자신이
특별하고 관능적이라고 느끼게끔 만든다. 이러한 관심은 그에게
상호적인 반응을 일으키게 하고 그들 사이에 에로틱한 매력을
발산시키며 이것이 성관계를 갖고 싶어하는 욕망으로 이끌어 간다.
만약 그녀가 자신을 아프로디테와 동일시한다면 그녀는 결과를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욕망에 따라 행동한다. 그러나 그 결과는
사회적인 단죄이거나 일련의 그늘진 관계이거나 그려와 성관계만을
원하는 남성에게 착취를 당하거나 그렇기 때문에 자존심에 상처를
입을 수 있는 것들이다. 그녀는 어떤 경우에는 아프로디테를
억누르고 다른 경우에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를 배울 필요가
있다. 즉 현명하게 언제 누구와 관계할 것인가를 선택하고
본능에만 쫓겨서 파괴적인 결과를 낳지 않도록 하는 법을 배울
필요가 있다.
그녀의 다정하고 관심 있는 태도는 또한 남자들로 하여금 그녀가
특별히 그에게 관심이 있거나 성적으로 이끌렸다고 잘못
판단하게끔 율들 수 있다. 그러면 그녀가 그들을 거부했을 때
그녀는 남자들의 가슴에 상처를 입히거나 남자를 놀리는 여자로
생각되고 남자를 유혹했다는 비난을 받게 된다. 이런 남자들은
자신들이 놀림을 받았다고 생각하고 적대적이 되거나 분노를
터뜨리게 된다. 원치 않는 심취와 분노에 찬 거부의 대상으로서
아프로디테 여성은 상처받고 분노하게 되며 도대체 왜 자신이
그러한 대접을 받아야 하는지 당황하게 된다. 아프로디테 여성이
반복되는 이러한 오해에 대하여 지각하게 되면 그녀는 원치않는
남성의 열정을 꺽을 수 있는 법을 배을 수도 있고 보다 사무적인
태도를 취함으로써 자신에게는 전혀 그럴 의사가 없다는 것을
상대편 남자에게 암시 할 수 있다.
2. 아프로디테를 부정하기
아프로디테 여성이 여성의 성적 호기심에 대해 부정적인 분위기
속에서 자란다면 남성에 대한 관심을 억누르고 자신의 매력을
무시하혀 성적인 호기심을 갖는 자신을 잘못되었다고 생각하게
된다. 그러나 아프로디테 특성을 표현하려는 본능을 억누름으로써
생기는 죄의식과 갈등이 그녀로 하여금 우울하고 초조하게 만든다.
만약 그녀가 훌륭하게 자신을 통제하여 자신의 성욕과 관능을 의식
속에서 찢어내 버릴 수 있다면 그녀는 자신의 진정한 자아의
일부를 잃어버리게 되고 따라서 자신의 생동감과 자발성을
꼴어버리게 된다.
3. 기분 내키는 대로 사는 것은 왜 위험한가?
아프로디테 여성은 인생이란 감각적인 경험 이외에는 아무것도
아니라는 듯이 즉흥적으로 살아간다. 이런 여성은 순간에만
몰두하여서 자신의 행동이 어떤 결과를 초래할지 또는 어떤 갈등을
일으킬지를 전혀 생각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이런 성향은
본능적인 불륜의 관계를 맺는 것 외에도 관련된 사람 모두에게
문제를 일으킨다. 예를 들면 그녀는 굉장히 비싼 아름다운 것들을
무조건 사들이며 약속을 해놓고도 사람을 눈이 빠지게 기다리게끔
만든다. 그녀는 대단한 정열로 그리고 온 주의를 기울여서 계획을
세워놓고는 그 계획을 꼭 실천할 것처럼 보이지만 약속된 시간이
다가왔을 때는 이미 다른 대상이나 다른 사람에게 빠져버린
후이다.
아프로디테 여성에게는 고통스럽기는 해도 경험이 가장 좋은
스승이다. 그녀는 일단 눈에 띄지 않으면 까맣게 잊어버리는
식으로 다른 사람들을 대하다가 이것이 그들을 상처입히고
분노하게 한다는 사실을 배우게 된다. 눈에 띄는 것은 닥치는 대로
사면서 자신의 재정적인 형편을 생각하지 않는다면 곧 그녀는
자신의 신용카드가 날아가 버리고 독촉장만이 날아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그녀는 즉흥적으로 그 자리에서 모든 일을
해치우는 강력한 습관에 대처하는 방법을 배울 때까지는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게 고통을 수반하는 이러한 행동유형을 되풀이한다.
그녀는 마치 그녀에게 내일이란 없는 것처럼 살아간다.
아프로디테 여성이 자신이 행동한 결과가 무엇인가 숙고하는
법을 배우게 되면 그녀는 어느 정도 덜 즉흥적이고 더 책임감 있게
행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실제적인 것보다는 감정적인 것이
그녀에게 우선한다. 그래서 비록 그녀가 행동하기 전에 자신의
행동을 심사숙고한다 하더라도 그녀는 자의 행동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상처를 계속 입히는데 왜냐하면 그녀는 궁극적으로
자신의 마음 속의 소리에 따르기 때문이다.
4. 사랑의 희생자들
아프로디테 여성이 사랑을 하고 떠나간 뒤 상대편 남자는
희생자가 된다. 그녀는 아주 쉽게 사랑에 빠지고 사랑에 빠질
때마다 자신이 완벽한 남자를 만났다고 확신한다. 순간적인 환상에
빠져서 그 남자는 자신이 여신과 사랑에 빠진 신처럼 느끼지만
그는 곧 탈락되고 대체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그녀는 이용만
당하고 버림받았다고 느끼는 상처받고 거부당하고 의기소침하고
분노한 일련의 남성들만을 남겨놓을 뿐이다. 아프로디테 여성은
일련의 강도 높은 애인관계에 빠지는데 그때마다 자신이 진짜
사랑에 빠졌다는 환상에 쉽쓸린다. 이런 행동 유형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그녀는 우선 누군가를 있는 그대로 사랑하는 법을
배워야만 한다-즉,신이 아닌 불완전한 인간인 누군가를, 우선
그녀는 자신을 손쉽게 심취해 버리는 습관에서 빼내야 하는데
보통은 경험만이 그녀를 이러한 환상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다.
그래야만 그녀는 한 관계를 오래 지속할 수 있고 상대방의 결점을
받아들이고 신이 아닌 인간으로서 서로를 사랑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
5. 사랑의 (저주)
다른 사람을 사랑에 빠지게 하는 아프로디테 여신의 힘은
파괴적이기도 하다. 예를 들자면 이 여신은 때때로 사랑의 보답을
받을 수 없는 누군가를 사랑하도록 부추긴다. 아니면 그녀는
부끄럽거나 부정한 정열을 불태워서 갈등이나 창피를 당하도록
하고 결국은 그 여성 자체, 혹은 그녀의 긍정적인 면들을 파괴해
버리고 만다. 미르라, 페드라,그리고 메디아는 이와 같이 저주를
받은 신화 속에 나오는 세 명의 여성이다. 결과적으로 그녀들은
사랑으로 인해 큰 낭패를 보았던 것이다. 그리고 아프로디테가
싸이키에게 화가 났을 때 이 여신은 그녀로 하여금 인간 중에서
가장 야비한 남자와 사랑에 빠지도록 만들었다. 이 여신은 사랑이
고통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불행한 사랑의 포로가 되어 있는 여성은 현대판 아프로디테의
희생자라 할 수 있다. 어떤 이들은 정신병 의사에게 자신을
불행에서 구해달라고 요청한다. 내 환자들은 주로 두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첫번째 유형은 자신을 함부로 취급하거나
무시하는 남자와 사랑에 빠져 있는 여성들이다. 이런 여성들은 사
랑하는 남자의 인색한 주의를 끌기 위해 모든 면에서 복종하고
있었다. 이런 계기가 짧은 것일 수도 있고 몇십 년에 걸친 긴 것일
수도 있다. 이런 유형의 특징은 그녀가 그 관계에 의해서 고문받고
있으며,실제 보이는 증거가 정반대 임에도 불구하고 그 남자가
자신을 사랑한다고 자신을 확신시키려 애쓰며 괴로워한다는
것이다. 그녀는 우울하고 불행함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상황을
떨쳐버리는 것에 대하여 매우 상반된 감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그녀가 나아지기 위해서는 이처럼 인이 박힌 것과 같은 파괴적인
관계를 포기해야만 한다.
두번째 유형은 더더욱 심각하다. 두번째 유형의 여성들은 그녀와
아무런 관계를 갖고 싶어하지 않는다는 것을 명확히 하고 있는
남성에게 사랑에 빠져 있는 것이다. 그는 그녀를 피하고 끊임없이
사랑을 구하는 그녀를 저주한다. 그녀는 소유욕에 가득차서 몇
년에 걸쳐 그의 생활에 간섭하며 다른 관계를 맺을 가능성을
말살하고 있는 것이다. 그를 따라다니기 위해서 그려는 그 남자를
따라 딴 도시로 이사를 하는 수도 있고-내 환자 중의 한 사람이
그러했다-아니면 그의 집에 몰래 침입하려다가 체포되거나 그의
집에서 강제로 끌어내지기도 한다.
이런 아프로디테의 저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쉽지 않다. 이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그 여성이 자신의 애착이 갖고 있는 파괴적인
측면을 깨닫고 그 관계를 포기하려는 마음을 지녀야 한다. 그를
다시 보고 다시 간섭하고 싶은 유혹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엄청난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그녀가 새로운 사랑을 맺기 위해서는
이를 실천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
V. 성장하는 길
자신의 원형에 대해 아는 것은 모든 유형의 여성에게 중요한
정보이지만 이는 특히 아프로디테 여성에게 중요하다. 아프로디테
여성들은 쉽게 사랑에 빠지고 관능적인 경험을 하고 싶어하며 다른
여성과는 달리 강한 성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여신이 준
특성이라는 것을 앎으로써 도움을 받는다. 이러한 깨달음은
아프로디테 떠성들이 자신에 대해서 느끼는 죄책감을 없애는 데
도움을준다. 이와 동시에 그들은 자신의 가장 첨예한 관심을 잘
감시하여야 다는것을 깨달아야 한다. 왜냐하면 여신들은 그렇게
하지 않기 때문이다.
아프로디테 여성들 내부에서 다른 여신 원형들은 비록
선명하지는 않지만 최소한 잠재적인 형태로서 존재하고 있다.
인생의 경험을 쌓음에 따라 다른 여신원형들은 점차 그 영향력을
키워서 그 여성 심리 내부에 자리잡고 있는 아프로디테의 힘을
상쇄하거나 수정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아프로디테 여성이
자기통제의 기술을 개발하거나 교육을 더 받게 되면 아르테미스나
아테나 원형이 중요한 원형으로 성장하게 된다. 만약 그녀가
결혼해서 아이를 갖게 되면 헤라와 데미테르 원형이 지속적인
영향력을 미치게 된다. 만약 그녀가 명상을 통해서 혜스티아
원형을 개발하게 된다면 그녀는 자신의 관능적인 유혹에 좀더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패르세포네의 내향성을
가꾸게 된다면 아프로디테 여성은 자신의 성적인 경험에 대한
욕구를 실제생활이 아닌 상상 속에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아프로디테 여성이 자신의 유형을 의식하게 되면, 그리고 자신의
행동이 그 누구도 다치지 않게끔 사랑하기로 결정하게 된다면 큰
인식의 변화가 일어난 것이다. 일단 그녀가 자신에게 중요한 것을
우선적으로 따져서 그에 맞추어 행동하게 되면 선택을 하고 결과를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싸이키 신화가 이런 여성이 따라가야 할
발전적인 과정을 묘사해 준다.
1. 싸이키 신화 . 심리적인 성숙을 위한 상징
에로스와 싸이키의 신화는 응 분석가에 의해서 여성의 심리를
분석하기 위해서 종종 사용되었는데 그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으로는 에리히 뉴만 Erich Heumann의 책 아토르와 싸이키
Amorandpsych론 그리고 로버트 죤슨 Robert Johnson의 그 여자란
책이 있다. 싸이키는 임신을 하게 된 인간으로 자신의 남편인
사랑의 신이자 아프로디테의 아들인 에로스와 재결합하고자 한다.
싸이키는 남편인 에로스와 다시 결합하기 위해서는 분노에 차 있고
적대적인 아프로디테 앞에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야 한다는 사실을
깨닫고 그렇게 했다. 그녀를 시험하기 위해서 아프로디테는
그녀에게 네 가지 과제를 순다. 아프로디테의 이 네 과제는 중요한
상징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 과제는 여성이 개발하여야 할 능력을
대표한다. 싸이키가 과제를 하나씩 완수할 때마다 그녀는 자신이
이전에 갖지 못했던 능력을 습득해 간다. 이 능력은 융 심리학에
의하면 남성적 요소 animus 아니면 여성 성격의 남성적인 특성과
같은 것이다. 비록 싸이키 같은 여성에게 남성적이라 느껴지고
노력해서 개발해야 할 이 능력들이 아르테미스나 아테나 여성이
지닌 자연스러운 특성들이다.
신화적인 인물로서 싸이키는 (아프로디테처럼) 연인이자
(헤라처럼) 아내였으며 (데미테르처럼) 임신한 어머니였다.
더군다나 신화 중에서 그녀는 지하세계에 내려갔다가 되돌아온다.
따라서 그녀는 페르세포네도 닳은 것이다. 우선 관계부터 맺고
본능적으로 혹은 감정적뜨로 반응하는 여성들은 이 각 과제로
상징되는 능력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하면 그들은
자신들의 가능성을 점검해 보고 자신의 관심사에 확고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과제 1 . 씨앗 분류하기
아프로디테는 싸이키를 어느 방으로 데려가서 산처럼 뒤섞여
쌓여 있는 곡식들을 보여준다. -옥수수, 보리, 수수, 양비씨,
완두콩, 편두, 강남콩 들 그리고 그녀에게 이 여러 종류의 씨나
곡식들을 모두 분류해야 한다고 명령하였다. 이 과제는 처음에는
불가능한 듯 보였으나 한 무리의 개미들이 나타나서 산더미처럼
쌓인 곡식들을 분류해 주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여성이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는 서로 갈등을
일으키는 감정과 뒤엉켜 있는 우선 순위들을 분류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아프로디테가 그 상황에서 한몫 하고 있다면 상황은
더욱 혼란스럽다. 그렇다면 씨앗 분류하기가 띠하는 짓은 태면적인
보고 자신의 감정, 가치, 동기를 걸러서 정말 중요한 것을 하찮은
일로부터 구별해 내는 것이다.
모든 것이 명확해질 때까지 행동하기를 보류하고 혼란된
상황에그대로 머무는 법을 배우게 되면 그녀는 개미를 신뢰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이러한 벌레들은 직관적인 과정에 상응하는데
이러한 작업은 의식적인 통제로 되는 것이 아니다. 아니면 그녀가
의식적인 노력을 기울여 논리적이면서도 체계적으로 결정에 관련된
많은 요소들을 분류하고 우선 순위를 정한다면 일이 명확해질 수도
있다.
