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교육

8급 한자 능력 검정 시험 기출문제 제68회, 69회 8급,'한글운율법'을 통한 한중일 한자 어휘의 동시교육 방안 연구

by Casey,Riley 2020. 2. 15.
반응형

8급 한자 능력 검정 시험 기출문제 제68회, 69회 8급

8급 한자 능력 검정 시험 기출문제 제68회8급.pdf
0.08MB
8급 한자 능력 검정 시험 기출문제 제69회8급.pdf
0.11MB

'한글운율법'을 통한 한중일 한자 어휘의 동시교육 방안 연구

1. 머리말 2.'한글운율법'이라는 새 언어이론 3.'한중일' 3종 언어의 음운체계 10) < 한글요약문 > 이 글은 이른바 '한글운율법'에 기반하여 '한중일' 한자 어휘들을 성조(tone) 부호가 표시된 한글로 표기함으로써 한중일 한자 어휘들을 한꺼번에 효율적으 로 가르칠 수 있는 교수 학습 방안을 제안한 논문이다. 인간의 언어수행은 시간 적으로 연속된, 의미를 띤 심리적 음절이 뫼비우스띠 형상을 한 채, 물리적 운율 (멜로디리듬 말투=MeRhy Style)을 형성하는 것이라고 가정해 볼 때, '한글운 율법'은 복층(2층)구조화되어있는 이 세상 7,000종 모든 언어의 1층의 음절들 은 '한글' 문자(훈민정음)로 음절식 표기를 하고, 2층의 운율은 오선지 위에 음 표, 쉼표로 표시할 수 있는 새 언어이론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 '한글운율법' 이 론에 따라 성조언어인 중국어와 일본어 한자어들의 심리적 음절에 대한 '형태음 소적 음절표기'를 할 수 있고, 물리적 음절에 대한 '음소적 음절표기'를 할 수 있 다. 이로써 우리는 '한중일' 3국 한자 어휘들을 빠른 시간 안에 잘 교육시킬 수 있 는 방안을 마련하게 되었다. 주제어 :한글, 리듬, 운율, 한글운율법, 유니코드, 성조부호, 음절식 표기 4.'온누리'한글 중국어 음절표 5.'한중일' 한자 어휘들의 한글 표기 과정과 원리 6. 맺음말 * 이 연구는 2009년도 충남대학교 학술연구비에 의해 지원되었음. **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 232 충청문화연구 제18집 1. 머리말 이 글은 이른바 '한글운율법' 이론에 기반하여 한중일 3국의 한자 어 휘들을 한글로 표기함은 물론 운율을 나타내는 성조부호도 표시하여, 이 한자 어휘들을 한꺼번에 익힐 수 있는 '한중일 한자 어휘의 동시 교육 방법'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음악학에서는 리듬(rhythm), 멜로디(melody), 화성(harmony)을 음악의 3요소라고 일컫는다. “리듬이란 무엇인가?” 음악학에서는 대체 로 리듬을 이렇게 정의한다. “리듬은 길고 짧은 소리(搏=beat)가 모여 이루어진 박자(拍子= time, meter, foot)가 일정한 템포(tempo)를 지닌 채 무리를 지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소리 흐름이다.”1) 이 리듬에 운소(성조, 강세, 음장)가 얹혀 실현되는 억양(intonation)을 언어학에 서는 대체로 '운율'(prosody)이라고 부른다. 즉, 단어나 구절, 문장의 발화시, 의미를 변화시켜 주는 이 운소가 '박자리듬꼴'을 구성하는 음절 (syllable)에 부여되면 자연스럽고도 리드미컬한 물리적 표면 '운율형' (가락꼴)이 생긴다. 문자로서의 한글의 장점은 로마자 알파벳과는 달리 음절식 표기 체계 내에 리듬의 속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데 있다. 이로써 유니코드 한글 (Hangul Jamo)2)로 이 지구상 7000종의 모든 언어를 음절식으로 표기할 1) 음악의 기초이론에 대해서는 서우석(2013: 27~61)을 참조하였음. 2) 컴퓨터에서 세계 각국의 언어를 통일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게 제안된 국 제적인 문자 코드 규약을 유니코드(Unicode)라고 하는데, 국제표준으로 제 정된 2바이트계의 만국 공통의 국제 문자부호 체계(UCS: Universal Code System)를 말한다. 애플컴퓨터·IBM·마이크로소프트 등이 컨소시엄으로 설 립한 유니코드(Unicode)가 1990년에 첫 버전을 발표하였고, ISO/IEC JTC1에서 1995년 9월 국제표준으로 제정하였다. 공식 명칭은ISO/IEC 10646-1(Universal Multiple-Octet Coded Character Set)이다. 데이터 '한글운율법'을 통한 한중일 한자 어휘의 동시교육 방안 연구 233 수 있으며, 인간 언어의 리듬과 운율을 오선지 위에 음표 및 쉼표로 기 보하여 '운율보'를 만들 수 있다. 우리는 '리듬문자' 한글로 중국어와 일본어를 음절식으로 온전히 적을 수 있는 '온누리한글 중국어/일본어 표기법'을 개발하였다.3) 나아가 지 구촌 74억 인류가 사용하는 약 7,000종의 모든 언어를 세종대왕이 창 제한 '한글(훈민정음)'로 완벽하게 음절식 표기를 할 수 있는 길도 열었 다. 따라서 우리 '한글'이 로마자(알파벳)를 제치고 장차 '인류 통일문 자'의 위상을 확보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 이제 초등학교를 다니는 어린이들이든, 중고등학교에 다니는 청소년 들이든, 혹은 대학생 이상의 성인들이든, 그들 피교육생들이 우선 한자 로 표기되는 한국 한자어의 뜻과 발음을 익히게 되면, 거기에다가 한국 어, 중국어 및 일본어의 음운규칙과 운율규칙(리듬 및 운율의 정보)을 추가로 제공해 줌으로써 그들로 하여금 중국 한자어 및 일본 한자어의 의 교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문자 1개에 부여되는 값을 16비트로 통일 하였다. 코드의 1문자당 영어는 7비트, 비영어는 8비트, 한글이나 일본어는 16비트의 값을 지니는데, 이를 모두 16비트로 통일한 것이다. ISO/IEC 10646-1의 문자판에는 전 세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26개 언어의 문자와 특 수기호에 대해 일일이 코드값을 부여하고 있다. 최대로 수용할 수 있는 문 자수는 6만 5,536자이다. 이 가운데 3만 8,885자는 주요 국가의 언어를 구 현하는 용도로 이미 할당되어 있고 6400자는 사용자 정의 영역으로, 나머지 는 2만여 자는 새로 추가될 언어 영역으로 각각 비워두고 있다. 코드 할당 비율을 보면 한자가 39.89%로 가장 많고, 한글 17.04%, 아스키 및 기호문 자 10.39% 등의 순이다. 