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스포츠지도사 2급 자격증 취득_운동생리학
교안_01차시_운동생리학_운동생리학의_개관
교안_02차시_운동생리학_에너지대사와_운동
교안_03차시_운동생리학_신경조절과_운동
교안_04차시_운동생리학_골격근과_운동
교안_05차시_운동생리학_내분비계와_운동
교안_06차시_운동생리학_호흡계와_운동
교안_07차시_운동생리학_순환계와_운동
교안_08차시_운동생리학_환경과_운동
***
평창 패럴림픽 정보서비스 수용도가 지체장애인의 동계스포츠 직·간접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우리나라는 2010년과 2014년 두 번의 고전 끝에 1988년 서울 장애인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 이후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및 동계패럴림픽 유치에 성공함으로써 그랜드슬램을 달성함과 동시에 흑자 를 낸 국가로 등극하였다. 이러한 국가와 국민의 관심들이 국내의 장애인스포츠 및 장애인엘리트스 포츠의 발전에 많은 영향과 동기부여의 계기가 되 었을 것이다(김지태, 서은철, 2015). 이전의 성공개최 사례를 살펴보면 2012년 런던 패럴림픽으로 대회 개최 이후 런던의 장애인 편의 시설 확충과 더불어 장애인에 대한 비장애인들의 인식제고, 장애인스포츠에 대한 관심과 의식변화 등 장애인과 장애인스포츠에 대한 인식변화에 큰 기여를 하였다(신원상, 김경수, 2016). 그러나 아직 까지 국내에서의 장애인스포츠는 그들만의 리그로 인식되고 있으며, 장애 극복을 위한 수단으로만 비 추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노형규, 2006). 일반적으로 체육은 모든 사람들이 장애와 성별, 연령에 관계없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으며(김 석일, 2004), 개인의 성장 및 발달을 향상시키고 일 상의 활력과 사회적응, 보람을 느끼게 한다고 보고 해오고 있지만 학문적인 연구를 통해서가 아닌 비 장애인과 장애인의 집접적인 생각과 인식이 중요 하다 생각된다(임태성, 2000). 평창 조직위원회가 IOC에 비공개로 보고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2015년 5월부터 7월까지 3개월간 개 최도시 평창을 포함하여 전국 20개 지역에서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패럴림픽과 장애인에 대한 인 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평창동계패럴림픽 개최여부 를 인지하고 있는 사람이 응답자의 46.9%, 모르고 있는 사람이 52.1%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SBS, 2015. 9. 30.). 이처럼 국내의 패럴림픽 개최 이후 런던의 사례처럼 비장애인을 비롯하여 장애 인의 입장에서 어떠한 인식변화가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정확한 보고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성공 적 개최라 하더라도 당사자인 장애인들에게 특별 한 의미가 없다면 장애인스포츠의 발전과 미래에 큰 영향력이 있었다고 말할 수 없을 것이다. 패럴림픽과 장애인스포츠에 관련된 선행연구 및 보도 자료를 살펴보면 장애인스포츠를 하나의 스 포츠로 보도하기보다 장애인스포츠 이미지를 왜곡 시키거나 불리하고 가치가 저하된 부정적인 의미 만 부각시키고 인식되어 스포츠 자체로써의 매력 을 보도하는 경우는 매우 드문 실정이라고 하였다 (노형규, 2006; 성희선, 1999; 송성록, 2016; 장건희, 2009). 하지만, 평창 패럴림픽의 경우 2018년 3월 전까 지 기업이나 정부와 기업 등 패럴림픽의 이미지를 대중에게 확고하게 인식시키거나 이미 자리 잡고 있던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대중매체와 SNS, 마 스코트와 온라인 굿즈 판매 등 다양한 마케팅방법 을 통해 활발한 홍보활동으로 대중들에게 강하게 어필하여 그들의 인식에게 그들이 원하는 이미지 를 심어주거나 부정적인 인식을 전환하고자 하였 다. 이처럼 시대에 발맞춰 정보서비스를 통한 장애 인스포츠 인식개선에 대한 다양한 노력들이 지속 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최근 평창 패럴림픽에 대한 연구들은 경제적 관 점에서 본 2018 평창동계패럴림픽대회의 정책방향 연구(송석록, 2016), 대중이 지각하는 평창 동계패 럴림픽의 인식 및 브랜드화 방안(김지태, 서운철, 신원상, 2016), 직전대회 사례분석을 통한 2018 평 창 동계 패럴림픽 대회 지속가능한 유산 제시(신원 상, 김경수, 2016), 대학생들의 평창 패럴림픽 브랜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7권 제6호 805 드 지식, 브랜드 태도, 방문의사의 인과관계 분석 (오아라, 2017), 평창 동계패럴림픽을 위한 동계패 럴림픽 유산에 관한 연구(송설록, 2017), 대중매체 에 나타난 패럴림칙에 대한 분석 및 발전방향(이창 희, 박범영, 2018) 등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선행연 구 고찰 결과 장애인의 체육활동 참여와 장애인스 포츠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 나 장애인의 입장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일부의 연구들은 패럴림픽의 성공 적 개최와 평가에 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 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장애인 당사자의 관점에서 평창 동계패럴림픽에 대한 성과 및 이점을 확인하 고 검토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현재 생활체육을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지체 장애인을 대상으로 이러한 평창 동계패럴림픽 정 보서비스가 동계스포츠를 간접적으로 접하고 참여 할 수 있는 동기와 계기를 제공하는 수단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패럴림픽 정보서비스 수용도가 지체장애인의 동계스포츠 직⋅간접적 참 여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지 체장애인의 심리적 상태를 파악하여 동계스포츠 참여에 대한 동기부여율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 를 제시하는데 있다. 