과제 2: 황금양털을 얻어오기
두번째로 아프로디테는 싸이키에게 태양의 무시무시한
숫양으로부터 황금양 털을 얻어오라고 명령하였다. 이 숫양들은
굉장히 크고 공격적이며 뿔이 달린 짐승들로서 벌판에서 서로 힘
겨루기를 하고 있었다. 만약 싸이키가 그들에게 다가가서 털을
깍으려 한다면 그녀는 틀림없이 뼈가 부러지거나 짓밟힐 것이다.
이 과제 또한 불가능하게 보였으나 푸른 갈대가 그녀에게 다가와
해질 때까지 기다려 숫양들이 흩어져서 휴식을 취할 때를
기다리라고 충고하였다.그래서 그녀는 숫양들이 자신의 털을
뎃질하기 위해서 등을 문질러 댄 가시나무로부터 안전하게
황금양털을 따을 수 있었다.
상징적으로 황금양털은 권력을 상징하는데, 이것은 여성이 이를
얻기 위해서 자신을 파괴하지 않고도 쟁취해야 할 힘을 뜻한다.
아프로디테 여성이나 다른상처받기 쉬운 여성들이 권력과 지위를
쟁취하기 위해 공격적으로 서로 싸우는 경쟁적인 세상에 나갔을 때
만약 그녀가 그 사회에 내재해 있는 위험들을 깨닫지 못한다면
상처를 입거나 아니면 환멸을 느끼게 된다. 그녀의 마음은
굳어지고 냉소적으로 될 수 있다. 그녀의 다정다감하고 신뢰하는
자아는 밟혀서 희생양이 될 수도 있다. 무장된 아테나라면
전쟁터의 한가운데에서 전략과 정치에 직접 관계하겠으나 싸이키
같은 여성은 오히려 관찰하고 기다리면서 간접적인 방법으로 점차
권력을 획득하는 것이다.
싸이키를 파괴하지 않고 황금양털을 얻는다는 것은 바로 권력을
획득하면서도 자비로운 사람으로 남아 있을 수 있다는 상징이다.
내가 임상치료에 임할때 나는 이 과제를 기억하는 것이 자신에
대한 확신을 배우는 모든 여성에게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았다.
그렇지 않았더라면 오로지 그녀의 필요나 분노의
표현에만 초점을 맞추어서 그녀가 원하는 바를 얻게끔 도와주고
그녀가 거칠고
파괴적인 상황하에 놓여 있다는 것을 밝혀내지 못하는 단편적인
대화밖에 하지 못했을 것이다.
과제 3: 크리스탈병 채우기
세번째 과제로 아프로디테는 작은 크리스탈병을 싸이키의 손에
쥐어주면서 금단의 시냇물에서 물을 가득 채우라고 명령하였다. 이
시냇물은 봄에 가장 높은 절벽의 끝으로부터 지하세계의 깊은
곳까지 폭포가 되어 떨어진다. 상징적으로 이 시냇물은 순환적
인생의 흐름을 나타내는데 싸이키가 여기에 병을 담궈 물을 채워야
하는 것이다
깊게 파인 절벽 사이에서 용들의 보호를 받고 있는 얼음과 같은
물줄기를 보았을 때 그녀는 이 과제 또한 불가능하게 느껴졌다.
그러나 이번에는 독수리가 그녀를 도우러 나타났다. 독수리는
풍경을 멀리서 조경해 보고 자신이 필요로 하는 것을 잡아채어 갈
수 있는 것을 상징한다. 이는 "나무는 보되 숲을 보지 못하는"
개인적인 관심사에 치중하는 싸이키 같은 여성이 가지기 어려운
관점이다.
아프로디테 여성이 자신의 행동 유형을 멀찌감치 서서 관측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럼으로써 그녀는 경험을 종합하여
그녀의 인생이 어떤 형태를 취해야 하는가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과제 4: 거절하는 법 배우기
그녀의 네번째이자 마지막 과제로 아프로디테는 싸이키에게
지하세계의 페르세포네에게 내려가 작은 상자에 화장수를
담아오라고 시켰다. 싸이키는 죽음의 과제를 받은 거나
마찬가지였다. 이번에는 전망대가 그녀에게 도움을 줄 차례였다.
이 과제는 전통적인 영웅이 용기와 결단력을 실험하는 것
이상이었다. 왜냐하면 아프로디테가 이 마지막 과제를 특별히
어렵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싸이키는 도중에 자신에게 도움을
청하는 세 명의 불쌍한 사람을 만날 것인데 그때마다 그녀는
그들의 탄원을 무시하고 자비로운 마음을 접어두고 계속 전진해
나가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만약 그녀가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그녀는 영원히 지하세계에 남아 있어야 한다.
도움을 청하는 면전에서'이를 거부하고 목표를 향해 계속
나아가는 것은 처녀 여신 원형을 가진 여성들 이외에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모성적 데미테르 여성과 온순한 페르세포네 여성운
다른 사람의 필요에 가장 즉각적으로 반응하고 헤라와 아프로디테
여성은 그 중간쯤 된다.
세번을 "안돼요"라고 말함으로써 완수하게 되는 싸이키의 과제는
선택을 연습하는 것이다. 많은 여성들은 딴사람의 일로 자신을
빼앗기도록 내버려두고 자신의 일보다는 딴일들로 정신이 팔리기
쉽다. 그녀들은 거절하는 법을 배울때까지는 그들이 목표로 세운
바나 혹은 자신들에게 가장 중요한 일을 완수하지 못한다. 그것이
친구를 필요로 하거나 위로를 받고 싶어하는 사람이건 아니면
사랑의 관계에 빠져들도록 하는 유혹이건 간에 그 여성이 자신의
다정다감
함에 대하여 단호하게 거절하는 법을 배울 때까지는 그녀는 자신의
인생 경로를 스스로 결정할 수 없다.
네 개의 과제를 통하여 싸이키는 성장했다. 그녀는 그녀의
용기와 결단력이 시험을 받으면서 자신의 능력과 힘을 길렀다.
그러나 그녀가 얻은 모든 젓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기본적인 성향과
우선 순위는 바뀌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 그녀는 사랑의 관계를
중요시하며 자신의 사랑을 얻기 위해서 모든 위험을 무릅쓰고 이를
쟁취하는 것이다.
제13장
어느 여신이 황금의 사과를 얻는가?
옛날에 올림푸스산에서 그랬던 것처럼 여신들간의 경쟁,
갈등,그리고 동맹은 여성의 마음 속에서 발생한다. 어느 원형을
가장 중시하는지? 어느 원형을 무시하는지? 그리고 얼마만큼
선택을 하는지? 옛날에 그리스 여신들이 파리스가 마음먹기에
따라서 주어지는 황금사과를 얻기 위해 서로 다투었던 것처럼 이들
내부의 원형들은 서로 자신을 드러내려고 경쟁을 한다.
1 . 파리스의 결정
채찍과'불화의 신인 에리스만 빼놓고 모든 올림푸스신들이
테살리의 왕인 페레우스가 아름다운 바다요정 테티스를 아내로
맞이하는 결혼식에 초대되었다. 에리스는 무시당한 데 대한 복수로
초대받지 못했으면서도 이 대향연에 나타나 가장 아름다운
여성에게 바친다는 글이 쓰인 황금사과를 손님들 사이에 던졌다.
사과가 마루 위로 데굴데굴 굴러가자 헤라, 아테나, 아프로디테는
서로 그것을 자기 것이라고 우겼다. 이 세 여신은 사과가 당연히
자신의 것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물론 그들은 그들 가운데
누가 가장 아름다운지 결정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제우스에게
결정을 내려달라고 간청했다. 제우스는 자신이 결정하지 않고
양치기인 파리스에게 인간의 눈으로 봤을 때 가장 아름다운 여성을
선택하라는 결정권을 주었다.
세 여신들은 이다산 비탈에서 산의 요정들과 목가적인 생활을
하고 있는 파리스를 발견하였다. 세 여신들은 번갈아가며 그에게
뇌물을 주면서 그의 결정에 영향을 끼치려 하였다. 헤라는
파리스가 자기에게 사과를 준다면 아이의 모든 왕국을 다스릴
권력을 주겠다고 제의했다. 아테나는 모든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게 해주겠다는 약속을 했다. 아프로디테는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성을 주겠다고 제의했다. 파리스는 주저함 없이
아프로디테를 가장 아름다운 여성으로 선언하면서 그녀에게
황금사과를 주었다. 그렇게 하여 그는 헤라와 아테나의 증오를
영원토록 받게 되었다.
파리스의 이러한 결정이 후에 트로이 전쟁을 일으키게 된다.
양치기인 파리스는 바로 트로이의 왕자였다.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섞성은 바로 그리스의 왕 메넬로스의 아내인 헬렌이었다.
파리스는 헬렌을 납치하여 트로이로 데려옴으로써 보상을 받는다.
이 행동이 그리스와 트로이 사이의 전쟁을 일으키게 했으며 그
전쟁은 십년간 지속되었고 트로이의 멸망으로 끝났다.
다섯 올림푸스신들이 그리스 편을 들었는데 헤라와 아테나는
파리스에 대한적개심으로 그리스 편을 들게 되었으며 그 속에는
또한 포세이돈, 헤르메스, 헤파이스투스가 속했다. 네 남신과
여신들이 트로이 편을 들었는데, 아프로디테, 아폴로, 아레스,
아르테미스가 그들이었다.
파리스의 결정은 또한 서구문명에서 가장 위대한 문학과 연극에
영감을 주었다. 그 결정으로 인하여 일어난 사건들은
일리아드,오딧세이, 아네이드(세 개의 가장 위대한 고전)와
비극들-에스킬러스, 소포클레스, 그리고 유리피데스-을 통해서
영원불멸하게 되었다.
ll.파리스의 결정이 갖는 현대적인 의미
현대 여성들은 파리스처럼 개인적으로 자신만의 선택을 해야 할
때가 있다. 올림푸스의 손님들에게 제시되었던 것과 똑같은
질문들이 던져진다. 어느 여신이 황금사과를 가질 것인지?그리고
누가 선택을 할 것인지?
1. 어느 여신이 황금사과를 가질 것인가?
신화에서는 단지 세 여신만이 황금사과를 자신의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 세여신은 헤라, 아테나, 그리고 아프로디테였다.
그러나 사람마다 마음 속으로 생각하는 경쟁자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어쩌면 둘,또는 셋,또는 넷, 아니 일곱 여신으로 이루어진
어떤 조합이 황금사과를 차지하기 위하여 서로 갈등하는 관계에
놓일 수 있다. 각 여성의 내면에는 활성화된 원형들이 서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 혹은 지배적이기 위해서 서로 경쟁하고 질투한다.
원래의 신화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를 뽑는다는 것-즉, 헤라,
아테나, 아프로디테 중에서 누가 가장 탁월한가를 뽑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 세 여신이 상징하는 것을 살펴보았을 때
나는 그들이 여성이 일생에서 택할 수 있는 세 가지 주요 인생
항로를 대표한다는 사실을 깨닫고 놀랐다. 한 여성 내부에 있는 세
측면이 종종 갈등을 일으키는 것들이다. 헤라는 결혼을 최우선으로
여기므로 헤라의 목표와 동일시하는 여성을 뜻한다. 아테나는
지성을 사용하여 전문지식을 얻는 것에 가치를 두므로 아테나를
가장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여성은 전문직에서 성공을 중요시하는
여성이다. 아프로디테는 미, 사랑, 그리고 정열을 좋아하고
창조력을 가장 중요한 가치로 여기므로 여기에 동의하는 여성은
지속적인 관계나 성취욕보다는 자신의 주관적인 인생의 생동감을
중요시하는여성이다.
이들 선택은 근본적으로 서로 다른데 왜냐하면 이들 세 여신들이
각각 다른 유형에 속하기 때문이다. 헤라는 상처받기 쉬운
여신이고 아테나는 처녀 여신이며 아프로디테는 창조적인
여신이다. 여성의 삶에 있어서 이들 유형들로 대표되는 세 개의
스타일 중의 하나가 보통 가장 지배적인 것이 된다.
2. 누가 선택권을 가질 것인가?
어느 여신이 황금사과를 가질까를 누가 결정할 것인가?
신화 속에서는 인간이 결정을 내렸다. 가부장제 문화에서는
남성이 결정을 한다. 물론 남자가 여성의 위치가 어떠해야 한다고
결정한다고 할 때 그 선택은 남성에게 편리하도록 한계지어 있다.
예를 들면, 3K-어린이, 부엌, 그리고 교회(Kinder, Kiiche,
Kirche)-는 대다수 독일 여성들의 삶의 테두리로 지정되어 있었다.
개인으로 봐서는 어느 여신이 황금사과를 가질 것인가란 질문은
끝없는 경쟁을 나타낸다. 부모, 친척들로부터 시작해서 선생님,
급우, 친구, 데이트 상대, 남편, 심지어는 자식들까지도 그녀가
그들을 기쁘게 해주겠다고 한 데 대한 보상인 황금사과를 주거나
주지 않는 파리스의 결정을 끊임없이 계속한다. 예를 들어 경쟁을
좋아하는 테니스 선수(아르테미스나 아테나의 영향일 테지만)이자
조용하고 혼자 있기 좋아하는 성격(헤스티아 덕분으로)에다 어린
사촌들에게는 어머니 같은 (데미테르) 어린 소녀가 있다고
한다면,그녀는 자기가 어떤 일들을 할 때 다른 일을 할 때보다 더
인정을 받는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녀의 아버지는 그녀가 테니스
게임을 잘할 때 칭찬하는가 아너면 작은 엄마 노릇을 잘할 때
칭찬하는가?그녀의 어머니가 가치를 두는 것은 무엇인가?식구들이
각자 조용한 시간을 보내기를 바라는 내성적인 가족인가? 아니면
누군가 혼자 있기를 원한다면 그것이 말도 안되는 경우가 되는
외향적인 가족인가? 그녀는 자신이 얼마나 테니스를 잘 치는가를
나타내지 않고 항상 남자에게 지면서 뒷전에 앉아 있도록
기대되는가? 다른 사람들의 기대가 주어졌을 때 그녀는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
만약 이 여성이 자신에게 중요한 것이 무엇인가를 딴 사람에게
결정하게 한다면 그녀는 부모의 기대대로 살 것이며 그녀가
어떠해야 한다는 그녀가 속한 사회 계급의 기대에 부웅하게 될
것이다. 그녀의 인생에서 어느 여신이 숭배받아야 할 것인가는
다른 사람들이 결정할 것이다.
만약 이 여성이 자신의 내면에 있는 여신의 힘에 기초하여 "어느
여신이 황금사과를 가질 것인가"를 그녀 스스로 결정한다면 무엇을
결정하든간에 그것은 그녀에게 의미 있는 것이 될 것이다. 그
결정이 그녀가 속한 가족과 문화의 지지를 받을 수도 있고 받지
못할 수도 있으나, 그 결정은 진정한 것이리라.
