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책,영화,리뷰,3440

유서 [박성원] 유서 박성원 나는 지금부터 나의 유서를 쓰려고 한다. 어쩌면 이것은 유서가 아닐지도 모른다. 일종의 고백성사일 수도 있으며, 하나의 사티로스극으로 불러도 좋다. 문건, 조서, 넋두리, 낙서, 대본 그 무엇으로 불러도 좋다. 나는 내 개인의 절대성을 여러분에게 절대 강요하지 않겠다. 대신에 나는 여러분의 어떠한 비평이나 평가도 받아들이지 않겠다. 이 얼마나 공평한 일인가? 이에는 신도, 비평가도, 법도 필요치가 않다. 또 나는 내가 하기 싫어하는 일에 대해서는 남에게 절대 시키지 않는다. 또한 내가 하기 싫은 일은 남의 어떠한 부탁에도 절대 응하지 않겠다. 이 얼마나 간편한 일인가? 그러나, 내가 굳이-여러분이 어떤 식으로 부르든-'유서'라는 명칭을 부여하는 것은 '유서'가 갖고 있는 속성 때문이다. 세칭.. 2023. 6. 7.
유목적 사유(Nomad Thought) 유목적 사유(Nomad Thought) - Gilles Deleuze * "Nomad Thought", in The New Nietzsche : Contemporary Styles of Interpretation, ed. & intro. by David B. Allison, MIT Press, 1985, pp.142-149. ** First published as "Pens e nomade" in Nietzsche aujourd'hui, 1973 (Union G n rale d'Editions, Paris). 아마도 우리들 대부분은 우리 근대 문화의 여명을 니체-프로이트-맑스라는 세 사람으로 새겨두고 있다. 그리고, 세계가 그들에 대해 미리 준비되지 못했던 것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 이제는, 아마도 맑스.. 2023. 6. 7.
유럽자본주의의 농업적 뿌리.- 로버트 브레너 유럽자본주의의 농업적 뿌리.- 로버트 브레너. 서론. 유럽의 여러 다른 지역이 보여주었던 서로 다른 소유관계와 계급간 세력균형 아래에서는 아주 똑 같은 인구의 동향 및 상업의 동향이, 소득분배에서의 장기적인 추세에 관련해서 뿐만 아니라 생산 력의 발전 또는 정체가 보여주는 전반적인 패턴들에 관해서도, 전혀 다른 경제적 결과를 빚어내었 다.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계급구조를 확립하고 발전시키며 변화시켰던 상대적으로 독자적인 과 정은, 전산업시대에 유럽에서 이루어진 장기적인 경제발전에 관한 어떠한 해석에도 반드시 핵심에 놓여야만 한다. 영주들이 경제외적 강제에 의한 잉여수탈을 통해 그리고 농민들이 생계를 위한 생산을 통해 그들 스스로를 재생산했던 것은, 생산단위들의 완벽한 전문화나 잉여의 체계적인 재투 자.. 2023. 6. 7.
유고 시집 [김남주] 김 남 주 유 고 시 집 나와 함께 모든 노래가 사라진다면 ==> 1-5부 시(발췌) 시 작 메 모(발췌) 2023. 6.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