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표집 하였다. 이들 중 무응답 및 불성실하게 응답 한 13명의 자료를 제외한 217명의 자료를 최종 결 과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그에 다른 연구대상의 인 구사회학적 특성은 < 표 1 > 과 같다. 표 1. 연구대상자 특성 변인 구분 빈도비율(%) 계 성별 남자 여자 20대 이하 30대 연령 40대 50대 장애 유형 60대 이상 절단장애 관절장애 지체기능장애 121 96 29 31 67 60 30 33 62 70 장애 등급 변형 등의 장애 52 1급 2급 3급 4급 5급 66 97 39 11 55.8 44.2 13.4 14.3 30.9 27.6 13.8 15.2 28.6 32.3 24.0 41.8 30.4 44.7 18.0 5.1 217(100) 217(100) 217(100) 217(100) 2. 측정도구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된 조사도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P시에 거주하며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지체장애인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들 중 설문지에 대한 설명과 동의를 얻은 230명을 편 구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생활체육 참여도를 측 정하기 위한 문항 9개와 평창 패럴림픽의 정보서비 스 수용도에 대한 문항 6개, 지체장애인의 동계스 포츠 직·간접적 참여에 대한 문항 10개를 포함한 총 37문항이며, 설문문항에 대한 응답형태는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으로 부여는 5점 리커트 척도(5 Likert scale)로 구성하였다. 선행 조사도구가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이용된 조사도구 806 평창 패럴림픽 정보서비스 수용도가 지체장애인의 동계스포츠 직·간접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임을 고려하여 본 연구대상인 지체장애인에 적합 한 문항내용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설문지의 내용 및 문항 적합성에 대해 특수체육학 전공교수 1명, 특수체육학 박사 2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의 안 면타당도(face validity) 검증을 실시하여 수정․보완 된 최종자료를 설문지로 사용하였으며, 그에 따른 구체적인 구성내용은 < 표 2 > 와 같다. 표 2. 설문지의 구성 구성 인구사회학적 특성 생활체육 참여도 동계스포츠 직·간 접적 참여의도 내용 설별, 연령, 장애유형·등급 종목, 기간, 빈도, 시간, 강도 정보서비스 수용도 정보서비스 수용 직접적 참여의도, 간접적 참여의도 총 문항 문항 4 5 6 10 25 1) 패럴림픽 홍보 평창 패럴림픽 홍보 요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Shih(1998)가 개발한 척도를 서희진(2001)이 국내 실정에 맞게 번안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재구 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문항은 정 보서비스 수용에 관한 6문항과 정보서비스 홍보에 관한 1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선행연구에서 보고 된 신뢰도계수인 Cronbach's α값은 .67~.82로 나 타났다. 2) 동계스포츠 직·간접적 참여의도 지체장애인의 동계스포츠 직·간접적 참여의도 요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현수(2011)의 지체장애 인 스포츠 직·간접 참여 설문문항을 수정․보완하 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문항은 동계스포 츠 직접적 참여의도에 관한 5문항과 동계스포츠 간 접적 참여의도에 관한 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보고된 신뢰도계수인 Cronbach's α값은 .851~.854로 나타났다. 3.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 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로 Cronbach's α방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으 며, 그 결과는 < 표 3 > 과 같다. 표 3.