3. 갈등 관계에 있는 여신들: 위원회에 비유될 수 있다
여성 내부에서 여신들은 서로 경쟁을 할 수도 있고 아니면 어느
한 여성이 지배할 수도 있다. 이 여성이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 할
때마다 여신들간에 황금사과를 차지하기 위한 경연대회가 벌어질
수도 있다. 만약 그렇다면 그 여성은 서로 경쟁적인 여러
우선순위, 본능, 유형들 중에서 결정을 하는가? 아니면 여신이
그녀에게 내리는 결정에 그저 따르는가.
응 학파 분석가이자 나의 스승인 조셉 필라이트 Josephw
feelwright는 우리의 머리 속에서 일어나는 이러한 일들이 마치
탁자에 둘러앉아 있는 갖가지 성격의 사람들로 이루어진 한
위원회와 같다고 말하였는데 이 위원회에는 남자, 여자, 젊은이,
늙은이, 시끄럽고 요구가 많은 사람, 말이 없고 요구가 없는
사람도 있다. 만약 우리가 운이 좋다면 건강한 자아가 테이블 제일
상석에 앉아서
위원회의 의장 노릇을 하면서 언제 누가 발표를 할 수 있는가를
결정해 줄 수 있다. 의장은 주의깊은 관찰자이자 능력 있는
중역으로 질서를 지키는데 이는 성능이 좋은 자아와 비슷한
자질이다. 자아가 잘 움직일 때는 바람직한 행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위원회를 관장하는 일은 결코 쉽지가 않다. 특히 모든 여성
내면에서 여신들이 서로 갈등을 일으키면서 자신의 권력을
요구하고 주장하는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이 여성의 자아가
질서를 유지하지 못할 때는 한 여신 원형이 이 틈을 타 그 성격을
전복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징적으로 그 여신이 이 인간을
통치하게 된다. 아니면 똑같이 강력한 원형들이 갈등을 일으키는
경우는 마치 내면에서 올림푸스 전쟁이 일어난 듯하게 된다.
그 사람이 내면에 갈등을 일으키고 있을 때에, 결과는 그 사람
내면의 위원회의 위원들이 어떻게 서로서로 작용하느냐에 달려
있다. 다른 모든 위원회와 마찬가지로 한 집단의 기능은 의장과
위원들의 상호작용에 달려 있는데 즉 그들이 누구인가,그들의
관점이 얼마나 강력한가,그 그룰이 일을 처리하는 과정이 어느
정도 협조적인가 아니면 경쟁적인가, 그리고 의장이 어느 정도
질서를 지킬 수 있느냐에 달려 있는 것이다.
4. 질서정연한 과정: 자아가 의장의 기능을 잘 수행하고 있으며,
모든 여신들이 발표할 기회를 갖는다
첫번째 가능성은 적절한 정보에 기초하여 명확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주의깊은 자아에 의해서 회의 과정이 착실하게 진행되는
것이다. 자아는 각 구성원과 그들의 서로 다른 필요와 동기에
대하여 잘 알고 있다. 자아는 성격의 모든 타당한 측면들에 대해
의견을 듣고 현실을 고려하면서 긴장을 참아낸다. 그녀 성격의
총체로서 각 여신들은 자신의 특수한 본능, 가치, 그리고 여성
성격의 한 측면을 대변하므로 한 여신이 주장할 수 있는 앙은 그
특정 원형의 강도가 어느 정도인가,또 그것이 그 주제에 대하여
어느 정도 관여하고 있는가, 또 의장인 자아가 어느 정도 그
여신의 주장을 허용하느냐에 달려 있다.
예를 들어 한 여성이 일요일에 무엇을 할 것인가를 결정하려
한다고 가정해 보자. 헤스티아는 혼자 있기를 좋아하므로 집에서
조용한 하루를 보내고 싶어한다. 헤라는 남편의 친척을 방문해야
한다고 느낀다. 아테나는 기획안의 자금을 지원받기 위해서 덜
끝마친 일을 해야 한다고 그녀에게 상기시킨다. 아르테미스는
여성문제 회의에 참석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아니면 그 여성의 결정이 그녀 인생의 후반기에 대한 것이라고
치자. 이때 성격의 모든 측면, 모든 여신들은 결과에 대하여
첨예한 관심을 가질 것이다. 예를 들자면 "이제 아이들도 다
자랐으니, 만족스럽지 못한 이 결혼을 끝낼 때
가 아닌가?" 여기서 데미테르가 자신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도
있다. 데미테르 원형은 헤라 원형과 연합하여 (아이들을 위해서)란
명목하에 불행한 상황에 안주하도록 영향력을 끼칠 수 있다.
아니면 그녀는 아르테미스와 연합하여 독립을 더 좋아하게 될까?
아니면 이제 학교로 되돌아 가거나 자신의 경력을 바꿀
때인가?그러러까 아테나나 아르테미스에게 주의를 기울여야 할까?
아니면 이제야말로 데미테르나 헤라가 주장을 할 차례인가?
자신의 모든 정력을 직업을 개발하거나 전문가가 되는 데 바쳐온
여성은 목적지 혹은 정체기에 도달한 중년에 서서 데미테르 덕분에
모성적인 본능이 솟아오르는 것을 느끼게 될까? 아니면 그녀는
외로움을 느끼고 부부가 된 사람들을 보면서 이제까지 듣기를
거부해온 헤라의 말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결혼하기를 원하게 될까?
아니면 여신 중에서 가장 조용한 헤스티아가 자기 주장을 할
차례가 되어서 중년의 여생을 관조와 영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데
보내야 할 필요를 느끼게 될까?
중년에 들어섰을 때 여신들 간의 새로운 세력 관계가 형성되거나
어느 한 여신이 새로이 모습을 드러낼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잠재적인 권력 이동은 중년 뿐 아니라 인생의 모든 단계엔서-즉,
청소년기, 어른이 되었을 때, 은퇴할때, 갱년기에 각각 나타날 수
있다. 변화의 시기가 도래했을 때 자아가 질서정연하고 사려깊고
의식있게 이 과정을 관장하고 있다면 그 여성은 우선순위, 충실성,
가치, 그리고 현실 여건들에 대하여 심사숙고한다. 그녀는 서로
상반되는선택 중의 하나를 선택하도록 강요되지는 않는다. 결론은
상황파악이 끝난 다음에 내려지는 것이다. 만약 이것이 일요일에
무엇을 할까를 결정하는 것이라면 오분 정도의 시간이 걸릴 것이고
그녀가 인생의 중대 변화에 대하여 생각하고 있다면 오년이 걸릴
수도 있다.
한 예로 나는 몇년간 아이 문제로 고민해온 여성을 알고 있다.
그녀는 자신의 모성적 본능과 자신의 직업을 어떻게 조화시켜야
할지 고민하고 있었다. 만약 그녀의 남편과 그녀가 이 문제에
대하여 다른 생각을'갖고 있다면-즉, 한 사람은 아이를 원하고
다른 사람은 아이를 원치 않는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그녀는 이미
삼십대이고 어머니가 될 수 있다는 것은 제한된 시간에만 가능한
것이라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이 모든 질문들이 평생 아이를 갖지 않았던 화가 죠지아 오키페
Georgia 0'Keeffe를 괴롭혔던 질문들이었다. 로라 리슬레 Laura
Lisle의 전기에 의하면 오키페는 아주 어렸을 때부터 화가가 되고
싶은 강렬한 내적 욕망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그녀가 이십세 중에
도달했을 때 친구에게 "나는 정말 아이를 갖고 싶어. 만약 그러지
못한다면 내 인생은 결코 완벽한 것이 될 수 없을 거야"라고
고백하였다. 그녀가 아이 문제로 고민할 때 그녀는 알프레드
스티글리츠red Stieglitb와 깊은 사랑에 빠져 있었다. 그녀는 그와
동건하다가 나중에 결혼했다. 그는 현대 미술사에서 가장 영향을
끼친 사람 중의 하나이다. 그의 화랑, 미술 및 미술가에 대한 그의
평가는 미술가들의 평판에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스티글리츠는
오키페가 결코 엄마가 되어서는 안된다고 확신하고 있었는데
왜냐하면 아이를 가지면 그녀가 미술에 몰두하지 못할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오키페보다 삼십세나 위이고 이미 다 자란
아이들의 아버지였던 티글리츠는 또한 다시 아버지가 되기를
원하지도 않았다.
아이 문제로 그와 그녀 사이에 시작됐던 갈등은 1918년부터
오년간을 끌었는데 두 사건이 이를 마무리지었다. 1723년에 그녀가
그린 백점의 그림들이 전시되었다. 아마 처음으로 그녀는 훌릉한
화가가 되겠다는 꿈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받은
셈이었다. 같은 해에 스티글리츠의 딸이 아들을 낳았는데 심한
산후 우울증에 걸려서 평생 동안 완전히 회복되지 못하였다.
스티글리츠, 그들의 관계,그리고 미술가로서의 그녀의 인생에
대한 관심들이 연합하여 오키페가 강한 모성 본능을 발휘하지
못하도록 작용하였다. 헤라, 아프로디테,아르테미스 그리고
아테나가 모두 데미테르의 적이 되었던 것이다.
비록 여신들의 연합과 이에 더하여 상황이 아이를 갖지 않는
쪽으로 결정이 기울어지게 하였으나 오키페는 후회를 하지
않고서도 엄마가 될 가능성을 떨쳐 버릴 필요가 있었다. 그렇지
않았다면 이 문제는 완전히 해결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사람은 자신이 전택한 것이 아니라 외부상황이나 내적인 본능에
의해서 뭔가 중요한 것을 포기하도록 강요받았다고 느끼게 되면
분노하고 무능력하게 느껴지고 우울하게 된다. 후회가 그녀의
생명력을 휘어잡고는, 자신이 하는 일이 아무리 중요하다 하더라도
그 일에 완전히 몰두할 수 없게 만들기 때문이다. 오키페 또는
어떤 여성이든 뭔가 중요한 것을 잃고서야 창조적인 일에 몰두할
수 있기 위해서는 그녀의 자아가 서로 자신들의 힘을 내세우는
원형들을 단순히 기록하는 수동적인 관찰자 이상의 것이어야 한다.
그녀는 능동적으로 결과를 수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그 여성은 이렇게 말할 수 있어야 한다. "나는 내가
누구인가를 알았고 상황이 어떻다는 것도 알았지요 나는 이
특성들을 나 자신으로 확신했으며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
이기로 했습니다." 그러고난 후에야 그 문제에 쏠린 힘을 자유로이
다른 용도로 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5. 시이소오 게임: 각 여신이 서로 지배하려고 싸우며
자아는 힘이 없는 상태
질서정연한 과정이 가장 좋은 해결책임에도 불구하고 불행하게도
내면의 갈등이 항상 이 방법을 취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만약
자아가 어느 편이 권력을 잡든간에 수동적으로 따라가기만 한다면
처음에는 이편이 이겨서 힘을 잡고 다음에는 저편이 이겨 힘을
잡는 시이소오 유형을 낳게 된다.
한 예로 유부녀가 불륜의 관계를 끝내는 데 매우 우유부단한
경우를 들 수 있다. 그녀는 이 불륜의 관계를 끝내지 않으면
결혼이 파탄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녀 내부의 갈등이
마치 한때 트로이 전쟁이 그랬던 것처럼 해결 할 수 없고 끝나지
않을 것처럼 느껴진다. 무능한 자아를 가진 여성은 되풀이 하여
관계를 끝맺으려고 하지만 항상 그 결정에서 움츠러들고 만다.
트로이 전쟁은 이 상황에 아주 적합한 은유이다. 싸워서 얻은
헬렌은 결혼이냐 불륜이냐 하는 갈등의 한가운데 놓인 수동적인
자아와 같다. 이 수동적인 자아는 한편과 다른 한편의 소유물로서
인질로 잡혀 있는 것이다.
그리스군은 헬렌을 그녀의 남편에게 도로 빼앗아 오려고 하였다.
그리스 편에 선 사람들은 결혼의 수호자들이었다. 우선 첫번째로
결흔의 여신인 헤라가 있는데 그녀는 트로아를 멸망시키고 헬렌을
남편인 메넬로스에게 되돌려줄 때까지 전쟁을 계속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그리스를 도운 것으로는 대장간의 신인
혜파이스투스가 있는데 그는 아킬레스를 위하여 무기를 만들어
주었다. 헤파이스투스가 그리스 측에 대하여 동정한 것은 이해할
만한데, 왜냐하면 그 자신 아프로디테로 인하여 오쟁이진
남편이었기 때문이다. 또 다른 그리스의 동맹은 바닷속에 사는
가부장적인 신 포세이돈이었다. 그리고 가부장제의 수호자인
아테나도 자연히 합법적인 남편의 편을 들었다.
이들 올림푸스신들은 여성 내부에서 결혼을 보전하고자 하는
태도를 대표한다. 그들은 결혼을 신성한 의식이자 합법적인 제도로
보며 아내는 남편의 소유물이라고 믿으며 남편에 대하여
동정적이다.
사랑의 여신이자 황금사과를 획득한 아프로디테는 물론 트로이
편이었다. 흥미롭게도 자웅동체 쌍등이인 아르테미스와 아폴로도
트로이 편을 들었다는 것이다. 아마도 이들은 가부장제의 힘이
도전받을 때에만 허용될 수 있는 비전형적인 남녀의 역할을
상징하는 듯하다. 트로이 편을 든 네번째 올림푸스신은 파리스와
마찬가지로 딴 남자의 아내와 사랑을 나눈 전쟁의 신 아레스였다.
아레스는 아프로디테의 연인이었다. 이들 네 올림푸스신들은
여성심리에 있어서 가끔 불륜의 관계를 맺도록 하는요소나 태도를
대변한다. 그들은 성적인 열정과 사랑을 요구한다 그들은 자율성
즉 그녀의 성욕은 그녀 자신의 것이며 결흔이나 남편의 소유물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이들 넷은 전통적인 역할에 반기를 들며
충동적이다. 따라서 그들은 남편에 대한 전쟁 선언이라 할 수 있는
불륜 관계를 일으키는 데 세력을 규합한다.
만약 여성의 자아가 내면 갈등의 일시적인 승리자나 그녀를
쟁취하기 위한 외적인 경쟁에 수동적으로 따라간다면 그녀는
삼각관계에서 두 남자 사이를 왔다갔다 하게 된다. 이러한 상반된
감정의 병존은 양쪽 관계와 그에 관련된 모든 사람에게 해를
끼치게 된다.
6. 혼란에 빠진 위원회: 자아가 갈등하는 여신들에 의하여
압도된 상태
여성의 심리 내부에서 심한 갈등이 야기되고 자아가 질서를
유지할 수 없게 되면 질서정연한 과정은 시작조차도 못하게 된다.
이는 마치 자신의 관심사를 소리 높여 주장하고, 어떻게든
상대방의 의견을 끌어내리려고 소란을 피워대는 것처럼, 각자
목청을 돋우어 시끄럽게 떠드는 상황을 가져온다. 그 여성의
자아는 내면의 목소리들을 구별하지도 못하게 되며 내면에 엄청난
긴장만 쌓이게 된다. 이러한 혼란이 일어나고 있는 여성은 뭔가를
해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끼면서도 흔돈되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할
수 없게 된다.