여기에 포함된 한글 코드 체계는 옛 한글의 자모 를 포함한 한글자모 240자(HANGUL JAMO, 11열)와 한국표준인 KSC 5601 의 조합형 한글자모 94자(HANGUL COMPATIBILITY, 31열), 한글에서 구 현할 수 있는 최대 글자수 1만 1,172자를 가나다순으로 배열해 놓은 완성형 (HANGUL, AC열∼D7열) 등 3종으로 되어 있다. (www.unicode.org 참조) 3) 필자는 앞선 논문들(2007가, 2007나, 2008가, 2008나, 2009)을 수정보완하 고 연차적으로 언어의 리듬과 운율 이론을 발전시켜 비로소 '한글운율법'이 라는 새로운 언어이론을 정립하게 되었다. 234 충청문화연구 제18집 뜻과 발음이 어떠한 것인지도 곧바로 잘 이해하고 익힐 수 있게 해 줄 수 있다. 이를테면, 피교육생들이 '愛國'이라는 한자어의 현대 한국어 발 음이 /애국/[애국(ɛguk)](반 박자 단어)이라는 사실을 먼저 앎으로써 이 한국 한자어 '애국'(愛國)의 중국어 발음이 /애4궈2/[아이구어 (àiguó)](한 박자 단어)이고, 일본어 발음이 /애2꼭1/[아이꼬꾸(あいこ く)](한 박자 단어)라는 점을 알게 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다.4) 즉, 중국어로 왜 '愛國'이 한글로 '/애4궈2/라고 표기되고 →[아이구어 (àiguó)]'로 발음되며, 일본어로는 왜 '愛國'이 한글로 /애2꼭1/로 표기 되고 →[아이꼬꾸(あいこく)]로 발음되는가를 설명해 주자는 것이다. 훈민정음 창제 당시만 해도 우리 한국어에서 한자 '愛'(애)는 이중모음 /ai/로 발음되었던 것인데, 이 모음 'ㅐ'가 통시적으로 '단모음화'의 길을 걸어 17세기 중후반 근대국어 시기부터 전설 저모음 [ɛ]로 발음되어 오 늘에 이르렀다. 그러나 중국어와 일본어는 둘 다 21세기 현대에 이르기 까지 이중모음 /ㅐ/(ai)가 단모음화하지 않고 그대로 존속되었는바, 두 언어 모두 음운체계 상 단모음 [ɛ]가 없다. 따라서 '愛國'의 '愛'의 현대 중국어 및 일본어 발음은 모두 한글로 '애'라고 표기해 주면서 그 발음 이 이중모음 [ai]라고 가르쳐 줄 수 있는 것이다.5) 4) 여기서 숫자 1, 2, 3, 4는 그 음절의 '성조'(聲調 tone)가 각각 1성, 2성, 3성, 4성이라는 점을 표시하는 것이다. 우리는 '한중일' 세 언어의 운율적 특성을 고려하여, '북경말'을 표준 발음으로 채택하고 있는 현대 중국어는 '성조언 어'이고, '동경 말'을 표준 발음으로 채택하고 있는 현대 일본어는 '강세 성 조언어'이며, '서울 말'을 표준 발음으로 채택하고 있는 현대 한국어는 '강세 음장언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5) '애국'의 한자 표기를 우리는 '愛國'으로 쓰는데, 중국은 모두 간체자 '爱国' 로 표기하고 있으며, 일본은 '愛国'으로 표기하는데, 뒤의 '国'자만 약자로 표기하고 있다. 중국어 상용한자 3500자를 성조 부호가 표시된 한글로 표기 한 목록은 이 글의 말미에 부록으로 첨부하기로 한다. '한글운율법'을 통한 한중일 한자 어휘의 동시교육 방안 연구 235 또한 '國'의 경우도 한국어 발음은 /국/[guk]으로써 받침 'ㄱ'이 내파 음이라는 사실을 먼저 알려줄 필요가 있다. 나아가 현대 중국어 발음으 로는 '國'이 한글 /궈2/로 표기되고 [guo]라고 발음되는데 그 이유는 원 나라 말기부터 중국어는 입성 운미 /k/가 탈락하기 시작하고 단모음 /ㅜ /가 이중모음 /ㅝ/로 변했으며, 성조는 2성이 얹혔기 때문이라는 통시적 음운변화 현상을 설명해 주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현대 일본어 발음으로 는 '國'이 한글 /꼭1/로 표기되고 [꼬꾸kokɯ]라고 발음되는데, 그 이유 는 입성 운미 /k/가 외파되면서 평순모음 /ㅜ/[ɯ]와 결합하여 또 하나 의 물리적 음절 /꾸/를 만들게 되었으며, 성조는 1성이 얹히면서 두 음 절로 분할되기 때문이라는 음운변화 현상을 설명해 줄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의 한자 어휘의 음절에 적용되는 음운 론적, 운율론적 현상과 규칙들을 설명해 주고, 약 3,500~4000자의 한 자들의 뜻과 발음이 한중일 세 언어에서 각각 어떠한가를 익히게 함으 로써, 이 한자들이 서로 결합하여 만들어 내는 수만 개, 수십 만 개의 한 자 어휘를 피교육생들이 잘 학습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논문의 논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서론에 이어 2장에서는 이른 바 필자가 정립한 '한글운율법'의 핵심 이론과 '3단계 한글리듬 법칙'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언어학은 심리학과 생리학 및 뇌과학, 나아가 물 리학 이론과 접목될 때 더 큰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본다. 3장에서 는 '한중일' 3종 언어의 음운체계를 비교 고찰하면서, 이 음운체계를 통 해 중국어와 일본어를 성조부호가 표시된 한글로 온전히 '음절식' 표기 를 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4장에서는 기존의 필자의 논문들을 수정 보 완하여 새롭게 개정된 '온누리한글 중국어 음절표'를 제시하고, 이에 따 라 중국어 상용한자 3500자 모두를 성조부호가 표기된 한글로 표기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5장에서는 '한중일' 한자 어휘들을 비교 고찰 하면서, 이른바 '한글운율법'에 따라 이 어휘들을 성조부호가 표시된 한 236 충청문화연구 제18집 글로 표기하는 과정과 원리를 밝힌다. 즉, 형태음소적으로 표기되는 심 리적 음절에 성조가 얹히면서 음소적으로 표기되는 물리적 음절로 분할 되는 과정을 자세히 밝힐 것이다. 마지막으로 6장 결론에서는 본론에서 논의한 내용을 요약하고 '한글운율법'에 대한 앞으로의 남은 연구 과제 와 그 비전을 제시하기로 한다. 2. [한글운율법]이라는 새 언어이론 2.1 “한글운율법”의 핵심 '한글운율법'의 핵심은 “의미를 지닌 단어와 그 이상의 통사의미론적 구절, 문장 등이 운율을 이룰 때, 그 운율이 '1차 양자 얽힘'(quantum entanglement)을 통해 리듬화되며, 운율을 형성하는 '박자리듬꼴들'이 문장 성분들과 함수관계를 지닌다는 가설”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지금까지 국내외에 소개된 언어학 및 물리음성학 관련 연구물에는 말 소리의 생성이 의미입자와 소리입자의 '양자얽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 일 수 있다는 논증이 시도되지 않았다.6) 사람이 말을 하는 심리, 생리 6) 필자는 오래 전부터 현대물리학 이론 중의 하나인 '양자물리학' 이론을 인간 의 언어능력(language competence) 혹은 언어습득(language acquisition)과 언어수행(language performance) 과정에 적용시켜 볼 수 있겠다고 생각해 왔다. 