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책,영화,리뷰,3440

이퇴계 [한국위인전집] 한국위인특대전집 (11)이퇴계. 이퇴계(1501∼1570) 조선의 학자, 문신. 경상북도 안동에서 태어났으며 1523년 성균관에 입학했다. 1534년, 문 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지냈으나 1545년, 을화사화 때 벼슬에서 쫓겨났다. 그 뒤 풍기 군수로 있다가 병을 얻어 고향으로 내려가 독서와 사색의 생활을 즐겼다. 1560년, 다시 대사 성, 부제학 등의 벼슬에 올랐으며 40년 동안 네 명의 임금을 모셨다. 그는 뒤에 어린 선조에 게 유학의 근본 원리와 실천 방법을 모아 중요한 내용만을 적은 성학십도 를 지어 올리고는 벼슬에서 물러나 고향으로 내려갔다. 고향에서도 도산 서당을 지어 제자들에게 글을 가르쳤 으며 주자학의 대가가 된 뒤에도 자기 학설의 잘못된 점은 서슴지 않고 고쳐 나갔다. 주자 학을 만.. 2023. 6. 8.
인간 쓰레기 [아이작 싱어] 인간쓰레기 아이작 싱어 살과 썩음은 원래 처음부터 같은 것이었다. 그리고 언제나, 하느님의 지혜와 자비와 영광의 정반대인 창조의 찌꺼기로 남아 있을 것이다. 하느님과 인간의 약속이 끝나 그 생명의 책에서 인간의 이름이 영원히 지워져 버릴 때까지 인간은 어쩔 수 없이 땅 위를 기어다닐 것이다. (므두셀라의 죽음) 1 그날 아침, 맥스 바란밴더가 바르샤바에서 샀던 이디시어 신문에는 뉴욕과 런던 신문에서 읽었던 것과 같은 기사가 실려 있었다. 발칸 반도는 화약고이고, 악명 높은 유태인 학살자 푸리슈케비치와 흑백인단 단원들은 러시아계 유태인들을 죽이는 데 바빴으며, 팔레스타인의 유태인 촌락은 가뭄이 들었고, 아르헨티나의 유태인 촌락 관료들은 또다시 드 허시 남작의 거류지에서 말썽을 일으켰으며, 빌헬름 황제는 전.. 2023. 6. 8.
미셸 푸코의 談論空間 개념과 主體의 문제 미셸 푸코의 談論空間 개념과 主體의 문제 미셸 푸코의 철학에 있어 담론공간의 개념이 차지하는 위상을 살펴 보고, 그러한 작업의 바탕 위에서, 전통적으로 중요한 철학적 문제로서 취급되어 왔던 주체의 문제를 다루어 보고자 한다. 푸코 철학의 특징은 인간과 세계 사이에 언어의 질서(담론의 질서)를 매개시키고, 이 담론의 질서를 통해 인간과 세계 사이의 관계맺음(여기에서는 인식론적 관계맺음)을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점에서 우리는 푸코의 고고학을 인식론적 場理論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즉 그의 철학은 기본적으로 어떤 개인이나 어떤 작품 또는 어떤 이론 등을 문제삼는 것이 아니라 이들이 그에 속해 있는 일종의 기저공간을 통해서 즉 인식론적 장을 통해서 설명하고자 하는 이론인 것이다. 푸코는 이러한 장이론을 전.. 2023. 6. 8.
이율곡 [한국위인전집] 한국위인특대전집 (12)이율곡. 이율곡(1536∼1584) 조선의 학자로 호는 율곡이다. 강릉의 오죽헌에서 태어나 어머니 신사임당의 교훈을 받으 며 자라났다. 13세의 어린 나이로 장원급제하여 주위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으며, 그 뒤 여러 차례 과거에 응시하여 9번이나 장원급제함으로써 9도 장원공 이라 불리었다. 이이는 대사간 직책을 9번이나 맡아 임금이 올바른 일을 해 나가도록 힘썼다. 특히 나라의 힘이 약한 것을 걱정하여, 10년 안에 큰 전쟁이 있을 것이니 10만 군대를 키우자고 주장하였으나 뜻을 이루 지 못하였다. 34세에 청주 부사로 임명되자 백성들의 자치규약인 향약 을 마련하기도 하였 다. 뒤에 그가 황해도 관찰사가 되었을 때 이 향약 운동을 크게 일으켰다. 선조 때 동인과 서인으로 갈라져 당파.. 2023. 6.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