내 환자 중의 한 사람이 이런 (혼돈된 위원회)를 갖고 있었는데
그녀는 사십대 중반으로 남편과 헤어지려 하고 있었다. 다른
남자는 없었으며 이십년간의 결혼 생활은 다른 사람들이 보기에는
이상적인 것으로 비쳤다. 그녀가 이혼에 대하여 심사숙고할 수만
있었다면 좀더 이성적으로 경쟁적인 여러 관점을 들을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녀가 남편에게 이혼을 생각중이라고 얘기한 뒤
생각을 정리하기 위해 그의 곁을 떠났을 때 내적인 혼란이
일어났다. 그녀는 이 상황을 "이는 마치 내 머리 속에서 세탁기가
돌아가는 듯한, 아니면 내 자신이 세탁기 속에 들어앉아 있는 듯한
느낌이었어요"라고 말했다. 매우 위험하지만 합당한 결정에 대하여
그녀 내면 중의 일부가 공포와 경고로 반응해 왔다.
얼마 동안 그녀는 움직일 수가 없었고 그녀의 자아는 일시적으로
뒤집히고 말았다. 그러나 포기하고 원래의 자리로 되돌아 가는
대신 그녀는 친구들과 함께 머물면서 생각을 정리하고 어느 정도
자신의 상황을 파악할 때까지 자신의 요구에 충실하였다.
점차적으로 그녀의 자아는 원래의 자리를 되찾고 그녀는 경고와
공포의 목소리들을 듣고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 마침내 그녀는
남편과 이혼했다. 그리고 일년 후에 그녀는 자신이 올바른 결정을
했다고 확신할 수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서로 상충하는 문제점들을 분류하기 위해서는
갈등을 일으키는 공포와 본능들에 대하여 누군가와 이야기하거나
써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큰 골치덩어리같이 보이던 일이 각각의
문제로 분석되면 자아는 더 이상 압도 당하고 있다는 느낌을 갖지
않게 된다.
(혼돈에 빠진 위원회)는 새롭고도 위협적인 것을 자각한 데 대한
시초의 혼란된 반응에 뒤따르는 일시적이고 단기적인 현상일 수
있다. 자아는 얼마 지나지 않아 질서를 되찾게 된다. 그러나
자아가 질서를 되찾지 못하면 정신적인 혼란이 정신병을 발할 수
있다. 마음 속에 상충되는 감정, 사고, 느낌들이 가득차 있게 되고
더 이상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면 그 사람은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못하게 된다.
7. 총애받는 위원과 감시받는 위원: 펀견을 가진 의장은 어떤 여신
들은 총애하고 다른 여신들은 인식하지 않으려 한다
의장으로서 편견을 가진 자는 오직 몇몇 총애하는 위원회
위원들만을 인식한다. 이 자아는 자신의 필요와 감정과 관점을
표현하는 나머지 여신들을 침묵시킨다. 이 자아는 자신이 보거나
듣기를 원치 않는 것은 무엇이든 감시하고 따라서 표면상으로는
아무런 갈등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총애받는 여신의 지위)는
어떤 때는 몇 여신이, 어떤 때는 한 여신이 차지하기도 하는데
그녀의 관점이 지배적인 것이 된다. 자아는 바로 이 여신들과
동일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총애받지 못하는 여신들의 관점과 관심사는 억눌려지고
그들은 말이 없거나 심지어는 위원회에 모습을 보이지도 않는다.
그 대신 그들의 영향력은 위원회 회의실 밖에서 느껴지는 것으로
의식 밖에서 영향을 미친다. 행동, 정신, 신체적인 증상들 그리고
분위기가 이들 감시받는 여신들의 표현이다.
(행동으로 보여주는 것)은 상충된 감정으로 인하여 생긴 긴장을
줄이는 무의식적으로 유발된 행동이다. 한 예로 결혼한 바바라
Barbara는 누이인 수잔 Susan이 항상 자기 차를 얻어탈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싫었다. 그러나 자기가 이기적이라고 느끼거나
죄의식을 갖지 않고서는 거절을 할 수 없었고 화를 내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기 때문에 화를 낼 수도 없었다. 따라서 그녀의
자아는 의장으로서 헤라와 데미테르의 편을 들었다. 이 두 여신은
그녀가 남편 친척들을 잘 보살피고 돌보는 좋은 아내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녀의 자아는 남을 보살피는 것을 싫어하는 처녀
여신들을 억눌렀다. 내적인 긴장이 점차 쌓여 가고 그녀는 이를
(행동)해 버림으로써 해소하였다. 바바라는 수잔을 데리러 가야
하는 약속을 잊은 것이다. 의도적으로 수잔을 세워두는 것은 매우
적대적일 수 있는 것으로 아르테미스나 아테나라도 쉽게 제안하지
할 일이다. 그러나 잊어버림으로써 바바라는 자신의 적대감을
해소하고 수잔 습관을 꺽어 떠놓았다. 그리고 바바라는 자신의
분노와 독립에 관한 주장에 해서는 무고할 수 있었다.
내 환자 중의 한 사람이 또 다른 좀더 적절한 예가 될 것이다.
그녀는 중요한 영화의 조연역을 뽑는 오디션에 참가하게 되어
있었다. 배역을 뽑는 감독은 그녀가 그 역할에 꼭 들어맞는다고
생각하고 그녀에게 일을 한번 해보자고 하였다. 그것은 그녀에게
중요한 기회였다. 이 서른살 먹은 여배우는 작은 소극장의
단원으로서 그 극장 감독과 동거를 했다. 그들은 질질 끄는 관계를
삼년간 지속해 왔다.
그녀는 어떤 면에서 자신이 그보다 더 성공하게 된다면 그가
이를 참아내지 못하리라는 점을 알고 있었다. 그러나 그녀는 그
사실과 그를 있는 모습 그대로 볼 수 있는 일련의 통찰력을 함께
억누르고 있었다. 그 영화에 대한 기회가 왔을 때 그녀는 오디션을
준비하고 마지막 순간까지 리허설을 했는데 너무나 열중한 나머지
(시간을 놓치고 말았다. ) 그녀는 약속을 잊어버리고 말았던
것이다.
따라서 그녀는 비록 자신이 그 역할을 원하고 의식적으로 노력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상충된 감정을 행동으로 발산해 버린
것이다. 아르테미스가 그녀에게 야망을 주고 아프로디테가 그녀의
재능을 표현하도록 도와주었다. 그러나 그녀는 역할을 맡게 되어
자신의 관계를 시험당하는 것을 무의식중에 두려워했다. 헤라는
관계에 우선을 두게 하고 데미테르는 그 남자가 위협받고 못난
사람처럼 느끼게 하는 것으로부터 방어해 주었다. 그녀가 그
역할을 시도해보지 않기로 한 결정은 무의식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생각하는 것이 몸에 나타나는 정신신체 상관의 증상들은
감시받는 여신들의 실현일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아테나 특성을
지녀서 결코 도움을 청하거나 다른 사람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독립적인 여성은 천식이나 궤양에 걸릴 수 있다.
아마도 이것이 그녀의 자아가 의존적인 페르세초네로 하여금
어머니의 보호를 받을 수 있게 하는 유일한 방도인 것이다. 아니면
너그럽고 푸근한 어머니 유형은 불안정한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그녀가 자아를 상실한 듯 보일 때는 그녀의 혈압은
정상에서 매우 높게 솟구칠 수 있다. 비록 그녀는 자신의 우선
순위에 집중할 수 있을 만큼의 아르테미스를 갖지 못하고 있으나
다른 사람의 필요에 우선적으로 반웅할 때 긴장과 분노를 느낀다.
분위기 또한 감시받는 여신을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 행복하게
결흔한 여성이 자기와는 다른 길을 간 친구들에 대하여 들을 때 저
멀리 외떨어진 듯한 느낌은 그녀 내부의 처녀 여신들이 일깨워지는
것을 뜻할 수 있다. 생리중에 직업여성이 느끼는 막연한 불만은
충족되지 못한 데미테르일 수 있다.
8.변속하기: 몇몇 여신들이 번갈아 나타날 때
몇 여신들이 번갈아 지배적인 영항력을 행사할 때 여성은 자신이
한 사람이 아닌 몇 사람처럼 느껴진다고 묘사한다. 예를 들자면
케롤린 Carolyn은 일년에 몇백만 불의 보험 실적을 을린다. 그녀는
가장 우수한 사원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고객들을 적극적으로
찾아다닌다. 일을 할 때 그녀는 아테나와 아르테미스의 효과적인
결합이다. 사업상의 호랑이가 집에 오면 얌전한 고양이가 되어서
내면적인 헤스티아가 조용한 기쁨을 느끼듯이 집과 정원을 가꾸는
것이다.
레슬리 Leslie는 그녀가 다니는 광고회사에서 이상적인
여성이다. 그녀의 광고 문안은 그야말로 반짝거린다. 그녀의
창조력과 설득력은 그녀를 매우 능력있는 사람으로 만든다. 그녀는
아르테미스와 아프로디테의 다이나믹한 결합이
면서도 그녀의 남편에게는 얌전한 페르세포네로 변신한다. 이 두
여성은 기아를 변속하여 인격의 한 면에서 다른 면으로 옳겨
가듯이 두명의 다른 사람처럼 행동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매일의
이런 변신이 그들에게는 아주 자연스럽다. 각 상황에서 그들은
저마다 진정한 모습을 느끼는데 이 는 그녀 내면의 여신들이
차례대로 나타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성격의 변화, 다시 말해 이것이냐 아니면 저것이냐를 선택하는
심리유형에 관해 아는 것은 많은 여성을 혼란시키기도 하고 즐겁게
하기도 하는데 그들은 자신이 어떻게 느끼느냐에 따라서 대답이
달라진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그들 이 공적인 자아인가, 사적인
자아인가,어머니인가,미술가인가, 즉, 어떤 자아로서 반응하느냐에
따라,또는 그들이 흘로 있을 때와 함께 있을 때 어떻게 반응
하느냐에 따라 답이 달라진다. 따라서 성격 프로필은 그 여성
내부의 (어느 여신)이 일을 떠맡느냐에 달린 것처럼 보인다. 한
여성 심리학자가 표현한 대로,"파티에서 나는 매우 외향적이지요.
이것은 내가 그런 가면을 써서가 아니라 진정한 내 자신의
일부이기 때문에 아주 멋진 시간을 보낼 수 있지요. 하지만 연구에
몰두할 때에는 난 매우 딴 사람이 된답니다. "그녀는 어떤
곳에서는 외향적이고 감정적으로 민감하고 관능적인 활달한
아프로디테다. 또 다른 곳에서는 주의깊게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하여 깊이 있는 사고를 하고 조심스럽게 증거를 수집하여
증명하는 명석한 아테나인 것이다.
여성의 성격을 지배하는 하나의 대표적인 여신 유형이 있을 때
그녀의 심리유형 검사는 응 학파 이론에 부합한다. 그녀는 외부의
싸건과 사람들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외향적인 사람이거나 아니면
자신 내면의 느낌에 충실한 내성적인 사람일 것이다. 그녀는
사람과 상황을 판단하기 위해서 사고를 사용하거나 아니면 감정을
사용한 것이다. 그리고 오감을 통해 얻어진 정보를 신뢰하거나
아니면 직감에 의존한다. 때때로 생각, 느낌, 지각, 직관 네 기능
중에서 하나만이 잘 발달할 수 있다.
둘 혹은 그 이상의 지배적인 여신 원형을 갖고 있는 여성은 한
심리유형에 꼭 부합하지는 않는다. 상황과 영향력을 미치는 여신에
따라서 외향적일 수도 있고 내성적일 수도 있는 것이다. 먼저
경우에는 외향적인 아르테미스나 데미테르가 황금사과를 지닐 수
있고 나중 경우에는 내성적인 헤스티아나 페르세포네에게 이를
건네주는 것이다.
융 이론에 따르면 사고하고 느끼는 것은 평가하는 기능이고
지각하고 직관하는 것은 통찰하는 기능이다. 이 넷 중 하나가 가장
발달했을 때, 그 반대편은 이론상 장 덜 의식화된 것이다. 이
이론은 전체 성격을 지지하는 여신 유형이 하나일 때 맞는다.
아테나 여성은 명확하게 사고하며 특성상 느낌을 받아들이는
능력은 거의 없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여신이 영향력을 미칠 때,
이 이론은 맞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아르리미스가 아페나와 함께
동시에 활성화된다면 융 이론과는 달리 느끼는 것과 사고하는 것이
똑같이 개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성 내부에서 여신들이 협력하여 서로 순번을 지키는
상황하에서는 어느 여신이 황금사과를 차지하는가는 상황과 과제에
달려 있는 것이다
9. 의식과 선택
일단 여성이 (그녀의 신중히 관찰하는 자아를 통하여) 여신
원을들에 대하여 알게 되고 내면 과정의 상징으로서 위원회를
자각하게 되면 그녀는 두 개의 매우 유용한 통찰 도구를 갖게
된다. 그녀는 예민한 귀로 내면의 목소리에-누가 야기를 하는가,
그리고 어느 여신이 자신에게 영향력을 미치는가-귀기울 일 수
있다. 이것이 그녀가 해소해야 할 갈등을 일으키는 내면의
욕구들을 대표한다면 그녀는 주파수를 맞추어서 각 여신의 필요와
관심사를 들은 뒤 그녀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쪽으로 결정을 내릴 수 있다.
만약 어떤 여신이 개발되지 못하여 잘 인식되지 못하고 오직
동으로 보여지는 에피소드나 정신신체학적 증상이나 분위기로밖에
표현되지 못한다면 그녀는 이들의 정체를 알기 위한 시간과 주의가
필요하다. 원형 유형에 대한 생각과 어떤 여신 원형이 있는가에
대한 지식은 그녀로 하여금 주의깊게 살펴야 할 여신들의 원형을
파악할 수 있게 도와준다.
모든 여신들이 여성 내부에 내면화된 유형인 만큼 각
여성들은특정 여신과 더 친숙해질 필요가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이런 경우에 특정 여신의 힘이나 영향력을 강화시키려는
노력은 성공적일 것이다. 예를 들자면 다나 Dana가 논문을 쓸 때
도서관에서 자료를 찾는 작업은 그녀에게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그러나 자신이 사냥을 하는 아르테미스라고 상상하자, 그녀는
자신이 필요로 하는 글들을 찾는 도서관 일이 수월해졌다. 자신을
아르테미스라고 생각으로써 임무를 완수하는 데 필요한 힘이
활성화된 것이다.