즉, 자연과 우주의 물리적 현상과 법칙을 연구하는 '물리학'의 연구 영역을 인간의 '뇌'의 영역으로까지 끌어당겨서 심리학적, 뇌과학적 구명을 지향하는 언어학과 연결시킬 수 있다면 '언어의 본질'을 좀 더 잘 밝혀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 것이다. 그래서 '양자 물리학'이론은 언어의 습득 및 수행 현상을 간접적으로 설명해 줄 수 있지만, '음악이론'은 언어의 리듬과 운율의 원리를 직접적으로 설명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본 것 이다. 강용순(2011)에서 영어의 강세에 관한 여러 학자들의 이론들을 자세 히 소개하고 있는데, 아직도 영미 언어학자들의 많은 연구물들이 음악의 리 '한글운율법'을 통한 한중일 한자 어휘의 동시교육 방안 연구 237 적 행위는 '1차 양자얽힘'에 의해 창조되는 뫼비우스띠 모양을 한 초속 340m의 물리적 리듬파(rhythmical waves)의 산출이라고 본다. 이 리 듬파는 다시 전자기파(전파)와 '2차 얽힘'을 통해 초속 30만 km의 속 도로 우주를 날아간다고 볼 수 있겠다. 어쨌든 우리는 동일한 파동에너 지이지만, 전자기파와는 시공간의 진행 속도가 전혀 다른 음파(말소리) 가 일정한 시간길이(박자)에 따라 상이한 운율(리듬+억양)을 만든다는 사실에 주목하게 된 것이다. 다시 말해, “언어는 리듬파(rhythmical wave)”라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2.2 3단계 한글리듬 법칙 (1) 제1단계 한글리듬 법칙: 말소리(speech sound)는 발음시간이 긴 모음(母音 vowel = 長音) 음소(音素phoneme)와 발음시간이 짧은 자음(子音 consonant = 短音) 음소가 서로 모여 4가지 유형의 음절 (音節 syllable)을 만든다(1. V(모음 단독)형, 2. CV(자음+모음)형, 3. VC (모음+자음)형, 4. CVC(자음+모음+자음)형). 이렇게 길고 짧은 소리인 모 음(長音)과 자음(短音)이 모여서 '박음절'(beat syllable)을 만드는 법 칙을 '제1단계 한글리듬 법칙'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렇게 '제1단계 한글리듬법칙'에 따라 만들어지는 4가지 유형의 음절들은 다음과 같다. 1) 모음 단독(V)형: 아, , 애, 야, , 얘, 어, , 에, 여, , 예, 오, 와, 왜, 외, 요, 우, 웨, 위, 유, , 으, , 이, , ,  듬이론을 언어학에 적용시키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안병섭(2010)은 ToBI이론에 기반한 한국어 운율을 자세히 고찰하고 있지만, 역시 음악의 리 듬이론을 한국어의 운율분석에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Jun(2014)에서도 여 전히 ToBI이론에 기반한 점선 및 실선 그래프 표시 방법을 가지고 여러 언 어들에 대한 운율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238 충청문화연구 제18집 2) 자음+모음(CV)형: 가, , 개, 갸, , 걔, 거, , 게, 겨, , 계, 고, 과, 괘, 괴, 교, 구, 궤, 귀, 규, , 그, , 기, , , , 까, 카, , 나, , 다, 따, , , 라, , 마, 바, 빠, , , 파, , 사, 싸, , 자, , 짜, 차, , , , , 하,  3) (모음+자음(VC)형: 악, 앆, 앜, 안, 앋, 알, , 암, 압, , 앞, , 앗, 았, , 앙, 앚, 앛, 앜, 앝, 앞, 앟 4) 자음+모음+자음(CVC)형): 각, 깎, 갘, 난, 닫, 랄, , 맘, 밥, , 밮, 삿, 샀, , 앙, 잦, 찿, 캌, 탙, 팦, 핳 (2) 제2단계 한글리듬 법칙: 자음과 모음이 모여 형성된 음절 (syllable)은 박(搏, beat)의 지위를 확보하여, 다시 곁에 있는 다른 음 절들과 어울려 그 발음시간의 물리적 조정이 이루어지면서 더 큰 말소 리 단위인 균등한 시간 길이의 '박자'(拍子, time)를 만드는데, 이를 '제 2단계 한글리듬 법칙'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한글운율법'을 통한 한중일 한자 어휘의 동시교육 방안 연구 239 < 언어의 리듬을 구성하는 '한 박자'리듬꼴들 > 이 '제2단계 한글리듬 법칙'에 따라 만들어지는 '한 박자 리듬꼴들'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우리는 이 '한 박자 리듬꼴들'의 이름을 한국어로 명명하였다. 1) 1박 한 박자 리듬꼴: - 새 2) 2박 한 박자 리듬꼴: - 오리, 장끼, 부엉 3) 3박 한 박자 리듬꼴: - 종달새, 독수리, 비둘기, 기러기 4) 4박 한 박자 리듬꼴: - 해오라기, 딱따구리, 쇠뜸부기, 집비둘기, 흰물떼새 5) 5박 한 박자 리듬꼴: - 호랑지빠귀, 흰고리수리, 회색기러기, 제비갈매기, 수리부엉이, 노랑할미새 240 충청문화연구 제18집 6) 6박 한 박자 리듬꼴: - 큰부리까마귀 7) 7박 한 박자 리듬꼴: - 밤색날개뻐꾸기 8) 8박 한 박자 리듬꼴: - 무궁화꽃이예뻐요 9) 9박 한 박자 리듬꼴: - 무궁화꽃이피었어요 10) 10박 한 박자 리듬꼴: - 무궁화꽃이피었습니다 그리고 언어의 리듬과 운율을 오선지 위에 음표, 및 쉼표로 그려야 하 기 때문에 반박자를 나타내는 4분쉼표 ਸ਼의 이름은 '까마귀', 8분음표 ઁ 의 이름은 '닭', 8분쉼표 ਸ의 이름은 '병아리'라고 부르고자 한다. 이로써 우리는 인간의 말소리는 모두 '리듬파'(rhythmical wave)이며, 인간의 모든 언어 속에 공통적으로 내재하는 '박자 리듬꼴들'을 발견하게 된 것 이다.7) (3) 제3단계 한글리듬 법칙: 의미론적 기능(semantic function)을 담당하는 3운소, 즉 강세(accent)나 성조(tone), 음장(length) 자질 (feature)이 부과된 박음절(beat syllable)이 모여 형성된 균등한 시간 길이의 '박자'가 다시 1개, 2개, 3개, 4개, ... 10개씩 무리를 지어(그루 핑-grouping), 물리적 소리(physical sound)로서의 자연스러운 운율 ('멜로디 리듬 말투'(MeRhy Style))을 이루는 것을 '제 3단계 한글리 듬 법칙'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7) 근래 미국 < Nature Neuroscience > 지에 실린 논문(Tobias Overath, Josh H McDermott, Jean Mary Zarate, David Poeppel(2015). The cortical analysis of speech-specific temporal structure revealed by responses to sound quilts. Nature Neuroscience, volume 18, June 2015.)