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교육

장애인스포츠지도사 2급 자격증 취득_스포츠사회학, 성인 지체장애인의 스포츠 참여가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by Casey,Riley 2020. 2. 24.
반응형

장애인스포츠지도사 2급 자격증 취득_스포츠사회학

 

교안_01차시_스포츠사회학_스포츠와_정치.pdf
0.33MB
교안_02차시_스포츠사회학_스포츠와_경제.pdf
0.43MB
교안_03차시_스포츠사회학_스포츠와_교육.pdf
0.41MB
교안_04차시_스포츠사회학_스포츠와_미디어.pdf
0.38MB
교안_05차시_스포츠사회학_스포츠와_사회계층.pdf
0.52MB
교안_06차시_스포츠사회학_스포츠와_사회화.pdf
0.43MB
교안_07차시_스포츠사회학_스포츠와_일탈.pdf
0.53MB
교안_08차시_스포츠사회학_스포츠와_세계화.pdf
0.59MB

교안_01차시_스포츠사회학_스포츠와_정치

교안_02차시_스포츠사회학_스포츠와_경제

교안_03차시_스포츠사회학_스포츠와_교육

교안_04차시_스포츠사회학_스포츠와_미디어

교안_05차시_스포츠사회학_스포츠와_사회계층

교안_06차시_스포츠사회학_스포츠와_사회화

교안_07차시_스포츠사회학_스포츠와_일탈

교안_08차시_스포츠사회학_스포츠와_세계화

***

성인 지체장애인의 스포츠 참여가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복지국가로 발돋움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장애범주의 확대와 각 장애별 판정기준의 완화를 통하여 전체 국민 대비 장애인 비율이 점차적으로 증가되고 있다(한국장 애인개발원, 2015)1) . 또한 현대의 장애개념은 과거 영구 적인 신체·생리·심리적 기능손실 및 능력의 결여에서 사회·경제·문화·환경적 측면에서 분리되는 사회적 불평등으로 변화되고 있는 추세이다(Commonwealth of Australia, 2011). 이러한 장애인의 사회적 불평등 해소 1) 2000년과 2003년 장애인복지법 개정을 통하여 기존의 5개의 장애범주(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정신지체) 에서 총 15개 유형의 장애로 확대 되었다. 장애범주의 확대 배 경은 국민들의 장애에 대한 인식개선과 국가의 복지수준 향상 을 비롯하여 인구의 고령화와 신업재해 및 교통사고 및 기능 회복이 불가능한 질병의 증가가 원인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국내의 장애인 비율은 장애 범주의 확대와 장애 판정기준 의 완화를 통하여 점차적으로 확대되는 추세로서 2016년 현 재 우리나라의 등록 장애인은 총 2,511,051이고 천체 인구대 비 약 4.9%를 차지하고 있다(문화체육관광부, 2016). * twu@hanmail.net 및 개선을 위하여 국가와 사회는 필요한 제도의 보완과 개정을 비롯하여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의식 수준의 향 상 등 다양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이러 한 결과 아직은 미흡하지만 진일보한 측면은 분명히 존 재한다. 장애인의 사회적 불평등 개선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 중 장애인들을 위한 스포츠 활성화 방안은 1988년 서 울 패럴림픽 전·후로 시작 되었다. 이후 지속적인 장애 인 체육프로그램 육성사업을 통하여 장애인들을 위한 생활체육 보급 및 생활체육 동호회 지원과 더불어 종목 별 생활체육대회를 매년 실시하고 있다(김지태, 2014; 김대경, 박진우, 이현수, 윤석민, 2016; 정연성, 김지태, 2011). 또한 특수체육 관련 다양한 연구를 통한 학문적 발전과 장애인스포츠 전문가, 지도자, 행정가 등의 양성 및 배치가 이루어지고 있다(김권일, 성문정, 박병도, 한 창수, 2017; 이장일, 한민규, 2017). 그리고 새로운 장애 인스포츠 시설의 건설을 비롯하여 기존시설의 개·보 수 및 인식개선을 통하여 장애인들과 비장애인들이 같 은 공간에서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환경의 개선도 이루 어지고 있다(최윤진, 박병은, 2017). 혹 이러한 상황들의 개선과 발전이 더디다는 의견들도 존재하지만 과거와 518 윤 석 민 비교하여 종합적으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에 부정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들을 종합 해 볼 때 국내의 장애인스포츠 발전과 지속성을 위한 기 반(infra)형성은 착실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지속적인 기반형성을 위해서는 적절한 수요 즉, 장애인들의 적극적인 스포츠 참여가 이루어져야 한 다. 그러나 정부 및 지자체와 비정부기구의 지원을 통한 기반형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 등록 장애인 생활체 육 참여율은 < 그림 1 > 과 같이 2016년 17.7%로 2016년 국민 평균인 29.2%와 비교하여 매우 낮은 현실이다. 강 이외에도 심리 및 사회적 변인들 간의 검증을 통한 스 포츠참여의 긍정적인 효과 및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언급 할 필요성이 있다. 스포츠 활동을 통하여 나타나는 긍정적인 효과 중 심 리적 행복감은 개인의 주관적인 견해로서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도 즉, 행복을 의미한다(양명환, 1998; Wankel & Berger, 1990). 