능동적으로 여신을 상상하는 것은 그 여성의 심리 내면에
활동하는 원형을 아는 데 도움을 준다. 그녀는 여신의 모습을
형상화해 볼 수도 있다. 그러면 일단 그녀 마음에 생생한 이미지를
갖게 된다면, 이 형상화된 모습과 대화를 나
눌 수 있는지 살펴보자. 융이 발견하여 이름붙인 (능동적인 상상력
affiveimagi-natio근을 사용하여 그녀는 질문을 하고 답을 얻을
수도 있다. (능동적인 상상력)을 사용하는 여성은, 자신이
의식적으로 만들어 내지 않은 대답을 수용적으로 듣는다면 자신이
마치 진정한 대화를 하고 있는 듯하다는 사실을 발견하는 데 이는
그녀의 일부인 원형의 모습에 대한 지식을 증가시켜 준다.
일단 그녀가 서로 다른 내면의 목소리를 알게 되면 그리고 서로
다른 우선순위와, 경쟁하는 충성심에 대하여 듣거나,
보거나,느끼게 되면,그녀는 그들을 분류하고 자신에게 어느 정도
중요한가 가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그녀는 의식적인 선택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갈등이 생겼을 때 그녀는 어느 것을 우선
순위에 놓아야 할지 그리고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할지 결정한다.
결과적으로 그녀의 결정은 내면의 전쟁을 일으키는 대신 내면의
갈등을 해소하게 되는
것이다. 단계적으로 그녀는 반복해서 그녀 자신을 원한여 어느
석신익 충금사과를 가질 것인가를 결정함으로써 의식적인
결정권자가 되는 것이다.
제14장
모든 여성에게는 자신만의 주인공이 있다
모든 여성에게는 자신만의 잠재적인 영웅이 있다. 그녀는
출생에서부터 시작하여 일생 동안 지속되는 인생 여정 이야기의
주인공이다. 그녀가 자신만의 길을 여행하면서 당연히 고통과
외로움을 느끼고 상처를 입기도 하고 확신에 차있지도 못하며
자신의 한계를 알게 된다. 또한 그녀는 의미를 발견하고 장점을
개발하며 사랑과 은총을 경험하고 지혜를 배우게 된다.
그녀는 자신이 내린 선택, 남을 신뢰하고 사랑할 수 있는
능력,경험으로부터 깨우침을 얻을 수 있는 능력, 관여할 수 있는
능력에 의해서 모양 지워진다. 어려움이 닥쳤을 때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생각해서 무엇을 할 것인가를 결정하고 자신의 가치관과
느낌에 걸맞는 행동을 취하게 되면 그녀는 자신의 신화의 주인공인
영웅으로 행동하는 것이다.
인생이 선택할 수 없는 상황들로 가득차 있긴 하지만 항상
결정의 순간들 즉, 사건을 결정하거나 특성을 바꾸는 결정점들이
있기 마련이다. 그녀 자신의 영웅 여행에서 주인공이 되기
위해서는 그 여성은 자신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는 태도를
취하여야만 한다. 이 전제에서부터 삶을 시작함으로써 뭔가 일어날
수 있다. 그 여성은 결정권자가 되고 자신이 어떻게 될 것인가를
모양짓는 영웅이 될 수 있다. 그녀가 어떤 일을 하느냐 하지
않느냐, 그리고 어떤 태도를 취하느냐에 따라서 성장할 수도
쇠약해질 수도 있다.
내 환자들은 그들에게 어떤 일이 일어났느냐가 그들을
모양지우는 것이 아니고 그들 내면에서 무엇이 일어났느냐가
차이를 만들어 낸다는 사실을 내게 깨우쳐 주었다. 그들이
안팎으로 어떻게 느끼고 또 반응하느냐가, 그들이 직면한 상황의
불리함보다 그들이 어떻게 되느냐에 더 큰 영향력을 끼쳤다. 한
예로, 나는 굻주림과 난폭함, 몰매, 그리고 성적 희롱에 가득차
있던 유년 시절을 견디어낸 사람들을 만났다. 더군다나 (기대와는
달리) 그들은 자신들을 괴롭혔던 어른처럼 되지 않았다. 그들이
경험했던 모든 나쁜 것들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그때나 지금에나
변함없이 다른 사람에게 애정을 갖고 있었다. 악몽 같은 경험들의
흔적은 남아 있지만 그들은 상처입지 않고 남을 사랑하고 신뢰하고
희망하는 온전한 자아를 보전하고 있었다. 내가 그 이유를
캐어들어 가면서 나는 여주인공 heroine 과 희생자 victim 간의
차이를 점차 이해하게 되었다.
어린 시절 그들은 스스로 무시무시한 연극에 나오는
주인공이라고 생각하였다. 각각은 내면의 신화, 환상의 세계,
그리고 상상 속의 친구를 갖고 있었다. 난폭한 아버지로부터 매를
맞고 모욕을 당하면서도 의기소침한 어머니로부터는 아무런 도움도
받지 못하고 자란 한 딸은 어렸을 때 이 무식한 가족과는 아니다
상관이 없다고, 그녀는 진짜 공주인데 호된 시험을 당하고 있다고
상상하면서 컸음을 회상하였다. 매맞으면서 성적 희롱을 당하면서
큰 또 다른 어린이는 어른이 되어서도 성격을 제대로 형성하지
못한 채 (구타당하면서 큰 어린이들은 결국에 가서는 자신의
아이를 또다시 구타한다) 생생한 환상의 삶으로 도망쳤는데 그
삶은 매우 다른 것이었다. 세번째 유형은 스스로를 전사로
생각하였다. 이들은 나이가 찼을 때 어떻게 하면 이 가족에게서
도망칠까를 미리 생각하고 계획해 두었다. 그 사이에 대응 방법을
결정하였다. 어떤 사람은 "나는 우는 것을 누구에게도 보이지
않으려고 했어요"라고 말했다. (그녀는 그 대신에 남들이 안보는
데서 눈물을 훔쳤다.) 또 어떤 이는 "나는 마음이 몸에서 떠났다고
생각했어요. 그가 내 몸에 손대기 시작할 때마다 나는 어디론가
가고 없는 거죠"라고 말했다.
이 어린이들은 주인공이자 결정권자였다. 그들은 자신이 어떻게
취급받는가와는 별도로 자아감각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들은
상황을 평가해 그 경우에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를 정하고 미래에
대한 계획을 세워 두었다.
주인공으로서 그들은 단순한 인간보다 훨씬 강하고 보호받는
그리스 신화의 아킬레스나 헤라클레스 같은 반신 deli-god써럼
(만화에 나오는 초인간이나 존웨인같이) 강하거나 힘이 있지
못하였다. 조숙한 인간 여주인공들인 이 어린이들은 숲속에
버려졌을 때, 또 마녀가 저녁 식사용으로 헨젤을 살찌웠을 때
자신의 지혜를 사용해야만 했던 헨젤과 그레텔에 더 가깝다. 이
어린이들은 리차드 아담스 Richard Adams의 소설 워터십 다운
Ware,ship low륵에 나오는, 새집의 꿈을 쫓던 토끼들과 비슷하다.
그들은 작고 힘없는 존재로, 참고 기다리면 나중에 더 좋은 곳에서
살게 되리라는 마음 속의 신화로 지탱하고 있었다.
진 오웰 Jean M.Auel의 소설, <<동굴곰 씨족 The Clan of the
Cave Bear>>과 <<말들의 계곡 The Valley of Horse>>에서 영적인
여행을 하는 아일라 Ayla는 선사시대 빙하기 유럽의 신화적인
영웅이다. 시대와 세부사항이 다르고 매우 극적이 긴 하지만 그
주제는 현대 인간 영웅들이 직면하고 있는 것과 놀랍도록
흡사하다. 계속해서 아일라는 적이나 위험에 직면하여 어떻게 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그녀는 그녀를 평가절하하고 그녀가
여자라는 이유로 수 있는 일을 제한하는 크로마뇽 문화 속에서
자란 신석기 시대의 고아였다. 극 문화 속에서는 그녀의 외모,
의사소통과 주장하는 능력,용기와 사고력 토두가 그녀에게
불리하게 평가되었다. 그러나 선택하지 않은 상황에 반응할 때
그녀는 용기가 치솟는 것이었다. <말들의 계곡>에서 오딧세이
이야기의 전개는 (인간 영웅들에 의
한 전형적인 여행처럼) 영웅적인 질문으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그녀와 비슷한 사람들을 찾기 위한 여행에서 시작되었다. 유사하게
실제 인간 여성의 인생 이야기에서도 여걸의 신화에서처럼 다른
사람에 대한 감정 또는 사랑의 끈이 핵심적인 요소가 된다. 여자
영웅은 사랑을 하거나 사랑하는 법을 배운 사람이다. 그녀는
자신의 뜻으로 동행인과 함께 여행하거나 친구를 찾아서 아니면
친구를
되찾기 위해서 여행을 한다.
1. 가야할 길
모든 길에는 결정을 내려야 하는 중요한 분기점들이 있다. 어느
길을 택할것인가, 어느 길을 따라갈 것인가? 자신의 원칙에 일관된
길을 갈 것인가, 아니면 다른 사람을 따라갈 것인가? 정직하게,
아니면 속임수를 쓸 것인가? 대학을 갈 것인가, 직장을 가질
것인가? 아이를 낳을 것인가, 낙태를 할 것인가? 관계를 청산할
것인가, 유지할 것인가? 결혼을 할 것인가, 청혼을 거절할 것인가?
가슴에 멍울이 생겼을 때 즉시 의사를 찾아갈 것인가? 학교나
직장을 그만둘
것인가,아니면 뭔가 다른 것을 찾을 것인가? 이혼을 불사하고 불륜
관계를 가질 것인가, 아니면 결혼 생활을 지속하기 위해서 포기할
것인가?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어떤 길을 갈 것인가? 어떤
대가를 치를 것인가?
나는 대학 경제학 과목의 한 강의를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는데
세월이 흘러가면서 나는 그것이 심리학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어떤 물건의 창 값은 그것을 얻기 위해서 우리가 포기하는
것이다. 즉 그것은 우리가 택하지 않은 것이다. 결정을 하는 데
따르는 책임감은 매우 중요한 것이며 쉽지 않은것이다. 여주인공이
되는 것은 그녀가 바로 그렇게 행동하기 때문이다.
이와는 반대로 주인공이 아닌 여성은 다른 사람의 결정에
따른다. 이것이 그녀가 원하는 것인가를 능동적으로
결정하기보다는 그녀는 반신반의하면서 받아들인다. 그 결과는
종종 스스로를 희생자로 만든 사람으로 (일이 일어난 후에)이렇게
말한다. "이것은 진정 내가 원하던 것이 아니었어. 이건 당신의
생각이었어," "이렇게 일이 엉망이 된 것도 일이 이 지경이 된
것도, 또 이렇게 불행해진 것도 모두 당신 탓이야.") 아니면
그녀는 희생자처럼 느끼고, "우리는 항상 네가 원하는 대로
해왔어!"라고 남을 탓한다. 그녀는 자신의 위치를 확고하지
못했다는 것을 결코 깨닫지 못한다. 아주 간단한 질문부터,-"오늘
밤에 무엇을 하고 싶지?" 했을 때 그녀의 대답은 "뭐든지 당신이
원하는 대로."-그녀의 무관심의 습관은 계속 자라서 마침내는
그녀의 인생이 자신의 손을 떠나게 된다.
또 다른 비영웅적인 유형이 있다. 그것은 인생의 갈림길에 선
여성이 자신이 어떻게 느끼는지가 불분명하고 우유부단하며 어떤
가능성도 놓치고 싶지 않아서 결정을 미루는 여성이 사는 삶이다.
그녀는 종종 영리하고 재능 있고 매력적인 여성으로 인생을
진지하게대하지 않고 너무 심각한 관계가 되면 도망가고 너무나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청하는 직장에서도 달아나려고 한다. 물론
그녀의 우유부단한 자세는 현실에서 행동하지 않겠다는 것을
선택한 것이다.그녀는 갈림길에서 뭔가를 기다리며 십년을 보낼
수도 있는데 뒤늦게서야 인생이 그녀를 스쳐가 버렸다는 것을 알게
된다.
따라서 여성은 수동적인 사람이거나 희생양, 상황이나 다른
사람에 의해서 움직이는 볼모가 아니라 결정권자이자 주인공이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주인공이 된다는 것은 내면적으로
상처받기 쉬운 여신 원형에 지배받아 왔던 여성에게 주는 새로운
가능성이다. 자신을 주장하는 것은 얌전한 페르세포네였던
여성이나, 헤라처럼 항상 남자 우선이었던 여성, 또는
데미테르처럼 모든 사람의 필요를 보살펴 왔던 여성에게는
영웅적인 과제이다. 이렇게 하는 것은 또한 그들이 자라온 방식에
대한 거역이기도 하다.
더군다나 결정권자-주인공이 되는 것은 이미 자신이 그렇다고
잘못 알아온 많은 여성들에게 충격이다. 처녀 여신으로서 그녀들은
이미 아테나처럼 심리적으로 무장하였거나 아르테미스처럼 이미
남자들의 의견에서 벗어났거나 혜스티아처럼 자아 충족적이고
독자적일 수도 있다. 그들의 영웅적인 임무는 친밀함의 위험을
무릅쓰고 감정적으로 상처받기 쉽게 되는 것이다. 그들에게 있어서
용기가 필요한 선택들은 누군가를 신뢰하고 다른 사람을 필요로
하고 다른 사람에 대해서 책임을 지는 것이다. 이런 여성들에게
있어서 이 세상에서 웅변하거나 위험을 떠맡는 것은 쉬운
일들이다. 그들에게 결혼을 하는 것과 어머니가 되는 것은 용기를
필요로 하는 일이다. 여주인공-결정권자는 그녀가 갈림길에 서
있을 때마다 싸이키의 첫번째와 제인 씨앗 분류하기를 되풀이해야
한다. 그리고 그때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결정해야 한다. 그녀는
그 상황 속에서 그녀의 우선 순위와 동기, 잠재성을 분류 하기
위하여 잠시 멈추어야 한다. 그녀는 어떤 선택들이 있는지 어떤
감정적인 대가를 지불해야 하는지 어디에서 결정을 유출해 내야
할지 무엇이 직감적으로 그녀에게 가장 중요한가를 잘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자신이 어떤 존재인가 하는 것과 자신이 무엇을 알고
있는가에 기반하여 어느 길을 택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여기서 나는 다시 한번 나의 첫번째 책, <도교로 설명하는
심리학 The Taoof Psy.hology>에서 발전시킨 주제에 접근하게
된다' (가슴으로 길을) 선택할 필요성, 우선 심사숙고하고 그
다음엔 실행에 옳겨야 하고 합리적인 사고로 모든 인생의 선택들을
훌어보고는 자신의 가슴이 요구하는 대로 선택하여야 된다고 나는
생각한다. 그 어느 누구도 자신의 가슴이 요구하는 바를 말해줄 수
없고 논리로 답이 구해지지도 않는다. 때때로 한 여성이 그녀
인생에 큰 영향을미칠 양자택일의 선텍에 직면했을 때 누군가 다른
사람이 그녀 마음을 정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수가
많다"결혼해라!', '아이를 가져라!', '집을 팔아라!', '직업을
바러라', '관둬라!', '이사해라!', '허락해라!', '거절해라!' 그
여성은 참을성없는 상대방으로 인해 마치 자신의 심장이
압력밥솥에 들어간 듯한 상태에서 결정을 강요받는 수가 있다.