에서는 '인간 언어의 리듬'을 관장하는 뇌의 부위가 베르니케 영역과 브로카 영역을 연결하는 '상측 통로'(STS, Superior Temporal Sulcus)임 을 주장하고 있다. 즉, 미국의 뇌과학자들은 '언어의 리듬'을 관장하는 뇌의 '부위'를 발견하였고, 우리는 언어를 구성하는 '박자 리듬꼴들'을 별견한 것 이다. '한글운율법'을 통한 한중일 한자 어휘의 동시교육 방안 연구 241 3. 한중일 3종 언어의 음운체계 3.1 자음체계 3.1.1 한국어의 자음체계 – 평음(불송기음) 대 격음(유기음) 대 경음의 3항 대립 치조음 조음 위치 조음 방법 파열 음 무성 음 양순음 兩脣音 무기음 ㅂ [p] 유기음 ㅍ [ph] 경 음 ㅃ [p'] 무기음 파찰 음 무성 음 마찰 음 무성 음 유기음 경 음 무기음 경 음 유성음 비음 유성음 ㅁ [m] 유음 유성음 (f) 순치음 脣齒音 (설단음) 齒槽音 (舌端音) ㄷ [t] ㅌ [th] ㄸ [t'] ㅈ [ʧ] ㅊ [ʧh] ㅉ [ʧ'] ㅅ [s] (ㅅ) [ʃ] ㅆ [s'] (ㅿ [z]) ㄴ [n] ㄹ [l]/[r] 〈한국어의 19개 자음 체계〉 ㅇ [ŋ] ㅎ [h] 경구개음 硬口蓋音 연구개음 軟口蓋音 ㄱ [k] ㅋ [kh] ㄲ [k'] 성문음 聲門音 242 충청문화연구 제18집 3.1.2 중국어의 자음체계 및 그 한글 표기유기음(송기음) 대 무기음(불송기음)의 2항 대립 조음 위치 조음 방법 파열음 무성음 무기 음 유기 음 파찰음 무성음 무기 음 유기 음 무성음 마찰음 유성음 비음 유성음 유음 유성음 m[m] ㅁ f[f] ㆄ (v[v] ㅸ) n[n] ㄴ l[l] ᄙ 〈중국어의 22개 자음 체계〉 중국어의 자음들을 '한글'로 적으면서 몇 가지 쟁점으로 부각되는 사 항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중국어 음절의 이른바 '입성운미'는 음절 의 받침(종성)으로 실현되는 평파열음 /k/(ㄱ), /t/(ㄷ), /p/(ㅂ)이었는 쌍순음 双脣音 b[p] ㅂ p[ph] ㅍ z[ʦ] ㅉ c[ʦh]  s[s] ㅆ 순치 음 脣齒 音 설치 음= 설첨 전음 舌尖 前音 설첨 음= 설첨 중음 舌尖 中音 d[t] ㄷ t[th] ㅌ zh[tʂ] ㅈ ch[tʂh ] ㅊ sh[ʂ] ㅅ r[ʐ] ㄹ ng[ŋ] ㅇ j[ʧ]ㅈ/ 지 q[ʧh] ㅊ/치 x[ʃ]ㅅ /시 h[x] ㅎ 권설 음= 설첨 후음 舌尖 後音 설면음 舌面音 설근음 舌根音 g[k] ㄱ k[kh] ㅋ '한글운율법'을 통한 한중일 한자 어휘의 동시교육 방안 연구 243 데, 이 받침들은 14세기 명대(明代)를 전후하여 북경음을 중심으로 모 두 탈락하고 운모의 핵이 되는 모음(vowel)은 대체로 '이중모음화'의 길을 걸었다. 따라서 북경음 중심의 현대 중국어의 한자음에서 'ㄱ', 'ㄷ', 'ㅂ' 받침을 가진 경우는 없다고 하겠다. 둘째, 기존의 연구에서 중국어의 권설음(설첨후음)과 설면음(구개 음)은 음가가 서로 다른 자음 음소로 상정되어 온 것이 정설이다. 그러 나 필자는 권설음과 구개음은 그 음가가 서로 같기 때문에 따로 구분하 여 표기하지 않고 모두 우리 한글 /ㅈ/, /ㅊ/, /ㅅ/으로 적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며, 여기서 /ㅅ/만은 한국어의 발음 /s/가 아닌 /ʂ/ 혹은 /ʃ/로 발 음하는 것에 유의하면 된다고 본다.8) 왜냐하면, 권설음과 구개음은 각 각 그 결합하는 운모들이 서로 달라서, 그동안 학계에서는 당연히 '음절' 전체의 발음이 다르니 권설음과 구개음의 음가가 서로 다른 것이라고 인식해 온 것일 뿐이라고 본다. 예를 들어, 중국어에서 권설음 /zh/가 운모와 결합한 /zha/, /zhao/, /zhang/이라는 발음의 말은 있어도 /zhia/, /zhiao/, /zhiang/이라는 발 음의 말이 없는 이유는 권설음 'zh'가 운모 /a/, /ao/, /ang/과는 결합해 도 운모/ia/, /iao/, /iang/과는 결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반대로, 구개음 /j/가 운모와 결합한 /jia/, /jiao/, /jiang/이라는 발음의 말은 있어도 /ja/, /jao/, /jang/이라는 발음의 말이 없는 이유는 구개음 'j'가 운모 /ia/, /iao/, /iang/과는 결합해도 운모/a/, /ao/, /ang/과는 결합하지 않기 때문 이다. 위의 표를 보아 알 수 있듯이, 권설음과 구개음은 조음위치와 조 음방법이 같기 때문에 음가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즉, 권설음 /zh/는 구개음 /j/와 음가가 동일하며, 권설음 /ch/는 구개음 /q/와, 권설음 /sh/ 8) 한국어의 음운체계 상 'ㅅ'의 발음은 'ㅣ' 모음 앞에서 [s]가 아닌 [ʃ]로 실현 된다. 그러나, 중국어에서는 이 'ㅅ'의 발음이 항상 모든 모음(운모) 앞에서 [s]가 아닌 [ʂ] 혹은 [ʃ]로 실현되는 것으로 책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244 충청문화연구 제18집 는 구개음 /x/와 그 음가가 서로 같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zh/와 /j/는 / ㅈ/으로 표기하고, /ch/와 /q/는 /ㅊ/으로, /sh/와 /x/는 /ㅅ/으로 표기하 기로 한다. 셋째, 설치음의 경우, /z/는 /ㅉ/, /c/는 / /, /s/는 /ㅆ/으로 표기하고, 순치음 /f/는 /ㆄ/으로, 설측음 /l/은 / /로 표기하기로 한다. 특히 중국 어는 경음이 음소체계 안에 들어있지 않고 불송기음의 변이음이기 때문 에 비록 /z/와 /s/ 발음의 표기 글자를 각각 'ㅉ'과 'ㅆ'으로 정했다 하더 라도 한국어의 경음 발음 [ㅉ]과 [ㅆ]으로 발음하지 않도록 유의할 필 요가 있다. 3.1.3 일본어의 자음체계 및 그 한글 표기유성음(탁음)대 무성음(청음)의 2항 대립 치조음 조음 위치 조음 방법 유성 음 파 열 음 무성 음 파 찰 음 유성 음 무성 음 양순음 兩脣音 /ㅂ/ [b] /ㅍ/ [ph] ㅃ [p'] 순치음 脣齒音 (설단음) 齒槽音 (舌端音) /ㄷ/ [d] /ㅌ/ [th] ㄸ [t'] /ㅈ/ [dz] /지/ [ʤ] /ㅊ/~/ㅉ/ [ts] /치/ [ʧh] ㅉ [ʧ'] 경구개음 硬口蓋音 연구개음 軟口蓋音 /ㄱ/ [g] /ㅋ/ [kh] ㄲ [k'] 성문음 聲門音 '한글운율법'을 통한 한중일 한자 어휘의 동시교육 방안 연구 245 마 찰 음 비 음 유 음 무성 음 무성 음 유성음 유성음 유성음 /ㅁ/ [m] /ㄴ/ [n] /ㄹ/ [l]/[r] 〈일본어의 16개 자음 체계〉 우선 일본어 한자음의 입성운미(/k/, /t/, /p/ 받침)는 현대 일본어에 서 외파될 때와 내파될 때 모두를 받침으로 표기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즉, 그 받침이 약모음 'ㅡ'와 결합하여 CV형 음절을 만드는 경우에는 받 침을 각각 {ㄱ, ㄽ, ㅄ}으로 표기하고 내파(불파)되는 경우에는 받침을 각각 {ㅋ, ㅅ, ㅂ/ㄷ}으로 표기해 주고, 그 받침이 약모음 'ㅣ'와 결합하 여 CV형 음절을 만드는 경우에는 그 받침을 각각 {ㄲ,ㅆ,(없음)}으로 표기하도록 한다. 