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문항 1 2 V1 V2 V3 V4 V5 V6 V7 V8 V9 V10 V11 V12 .915 .875 .860 .676 .226 .120 .416 .477 -.036 .123 .060 .349 .199 .281 .276 .365 .778 .767 .764 .732 .052 -.065 .196 .110 .138 .040 .185 .101 .146 .061 .068 .000 .881 .862 .822 .587 3 공통성 .896 .847 .850 .600 .678 .606 .762 .763 .781 .762 .717 .478 전체 3.407 2.699 2.634 %분산 28.392 22.490 21.953 %누적 28.392 50.882 72.835 신뢰도 .908 .845 .818 x2=1640.273, p < .001, KMO=.862 < 표 3 >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수집된 자료가 요 인분석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표준 적합도(KMO: Kaiser-Meyer-Olkin)와 Bartlett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x2값이 1640.273로 p < .001, 표 준적합도(KMO)가 .862로 나타나 자료가 요인분석 에 적합함을 나타냈으며, 공통성은 최하 .478에서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7권 제6호 807 최대 .896까지 나타났다. 또한 전체 누적 설명력이 72.8%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요인별 Cronbach's α값에 따른 신뢰도 분석결과 최하 .818에서 최대 .908로 나타났다. 4. 자료처리 본 연구에서 자료처리는 다음과 같다. 먼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Cronbach's α값을 통한 신 뢰도 검증을 이용하였다. 다음으로 측정모델의 적 합성과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AMOS 23.0 프로 그램을 이용하여 개념 신뢰도 Construct Reliability: CR), 평균분산추출(Average Variance Extracted: AVE) 값을 이용한 집중타당도 분석을 통한 판별타 당성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분석을 이용하였다. 이때 집중타당도 분석 시 판별타당성 검증의 기준은 분산추출지수가 각 요인의 상관계수(r2)의 제곱, 즉 결정계수(r2)보다 크면 판별타당성이 확보되었음과 개념 신뢰도는 .7 이상, 평균분산추출지수는 .5이상이면 측정모형은 적합함(김계수, 2007)을 기준으로 하였다. 또한 구 조방정식모형분석의 모형적합도 평가적합지수는 Normed x2(3이하), RMR(.5이하), CFI, NFI, TLI(.90 이상), RMSEA(.08이하)를 이용하였다. 3요인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 집중타당도를 분 석한 결과는 < 표 4 > 와 같이 나타났다. 정보서비스 수용도, 직접적 참여의도, 간접적 참여의도의 하위 요인들의 표준화계수는 .501-.934, 분산추출지수 (AVE)는 .672-.765로 나타나 잠재변수가 상대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4. 측정모형의 집중타당도 분석결과 잠재 변수 직접적 참여 의도 간적적 참여 의도 정보 서비스 수용도 경 로 관측 변수 표준화 계수 S.E C.R AVE → V1 0.934 3.539 .055 → V2 0.892 3.512 .057 → V3 0.910 3.465 .064 → V4 0.695 3.281 .069 → V5 0.697 3.774 .050 → V6 0.574 3.507 .046 → V7 0.884 3.535 .047 → V8 0.883 3.530 .047 → V9 0.845 4.051 .054 → V10 0.841 4.065 .054 → V11 0.729 3.917 .055 → V12 0.501 3.972 .054 .765 .749 .672 < 표 4 >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직접적 참여의도 Ⅲ. 결 과 1. 측정모형 검증결과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로 재구성된 12개 문항의 의 관측변수(4문항)의 표준화계수는 .695-.934로 나타났으며, 분산추출지수(AVE)는 .765로 나타났 다. 간접적 참여의도의 측정변수(4문항)의 표준화 계수는 .574-.884로 나타났으며, 분산추출지수 (AVE)는 .749로 나타났다. 정보서비스 수용도의 측 정변수(4문항)의 표준화계수는 .501-.845로 나타났 으며, 분산추출지수(AVE)는 .672으로 나타났다.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 결과는 < 표 5 > 와 같이 나타났다. < 표 5 >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분석 결과 모든 잠재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정 (+)의 관계로 나타났으며(p < .05), 본 연구의 가설적 방향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08 평창 패럴림픽 정보서비스 수용도가 지체장애인의 동계스포츠 직·간접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표 5. 변인간 상관관계 분석결과 구분 정보서비스 수용도 직접적 참여의도 간적적 참여의도 상관관계 12 3 1.672 .256(.066)** 1.765 .167(.028)* .701(.491)** 1.749 표 6.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구분 Normed x2 RMSEA NFI CFI TLI IFI 2. 