그녀는 이것이 자신의 인생이고 그 결과를 안고 살아야 하는 것도
자신이라는 것을 자각하고 자신의 시간을 충분히 갖고 스스로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주장할 필요가 있다.
명확한 사고를 개발하기 위해서 그녀는 또한 성급하게
결정하려드는 내적인 압박감에 저항할 필요가 있다. 처음에는
아르테미스나 아프로디테, 헤라나 데미테르가 그들의 성격적인
강렬함이나 본능적인 반응으로 인해 지배적인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 여신 원형들은 헤스티아의 느낌이나 페르세포네의
자기분석 혹은 아테나의 냉정한 사고를 어지럽히려 들 수 있다.
그러나 이 나중 여신들은 하려고만 들떤 그 여성에게 보다 완벽한
청사진을 제공하여 그녀가 모든 측면을 고려해서 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2. 여정
자신이 여주인공인 여행을 하다 보면 그녀는 과제나 방해물 혹은
위험에 직면하게 된다. 그녀가 여기에 어떻게 반응하느냐와 무엇을
행하느냐가 그녀를 변화시킨다. 점차적으로 그녀는 자신에게
중요한 것이 무엇인가를 발견하고 그녀가 아는 바대로 행동할
용기가 있는지 없는지를 알게 된다. 그녀의 성격과 동정심이
시험을 받게 된다. 한편으론 그녀가 자신의 힘이 더 확실히 알게
되고 자신의 자긍심이 커질 때 혹은 공포에 빠져 있을 때, 동시에
자기 성격의 어둡고 그림자진 측면들과 마주치기도 한다. 그녀가
상실, 한계, 혹은 패배를 경험함에 따라 그녀는 아마도 슬픔의
감정을 알게 된다. 여주인공의 여행은 발견과 발전의 여행으로
그녀의 모든 측면을 통합하여 하나의 전체로, 그러면서도 복합적인
성격으로 묶어내는 작업인 것이다.
3. 뱀의 위력에 대한 재선언
모든 여주인공은 뱀의 위력을 다시금 선언해야만 한다. 일의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여신들에게로 또 여성의 꿈으로
되돌아 가야 할 필요가 있다.
많은 헤라의 동상들에는 뱀들이 옷자락에 휘감겨 있고 아테나의
모습은 뱀이 그녀의 방패를 감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뱀은
그리스 전 고대 유럽의 위대한 여신 Greatess Goddess의
심벌이었으며 한때 여신이 지녔던 위력을 상징하는 회상물의
역할을 한다. 이런 류의 그림 중 유명한 초기 작품 중의 하나는
가슴을 다 내놓고 무기를 뻗쳐들고 양손에 뱀을 든 여신의
모습이었다.
여성이 자기 인생이 자신의 손 안에 있음을 지각하기 시작할 때,
뱀은 종종 그 여성이 꿈속에서 조심스럽게 접근하는 미지의 두려운
상징으로 나타난다. 한 예로 결혼했다가 금방 이혼하여 혼자가 된
서른살 여성의 꿈은 이러했다. "내가 산길을 가고 있었는데 앞을
바라보면서 끈 나무 밑을 지나가게 되었어요. 커다란 암뱀이
평화롭게 나무 밑등에 감겨 있었어요.나는 그 뱀이 독이 없다는
것을 알았고 두려워 하지도 않았어요. 사실 그 뱀은 아름다왔지만
나는주저했지요." 이와 비슷한 많은 꿈을 꾸게 되는데 거기에서
꿈꾸는 자는 그 뱀을 공포스럽거나 위험한 것으로 여기기보다는 그
뱀의 힘을 자각하거나 경외하는 것이다. "뱀이 내 책상 밑에
또아리를 틀고 앉아 있었어요......나는 앞뜰에 뱀이 또아리를
틀고 있는 것을 봤어요......뱀 세 마리가 내 방에 있었어요......
여성이 자신의 권위를 주장하거나 어떤 결정을 하거나 자신만의
정치적인, 심리적인, 혹은 개인적인 힘을 알게 될 때면 언제나
뱀꿈을 꾸는 것이 보통이다. 뱀은 이 새로운 힘을 대표하는 것처럼
보인다. 상징으로서 뱀은 여성 속에있는 남성적 요소를 대변하는
남근 숭배 또는 남성적인 힘과 함께 여신들이 예전에 지녔던 힘을
대표한다. 때때로 꿈꾸는 자는 그것이 암뱀인지 수뱀인지 알기도
하는데 이는 그 뱀이 상징하는 힘의 종류를 명확히 하는 데 도움이
된다.
꿈에서처럼 깨어 있는 동안 이 꿈꾼 자는 그녀가 높은 자리나
자율성을 발휘할 수 있는 자리에서 새 역할을 하게 된 후에 생겨난
문제들을 극복하고 있을수도 있다. 예를 들면, "내가 효율적일 수
있을까?", "이 역할이 나를 어떻게 변화시킬까?", "만약 차가
강해진다면 사람들은 계속 나를 좋아해 줄까?", "이 역할이 내게
가장 소중한 관계들을 위협할 것인가?" 만약 자신의 잠재력을 결코
느껴보지 못했던 여성이 이런 꿈을 꾸었다면 이는 마치 그녀에게
꿈속에서 미지의 뱀에게 그랬던 것처럼 자신의 새로운 힘에 매우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한다고 말하는 듯하다.
나는 그들 자신의 힘과 권위의 감각을 획득하는 여성을 가부장제
종교가 여신들의 힘과 영향력을 뺏아버리고 에덴 동산에서 뱀을
악마로 규정짓고 여성을 열등한 성으로 만들었을 때 여신들과 인간
여성들이 잃어버렸던 (뱀의 위력을 재선언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내게 떠오르는 영상을 여성이 힘과 아름다움과
보살피는 능력을 가지고 새로이 나타날 가능성으로 여긴다. 그
영상은 아름다운 여성이나 여신의 상으로 (로마의 떼르메 박물관에
있는 데미테르라고생각되는데) 양손에 곡식다발과 꽃 그리고 뱀을
든 채로 땅에서 솟아나온 모습이다.
4. 곰의 힘에 저항하기
여주인공-결정권자는 그녀의 남자짝과는 달리 넘치는 모성
본능의 힘 때문에 위협받을 수 있다. 그 여성이 만약 아프로디테와
데미테르에 저항하지 못한다면 적절치 못한 시기나 불리한 상황
속에서 임신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그녀는 자신이 선택한 길에서
멀어지게 된다. 결정권자가 자신의 본능의 포로가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한 대학원 여학생은 임신을 하고 싶은 욕망에
사로잡혀 자신외 목표를 거의 망각하고 있었다. 아이를
가져야겠다는 생각에 빠져 있었을 당시 그녀는 결혼을 한 상태에서
박사학위를 얻기 위해 공부하고 있었다. 그러는는 동안에 그녀는
꿈을 꾸었다. 꿈속에서 커다란 암곰이 그녀의 팔을 물고는 놔주지
않았다. 그녀는 허망하게도 자신의 몸을 빼려고 노력하였다.
그리고 그녀는 몇 남성에게 도움을 청했지만 아무 소용이 없었다.
꿈속에서 그녀는 샌프란시스코 메티칼센터 앞에 있는 동상을
생각나게 하는 엄마곰과 새끼곰의 동상 앞에 올때까지 헤매었다.
그녀가 손을 그 동상 위에 얹자 곰은 그녀를 놓아 주었다.
그녀가 꿈에 대해서 생각했을 때 그 곰이 모성 본능을
상징한다고 느꼈다. 진짜 곰들은 연약한 새끼들을 매우 잘
보살피고 보호 본능이 굉장히 강한 아주 훌륭한 어미들이다.
그리고 다 자란 새끼곰들이 자신의 힘으로 살아야 할 때가 오면 그
어미곰은 자신 곁을 떠나려 하지 않는 새끼들을 심하게 내몰면서
넓은 세상으로 나가 자신들을 스스로 지키라고 고집한다. 이러한
모성의 상징이 그꿈을 꾸는 이를 꽉 붙잡고 그려가 모성적인 곰의
영상에 손을 댈 때까지 손을 놓아주지 않았던 것이다.
꿈꾼이에게 이 꿈이 전달하는 바는 명확하다. 만약 아이를
갖으려는 생각을 학위를 끝마칠 때까지 보류하도록 약속하기만
한다면 지금 임신을 해야겠다는 집착은 멀리 사라질 것이다.
그리고 물론 그녀가 학위를 마치자마자 아이를 갖기로 남편과
합의를 보고 마음 속으로도 약속을 한 뒤 그 집착은 사라졌다.
임신에 대한 생각에 방해받지 않고 다시금 그녀는 공부에 몰두할
수 있었다. 영상을 쥐고 있는 한, 본능은 그 힘을 잃는다. 그녀는
직장과 가정을 모두 지키기 위해서는 박사 학위를 받을 때까지
곰의 힘에 저항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원형들은 여성의 현실이나 필요에는 상관하지도 않고 시간 밖에
존재한다. 여신이 영향력을 행사할 때 여주인공으로서 여성은 그
요구에 대하여 된다, 안된다, 혹은 "지금은 안돼"라고 말할 줄
알아야 한다. 그녀가 의식적인 선택권을 행사하지 않는다면
본능적이거나 원형적인 유형이 그녀를 정복할 것이다. 그녀가 모성
본능에 붙잡혀 있다면 그 여성은 곰의 힘에 저항하면서도 이의
중요성을 존중할 필요가 있다.
5. 죽음과 파괴로부터 보호하기
영웅적인 신화에서 모든 주인공들은 그녀의 여정에서 뭔가
파괴적이거나 위험한 것들과 마주치게 되는데 이는 그녀를
파괴시킬 수 있는 것들이다. 이것은 또한 여성의 꿈속에서 매우
흔한 주제이다.
예를 들면, 한 여성 변호사는 꿈을 꾸었는데 자신이 어린 시절에
다니던 교회 밖으로 걸어 나왔을 때 사나운 개 두 마리가 그녀를
공격하였다. 그 개들은 그녀에게 뛰어올라 목을 물려고 하였다.
"마치 그들이 급소를 물어뜯으려는 것처럼 느껴졌어요." 공격을
막기 위하여 팔을 쳐들었을 때 그녀는 그 악몽에서 깨어났다.
그녀가 변호사 사무실에서 일하게 되었는데 그녀는 자신이
취급당하는 방식에 대해 점점 비참함을 느끼게 되었다. 남자들은
그녀를 단순한 비서쯤으로 여기는 듯했다. 심지어 그들이 그녀가
누구라는 것을 알고 있을 때에도 그녀는 종종 보잘것없고 천대받고
있는 것으로 느껴졌다. 이에 상응하여 그녀는 점점 비판적이고
점점 적대적으로 되갔다.
처음에 이 꿈은 그녀가 느끼고 있는 것에 대한 과장,즉 늘,
(공격을 당하고)있는 것을 표상한 것으로 느껴졌다. 그리고 그녀는
그녀 내부에 뭔가 이 사나운 개들 같은 요소가 있지 않나 생각하게
되었다. 그녀는 이 직업을 가지면서 그녀에게 어떤 일들이
일어났는가 생각해 보고 자신이 통찰한 것에 대하여 놀라고 충격을
받았다. "나는 적개심에 불타는 암캐로 변하고 있었어요." 그녀는
발랄했던 모습과 그녀의 어린시절 교회에 다니면서 보냈던
행복했던 시간들을 회상하고 그녀가 그곳에서 (물러 나왔다)는
것을 알았다. 그 꿈은 이를 시사하고 있었다. 꿈꾼이의 성격은
그녀가 느끼고 있고 다른 사람에게 품었던 적대감에 의하여 진짜로
파괴될 위험에 처해 있었다. 그녀는 냉소적이고 적대적이 되었다.
꿈에서와 마찬가지로 현실에서도 (그녀가 미워한 상대방들이
아니라) 그녀자신이 바로 위험에 처해 있었던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신의 부정적인 측면이나 그림자도 파괴적일 수
있다. 헤라가 지닌 질투하고 앙심을 품고 분노한 모습은 독이 될
수 있다. 이런 감정에 사로 잡히게 되고 이를 알고 있는 여성은
앙심을 품기도 하고 자신이 느끼고 행한 것에 대해 섬뜩하게
느끼기도 하면서 휘청거린다. 여신들과 싸움을 벌이고 있는
여주인공인 그녀는 뱀들의 공격을 받고 있는 꿈을 꿀 수도 있다.
(이 뱀들이 상징하는 힘이 꿈꾸는 이에게 위험하다는 점을
의미한다.) 또 어떤 꿈에서는 독사가 꿈꾸는 이의 심장을
파고들었다. 또 다른 꿈에서는 뱀이 꿈꾸는 이의 다리를 독아로 확
물고는 놔주지 않았다. 현실에서 이 두 여성은 배신감을
극복하려고 애쓰고 있었고 악의에 찬 감정으로 압도당할 위험에
처해 있었다. (사나운 개의 꿈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꿈은 두
단계의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이는 그녀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과 그녀 내면에서 일어나는 일의 은유이다.)
꿈꾸는 이에게 위험이 인간의 형태로-즉, 사냥꾼 남자나.여자의
공격을 받는 형식으로 나타나면 그 위험은 종종 적대적인
비판이나.팎괴적인 역할을 뜻한다. (반면 동물은 종종 느낌이나
본능을 대변하는 듯하다.) 를 들면 자식들을 국민학교에 보낸 후
대학에 되돌아온 여성은 몸집이 큰 간수가 그녀의 길을 가로막는
꿈을 꾸었다. 꿈속의 이 인물은 그녀 어머니가 그녀에 대해 내린
부정적인 평가와 그녀 자신이 동일시하고 있는 어머니 역할에 대한
형상화로 보인다. 이 꿈은 이러한 동일시가 자신을 속박하는 것을
암시한다.
내면 형상의 적대적인 평가는 때때로 파괴적이다. 예를 들면
"너는 이 일을 할 수 없어, 왜냐하면 너는 못나고 무식하고 능력
없고 바보이기 때문이야." 어떤 탄원을 해도 그들은 "너는 더 이상
요구할 권리가 없어"라고 말하고 이러한 메시지들은 그녀의
자존심과 좋은 의도를 말살시키면서 그 여인을 패배시킬 수 있다.
이렇게 공격적인 비평을 하는 사람들은 꿈속에서 종종 위협적인
남자로 나타난다. 이러한 내적 비판들은 보통 그녀가 주변에서
받아온 반대와 적대감과 병행한다. 내면의 비평가들은 그녀가
몸담고 있는 가족과 문학가 한 말을 앵무새처럼 되뇌이는 것이다.