여기서 /p/를 받침으로 가진 한자는 외파될 때 받침이 약모음 'ㅣ'와 결합하지 않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형태음소적 표기형으 로서의 심리적 음절이 음소적 표기형으로서의 물리적 음절로 분할되는 과정을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된 것이다. /ㅇ/ [ŋ] /ㅅ/ [s] (시) [ʃ] ㅆ [s'] /ㅎ/ [h] 246 충청문화연구 제18집 3.2 모음체계 3.2.1 한국어의 모음체계 〈한국어의 10 단모음 체계〉 혀의위치 원/평 혀 높낮이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전설모음 후설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 평순모음 원순모음 ㅟ[y] ㅚ[ø] ㅣ[i] ㅔ[e] ㅐ[ɛ] ㅡ[ɨ] ㅓ[ə] ㅏ[a] 3.2.2 중국어의 모음체계와 성조부호 표시 〈중국어의 8 단모음 체계〉 혀의위치 원/평 혀 높낮이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전설모음 후설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 평순모음 원순모음 ü[y]: ㅟ i[i]: ㅣ i[ɩ][ɿ]: ㅡ u[u]: ㅜ e[ə]: ㅓ ê[e]: ㅔ (er[ər]: ) a[a]: ㅏ o[o]: ㅗ ㅜ[u] ㅗ[o] '한글운율법'을 통한 한중일 한자 어휘의 동시교육 방안 연구 247 한국어 모음체계에 없는 중국어의 이중모음 /ao/는 //로, /yao/는 / /로, /yue/는 //로 표기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그리고 '한어병 음 표기방안'에서 이중모음 /you/는 성모가 앞에 오지 않을 경우 /iu/로 표기하며 그 음가는 [yəu]인데, 이 이중모음 /you/를 한글로는 /요/로 표기하는 것이 가장 낫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이중모음 'you'의 음가 [yəu]는 [여우] →[]처럼 표기할 수도 있겠지만, 사실 [yəu]는 ' [이]+[어우]'를 거쳐 '[이]+[오](ㅓ+ㅜ→ㅗ 간음화)'로 발음되는 특 성이 강하다. 따라서 이중모음 'you'(iu)의 한글 표기는 //보다는 /요/ 가 더 낫다고 본다. /ㅓ/의 발음은 중국어 이중모음 /ㅔ/[ei], /ㅞ/[wei]에서는 [e] 발음 을 나타내는 것으로 약정하기로 한다. 그러니까, 'shen me'에서 'me'의 'e'는 /ㅓ/[ə] 발음을 나타내지만 이중모음 'ei'와 'wei'에서는 'ㅓ'가 [e] 발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여, /ㅔ/는 [에이], /ㅞ/는 [웨이]라고 발 음하면 되겠다. 그리고, /ㅐ/가 현대 한국어에서는 [ɛ]발음을 나타내지 만, 중국어를 표기할 때는 이중모음 [ai] 발음을 적는 글자로 약정하기 로 한다. '운소'로서의 성조(tone)를 나타내는 부호, 즉 '솔→솔' 높이의 고장 조를 나타내는 1성 표시 성조부호는 '-', '미→솔' 높이의 상승조를 나 타내는 2성 표시 성조부호는 '/', '미→도→파' 높이의 저굴곡조를 나타 내는 3성 표시 성조부호는 '∨', 그리고 '솔→도' 높이의 급하강조를 나 타내는 4성 표시 성조부호는 '\'로 하되, 이 부호들을 한글 글자의 모음 의 위 및 왼쪽의 윗부분에 표시하도록 하며, 경성은 따로 표시하지 않기 로 한다. 248 충청문화연구 제18집 3.2.3 일본어의 모음체계와 성조부호 표시 〈일본어의 5 단모음 체계〉 전설모음 혀의위치 원/평 혀 높낮이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 평순모음 비원순모음 i[i]: ㅣ (u[ɨ]: ㅡ) ê[e]: ㅔ a[a]: ㅏ 현대 일본어는 5단모음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모음 수가 많 은 한국어의 입장에서 보면 일본어의 모음을 한글로 적는 문제는 큰 어 려움이 없어 보인다. 위의 모음표에서 알 수 있듯이 あ는 한글로 'ㅏ', え는 'ㅔ', い는 'ㅣ', お는 'ㅗ', 그리고 う는 'ㅜ'가 적당하다고 본다. 그 러나 う는 さ행의 す나 ず, た행의 つ나 づ를 적을 경우 한글로 'ㅜ'보다 는 'ㅡ'로 적기로 한다. /ㅐ/가 현대 한국어에서는 [ɛ]발음이지만, 일본어를 표기할 때는 이 / ㅐ/가 이중모음 [ai] 발음을 표기하는 글자로 상정하기로 한다. 한국어 에 없는 일본어 이중모음 'ゆい' /yui/는 /ㆌ/로 표기하는 것이 타당하다 고 본다. u[u]: ㅜ o[o]: ㅗ 후설모음 '한글운율법'을 통한 한중일 한자 어휘의 동시교육 방안 연구 249 '운소'로서의 성조(tone)를 나타내는 부호는 다음과 같이 하면 좋겠 다. 즉, '솔→솔' 높이의 고장조를 나타내는 1성 표시 성조부호는 '-'으 로 하고, '솔' 높이의 고조를 나타내는 반1성(평판형) 표시 성조부호는 '∨'으로 하기로 한다. '미→솔' 높이의 상승조를 나타내는 2성 표시 성 조부호는 '/'으로 하면 되겠다. '미→도' 높이의 저장조를 나타내는 3성 은 부호를 표시하지 않는 것으로 하되, 제2음절에서 꼭 3성임을 표시해 야 할 경우에는 그 성조부호를 '-'으로 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 '도' 높 이의 저조를 나타내는 반3성도 부호를 표시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 '솔 →도' 높이를 나타내는 급하강조의 4성 표시 성조부호는 '\', '솔' 높이 의 고조를 나타내는 반4성(기복형) 표시 성조부호는 '∧'으로 하는 것이 좋겠다. 그리고 이 성조부호들은 음절을 구성하는 모음 글자의 위 및 왼 쪽의 윗부분에 표시하기로 한다. 4. [온누리한글 중국어] 음절표 일본어는 이중모음 /ㆌ/가 들어있는 음절을 제외한 모든 말을 현행 한국어를 표기하는 한글 글자로 표기할 수 있지만, 중국어의 경우는 한국어에 없는 이중 모음 / /, / /, / /가 존재한다. 그리고 자음의 경우, 순치음 'f' 발음을 표기 하기 위해서는 /ㆄ/이, 설측음 'l' 발음을 적기 위해 / /이, 마지막으로 설치음 /c/를 표기하기 위해서는 / /이 따로 필요하다. 