이러한 행복은 자기수용을 비롯하여 긍정적 대인관계를 통한 자율성, 환경 통제력 및 개인적 성장을 이루는 원동력이 된다(Ryff, 1989). 스포츠 참여 와 심리적 행복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는 중강도 의 유산소운동이 심리적 행복감에 가장 긍정적으로 작 용하는 운동으로 나타났으며(Netz, Wu, Becker, & Tenenbaum, 2005), 적극적인 신체활동은 자존감 향상과 더불어 심리적 행복감 향상에 매우 효과적으로 나타났 다(Plante & Rodin, 1990). 생활만족도는 자신의 희망과 성취된 사실 간의 비교 그림 1. 국내 생활체육 참여율 < 그림 1 > 은 국내 10세 이상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주 2~3회 이상 규칙적인 생활체육 참여율을 조사하고 국내 평균과 비교한 자료(문화체육관광부, 2016, 2017)로서 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율은 점차적으로 증가되고는 있 지만 국내 평균 및 국외 복지국가와 비교시 현저히 낮은 상황이다. 미국의 경우 18세 이상 성인 장애인들 중 30% 가 주 4회 이상 운동에 참여하고 있고(Disabled Sports USA, 2009), 호주는 매주 4시간이상 규칙적으로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장애인의 비율이 57%로 조사되고 있 으며(Sotiriadou & Wicker, 2014), 영국은 48%의 장애 인이 최소 한 종목이상의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Greater London Authority, 2012). 이러한 현실에서 체육 학 연구자들은 장애인들의 스포츠참여를 통한 신체적 건 를 통하여 전반적인 기대수준에 대한 자기 평가로서 일 상생활을 통하여 기쁨을 느끼고 자신의 삶에 대한 가치 부여를 의미하며 개인의 정신건강을 결정하는 중요한 잣대이다(이제홍, 강경환, 오아라, 2012; 최경훈, 2013; Medley, 1976, Neugarten, Havighurst & Tobin, 1961). 임낙철(2008)은 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이 건강이 나쁜 사람보다 생활만족도가 높다고 보고 건강이 생활만족도 와 관련된 요인 중 가장 일관성이 있고 주요한 요인으로 보고 하였다. 따라서 사회적 약자로서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만족도 가 평균적으로 낮은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스포츠 참여 를 통한 심리적 행복감 또는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연 구들은 최근 들어 특수체육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김지태, 2014; 오명란, 김경신, 2015; Evans, 1993). 또한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스포츠 참여는 장애인의 삶에 매 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들 또한 보고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애인들의 스포츠 참여율이 더딘 이유는 장애인들의 스포츠 참여를 통한 다양한 효 과에 대한 인식 부족과 설사 스포츠를 참여한다고 하더 성인 지체장애인의 스포츠 참여가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519 라도 중도에 포기하는 비율 등이 높기 때문이다(김삼선, 2011; 김지태, 2014; Nemcek, 2016, 2017). 따라서 장애 인들의 스포츠 참여확대를 위한 일차적인 방안으로서 다양한 장애범주 중 스포츠 참여에 관심이 높은 장애범 주에 속한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스포츠 참여를 확대 할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이 필요하다. 문화체육관광부(2016)의 조사에 따르면 국내 등록 장 애인 대비 지체장애인은 1,267,174명으로서 전체 장애 인의 과반수(49%)에 다다르고 있다. 하지만 지체장애인 들 중 스포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참여자(주 3회 이 상)는 17.7%로서 타 장애유형과 비교시 낮은 비율을 나 타내고 있다. 그러나 운동을 비 규칙적으로 실행하는 지 체장애인의 비율은 59.1%로서 타 장애유형과 비교시 가 장 높은 비율로 조사 되었다(문화체육관광부, 2016). 따 라서 장애인의 스포츠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서 일차적 으로 국내 장애유형 중 50%에 육박하고 잠재적으로 규 칙적인 스포츠참여가 예상되는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과학적인 연구를 통하여 스포츠 참여가 주는 다양한 장 점들에 대한 효과를 역설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 구는 지체장애인의 스포츠 참여인식 제고방안으로서 지 체장애인을 대상으로 스포츠참여가 그들의 심리적 행복 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규명을 통하여 지체 장애인의 스포츠 참여율을 높이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2. 