심리학적으로 보았을 때 여주인공의 꿈이나 신화에 나타나는
모든 적이나 악마들은 인간 심리에서 그녀를 억누르거나
패배시키려는 파괴적이고 원시적이고 개발되지 못하고 왜곡된 어떤
것 혹은 악을 상징한다. 사나운 개나 위험한 뱀에 대한 꿈을 꾼
여성들은,그들에게 상처를 줄 수 있는 적대적인 행동과 싸우고
있을 때, 또 이와 똑같이 그들 내면에서 일어나는 것에 의해
위협받고 있는 것임을 알아차리게 된다. 적이나 악마는 그녀
심리의 부정적인 측면이나 그림자 같은 요소로서 그녀 내면의
아름다운 마음과 능력을 패배시키려고 위협하는 요소일 수 있다.
적이나 악마는 그녀를 상처 입히고 지배하고 모욕 주고 통제하려는
다른 사람들의 심리이기도 하다. 그리고 종종 그렇듯이 그녀는 이
둘다에 의해 위협을 받기도 한다.
6. 상실과 슬픔을 이겨내기
상실과 슬픔은 여성의 삶과 영웅적인 신화의 또 다른 주제이다.
어느 곳에 든지 누군가 죽거나 누구를 뒤에 두고 떠나야 한다.
대부분의 여성이 자신이 이룩한 업적보다는 자신이 맺고 있는
관계에 의해서 스스로를 정의하기 때문에 관계의 상실은 여성의
삶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누군가 죽거나 그들을 떠나거나
멀리 이사하거나 잃어버리게 되면 이것은 결과적으로 이중의
손실이 된다. 관계 그 자체의 손실과 정체감의 자료로서의 관계의
상실이다. 상대방과의 관계에서 의존적이었던 많은 여성들은
상실의 고통을 경험한 후 에야 주인공의 길을 발견하게 된다. 예를
들면 임신한 싸이키는 남편 에로스의 버림을 받았다. 재결합하려는
과정에서 그녀는 일을 시작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 발전하게 된다.
이혼하거나 과부가 된 모든 연령의 여성들은 인생에서 처음으로
자주적인 결정을 해야만 한다. 한 예로 연인이자 동료였던 이의
죽음으로 아틀란타는 아버지의 왕국으로 되돌아 가게 되는데
거기서 유명한 뜅박질 경주가 열렸다. 이는 관계를 상실한 후에
일을 시작하는 여성의 길과 상응한다. 그리고 아일라는 아들
듀르크를 놔둔 채로 기억과 슬픔만을 지닌 채 동굴곰의 씨족을
떠나도록 강요당한다.
상징적으로, 심리적인 죽음은 우리가 어떤 것 혹은 누군가를
떠나보내도록 강요당하고 상실로 괴로워할 때면 항상 일어난다.
죽음은 우리 자신의 한 측면 일 수도 있고 과거의 역할, 예전의
지위, 혹은 아름다움이나 젊은 특성들로, 이제는 지나가 버리고
아쉬워해야 하는 것들이다. 아니면 그것은 죽음이나 멀리
헤어짐으로 인해 끝나버린 관계일 수도 있는데 그것은 우리에게
슬픔을 남겨준다.
여성 내면의 주인공은 이 상실을 이겨내고 다시 살아날 것인가?
슬퍼하면서도 앞을 향해 나갈 수 있을 것인가? 아니면 그녀는
포기하고 괴로움에 빠지거나 좌절감에 사로잡혀 그 시점에서
여행을 중단할 것인가? 만약 그녀가 중단하지 않는다면 그녀는
주인공의 길을 선택한 것이다.
7. 어둡고 좁은 통로를 통과해 가기
대부분의 영웅적인 여행은 어두운 장소를 지나가게 되어 있는데
산속의 동굴, 지하세계, 미로를 지나 마침내 미의 세계로 나아가게
된다. 아니면 이들은 황폐한 불모지나 사막을 여행하여 초원으로
가게 된다. 이 여행은 좌절의 시기를 통과하는 것과 같다.
실생활에서는 여행자는 계속 움직이고 계속 기능하며 해야 할 일을
해내고 동료와 접촉을 계속하거나 혼자 일을 처리해 가면서
중단하거나 포기하지 않음으로써 어둠 속에서도 희망을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어두움은 분노, 실망, 원한, 비난, 복수, 배신, 공포, 그리고
죄의식의 우울하고 침체된 감정을 나타내는데 이를 통과해야만
사람들은 침체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것은 빛이나 사랑이 없을 때
인생이 무의미하고 질서정연한 농담처럼 느껴지는 영혼의 어두운
밤이다. 슬퍼하고 용서하는 것이 빠져 나오는 길이다. 그런 후에는
생명력과 빛이 되돌아 온다.
신화와 꿈에서의 죽음과 부활이 상실, 침체, 그리고 회복의
은유라는 것을 깨닫는 것은 도움이 된다. 돌이켜볼 때 이러한
수많은 어두운 기간들이 고통의 시간을 통과하는 의식이었으며
이를 통하여 여성은 가치 있는 것을 배우게 되고 성장하게 된다.
아니면 그녀는 얼마 동안 지하세계의 페르세포네처럼 일시적인
포로였다가 나중에 다른 사람의 안내자가 된다.
8. 선험적인 기능을 불러일으키기
일반적인 영웅의 신화에서 여행을 시작한 후에 위험들, 용,
아니면 어두움을 맞닥뜨려 극복하는 과정에서 주인공은 어김없이
곤궁에 처하여 진퇴양난에 빠진다. 양쪽에 모두 불가능한 장벽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아니면 그녀는 길을 열기 위하여 수수께끼를
풀어야 한다. 그녀가 의식적으로 알고 있는 것이 충분치 못할 때
어떻게 해야 할까? 아니면 그 상황에 대한 상반된 감정이 너무
강하여 결정을 내리는 것이 불가능해 보일 때는 위기에 처해 있을
때는? 주인공-결정권자가 모든 길이나 선택이 재앙을 품고 있고
아니면 기껏해야 죽음으로 끝나는 불확실한 상황에 놓여 있다면
그녀가 직면한 첫번째 시도는 자아를 유지하는 일이다. 모든
위기에서 여성은 주인공으로 남아 있는 대신 희생자가 되고 싶은
유혹을 느낀다. 만약 그녀가 주인공으로 남아 있는다면 자신이
어려움에 처해 있으며 패배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러나
그녀는 뭔가 변화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에 매달린다. 만약 그녀가
희생자로 바라면 그녀는 다른 사람이나 박복한 운명을 비난하고
술에 빠지거나 약을 먹게 되고 야비한 비난으로 자신을 공격하거나
아니면 완전히 포기하거나 심지어는 자살까지 생각하게 된다.
아니면 그녀는 완전히 행동하기를 멈추거나 아니면 히스테리에
빠지거나 공포에 질려서 주인공의 자리를 포기하고 누군가 다른
사람이 그 자리를 접수할 때까지 발작적이고 비정상적으로
행동한다.
신화에서건 실생활에서건 여주인공이 딜레마에 빠졌을 때는
그녀가 할 수 있는 일이란 뭔가 기대하지 않았던 도움이 나타날
때까지 자신의 자아를 유지하고 원칙과 충성에 성실하는 것뿐이다.
해결이 나리라는 기대와 함께 그 상황에
머무는 것이 융이 이름한 (선험적인 기능 iranscendenr
funcrio틋에 해당하는 내적인 단계이다. 이 말은 문제를 풀기
위하여,혹은 내면이나 또는 그 이상의 어떤 것으로부터 도움을
필요로 하는 자아(혹은 주인공)에게 길을 보여주기 위하여
무의식으로부터 무엇인가가 솟아오르는 것을 뜻한다.
예를 들면 에로스와 싸이키의 신화에서 아프로디테는 싸이키에게
그녀가 알고 있는 바로는 도저히 해결할 수 없는 네 개의 과제를
준다. 그때마다 처음에 그녀는 과제에 압도당했지만 그 뒤 개미,
푸른 갈대, 독수리, 그리고 탑의 도움이나 충고를 받게 된다.
마찬가지로 히포메너스는 그녀를 사랑하기 때문에 아틀란타를
이기기 위해 경주에서 경쟁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경주
전날 저녁 그는 아프로디테에게 도움을 청하는 기도를 올렸으며
아프로디테는 그를 도와 경주에 이기고 아틀란타를 획득하도록
도와주었다. 이 모든 이야기들이 용감하나 숫적으로 열세한
병사들이 갑자기 나팔소리를 듣고 기병대가 자신들을 구하러 오는
것을 알게 되는 전통적인 서부영화와 똑같은 줄거리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뭔가가 나타나서 구해줄 것)이라는 줄거리가 원형적인
상황이다. 구원의 주제는 인간의 진실에 호소하고 이것을 주인공
여성이 주의해서 들을 필요가 있다. 내면의 위기에 봉착해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를 때 그녀는 포기하거나 공포에 쫓긴 행동을
해서는 안된다. 모순을 의식 속에 붙잡아 두고 새로운 통찰력이나
상황이 바뀌기를 기다리고 명확한 사고를 위해 명상하거나
기도하는 것 모두가 무의식으로부터 곤경을 통과할 수 있는
해결책을 이끄는 작업이다.
예를 들면 곰 꿈을 꾼 여성은 한창 박사논문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아이를 갖고 싶은 강한 욕망에 사로잡혔을 때 개인적인
위기에 도달한 것이다. 모성 본능이 그녀를 강력하게 휘어잡고
이전에는 억눌려 있었으나 지금 당장 실행해 주기를 요구한
것이었다. 꿈꾸기 전 그녀는 불만족스러운 상황에 붙잡혀 있었다.
그 상황을 바꾸기 위하여 해결점에 논리적으로 이르는 것이 아니라
가슴으로 느낄 필요가 있다. 꿈이 그녀에게 원형 수준으로 느낌을
전달해 주고 그녀가 아이를 갖으려는 의도를 지니고 있음을 확실히
알게 되었을 때 그녀는 편안한 마음으로 임신을 늦출 수 있었다.
그 꿈은 무의식으로부터 그녀를 구하기 위하여 나타난, 그녀의
모순에 대한 대답이었다. 이러한 상징적인 경험이 그녀
의 이해를 깊게 하고 그녀에게 즉각적으로 느낄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하자 갈등은 사라졌다.
선험적인 기능은 동시발생적인 사건들 즉 내면의 심리적인
상과과 외부 사건의 의미 있는 일치를 통해 표현되기도 한다.
동시적인 사건이 어나면 그것이 마치 전율을 가져다 주는 기적처럼
느껴진다. 한 예로 몇년 전 내 환자 중의 한사람이 여성을 위한
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그녀가 일정 기간 중에 일정액수의
돈을 모으게 되면 그녀는 그 기관으로부터 같은 금액을 받게
되는데 바로 이것이 그 프로그램을 지속할 수 있느냐 없느냐의
관건이 되는 것이었다. 마감일이 다가왔지만 그녀는 아직 필요한
액수를 모으지 못하였다. 그렇지만 그녀는 자신이 참가하고 있는
프로젝트가 필요한 것임을 알고 있었고 따라서 그녀는 포기하지
않았다. 그때 우편으로 그녀가 필요로 하는 정확한 금액의 수표가
도착했다. 그것은 이년 전 그녀가 신청해 놓고 잊어버렸던
기대하지도 않았던 응자금과 그 이자였다.
대부분의 동시발생적 사건들은 어떤 궁지에 이와 같이 명백한
대답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그 대신 그것들은 감정적인 명확성이나
상징적인 통찰력을 제공함으로써 문제를 풀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한 예로 나는 내 책을 어느 특정 사람의 손을 거쳐 내용을 줄이고
좀더 대중성에 부합하도록 다시 쓰자는 압력을 이전의
출판업자로부터 받았다. 내가 이년 동안 받아온 (이 책은 충분치
못하다)는 메시지는 나를 심리적으로 난타했으며 나는 녹초가
되었다. 나의 일부는(그것은 마치 온순한 페르세포네처럼
느껴졌는데) 다른 사람이 그 일을 하도록, 그래서 책을 끝낼 수
있게 준비가 되어 있었다. 나는 모든 것이 다 잘되리라는 희망적인
사고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그 중요했던 일주일이 지나고 난 뒤
나는 책을 그 작가에게 넘기기로 되어 있었는데 그때 바로 나를
돕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바로 그 주일에 내 책을 다시 쓰기로 한
작가에 의해 자신의 책이 다시쓰여진 영국의 작가가 내 친구에게
자신의 경험을 얘기하게 되었다. 비록 내가 말로 표현한 적은
없었으나 직관적으로 알고 있었던 일을 그는 말로 표현하였다. "내
책에서 영혼이 갈취당했어.5-" 내가 그 말을 들었을 때 나는
통찰력이란 선물을 받았음을 느꼈다. 그는 내 책에 일어날 일을
상징화하여 주었으며 이는 내가 상반되는 감정에서 벗어나와
자유롭게 주관적으로 행동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나는 스스로
편집자가 되어 책을 끝마치기 위해 작업을 계속하였다.
나는 이 동시발생적 사건이 뜻하는 바를 크고 명확하게 들었다.
더 깊은 통찰력이나 도움들을 제공하는 사건들이 연달아 일어났다.
내게 공된 교훈에 감사하면서 나는 고대 중국인들이 동시발생과
선험적인 기능에 대한 신념을 표현하는 말을 회상하였다. "학생이
배을 준비만 되어 있으면 어디에나 스승은있다."
창조적인 통찰력의 기능은 선험적인 기능과 유사하다. 창조적인
과정에서 아직 그 문제에 대해서 알려진 해결방안이 없을 때
예술가, 발명가, 문제 해결가는 답이 존재한다는 믿음을 갖고
해답을 구할 때까지 그 상황에 머물러 있는다. 창조자는 때때로
고조된 긴장의 단계에 있다. 해볼 수 있는 모든 것, 혹은 생각해낼
수 있는 모든 것이 행해졌다. 그러면 그 사람은 뭔가 새로운 것이
나타날 수 있는 심사숙고의 과정을 신뢰하게 된다. 전형적인 예가
벤젠의 화학구조를 발견한 화학자 케쿨레 Keku1이다. 그는 이
문제와 계속 씨름했으나 답을 구할 수 없다가 마침내 꿈속에서
뱀이 자신의 꼬리를 물고 있는 꿈을 꾸었다. 그는 직관적으로 이
꿈이 답-환 형태를 한 원자탄소-을 제공해 주었음을 알았다.
그리고 그는 이 가설을 실험해서 이것이 사실임을 증명해 내었다.
9. 희생자에서 주인공으로 변신하기
영웅의 여행을 생각할 때 나는 알콜중독자 재활원이 어떻게 알콜
희생자를 주인공으로 바꾸어 놓는가를 알고는 감명을 받았다.
알콜중독 재활원은 선험적인 기능을 일깨움으로써 결과적으로
어떻게 결정권자가 되는가를 가르쳐 준다.
알콜중독자는 자신이 난감한 곤경에 처해 있음을 받아들이는
데서 시작한다. 그녀는 술을 계속 마실 수도 없고 끊을 수도 없다.
이 시점에서 실망에 빠져서 그녀는 서로를 돕는 같은 여행을
동료들과 시작하게 된다. 그녀는 자신을 위기에서 끌어내기 위하여
자신보다 강력한 힘에 호소해야 한다는 지시를 받는다.