이상을 감안하여 중국어의 모 든 음절을 적을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온누리한글 중국어] 음절표'를 제시하 기로 한다. 250 충청문화연구 제18집 < 1 > 운모 (병음) 성모 (병음) a an 한글 ㅏ  g ㄱ n ㄴ d ㄷ r ㄹ 가 ga 나 na 다 da 라 ra l   la m ㅁ b ㅂ x 시 s ㅆ 0/ng ㅇ sh ㅅ zh ㅈ ch ㅊ j 지 z ㅉ q 치  c k ㅋ t ㅌ p ㅍ f ㆄ h ㅎ 짜 za  ca 카 ka 타 ta 파 pa  fa 하 ha 한 han 항 hang  hao 해 hai 허 he 헌 hen 헝 heng 짠 zan  can 칸 kan 탄 tan 판 pan 짱 zang  cang 캉 kang 탕 tang 팡 pang  zao  cao  kao  tao  pao 째 zai 챠 qia  cai 캐 kai 태 tai 패 pai  tiao  piao 챵  qiang qiao  ce 커 ke 터 te 펀 pen  cen 컨 ken  ceng 컹 keng 텅 teng 펑 peng  cou 코 kou 토 tou 포 pou  fou 호 hou 페 pei  fei 헤 hei 싸 sa 아 a 사 sha 자 zha 차 cha 싼 san 안 an 산 shan 잔 zhan 찬 chan 쌍 sang 앙 ang 상 shang 장 zhang 창 chang  sao  ao  shao  zhao  chao 쌔 sai 애 ai 새 shai 재 zhai 채 chai 쟈 jia 쟝 jiang  jiao 쩌 ze 쩐 zen 쩡 zeng 쪼 zou 쩨 zei 야 ya 양 yang  yao 마 ma 바 ba 간 gan 난 nan 단 dan 란 ran  lan 만 man 반 ban ang ao ai ia iang iao e en er eng ou ei 강   ᅶ ㅐ ㅑ  ᅸ ㅓ    ㅗ ㅔ  gang 낭 nang 당 dang 랑 rang  lang 망 mang 방 bang gao  nao  dao  rao  lao  mao  bao  lai 매 mai 배 bai 샤 xia 샹 xiang  lia  liang  miao  biao  xiao 써 se 어 e 썬 sen 언 en 서 선 she shen 저 전 zhe zhen 처 천 che chen 얼 er 썽 seng 엉 eng 성 sheng 정 zheng 청 cheng 쏘 sou 오 ou 소 shou 조 zhou 초 chou 에 ei 세 shei 제 zhei  le 머 me 개 gai 내 nai 대 dai 냥  niang niao 거 ge 너 ne 더 de 건 gen 넌 nen 던 den 런 ren 겅 geng 넝 neng 덩 deng 렁 reng  leng 멍 beng 고 gou 노 nou 도 dou 로 rou  lou 모 meng mou 벙 게 gei 네 nei 데 dei  lei 메 mei 베 bei '한글운율법'을 통한 한중일 한자 어휘의 동시교육 방안 연구 251 < 2 > 운모 (병음) 성모 (병음) g n d r l m b x s iou ie ian 한글 (ㅕ) ㅛ ㅖ  ㄱ ㄴ ㄷ ㄹ  ㅁ ㅂ 시 ㅆ 0/ng ㅇ sh zh ch j z q c k t p f h ㅅ ㅈ ㅊ 지 ㅉ 치  ㅋ ㅌ ㅍ ㆄ ㅎ 톄 tie 폐 pie 톈 tian 폔 pian 풔 po  fo 홍 hong 화 hua 환 huan 황 huang 홰 huai 쵸 qiu 쳬 qie 쳰 qian  cong 콩 kong 통 tong 콰 kua  cuan 콴 kuan 퇀 tuan 쾅 kuang 쾌 kuai 죠 jiu 졔 jie 졘 jian 쫑 zong 쫜 zuan 츙 qiong 종/중 zhong 총/충 chong 요 you 예 ye 옌 yan 오 o 쇼 xiu  liu 묘 miu  lie 몌 mie 볘 bie 셰 xie  lian 몐 mian 볜 bian 셴 xian 쏭 song 와 wa 솨 shua 좌 zhua 쏸 suan 완 wan 솬 shuan 좐 zhuan 촨 chuan 왕 wang 솽 shuang 좡 zhuang 촹 chuang 왜 wai 쇄 shuai 좨 zhuai 쵀 chuai 즁 jiong 용 yong 뭐 mo 붜 bo 슝 xiong 뇨 niu 됴 diu 녜 nie 뎨 die 녠 nian 뎬 dian o ong 공/궁 gong 농 nong 동 dong 롱 rong  long ua uan ㅗ/ㅝ  /  ㅘ  과 gua uang 관 guan 놘 nuan 돤 duan 롼 ruan  luan uai io iong  ㅙ (ㅛ) /  광 괘 guang guai 252 충청문화연구 제18집 < 3 > 운모 (병음) 성모 (병음) g n d r l b x s ㄱ ㄴ ㄷ ㄹ  m ㅁ ㅂ 시 ㅆ 0/ng ㅇ sh ㅅ zh ㅈ ch ㅊ j z q c k t p f h 지 ㅉ 치  ㅋ ㅌ ㅍ 문 cu 쿠 ku 투 tu 푸 pu ㆄ  fu ㅎ 후 hu 훈 hun 훠 huo 훼 hui  cun 쿤 kun 툰 tun  cuo 쿼 kuo 퉈 tuo  cui 퉤 tui 쭈 zu 쭌 zun 쭤 zuo 쮀 zui 취 qu 췬 qun  que ð quan 문 ci 티 ti 피 pi 핀 pin 팅 ting 핑 ping 쑤 su 우 wu 수 shu 주 zhu 추 chu 쑨 sun 원 wen 순 shun 준 zhun 춘 chun 쒀 suo 워 wo 숴 shuo 줘 zhuo 춰 chuo 웡 weng 쒜 sui 웨 wei 쉐 shui 줴 zhui 췌 chui 쥐 ju 쥔 jun  jue è juan 쯔 zi 치 qi 친 qin 칭 qing 위 yu 윈 yun  yue  yuan 스 shi 즈 zhi 츠 chi 지 ji 진 jin 징 jing u 구 gu 누 nu 두 du 루 ru  lu 무 mu 부 bu 쉬 xu 쉰 xun  xue  xuan 쓰 si 이 yi 인 yin 잉 ying 둔 dun 룬 run  lun un 군 uo ueng uei gun guo 눠 nuo 둬 duo 뤄 ruo  luo 궤 gui 뒈 dui 뤠 rui  lü  lüe 르 ri  li 미 mi 비 bi 시 xi  lin 민 min 빈 bin 신 xin 밍 ming 빙 bing 싱 xing ü ün iu üe üan i in ing 한글 ㅜ /  ㅝ  ㅞ ㅟ  (ㅠ)   ㅡ ㅣ   궈 뉘 nü 고 nüe 니 ni 디 di 닌 nin 닝 ning 딩 ding '한글운율법'을 통한 한중일 한자 어휘의 동시교육 방안 연구 253 우리는 위의 '[온누리한글 중국어] 음절표'에 기반하여 중국어 상용한 자 3,500자를 모두 한글로 표기할 수 있다. 위의 음절표에 따라 중국어 한자를 한글로 표기한 용례들, 즉 초성이 'ㄱ' 발음인 19개 음절 한자들 을 우선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간 > 1 1) 甘 간1 gān ⇒ 달 감 2) 干 간1 gān, 간4 gàn ⇒ 방패 간 3) 肝 간1 gān ⇒ 간 간 4) 竿 간1 gān ⇒ 장대 간 5) 敢 간3 gǎn ⇒ 감히 감 6) 感 간3 gǎn ⇒ 느낄 감 7) 赶[趕]간3 gǎn ⇒ 쫓을 간 8) 杆 간3 gǎn, 간1 gān ⇒ 막대 간 < 강 > 2 1) 冈[岡] 강1 gāng ⇒ 산등성이 강 2) 纲[綱] 강1 gāng ⇒ 벼리 강 3) 钢[鋼] 강1 gāng ⇒ 강철(鋼鐵) 강 4) 刚 강1 gāng ⇒ 굳을 강 5) 缸 강1 gāng ⇒ 항아리 항 6) 港 강3 gǎng ⇒ 항구(港口) 항 7) 岗[崗] 강3 gǎng ⇒ 언덕 강 <  > 3 1) 高 1 gāo ⇒ 높을 고 2) 膏 1 gāo ⇒ 기름, 살진 살 고 3) 糕 1 gāo ⇒ 떡 고 4) 稿 3 gǎo ⇒ 볏짚 고, 원고(原稿) 고 5) 搞 3 gǎo ⇒ 할 고, 다룰 고 6) 告 4 