연구 문제 및 가설 이와 같이 지체장애인의 스포츠참여가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성인 지체장애인의 심리적 행복감은 생활만족 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성인 지체장애인의 일반적 특성(성별, 연령, 장애등급, 스포츠 참여정도)중 스포츠 참여정도에 따른 심리적 행복감 수준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장애등급 가설 3. 성인 지체장애인의 일반적 특성(성별, 연령, 장애등급, 스포츠 참여정도)중 스포츠 참여정도에 따른 생활만족도 수준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2017년 6월 1일부터 7월 31 일 까지 서울, 경기, 인천, 그리고 충남 지역의 장애인 복 지관 및 장애인 생활체육대회현장과 중앙보훈병원을 방문하여 유목적적 표집법(purposive sampling)을 이 용하여 연구목적에 부합되는 지체장애인 287명을 설 문조사 응답 대상자로 하였다. 수거된 총 287부의 설문 지 중 3문항 이상 표기가 누락된 설문지 5부와 99.9% zscore(-3.26~+3.26) 범위를 벗어난 10부를 제외한 총 274부가 본 연구의 최종 분석에 사용 되었으며 274명의 일반적 특성은 < 표 1 > 과 같다.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구 분 성별 연령 남 여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1급 2급 3급 4급 이하 규칙적* 스포츠 참여정도 불규칙적** 무(無)*** * 주 2회 이상 규칙적으로 스포츠 참여 ** 최근 2주 동안 1회 스포츠 참여 *** 최근 2주 동안 스포츠 참여 없음 (N=274) 소계(명) 148 126 32 85 79 78 80 92 84 18 86 93 95 비율(%) 54.0 46.0 11.7 31.0 28.8 28.5 29.2 33.6 30.7 6.6 31.4 33.9 34.7 520 윤 석 민 2. 측정도구 및 방법 1) 측정 도구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스포츠 참여에 따른 심리적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해 양명환(1998)이 개발하고 김묵 성(2016)이 재구성한 심리적 행복감 설문지를 본 연구 에 적합하게 수정 및 신뢰도 검사 실시 후 사용 하였다. 심리적 행복감 설문지는 즐거움 5개 문항, 몰입감 5개 문 항, 자아실현감 5개 문항, 그리고 자신감 5개 문항으로서 4개 요인별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점 Likert척 도(1=매우그렇지 않다; 5=매우그렇다)를 적용하였다. 본 설문지의 신뢰도는 최초 Cronbach's α=.86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또한 Cronbach's α=.88로 적합한 신뢰도 계수를 나타냈다.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스포츠 참여에 따른 생활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Diener, Emmons, Larsen, 그 리고 Griffin(1985)이 개발한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과 이를 바탕으로 임낙철(2008)이 수정 및 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생활만족도 설문지는 총 6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점 Likert척도(1=매우그렇지 않다; 5=매우그렇다)를 적용하였고 신뢰도 Cronbach's α=.85로 나타났다. 2) 측정 방법 지체장애인의 스포츠 참여에 따른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자와 2인의 연구보조 요원들은 각 지역의 장애인복지관 책임자에게 연구에 관한 설명 후 사전 약속을 받고 각 복지관들을 직접 방 문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중앙보훈병원과 장애인 생활체육대회 현장은 관계자의 허가후 직접 방문하여 1:1로 대상자들에게 연구의 목적 설명 후 동의를 받아 설 문에 참여 하도록 하였다. 설문 작성은 평균 8~12분이 소요되었으며 설문 작 성시 질문은 언제든지 가능하도록 설명하였고 설문 응 답 중 거부할 권한을 부여 하였다. 신체적 장애로 인하 여 설문 작성시 도움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설문대상자들은 자기 평가 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작성 하도록 하였으며 대상자의 설문 작성 시 연구자와 연구보조원은 일정한 간격의 유지를 통하여 설문 작성자에게 불편함이 없도록 하였다. 3. 자료처리 방법 본 연구의 설문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 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적 유의 수준은 p < .05로 설정 하였다. 