연구모형 및 영향관계 검증결과 측정모형에 대한 타당성과 독립성에 대한 구조 적합지수 적합여부 적합 근접 적합 적합 적합 적합 2.535 .084 .923 .951 .937 .952 또한, 집중타당도 및 판별타당도 결과를 바탕으 로 연구모형 검증에 앞서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 으며, 그 결과 < 표 6 > 과 같이 평가 접합지수 5개가 기준치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측정 모형에 대한 검증결과 패럴림픽 정보서비스 수용 도, 동계스포츠 직접적 참여의도, 동계스포츠 간접 적 관계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지체 장애인의 패럴림핌 정보서비스 수용도가 동계스포 츠 직·간접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관 계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결과 < 그림 1 > 과 같이 나타났다. < 그림 1 > 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패럴림픽 정보 서비스 수용도, 동계스포츠 직접적 참여의도, 동계 스포츠 간접적 참여의도의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결과는 Normed x2=2.535, RMSEA=.084, NFI=.923, CFI=.951, TLI=.937, IFI=.952 등으로 6개 적합지수 가운데 5개가 기준치를 상회하여 본 연구모형이 적 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인 간 나타나는 구 체적인 인과적 영향관계는 지체장애인의 평창 패 럴림픽 정보서비스 수용도는 동계스포츠 직접적 참여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관계를 미치는 것 AVE 적 참여의도는 타당성과 독립성을 가진 변인으로 써 구조적 관계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1. 평창 패럴림픽 정보서비스 수용도가 동계스포츠 직⋅간접적 참여의도와의 관계 구조모형 분석결과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7권 제6호 809 으로 나타났다(표준화 회귀계수 .14%, C.R값=.890, p < .001). 또한 지체장애인 패럴림픽 정보서비스 수 용도는 동계스포츠 간접적 참여의도에 정(+)의 유 의한 영향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준화 회귀계수, .17%, C.R값=.898, p < .001). 또한 추가적 으로 지체장애인 패럴림픽 정보서비스 수용도을 통한 동계스포츠 직접적 참여의도는 동계스포츠 간접적 참여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관계를 미 치는 경로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모형 및 영향관계분석결과 지체장애 인 스포츠 웹사이트 이용은 스포츠 직, 간접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로서 구조적 타당성을 가지 며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 나타났다. 패럴림픽 정보서비스 수용도와 동계스포츠 직·간 접적 참여의도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즉, 지체장애인의 평창 패럴림픽 정보서 비스 수용도가 동계스포츠의 직·간접적 참여의도 에 영향을 미치는 차별성을 가지는 선행변수가 됨 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정천규(2005)의 연구에서 미디어 Ⅳ. 논 의 1. 측정모형 검증결과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패럴림픽 정보서비스 수용과 동계스포츠 직·간접적 참여의도와의 관계 규명에 앞서 요인간의 독립성을 확인하기 위해 지 체장애인의 패럴림픽 정보서비스 수용도와 동계스 포츠 직접적 참여의도, 동계스포츠 간접적 참여의 도에 대한 판별타당도 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타당성과 변인 간 독립성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논의 의 사항을 시사한다. 본 연구와 유사한 이현수(2011)의 연구에서 검증 된 지체장애인의 스포츠웹사이트 이용과 스포츠 직·간접적 참여도와의 독립성에서 결과에 논의된 스포츠 직·간접적 참여의 하위측정변수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연구결과가 지체장애인의 평창 스포츠 수용요인은 스포츠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이루어 졌지만 본 연구의 결과와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 이는 미디어스포츠와 정보서비스는 서로 공생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때문에 다양한 패럴림픽 정보서 비스가 지체장애인의 수용과 동계스포츠 직·간접 적 참여의도를 형성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 창희와 박범영(2018)의 연구에서는 대중매체에 나 타난 패럴림픽에 대해 분석하고 대중매체의 양적 증가의 흐름을 통해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보도와 분석을 통하여 패럴림픽에 많은 장애인들이 참여할 수 있는 계기와 장애인들만의 축제가 아닌 대한민국 전체의 축제로 보고 긍정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어야 할 것이라고 제시하였다. 이처럼 지 체장애인의 일상생활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대중매체 및 신문, 라디오를 통해 생겨나는 간접적 정보서비스에 대한 일시적 수용이 지속되어 본인 스 스로의 정보습득으로 이어질 수 있길 기대한다. 이상의 측정모형에 대한 논의는 지체장애인에게 있어 패럴림픽 정보서비스 수용이 또 다른 새로운 형태의 스포츠 이용방안으로 활용되어 가고 있음 을 시사한다. 2. 연구모형 및 영향관계 검증결과 연구결과 지체장애인의 평창 패럴림픽 정보서비 810 평창 패럴림픽 정보서비스 수용도가 지체장애인의 동계스포츠 직·간접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스 수용도와 동계스포츠 직·간접적 참여의도와의 인과적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모형이 적합한 것으 로 나타났다. 