gào ⇒ 알릴 고 < 개 > 4 1) 该[該] 개1 gāi ⇒ 마땅히 해 2) 改 개3 gǎi ⇒ 고칠 개 3) 概[槩] 개4 gài ⇒ 대략 개 4) 盖[蓋] 개4 gài ⇒ 덮을 개 5) 溉 개4 gaì ⇒ 물댈 개 < 거 > 5 1) 歌 거1 gē ⇒ 노래 가 254 충청문화연구 제18집 2) 哥 거1 gē ⇒ 형 가 3) 胳 거1 gē ⇒ 팔 각 4) 割 거1 gē ⇒ 나눌, 벨, 자를 할 5) 搁[擱] 거1 gē ⇒ 놓을 각, 방치할 각 거2 gé ⇒ 참을, 견딜 각 6) 隔 거2 gé ⇒ 사이 뜰 격 7) 革 거2 gé ⇒ 가죽, 고칠 혁 8) 阁[閣] 거2 gé ⇒ 누각(樓閣) 각 9) 格 거2 gé ⇒ 격식(格式) 격 10) 葛 거2 gé ⇒ 칡 갈 11) 个[個/箇] 거4 gè ⇒ 낱 개 12) 各 거4 gè ⇒ 여러 각 < 건 > 6 1) 根 건1 gēn ⇒ 뿌리 근 2) 跟 건1 gēn ⇒ 발꿈치 근 3) 哏 건2 gén ⇒ 우스울 건 < 겅 > 7 1) 耕 겅1 gēng ⇒ 밭 갈 경 2) 梗 겅3 gěng ⇒ 줄기, 가지 경 3) 更 겅4 gèng ⇒ 다시, 더욱 갱 겅1 gēng ⇒ 고칠 경 < 게 > 8 1) 给[給] 게3 gěi ⇒ 줄 급 지3 jǐ ⇒공급할 급 < 고 > 9 1) 沟[溝] 고1 gōu ⇒ 봇도랑 구 2) 钩[鉤] 고1 gōu ⇒ 갈고리 구 3) 勾 고1 gōu ⇒ 굽을 구 4) 狗 고3 gǒu ⇒ 개 구 5) 够[夠] 고4 gòu ⇒ 충분(充分)할 구 6) 构[構] 고4 gòu ⇒ 얽을 구 7) 购[購] 고4 gòu ⇒ 구매(購買), 사들일 구 < 공 > 10 1) 公 공1 gōng ⇒ 함께할 공 2) 恭 공1 gōng ⇒ 공손(恭遜)할 공 3) 功 공1 gōng ⇒ 공로(功勞) 공 공적(功績) 공 '한글운율법'을 통한 한중일 한자 어휘의 동시교육 방안 연구 255 4) 工 공1 gōng ⇒ 장인(匠人) 공 5) 攻 공1 gōng ⇒ 칠 공 6) 供 공1 gōng ⇒ 공급(供給)할 공 7) 拱 공3 gǒng ⇒ 두 손 맞잡을 공 8) 巩[鞏] 공3 gǒng ⇒ 굳건할 공 9) 贡[貢] 공4 gòng ⇒ 바칠 공 10) 共 공4 gòng ⇒ 함께 공 < 과 > 11 1) 瓜 과1 guā ⇒ 오이 과 2) 刮 과1 guā ⇒ 바람 불 과 3) 寡 과3 guǎ ⇒ 적을 과 4) 挂[掛] 과4 guà ⇒ 걸 괘 5) 褂 과4 guà ⇒ 마고자 괘 < 관 > 12 1) 官 관1 guān ⇒ 관청(官廳) 관 2) 冠 관1 guān ⇒ 갓 관 3) 观[觀] 관1 guān ⇒ 볼 관 4) 关[關] 관1 guān ⇒ 빗장 관, 닫을 관 5) 馆[館/舘] 관3 guǎn ⇒ 집 관, 객사(客舍) 관 6) 管 관3 guǎn ⇒ 피리, 어조사 관 7) 灌 관4 guàn ⇒ 물 댈 관 8) 惯[慣] 관4 guàn ⇒ 버릇 관 9) 罐 관4 guàn ⇒ 항아리 관 10) 贯[貫] 관4 guàn ⇒ 꿸 관 < 광 > 13 1) 光 광1 guāng ⇒ 빛 광, 영광(榮光) 광 2) 广[廣] 광3 guǎng ⇒ 넓을 광 < 괘 > 14 1) 乖 괘1 guāi ⇒ 어그러질 괴 2) 拐 괘3 guǎi ⇒ 절뚝거릴 괴 3) 怪 괘4 guài ⇒ 괴상(怪狀)할 괴 < 구 > 15 1) 孤 구1 gū ⇒ 외로울 고 2) 估 구1 gū ⇒ 값 고 3) 姑 구1 gū ⇒ 시어미 고 4) 咕 구1 gū ⇒ 갓난아이 울음소리 고 256 충청문화연구 제18집 5) 古 구3 gǔ ⇒ 옛 고 6) 谷 구3 gǔ ⇒ 골짜기 곡 [穀]구3 gǔ ⇒ 곡식 곡 7) 骨 구3 gǔ ⇒ 뼈 골 8) 股 구3 gǔ ⇒ 넓적다리 고 8) 鼓 구3 gǔ ⇒ 북 고 9) 故 구4 gù ⇒ 연고(緣故) 고 10) 雇 구4 gù ⇒ 고용(雇用)할 고 11) 固 구4 gù ⇒ 단단할 고 12) 顾[顧] 구4 gù ⇒ 돌아볼 고 < 군 > 16 1) 滚 군3 gǔn ⇒ 구를 곤 2) 棍 군4 gùn ⇒ 몽둥이 곤 < 궁 > 17 1) 弓 궁1 gōng ⇒ 활 궁 2) 躬 궁1 gōng ⇒ 몸 궁 3) 宫 궁4 gōng ⇒ 집 궁 < 궈 > 18 1) 锅[鍋] 궈1 guō ⇒ 솥 과 2) 国[國] 궈2 guó ⇒ 나라 국 3) 果 궈3 guǒ ⇒ 열매, 결과(結果) 과 4) 裹 궈3 guǒ ⇒ 쌀, 싸맬 과 5) 过[過] 궈4 guò ⇒ 지날 과 < 궤 > 19 1) 规[規] 궤1 guī ⇒ 법(法) 규 2) 归[歸] 궤1 guī ⇒ 돌아갈 귀 3) 闺[閨] 궤1 guī ⇒ 규방(閨房) 규 4) 龟[龜] 궤1 guī ⇒ 거북 귀 쥔1 jūn ⇒ 갈라질 균 쵸1 qiū ⇒ 나라이름 구 5) 鬼 궤3 guǐ ⇒ 귀신(鬼神) 귀 6) 轨[軌] 궤3 guǐ ⇒ 궤도(軌道) 궤 7) 贵[貴] 궤4 guì ⇒ 귀할 귀 8) 跪 궤4 guì ⇒ 꿇어앉을 궤 9) 柜 궤4 guì ⇒ 궤짝 궤 '한글운율법'을 통한 한중일 한자 어휘의 동시교육 방안 연구 257 5. 한중일 한자 어휘들의 한글 표기 과정과 원리 이상의 한중일 세 나라 언어의 음운체계 및 그 한글 표기법을 바탕으 로 하여 3국의 한자 어휘들을 한글로 표기하면 다음과 같다. 5.1 한국어의 단모음 'ㅐ'/ɛ/가 중국어 및 일본어에서는 이중모음 /ai/로 실현된다. 이에 한국어 한자어 '애정', '애국', '애인', '애호', '총애', '애수', '비애'에서의 심리적 음절 '애'는 단모음이면서 물리적 음절로 실현될 때 도 단모음이므로 이 단어들은 모두 '반박자 리듬'의 단어들이라 하겠다. 그러나 중국어 및 일본어 한자어들은 심리적 음절 '애'에 성조(tone)가 얹 히면서 모두 [아+이]의 2개의 물리적 음절로 분할되고 있다. 나아가 이 들 한자어들은 모두 '한 박자 리듬꼴'(해오라기)의 단어들을 형성한다. 그리고 일본어 한자어들에서 'ㅇ'/ng/ 받침을 가진 모든 음절들은 성조가 부여되면서 'ㅇ'/ng/이 탈락하는 동시에 이중모음화의 길을 걸었다고 볼 수 있다. 258 충청문화연구 제18집 '한글운율법'을 통한 한중일 한자 어휘의 동시교육 방안 연구 259 5.2 /k/, /t/, /p/ 받침(입성운미)이 한국어 한자어에서는 '내파화'하면서 받침으로 실현되고 있고, 일본어 한자어에서는 '외파화'하면서 약모음 / ㅡ/(ㅜ) 및 /ㅣ/와 결합하여 물리적 음절을 더 만들어내고 있으며, 중국어 한자어에서는 '탈락'되는 대신 음절에 성조가 얹히면서 중성이 이중모음 화하고 있다. 일본어 한자어에 있어서, 그 받침이 약모음 'ㅡ'(ㅜ)와 결합하여 CV 형 물리적 음절을 만드는 경우에는 그 심리적 음절의 받침을 각각 {ㄱ, ㄽ, ㅄ}으로 표기하고(칸꼭[카안꼬꾸], 뀨속[뀨우소꾸], 압빡[아압빠 꾸], 시갌[시가쓰], 애삸[아이사쓰], 앖룍[아쓰료꾸], 잢옴[자쓰오옴]), 내파(불파)되는 경우에는 받침을 각각 {ㅋ, ㅅ, ㅂ/ㄷ}으로 표기하고자 한다(갘세[가악세에], 겓뀨[게엣뀨우], 갑쇼[가압(앋)쇼오], 잡시[자 압(앋)시]). 그리고, 일본어 한자어에 있어서, 그 받침이 약모음 'ㅣ'와 결합하여 CV형 물리적 음절을 만드는 경우에는 그 심리적 음절의 받침을 각각 {ㄲ, ㅆ, (없음)}으로 표기하도록 한다(교섺[교오세끼], 보엒[보오에 끼], 싰갌[시찌가쓰], 있닌[이찌니인]). 