분석 절차는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 통계를 이용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를 이용하 였고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만족도는 각 요인별 평균(M) 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다. 둘째, 심리적 행복감 과 생활만족도의 관계검증은 Person's의 상관계수분석 (correlat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마지막 으로 대상자의 성별, 연령별, 장애등급별, 그리고 스포츠 참여정도에 따른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만족도의 차이검 증은 one 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 후 집단내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난 경우 Scheffe 검증을 통한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의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 표 1 > 과 같이 남성 지체장애인 54%와 여성 지체장애인 46%가 참여 하였으며 연령분포는 30대가 31.0%로 가장 높고 40대 28.8%, 50대 28.5%, 그리고 20대 11.7% 순으로 나타났 다. 장애등급은 지체장애 2급이 33.6%로 가장 높았고 3 급 30.7%, 1급 29.2%, 그리고 4급 이하가 6.6%로 조사 되었다. 스포츠 참여부분에서는 본 연구를 위하여 유목 적적 표집법(purposive sampling)을 사용하여 국가평균 성인 지체장애인의 스포츠 참여가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521 과 차이가 발생하였고 결과적으로 주 2회 이상 규칙적으 로 스포츠에 참여하는 집단은 31.4%, 최근 2주 동안 1회 스포츠에 참여한 집단은 33.9%, 그리고 최근 2주 동안 어떠한 스포츠에도 참여하지 않은 집단은 34.7%로 조사 되었다. 2.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만족도간의 상관관계 5점 Likert척도(1=매우그렇지 않다; 5=매우그렇다)를 적용한 지체장애인의 심리적 행복감은 평균 3.21점, 표준 편차 ± .57로 나타났다. 생활만족도 또한 5점 Likert척도 (1=매우그렇지 않다; 5=매우그렇다)를 적용 하였으며 평균 3.33점, 표준편차 ± .62로 조사 되었다 < 표 2 > . 표 2.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도 평균 변 인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도 (N=274) M±SD 3.21±.57 3.33±.62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 하기 위해 변인간 Person's의 상관계수분석(correlation analysis) 결과는 < 표 3 > 과 같다. 분석 결과 지체장애 인의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 했으며, 심리적 행복감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 또한 높아지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r=.869, p < .001). 표 3.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만족도간의 상관관계 변 인 심리적 행복감 생활 만족도 ***p < .001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심리적 행복감 < 표 4 >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연구대상자의 일반 적 특성(성별, 연령, 장애등급, 스포츠 참여정도)에 따 른 심리적 행복감은 성별(p < .001)과 스포츠 참여정도 (p <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 에서의 남성의 심리적 행복감은 평균 3.48점으로 여성의 평균 2.89점 보다 높은 심리적 만족감이 나타났으며, 스 포츠 참여정도 에서는 주 2회 이상 스포츠에 규칙적으로 참여하는 그룹이 평균 3.62점으로 가장 높은 심리적 행 복감이 나타났고, 불규칙적인 참여 집단에서는 평균 3.25 표 4.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도 심리적 행복감 구 분 성별 나이 남성 여성 20대 30대 40대 장애등급 50대이상 1급 2급 3급 4급 이하 규칙적(a) 스포츠 참여정도 불규칙적(b) 무(無)(c) M±SD 3.48±.53 2.89±.62 3.18±.28 3.20±.65 3.24±68 3.20±34 3.19±.34 3.21±.44 3.20±.45 3.21±.38 3.62±.35 3.25±.46 2.80±.64 F 6.48 .60 p .000 .502 M±SD .56 8.68 scheffe: a > b > c .538 .000 3.36±.51 3.29±.65 3.31±.40 3.32±.54 3.33±.61 3.35±.28 3.33±.71 3.32±.24 3.33±.54 3.38±.28 3.68±.44 3.45±.37 2.90±.63 (N=274) 생활만족도 F 1.36 .52 p .189 .488 심리적 행복감 - .869*** (N=274) 생활만족도 .869*** - .62 .612 8.44 scheffe: a > b > c .000 522 윤 석 민 점으로 < 표 2 > 