알콜중독 재활원은 뭔가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자신의 힘으로
변화시킬 수없는 것을 받아들이고 그 차이를 알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환자에게 한번에 하루씩 받아들이도록 가르침에 있어서
재활원 원칙은 그 사람이 불안정한 감정에 쌓여 길을 명확히 볼 수
없을 때 무엇이 필요한가를 보여준다. 점차적으로 한 단계씩
알콜중독자는 결정권자로 변화해 간다. 그녀는 자신의 자아보다
강한 힘으로부터 도움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한다. 그녀는 서로를
도을 수 있고 서로를 용서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리고
그녀는 자신이 능력 있고 다른 사람을 사랑할 수 있음을 깨닫게
된다.
마찬가지로 주인공의 여행은 개별화 요청이다. 이 길을 따라
여행하면서 여주인공은 그녀에게 의미 있는 것을 발견하고,
상실하고, 또 재발견하는데 마침내 그녀 자신을 실험하는 모든
상황 속에서 이러한 가치들을 지니게 된다.
그녀는 되풀이하여 자신을 전복시키려는 위험에 맞닥뜨리게
.되는데 마침내는 자신의 자아를 잃어버릴 뻔한 위험을 극복하게
된다.
내 사무실에는 내가 몇년 전에 그린 달팽이 껍질의 내부를
묘사한 그림이 걸려 있다. 그 그림은 나선 모양의 껍질 형패를
강조하는데 우리가 택한 길이 종종 나선 모양을 하고 있음을
상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우리는 되풀이하여 한 형태를 지니고
윤회하면서 우리가 직면하고 극복해야 할 인과응보의 영역에
다가오게 된다. 때때로 그것은 우리를 전복시킬 수 있는 여신의
부정적인 측면이다. 데미테르나 페르세포네의 우울증에 걸릴
가능성, 헤라의 질투와 불신의 가능성, 난잡한 아프로디테나
거리낌 없는 아테나, 혹은 잔인한 아르테미스가 되고 싶은 유혹들.
인생은 우리에게 되풀이하여 우리가 두려워하는 것, 우리가 의식할
필요가 있는 것, 아니면 우리가 극복할 필요가 있는 것들과
맞닥뜨릴 기회를 제공한다. 그때마다 우리는 나선형의 길을 따라
돌면서 우리에게 어려움을 주는 장소로 가게 되며,
바라건대,우리는 더 큰 깨달음을 얻고 다음번에는
더 현명하게 반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마침내
인과응보의 장소를 평화롭게 그리고 우리의 가장 깊은 가치와
조화를 이루면서 지나가게 되고, 다시는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10. 여행의 끝
신화의 끝은 어떻게 되는가?에로스와 싸이키는 재결합하였으며
그들의 결혼이 을립푸스산에서 인정받고 싸이키는 죠이란 이름을
가진 딸을 갖게 된다. 아틀란타는 사과를 선택하고 경주에서 지고
히포메너스와 결흔한다. 아일라는 그녀와 같은 사람을 찾기 위해
유럽을 횡단하고 여행을 말들의 계곡에서 끝내는데 거기서 그녀는
존달라를 남편으로 맞이하고 사람들은 그녀를 열린
가슴으로받아들였다. 여주인공이 자신의 용기와 능력을 증명한
후에-전형적인 우
보이 영웅이 그랬듯이-말을 타고 석양으로 사라지는 것이 아님을
주목해야 한다. 그녀는 또한 정복자의 모습으로 남아 있지도
않았다. 결합, 재결합, 그리고 가정이 그녀의 여행이 끝나는
지점이다.
개별화 여행은-통합에의 심리적인 요청-반대되는 것들의
결합으로(동양에서 환 속에 포함된 음과 양의 영상으로 상징되는)
즉,성격의 남성적 측면들과 여성적인 측면들의 내적인 결흔으로
끝난다. 성을 지정하지 않고 좀더 추상적으로 말한다면 통합을
향한 여행은 능동적이면서도 수용적이고 자율적이면서도 친근하고
일을 가지면서도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것들이 우리가 인생 경험을 통해서 알 수 있는 우리
모두의 내면에 타고난 우리 자신들의 모습들이다. 이러한 인간의
잠재력을 가지고 우리는시작하는 것이다.
<반지의 우정 The Fellow shipofihe Ring>의 마지막 장에서는
반지를 끼어보라는 마지막 유혹을 극복함으로써 권력이란 반지는
영원히 파괴되었다. 이러한 악과의 한판 싸움을 이기고 그들의
영웅적인 과제를 끝마친 후 호뎃은 셔어의집으로 돌아오게 된다.
7워터십 다운의 토끼들 또한 그들의 영웅적인 여행에서 살아남아
그들의 집으로,그들의 새롭고 평화로운 마을로 돌아오게 된다.
엘리오트 T.S.Eliot는 7사중주 The foer Quaeret쑈에서 다음과
같이 노래하고 있다.
우리는 탐험하기를 중단하지 않아요
그리고 우리가 탐색을 모두 끝냈을 때
우리는 출발점에 되돌아와 있지요
우리 모두 처음부터 알고 있던 그 장소로......
실제 인생과 마찬가지로 이 모두는 다소 평범한 결말인 듯
보인다. 회복된 알콜환자는 지옥에 갔다가 다시 평범하고 건전한
사람으로 나타난다. 적대적인 공격을 막아내고 자신의 힘을
내세우고 여신들과 싸웠던 여주인공들도 이와 유사하게 평범하게
평화롭게 보인다. 그러나 셔어 집의 호뎃처림 그녀에게는 언제
어느 때 새로운 모험이 다시 한번 그녀의 존재 그 자체를 시험하기
위하여 나타날지 모른다.
우리가 함께 한 작업이 끝나고 내가 환자들에게 이별을 고해야
할 시간이 나면 나는 나 자신을 그들이 가야 했던 어렵고 중요한
여행의 동행자처럼 느낀다. 이제는 그들이 스스로 여행을 계속해야
할 시간이다. 아마도 나는 그들이 곤경에 처했을 때 동행하였을
것이다. 나는 아마도 그들이 잊어버린 길을 찾도록 도와주었을
것이다. 어쩌면 나는 그들이 어두운 통로를 지날 때 옆에 있어
주었을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나는 그들이 좀더 명확히 보고
그들 스스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이제 이 책을 끝내면서 나는 내가 얼마 동안 여러분의
친구였기를 바라며 내가 배웠던 것을 나누고 여러분 자신의
여행에서 결정권자가 될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었기를 바란다.
여러분께 사랑을......
부록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인물들
이 책에 나왔던 인물들
아킬레스: 트로이 전쟁에서 그리스편 영웅으로 아테나 여신의
총애를 받았다.
아프로디테: 사랑과 미의 여신으로, 로마인에게는 비너스로 알려져
있다. 대장간의 신인 혜파이스투스의 신실하지 못한 아내로서,
수많은 연인들로부터 많은자식들을 낳았다. 전쟁의 신인 아레스,
전령의 신인 헤르메스, 아이니어스(로마인의 선조로 트초이의
왕자)의 아버지인 엔치시스가 그려의 연인들로 유명했던
인물들이다. 창조하는 여신.
아폴로: 로마인들도 아폴로라고 불렀으며, 미남으로 태양의
신이자, 예술, 의학, 음악의 신이다. 올림푸스 열두 신 중의
하나이며,제우스와 레토의 아들이자, 아르테미스의 쌍등이
형제이다. 때로는 헬리오스로도 알려져 있다.
아레스: 로마인에게는 마르로 알려져 있는데, 호전적인 전쟁의
신이다. 올림푸스 열두 신 중의 하나로, 제우스와 헤라의
아들이다. 머에 의하면, 어머니를 따른다 해서 아버지의 멸시를
받았다. 아레스는 아프로디테의 연인으로, 그들 사이에 세 명의
자식을 두었다.
아르테미스: 로마인들은 다이아나라고 불렀는데, 사냥과 달의
여신이다. 세 명의 처녀 여신 중의 하나로, 제우스와 레토의
딸이며, 태양의 신인 아폴로의 쌍둥이 자매다.
아틀란타: 사냥과 달리기로 유명했던 여인. 아프로디테의 세 개의
황금사과 덕택으로 경주에서 히포메너스에게 지고,그의 아내가
된다.
아태나: 로마인에게는 미네르바로 알려져 있다. 지혜와 장인의
여신으로, 자신과 똑같은 이름을 지닌 도시 아테네의 수호신이자,
수많은 영웅들의 보호자이다. 보통 무장을 한 모습으로 묘사되며,
전쟁터에서 최고의 전략가로 알려져 있다. 그녀는 오직 제우스만을
부토로 인정했으나, 제우스의 첫 연인인 현명한 메
티스의 딸로도 알려져 있다. 처녀 여신.
크로노스: 혹은 사탄(로마인). 타이탄이자 지아와 우라누스의 막내
아들로, 아버지를 추방하고 주신이 된다. 리아의 남편이자 여섯
올림피아친 (헤스티아, 데미테르, 헤라, 하데즈, 포세이돈,
제우스)의 아버지로, 자식들이 태어나자마자 삼켜버린다. 그 역시
막내아들 제우스에 의해 권력을 찬탈당한다.
데미테르: 로마인에게는 시어리즈로 알려져 있다. 곡식 혹은
농경의 여신. 가장유명한 신화는 페르세포네 어머니 역할을 강조한
것이다. 상처받기 쉬운 여신.
디오니수스: 로마인에게는 바카스로 알려져 있는 술과 황◎경의
신. 여인 숭배자들이 해마다 산 위에서 마시며 노래하고 춤추는
주신를 통하여 그와의 교감을 추구하였다.
에로스: 사 랑의 신으로,로마인에게는 아모르로 알려져 있다.
싸이키의 남편.
지아: 대지의 여신.우라누스(하늘)의 어머니이자
아내이며,타이탄들의 부모.
하데즈.혹은 플루토: 지하세계의 통치자이며 리아와 크로노스의
아들. 페르세포네의 유괴범이자 남편이며 열두 올림피아신 중의
하나.
혜커트: 세 갈래 길이 난 갈림길의 여신. 괴기스럽고 신비한 것과
연관되어 있으며, 현명한 마녀를 나타낸다. 헤커트는 페르세포네가
지하세계에서 돌아을 때 동행하였으며, 이 처녀 여신과 달의
여신인 아르테미스와 연관이 있다.
해파이스투스: 로마인에게는 벌칸으로 알려져 있는 대장간의
신이자, 기술공의 보호자.아프로디테의 오쟁이진
남편이고,절름발이로 헤라가 거부한 아들.
해라: 로마인에게는 쥬노로 알려져 있는 결혼의 여신. 제우스의
공식적인 동행자이자 아내로서,올림푸스 여신들 중 가장 서열이
높다. 크로노스와 리아의 딸로서, 제우스와 다른 일세대 올림푸스
신들과 형제간이다. 호머에 의해서 질투에 찬 잔소리꾼으로
묘사되었으며, 결혼의 여신으로 숭배되었다. 세 명의 상처받기
쉬운 여신 중의 하나로 아내 원형을 대표한다.
혜르메스: 로마식 이름, 머큐리로 더 유명한데,전령의
신이자,교역,통신, 여행자, 도둑의 보호신이다. 그는 영혼들을
하데즈에게 인도하는데, 페르세포네를 데미테르에게 되돌려 주기
위해 제우스가 그를 파견했다. 아프로디테와 불륜의 관계를
가졌으며, 헤스티아와 함께 가정과 신전에서의 종교 의식과 연관이
있다.
헤스티아: 로마인에게는 베스타. 화로의 여신으로 처녀 여신이며
올림푸스 신들 중 가장 알려져 있지 않다. 그녀의 불은 가정과
사원을 신성하게 만든다. 자아 원형을 상징 한다.
파리스: 트로이의 왕자로,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인 헬렌을
뇌물로 약속한 아프로디테에게 "최고의 여신에게 돌아갈"
황금사과를 주었다. 이미 그리스의 왕, 메넬로스에게 시집간
헬렌을 납치해 트로이로 데려옴으로써 트로이 전쟁을 일으키게
된다.
패르세포테: 그리스인에 의해서 코어 혹은 메이든으로 불렸으며,
로마인들은 프로세르피나라고 불렀다. 데미테르의 납치된
딸로,지하 세계의 여왕이 된다.
포세이돈: 바다의 신.로마식 이름 넵튠으로 더 잘 알려진 올림푸스
신. 데미테르가 납치된 딸을 찾아 헤매고 있을 때, 그녀를
강간하였다.
싸이키: 인간 여영웅으로서, 아프로디테의 네 과제를 완수하고
남편 에로스와 재결합한다.
리아: 지아와 우라누스의 딸이자, 크로노스의 누이이자 아내.
혜스티아, 데미테르, 헤라, 하데, 포세이돈, 제우스의 어머니.
우라누스하늘, 아버지 하늘, 혹은 천국으로 알려져 있다. 지아와
함께 타이탄
들의 부모였는데,아들 크로노스에 의해 쫓겨났다. 크로노스는
아버지의 성기를 잘라 바다에 던져 버렸는데 (일설에 의하면)
거기에서 아프로디테가 탄생하였다고 한다.
제우스: 로마인들이 쥬피터 혹은 죠브라고 불렀는데, 하늘과 땅의
통치자이자 올림푸스 신들의 왕이었다. 리아와 크로노스의 막내
아들로,타이탄들을 굴복시키고 우주의 통치자로서 올림푸스 신들의
위치를 확고히 하였다. 헤라의 바람등이 남편으로 여러 아내를
취하고 많은 간통 사건을 일으켰으며, 그로부터 수많은 자식들을
두었다. 이들 중 많은 자식들이 이세대 올림푸스 신들 혹은 그
리스 신화의 영웅들이 되었다.
지은이 소개진 시노다 볼린
진 시노다 볼린 Jean Shinoda Bolen, M.D.은 캘리포니아 대학
niversi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정신치료학 임상교수이자
여성재단인 7미즈 Ms.7의 이사이며, 응 학파 정신분석학자다. 미국
정신치료학회 회원이자 미국 신경정신과 전문의인 볼린 박사는
샌프란시스코와 미국 전역에서 강의도 하고 세미나도 이끌고 있다.
그는(자신이 칼럼을 쓴 적이 있는) 새로운 현실 New
Realitie저이란 잡지의 편집자 겸발행인인 제임스 볼린 James
Bolen과 결혼하였다. 그들은 아이 둘과 캘리포니아 밀밸리 Mill
Valley에서 살고 있다.
'책,영화,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 웹스터 키다리 아저씨 (0) | 2023.01.21 |
---|---|
진시노다 볼린 우리 속에 있는 남신들 (0) | 2023.01.21 |
짐머맨 테마가 있는 20가지 과학 이야기 (0) | 2023.01.21 |
찰스 프레지어 콜드 마운틴의 사랑 (0) | 2023.01.21 |
카르멘 베리 그래,여자에겐 정말 여자친구가 소중해 (0) | 2023.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