여기서 중요한 점은 /p/를 받침 으로 가진 한자는 외파될 때 받침이 약모음 'ㅣ'와 결합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다만, 甲(こう), 納(のう), 答(とう), 揷(そう), 法(ほう) 등의 많은 한자들의 발음처럼 'ㅂ'이 모음 'ㅜ(う)'로 변하는 경우에는 그 심리적 음절의 받침을 비읍순경음 {ㅸ}로 표기하고자 한다. 후기 중세국어 시 대에서 양순음 /ㅂ/이 변칙활용을 할 때는 양순유성마찰음 /ㅸ/[β]으로 변동되었으며(덥다 → 더, 춥다 → 추), 통시적으로는 반모음 /ㅗ/ ㅜ(w)로 변하여 현대국어에 이르렀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해 준다고 본다. 따라서, 갑론을박(甲論乙駁)은 '론옰박'[고우론오쯔바꾸/こうろ んおつばく], 납기(納期)는 '끼'[노우끼/のうき ], 답신(答信)은 ' 260 충청문화연구 제18집 신'[또우신/とうしん], 삽화(揷畫)는 '가'[소우가/そうが], 법률(法 律)은 '릸'[호우리쯔/ほうりつ] 등으로 표기할 수 있겠다. '한글운율법'을 통한 한중일 한자 어휘의 동시교육 방안 연구 261 262 충청문화연구 제18집 '한글운율법'을 통한 한중일 한자 어휘의 동시교육 방안 연구 263 264 충청문화연구 제18집 5.3. 일본어의 경우 한글로 표기되는 모든 음절 글자는 한국어를 표기 하는 데 필요한 음절 글자 수에 포함되지만, 단 하나의 이중모음 'ゆ い'[yui]가 예외적으로 존재한다. 이에 'ゆい'를 한글로는 /ㆌ/로 표기하면 된다고 본다. '唯物'이 'ゆいぶつ'라고 발음되고, '遺言'이 'ゆいごん'으로 발음되므로 이 단어들을 각각 '붌', '곤'으로 적고 성조부호를 표시하 면 되겠다. 6. 맺음말 이상 논의한 내용을 요약하면서 결론을 맺기로 한다. (1) "언어수행은 시간적으로 연속된 의미적 음절이 뫼비우스띠 형상 을 한 채 운율(멜로디리듬 말투=MeRhy Style)을 형성하는 것인바, 복층(2층)구조화되어있는 이 세상 7000종 모든 언어의 1층의 음절들 은 '한글'문자(훈민정음)로 음절식 표기를 하고, 2층의 운율은 오선지 위에 음표로 표시할 수 있는 새 언어이론"이 바로 '한글운율법'이다. 인 간이 언어 인지 및 기억/저장을 통해 언어능력(language competence) 을 구비하는 것은 '의미입자'와 '소리입자'의 심리적(psychological) '양자중 '한글운율법'을 통한 한중일 한자 어휘의 동시교육 방안 연구 265 첩 (quantum superposition) 현상'(-- > 뇌세포의 생성과정이므로 시간이 많 이 걸림)이고, 발성기관을 통해 말소리를 산출하는 언어수행(language performance)은 '의미입자'와 '소리입자'의 물리적(physical) '양자얽힘 (quantum entanglement)현상'(-- > 뇌세포의 활성과정이므로 시간을 초월함) 이라는 가설 위에 이 '한글운율법'은 서 있다. 1) 제1단계 한글리듬 법칙: 의미를 띤 심리적 음절(psychological syllable)은 발음을 할 때(언어수행 시), 1개 이상의 물리적 음절들 (physical syllables)로 분할(언어에 따라서는 이때 심리적으로 존재하지 않던 약모음 [으]와 [이]가 주어짐)되는바, 이때 발음시간 길이가 짧은 자음과 발음시간 길이가 긴 모음이 상호 결합하면서 음절박(音節搏 syllabic beat)을 형성한다(네 가지 유형의 음절박(V, C1V, VC2, C1VC2)을 만듦). 2) 제2단계 한글리듬 법칙: 가변적 물리량을 지닌 음절박들 (syllabic beats)은 상호결합하여 일정한 시간길이(템포)의 '박자'(拍 子, time=meter =foot < 음보 > )를 만든다(30개의 1박자 리듬꼴들(one Timed Rhythmical Forms)을 찾아냄). 3) 제3단계 한글리듬 법칙: '한 박자리듬꼴들'이 1개 이상 10개까지 서로 모이거나(grouping) 떨어져서(articulation) 온전한 리듬 (Rhythm)을 형성한다(음악과 시(詩)가 리듬이듯이 언어도 리듬이다!). 4)직청직해 법칙: 1박자 리듬꼴들은 운율자질(고저, 강세, 음장)이 선 별적으로 얹혀 다앙한 종류의 “운율형”을 만들면서 문장의 성분(주어, 서 술어, 목적어, 보어, 부사어, 관형어, 독립어)과 함수관계를 맺는다(모든 인간 의 언어는 나름대로 아름다운 운율을 지닌 말투이다). 이 직청직해법칙이 어순 (word order=엄밀히 말해, '단어의 순서'가 아닌 '성분의 순서'임)이 다른 언어 상호간의 '통번역 알고리즘(algorithm)' 개발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 다. 266 충청문화연구 제18집 (2) 우리는 '한글운율법'을 더욱 발전시켜, 한중일 3국의 한자 어휘들 을 모두 성조부호가 표시된 한글로 음절식 표기를 하는 폰트도 제작하 고 그 운율을 오선지 위에 음표, 쉼표로 표시하는 소프트웨어도 개발함 으로써, 이 한자 어휘들의 정확한 발음과 운율을 동시에 교육시킬 수 교 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리하여 세계주의(cosmopolitanism)와 세계통치(global governance)라는 숭고한 이념과 철학을 가지고 신 성 장동력으로서의 교육산업과 ICT 소프트웨어 산업 및 문화콘텐츠 산업 을 크게 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3) 우리는 '한글운율법'을 기반으로 한 음성인식 및 통번역 알고리 즘을 개발하여, 미국 IBM의 '왓슨', Apple의 '시리', Google 의 '나우' 등의 '인공지능'들을 능가하는 세계최고로 우수한 성능의 [음성인식 및 통번역 '인공지능']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이 '한글운율법' 을 기반으로 모든 인간 언어의 '운율악보'를 제공해 줄 수 있으므로 '외 국어 교육에 관한 한, 세계교육 차원의 혁신적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리듬문자 '한글'이 인류 7,000종 모든 언어의 '통일문자' 가 되고, [장단언어]인 우리 '한국어'가 [강세언어]인 '영어' 및 [성조언 어]인 '중국어'를 제치고 '인류 공용어'가 되는 날, 곧 온다고 확신한다. (4) '한글'을 공통으로 사용하는 남북한에 공동발전의 기회가 존재하 므로, '한글운율법'은 통일한국을 위한 남북정상회담의 주요 의제 및 경 제발전을 위한 산업요소가 될 수 있다. 즉, '한글운율법'은 '한중일 공용 문자로서의 한글과 한자의 제정'을 추진하자고 중국과 일본에 권유하면 서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북한 측에 제안할 수 있는 주요 의제가 될 수 있다고 본다. 이제 정부는 [한글(훈민정음)]과 {한국어}를 대한민국의 대표적 국가 브랜드로 만들어야 한다. '한글운율법'을 통한 한중일 한자 어휘의 동시교육 방안 연구 267 

반응형