에서 제시한 심리적 행복감의 전체 평균 (M=3.21)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스포츠 참여를 하 지 않는 집단은 평균 2.80점으로 전체 평균과 비교하여 .41점이 낮은 심리적 행복감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집 단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사후검증 실시결과 스포츠에 규칙적으로 참여하는 집단이 불규칙적으로 참여하는 집 단과 참여하지 않는 집단 보다 유의하게 높은 심리적 행 복감(p < .001)이 나타났으며, 스포츠에 불규칙적으로 참 여하는 집단 또한 스포츠에 참여하지 않는 집단 보다 유 의하게 높은 심리적 행복감(p < .001)이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나이와 장애 등급에 따 라 심리적 행복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 나지 않았다. 연령대에서 40대의 심리적 행복감이 3.24 점으로 20대와 비교시 .06점, 그리고 30대 및 50대 이상 과 비교시 .04점이 높게 나타났지만 이러한 차이는 연령 대별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장애 등급에서는 전체적으 로 3.19점~3.21점의 분포가 나타남으로서 본 연구에서 장애등급에 따른 심리적 행복감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 본 연구에서 적용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성별, 연령, 장애등급, 스포츠 참여정도)에 따른 생활만족도 < 표 4 > 는 스포츠 참여정도(p < .001)에서만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규칙적인 스포츠 참여 집단 의 생활만족도는 3.68점으로 가장 높은 생활만족도가 나 타났으며, 불규칙적으로 스포츠에 참여하는 집단에서는 3.45점으로 < 표 2 > 에서 제시한 생활만족도의 전체 평 균(M=3.33)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스포츠 참여를 하지 않는 집단에서의 생활만족도는 2.90점으로 평균보 다 낮은 생활만족도 점수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집단 간 차이 검증결과 생활만족도는 스포츠에 참여하지 않 은 집단보다 불규칙적으로 참여하는 집단인 경우, 불규 칙적으로 참여하는 집단보다 규칙적으로 참여하는 집단 (p < .001)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 나이 장애등급에 따른 생활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남성의 생활만족도는 3.36점으 로 여성의 생활만족도(3.29점)와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 지만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연령대별 생활만족도 또한 3.31점~3.35점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장애 등급별 생활만족도는 4급 이하에서 3.38점으로 1 급 및 3급과 비교시 .05점, 그리고 2급과 비교시 .06점이 높게 나타났지만 이러한 차이는 장애 등급별로 유의미 하지 않았다. Ⅳ. 논 의 본 연구는 성인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스포츠 참여 를 통한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의 규명을 통하여 지체장애인의 스포츠 참여를 증진 시키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결과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만족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심리적 행복감이 높은 지체장애인일 수 록 생활만족도 또한 높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김 유진과 정민정(2008)의 교사연구에서 심리적 행복을 많 이 느낄수록 일상생활에서 높은 활력을 통해 생활만족 도가 높아지며, 이는 높은 직무만족과도 연관된다는 결 과 및 김묵성(2016)이 생활체육 동호인들을 대상으로 높은 심리적 행복을 나타내는 집단에서 높은 생활 만족 을 나타낸다는 연구와 일치한다. 또한 이혜경(2008)의 운동참가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심리적 행복감과 신체적 자기개념간의 높은 정적 상관관계에서 스포츠 참여가 지체장애인 들의 신체적 가치 향상과 생활만족도를 높 일 수 있는 효과적인 매개역할을 수행한다는 연구가 본 연구를 지지하고 있다.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나타난 심리적 행복 감에서는 남성이 여성과 비교하여 높은 심리적 행복감 이 나타났다. 이는 이혜경(2008)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 성인 지체장애인의 스포츠 참여가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523 과로서 스포츠를 주제로 연구가 실시된 다수의 연구 결 과와 유사하고 한국인의 사회인구학적 조사 또한 남성 이 여성에 비하여 행복감이 높게 나타난 결과와 일치한 다(신승배, 2015). 