또한 인과적 관계를 나타내는 경로계 수가 평창 패럴림픽 정보서비스 수용도가 높을수 록 동계스포츠 직접적 참여의도는 .14(14%) 증가하 며, 동계스포츠 간접적 참여의도는 .17(17%)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나 지체장애인의 동계스포츠 참 여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써 패럴림픽 정보서비 스 가치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첫째, 지체장애인의 평창 패럴림픽 정보서비스 수용도가 동계스포츠 직접적 참여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Smith(1973)는 어린이들이 자라면서 스포츠를 시청 하고 잡지나 신문에서 관련 기사를 읽고 또 직접 경기에 참가하는 과정에서 스포츠에 대한 사회화 를 하게 된다고 한 것을 바탕으로 간접적인 정보서 비스를 통한 인지효과를 통해 스포츠에 대한 관심 이 커지면서 스포츠가 중요하고 가치가 있다는 것 을 배우게 된다고 하였다. 또한 스포츠 중계방송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기 선수들의 모습을 접하면서 아름다운 모습이나 땀 흘리는 모습, 환호하거나 최 절하는 모습을 통해 운동의 매력을 배우고 건강에 대한 지식과 운동의 효과를 습득함으로써 신체적 가치와 심미적 가치를 더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처럼 정보서비스를 통한 홍보를 수용하 여 간접적으로 스포츠에 대한 인식과 참여의도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지체장애인의 평창 패럴림픽 정보서비스 수용도가 동계스포츠 간접적 참여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우 미숙(2002)은 지체장애인의 정보서비스 수용은 라 디오, 신문, 인터넷 등과 같은 대중매체와 다양한 수단을 통해 사회구성원으로써 동등한 정보 받게 하며, 신체적, 사회적,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게 해주 는 좋은 수단이라고 하였다. 또한 인터넷을 활용한 정보서비스 수용의 경우 Hagins(1995)와 Waldron, Lavitt와 Kelley(2000)는 장애인은 인터넷 활용을 통 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가능 하며, 집단 참여의 기회를 제공한다고 하였다. 이처럼 지 체장애인의 패럴림픽 정보서비스 수용을 통해 사 회적 소외를 극복할 수 있으며 보다 풍부한 지식을 통해 자신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비장애인과의 사회통합과 수용에 긍정적인 수단이 되며 이를 위해 보다 다양한 분야 에서의 장애인을 위한 정보서비스 개발 및 이용확 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정보서비스가 스포츠 가치관을 확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 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뉴미디어의 도입과 미디어 의 디지털화에 따른 스포츠의 홍보 효과의 확대로 스포츠 참여를 위한 선택의 기회가 더욱 다양하게 나타남과 더불어 정보서비스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참여하게 되는 간접관람스포츠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비추어 볼 때 정보서비스를 통한 정보 습득은 대중에게 더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스포츠 문화를 즐길 수 있는 콘텐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Ⅴ. 결론 및 제언 평창 패럴림픽 정보서비스 수용도가 지체장애인 의 동계스포츠 직·간접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7권 제6호 811 향관계 규명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모형에 대한 집중타당도, 판별타당도,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지체장애인의 패럴림픽 정보 서비스 수용도, 동계스포츠 직접적 참여의도, 동계 스포츠 간접적 참여의도의 하위 측정변수의 타당 성이 양호하며 변인 간 상호 독립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모형 및 영향관계검증 결과 연구모형 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체장애인의 패럴 림픽 정보서비스 수용도는 동계스포츠 직접적 참 여의도, 동계스포츠 간접적 참여의도에 정(+)의 유 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패럴림픽 정보서비스 수용은 지체장애인들에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동계스포 츠에 대한 직·간접적 참여의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지제장애인들이 패럴 림픽의 다양한 홍보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고 직· 간접적으로 참여의도가 형성되는 것이라 볼 수 있 으며, 장애인 동계스포츠 인구의 저변확대 및 미디 어 정보서비스를 통한 지체장애인의 동계스포츠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도모하는 것임을 나타낸다. 따 라서 지체장애인의 동계스포츠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주변에서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정보서비스와 미디어스포츠 홍보를 활용 하여 동계스포츠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접 할 수 있도록 이를 더욱 활성화시킬 필요성이 있다. 그러므로 평창 패럴림픽뿐만 아니라 장애인전국체 전과 각종 장애인스포츠에 관심과 참여의사를 높 이고 지체장애인들의 생활체육 및 동계스포츠에 더욱 지속적이고 활발한 동기부여와 정보제공 및 간접체험의 경험이 필요하다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