본 연구의 연구가설에서 제시한 스포츠 참여 정도에 따른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도는 스포츠 참여정도 에 따라 명확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규칙적인 스포츠 에 참여하는 지체장애인의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 도는 불규칙적으로 참여하는 집단과 스포츠에 참여하 지 않는 집단과 비교하여 매우 높은 심리적 행복감과 생 활만족도가 나타났으며, 스포츠에 불규칙적으로 참여하 더라도 참여하지 않는 집단과 비교하여 높은 심리적 행 복감 및 생활만족도가 나타났다. 이는 일차적으로 스포 츠 참여가 지체장애인의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도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스포츠 참여정도가 지체장애인의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도를 높이는데 매우 중요한 영향 변수로 확인 되었다고 사료된다. 또한 Wankel과 Berger(1990)이 제시한 신체활동 이후의 감 정호전 현상을 통한 일시적인 행복감 상태를 비롯하여 변영채, 이동호, 류호상(2014)이 제시한 장기간의 유산 소 운동 참여를 통한 심리적 행복감 향상과 결과적으로 일치하는 연구라고 사료된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제시 한 대상자별로 비교에서는 규칙적인 스포츠 참여를 통 하여 학령기(박정요, 이종영, 2001; 원세정, 2014), 성인 기(권경상, 김우진, 민왕식, 2014; 김우경, 이준우, 이영 일; Chenoweth, 2005), 그리고 노인기(김경, 2012; 김선, 최재희, 2013; 마석렬, 2001)등 전 연령에서 심리적 행복 감을 높일 수 있다고 보고 하였다. 또한 장애인을 대상으 로 한 김지태(2014)의 연구와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송형석, 장동진, 배상(2004)의 연구에서 스포츠 참여정 도 즉, 참여기간, 참여빈도, 참여시간에 따라 생활만족도 에 차이가 나타난다고 보고 하였으며 스포츠에 참여한 지 1년 이상 4년 미만 집단에서의 생활 만족도가 가장 높 다고 하였다. 이러한 원인으로 김지태(2014)는 장기간 의 스포츠 참여 보다는 일상적인 생활패턴으로 부터 변 화를 추구하는 인간의 심리적 형태가 원인으로서 편안 함과 지루함의 공존으로 인한 무료함의 증가로 판단하 였다. 이는 스포츠 선택시 1인 운동 등 개인적인 스포츠 보다는 클럽활동 및 단체 활동 참여와 지체장애인들을 위한 새로운 지도방법을 비롯하여 다양한 스포츠 보급 또한 장애인의 스포츠 참여비율을 향상시키는데 주요한 사항으로 사료된다. 스포츠 참여 또한 박영옥과 허현미 (2008)는 스포츠 활동에 주 4회 이상 참여집단이 주 1회 이하로 참여한 집단에 비하여 심리적 행복감이 높다고 조사하였다. 따라서 지체장애인들에게 규칙적인 스포츠 참여는 건강은 물론 적절한 수준의 심리적 행복감 유지 및 향상에 매우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이에 지체장애 인들이 규칙적으로 참여 할 수 있는 다양한 스포츠 활동 의 보급과 적용 및 시설마련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스포츠 참여 확대를 위해 서 울, 경기, 인천, 충남 지역의 지체장애인 297명을 대상으 로 스포츠 참여정도에 따른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 도를 분석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이 나타났다. 첫째, 지체장애인의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만족도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지체장애인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과 스포츠 참 여정도는 심리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구체적으로 남성이 여성에 비하여 심리적 행복감 이 높게 나타났으며, 스포츠 참여정도에서는 규칙적인 참여자가 불규칙적인 참여자보다 그리고 불규칙적인 참 여자가 스포츠에 참여하지 않는 지체장애인과 비교하여 심리적 행복감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지체장애인의 일반적 특성 중 스포츠 참여정도 에서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 체적으로 규칙적인 참여자가 불규칙적인 참여자보다 그 524 윤 석 민 리고 불규칙적인 참여자가 스포츠에 참여하지 않는 지 체장애인과 비교하여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에 맞게 다양한 장애유형 중 지체 장애인만을 대상으로 하였지만 다양한 장애영역으로의 확대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운동 시간 및 종류 그리고 기간을 통제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추 후 연구에서는 운동 시간 및 종류 그리고 기간에 따른 심리 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도를 조사 할 필요가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